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에서의 영어담당교사별 수업특성과 영어어휘에 대한 유아 이해도

        김순환 ( Soon Hwan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영어수업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유아의 연령에 따라 영어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수업 진행과 내용은 어떠한지, 또한 영어수업 내용 중에서 영어어휘에 대한 유아의 이해도는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영어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유치원 담임교사 및 한국인 방문교사이다. 영어수업에 대한 유아의 영어어휘 이해도 검사를 위해서는 영어수업 지도를 받는 만 3세, 만 5세반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아연령에 관계없이 담임교사가 시작 단계에서 진행하는 루틴활동은 교사의 영어능력 한계 때문에 기계적으로 반복만하고, 한국인 방문교사들은 수업 진도를 나가느라 루틴을 거의 다루지 않기 때문에 루틴 활동의 긍정적 효과도 나타나지 않고 있었다. 이후 수업내용은 담임교사와 한국인 방문교사 대부분 파닉스 영어교재에 제시된 내용만을 다루었다. 관찰결과 각 유형별 교사들의 영어단어 발음은 원어민과는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 방문교사의 경우는 발음 및 음운인식만을 강조하는 파닉스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다양한 활동방법만을 번갈아 사용하며 빠른 속도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유아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서는 수업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거나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다. This study examined English language lessons in a Kindergarten children by investigating how teachers carry out English lessons according to the ages of the children, what contents of those lessons are, and how well the students understand the English less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homeroom teachers and visiting Korean English teachers in a private kindergartens in Incheon. In order to test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 young children, 40 young children aged three and five were observed during English clas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s need to adjust the routines according to the children`s level of understanding rather than repeat the lessons verbatim. As homeroom and visiting teachers have limitations in their English skills, it is difficult for them to emphasize contents related to grammar moreover. There were many observations of grammatical errors in their English usage. In spite of these shortcomings, the visiting Korean teachers carried out lessons by emphasizing pronunciation and phonemic recognition. Their lessons repetitively and rapidly used a sequence of set activities, and children often failed to keep up with the pace of the lesson or actively participate. The overall measurement of the Kindergarten children understanding showed that, between four to eight weeks after the lessons, the understanding level of three-year-olds fell rapidly. Although the English level of five-year-olds fell less dramatically than that of three-year-olds, understanding of English lessons in all group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fter four weeks.

      • KCI등재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요구의 이해에 기초한 교사-다문화가정 부모 관계의 구축

        김순환 ( Soon Hwan Kim ),배소연 ( Soyoun Bae ),이영미 ( Youngmee Lee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6 다문화와 평화 Vol.10 No.1

        유아교사들이 다문화가정의 부모들과 바람직한 교사-부모 관계를 구축하려면 그들의 특징이나 요구를 먼저 이해하고 그에 부합하는 노력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이 한국에서 자녀를 교육하는 과정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유아교육기관이나 교사들에게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에는 경기와 서울지역에서 어린이집, 유치원, 복지관 등에 자녀를 보내는 102명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참여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은 연구자들이 제작한 질문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 첫째,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은 자녀교육의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그 이유는 한국 사회와 학교의 제도나 문화를 잘 모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여 자녀들에게 가르치는 것, 자녀들의 한국어 발달 도와주는 것, 가정에서 자녀들의 학습이나 발달 도와주는 것 등이 가장 힘든 어려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나유아교육기관에 바라는 것은 자녀에 대한 작은 문제나 의문점도 교사가 자신과 의논해 주는 것, 유아교육기관의 교직원들이 좀 더 친절히 대해 주는 것, 자녀교육에 대하여 더 많은 지원을 해주는 것 등 이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어려움이나 요구는 어머니의 연령, 학력, 직업유무, 한국거주기간, 자녀가 재학하고 있는 기관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In order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uild partnerships with familie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they first need to understand how the families perceive education of their child in Korean society and what they want from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stit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rceptions and needs of moth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One hundred two mothers of young children attending different type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Mothers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he processes of education of their children due to the cultural conflict and language barriers. They want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nform and consult with them about education of their children even though they have language barriers, to be friendly to them, and to provide more information and support for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t hom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difficulties and needs as a function of the mothers’ demographic backgrounds.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uild partnerships with familie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and for the policy makers to support these partnerships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유치원 평가에 대한 학부모 인식

