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시인성 향상을 위한 시각정보 전달매체의 색채서비스디자인

        김숙기(Kim, Sug Ki),마은주(Ma, Eun Joo)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2

        사람에게 전달되는 정보 중에서 매우 직