        김순환 ( Soon Hwan Kim ),손수연 ( Soo Yeon Soh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유치원 평가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에 위치한 국공립 유치원 7곳과 사립 유치원 7곳에 재원 하는 유아의 학부모 62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유치원 평가에 대하여 학부모들은 기관을 통하여 정보를 듣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대부분 유치원 평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유치원 평가 결과에 대하여 학부모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개하기를 원하였으며, 유치원 평가 과정에서 학부모의 참여가 이루어지는 것이 좋겠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치원 평가 영역에 대하여 학부모들은 교육환경영역과 건강·안전영역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평가 지표의 내용에 대하여 학부모들은 급·간식 재료의 위생적 관리·사용을 질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기관 선택 시에도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유형에 따라 살펴보면 사립 유치원의 학부모가 국공립 유치원 학부모에 비하여 모든 지표에 있어서 중요성을 더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유치원 평가의 학부모 만족도 조사와 관련하여 문항 내용에 있어서 다른 내용이 추가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나타났다. 학부모들은 보다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학부모 만족도 조사가 시행되어야 하며 조사 방법에 있어서도 전화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This paper carried out a survey on 629 parents of preschoolers that attend seven public kindergartens and seven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discover the parents` perception on kindergarten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in evaluating kindergartens, parents often obtained information through the organizations in question, and most thought kindergarten evaluation was necessary. Regarding the evaluation results, parents wanted information to be made public so it could be used as reference, and they thought parent participation was desirable in the evaluation process. Second, with respect to evaluation areas, they felt educational environment, health and safety were important areas. In terms of evaluation indicators, they thought sanitary management of materials for meals and snacks and their preparation were qualitatively the most important, and they were the most frequently considered factors in choosing a kindergarten. With respect to organization types, parents of children attending private kindergartens put more importance on all indicators than those with children attending public kindergartens. Third, in examining the level of parental satisfaction on kindergarten evaluations, many parents were of the opinion that there should be more items added to the survey. They thought that the survey on parental satisfaction needed to consider more various elements, and in terms of survey method, it would also be more effective to carry out telephone interviews and written surveys in parallel.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해 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김순환 ( Soon Hwan Kim ),구비성 ( Bi Sung Ku ),김지은 ( Ji Eun Kim ),하민경 ( Min Kyung Ha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7 다문화와 평화 Vol.11 No.1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예비유아교사 154명을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개념 분석을 통해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점검하고, 유아다문화교육 및 교육의 대상자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 아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개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가정의 유아`, `다문화 가정`,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개념에 따른, `다문화 가정의 유아`, `다문화 가정`,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자들의 언어적 은유를 자료로 수집하고 범주화하여 주제에 대한 사고 유형과 이해를 알아보는 은유분석방법을 통해 `다문화`, `다문화 가정의 유아`, `다문화 가정`, `유아다문화교 육`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다문화`에 대해 `통합`, `동화`, `주변 화`, `분리` 순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가정의 유아`에 대한 인식으로 통합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가능성, 숙제, 주변화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 또한 통합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주변화와 숙제, 현재 존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 다문화교육`에 대해서는 교육의 당위성, 다문화교육에 대한 현실비판, 다문화교육의 목적, 다문화교육의 내용, 다문화교육의 가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개념에 따른 `다문화 가정의 유아`, `다문화 가정`,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는 `다문화`에 대한 개념과 `다문화 가정의 유아`, `다문화 가정`, `유아 다문화교육`에 대한 일관성 있는 이해를 가지지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다문화 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때 `다문화`에 대한 개념을 토대로, 다문화교육의 목적, 대상, 범위, 내용 등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pec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multiple cultures and explore general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ubjects in education by analyzing the concept of `multiple cultures` targeting 154 persons in Seoul and Gyeonggi-do. Subjects of study set for this are as follow: First, how is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multiple cultures`? Second, How is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nd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how is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nd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ncept of `multiple cultures`? The results that analyzed `multiple cultures`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nd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re as follow: Firs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 `multiple cultures` in order of `integration`, `assimilation`, `marginalization`, and `separation`. Secon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has found that integration is highest, followed by possibility, homework, and marginalization.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found that integration is also highest, followed by marginalization, homework, and the current existence. `Chidren multicultural education` has found to be in order of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 criticism about re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purpos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val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nd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ncept of `multiple cultures` has found to be in discord with each other. Based on these results of study, it h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do not understand the concept of `multiple cultures`,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nd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consistently. This can imply that detailed discussions on purposes, subjects, range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multiple cultures` when the directiv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suggested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training courses.

      • KCI등재

        만 4세 유아의 언어능력,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

        김순환(Kim, Soon-Hwan),조해연(Cho, Hea-Youn),김민정(Kim, Min-Jeo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언어능력과 정서지능, 유치원 적응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유아의 언어능력과 정서지능이 유치원 적응에 차이를 가져오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의 만 4세 유아 38명이다. 연구도구는 유아 정서지능 평정 척도와 수용어휘 및 표현어휘검사, 유치원 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언어능력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치원 적응의 하위항목인 유치원 생활에서의 적응의 경우 여아의 점수가 남아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언어능력에 따라 유치원 적응 중 친사회적 행동, 자아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정서지능에 따라 유치원 적응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s to make a general assessment of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skills, emotional intelligence and kindergarten adjustment, and to examine gender-based differences and find out what bearing language skills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ve on kindergarten 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mprise 38 preschool children aged 4 - 16 boys and 22 girls - from 2 kindergartens in Seoul. The study tools used are receptive and standard vocabulary examination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ssessment and kindergarten adjustment scales. Average calculatio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a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skills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ve few if any gender-based differences, while girls sco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oys in terms of adjustment to kindergarten daily routine, a subcategory of kindergarten adjustment. Second, the result indicated that children’s with hig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score are more likely to adjust kindergarten well.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o area(prosocial behavior, ego strength) of kindergarten adjustment according to children’s vocabulary score.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kindergarten adjustment according to emotional intelligence score.

      • KCI등재

        사립유치원 평가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어려움과 현직 교육에 대한 요구

        김순환(Kim Soon-Hwan),손수연(Sohn Soo-Y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이 유치원 평가 과정에서 인식하는 어려움과 현직교육에 대한 요구가 어떠한지 사립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살펴보아, 유치원 평가의 장기적인 시행과 정착에 도움이 되는 현직 교육을 계획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교사 195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평가 과정에서의 어려움, 유치원 평가를 위한 현직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경력에 따라 알아보았다. 교사들은 유치원 평가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업무 과중, 평가 영역 중 교육과정, 교육환경영역에 대하여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다. 유치원 평가 관련 현직교육에 대하여 80%가량의 교사가 경험을 하였으며, 구체적 지침, 자료지원이 부족하고 유사연수로 다양한 정보가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평가 영역별 현직교육에 대한 요구는 교육과정, 교육환경, 건강?안전, 서울특별시교육청 종합지표, 운영관리 영역의 순서로 현직 교육을 희망하였으며, 대부분 전년도 평가유치원 교원이 평가 관련 자료를 제공하여 주기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eks to examine, with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s subjects, the difficulties and in-service training demands of kindergarten teachers as perceived through the kindergarten evaluation process and thereby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planning in-service training that can help the long-term implementation and establishment of kindergarten evaluation. To achieve this aim,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195 teachers from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s subjects. In this study, the difficulties in the kindergarten evaluation process and the teachers’ perception regarding in-service training for kindergarten evaluation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The teachers perceived difficulties concerning overwork in the process of kindergarten evaluation preparation as well as difficulties regarding education program and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evaluation areas. About 80% of the teachers experienced in-service training related to kindergarten evaluation, and they perceived deficiencies in specific guidelines and resource support as well as the lack of diverse information due to the similarities in the training programs. The teachers’ demands regarding in-service training by evaluation area were in the order of education program, education environment, heath, safety,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Comprehensive Index, and operation and management. Most of the teachers also demanded the kindergarten evaluation administrators from the previous year to provide evaluation-related materials.

      • KCI등재

        유아 흡연예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순환(Kim, Soon-hwan),정혜욱(Chung, Hoe-wook),김희영(Kim, Hee-young),김태영(Kim, Tae-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유아 흡연예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문헌고찰 및 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차시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차시는 유아 흡연예방교육의 소개 및 유아 흡연예방교육의 이론적 개념으로 구성되 었으며 이를 토대로 차시에서는 현장 적용을 위한 실제적인 안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차시에서는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 흡연예방교육의 실제에 대해 알아보고 차시에서는 가정과의 연계방법에 대해 탐색해 보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강의 토론 발표 협동학습 워크숍 및 동영상 시청 등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평가를 위해 저널쓰기 계획안 작성 브레인스토밍 역할극 등을 통해 학습자 간 교육내용을 재구성 및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 교사를 위한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본 프로 그램을 통해 유아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유아 교사의 역량이 증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and the survey of the teachers’ needs on the program, which was conducted with 278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rogram is composed of five sessions. Sessions 1 and 2 include the introduction and the theoretical concepts of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essions 3, 4 and 5 cover the practical guidelines for teachers. In particular, sessions 3 and 4 deal with the integration of the smoking prevention program into Nuri Curriculum. Session 5 shows the ways to bring home as a partner of this program. In terms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we use lectures, discussions, presentations, cooperative learning, workshops, and watching video clip. For the evaluation, we adopt self-checklists, role-plays, journals, lesson plans, brainstorming and individual feedback.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specified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 expect this program would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running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만5세 유아의 책읽기 경험에 대한 인식

        김순환 ( Kim Soon-hwan ),김정숙 ( Kim Jeong-su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만5세 유아가 책읽기 경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수원과 용인에 위치한 국공립 유치원 10개에 재원하고 있는 만5세 유아 206명을 대상으로 책읽기 경험에 대한 그림 그리기와 면담을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아는 책읽기 경험을 재미있고 즐거운 것, 관계 안에서 함께 하는 것, 현실과 다른 세상으로 들어가는 것, 휴식하고 기다리며 하는 것, 배움을 통해 성장하는 것, 보상과 강요에 의해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즉 유아에게 책읽기는 단순한 읽기 활동이 아닌 재미있고 즐거움을 주며 좋아하는 등장인물을 만나고 상상의 세계로 들어가는 등 다양한 의미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유아의 관점에서 그들이 경험하는 책읽기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유아에게 의미 있는 책읽기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5-year-old children perceive their reading experienc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206 children aged 5 years from 10 kindergartens located in Suwon and Yongin, in the Gyeonggi Province. Picture drawing and interviews were used to determine how young children perceived their reading experien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young children said they like reading and find it enjoyable. Second, the young children perceived reading as a relationship-based joint activity. Third, the young children perceived reading as immersion in a new world different from the real one. Fourth, the young children perceived reading as something they did before sleep, or while waiting or when bored. Fifth, they perceived reading as a process for acquiring knowledge, finding information, and learning the letters of the alphabet. They believed that they could become smarter through reading and realize their dreams. Sixth, the young children said that they read books because their parents demanded it or rewarded them for doing so.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reading books is not simply a reading activity. It in fact means different things to young children, such as a fun and enjoyable activity, getting to meet their favorite characters, and immersing themselves in imaginary worlds. By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the reading experience as perceived by young children who are themselves the subjects of the reading, and consequently determining the factors that give them enjoyment and finally incorporating these factors into their reading activities, it will be possible to encourage them to engage in active and voluntary reading.

      • KCI등재후보

        유치원 평가와 조력활동에 대한 국공립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도

        김순환(Kim Soon Hwa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0 육아지원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유치원의 질적 수준 향상이라는 유치원평가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의미있게 논의가 되 어야 하는 평가와 조력활동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국공립 유치원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한 설문지 282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치원 평가를 준비하는데 있어 교사들은 유치원 업무와 평가 준비 병행이라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유치원 평가 준비 과정에서 유치원 평가 항목과 기준에 대한 구체적인 매뉴얼과 조력자의 지원이 가장 보완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조력 담당자로는 전년도 평가 유치원 교원을 선호하였으며, 현장을 파악하는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조력 담당자의 정서적 지원 역할로 교사와 친밀하고 신뢰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가장 높게 요구하였으며, 전문적 지원 역할로 지속적인 정보와 피드백 제공을 가장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rry out a detailed investigation on the topics that need to be meaningfully discusse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enhancing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such as the necessity of assistance, assistants, assistant's qualities and roles, assistance period and frequency, assistance content, and types of operations. For the research,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teachers of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282 questionnaires that were collected were used as data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y in carrying out their kindergarten work and evaluation work at the same time, and in their kindergarten evaluations, they viewed as top necessities a detailed manual on kindergarten evaluation items and criteria, and assistant support. The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receiving assistance felt that teacher training on evaluation was effective,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role of the assistants when they were dispatched, and understood the kindergarten evaluation policy. The area the teachers wanted assistance the most was in the area of curriculum, and they viewed the actual cases on preparing documents for individual evaluation items as the most important assistance that needed to be giv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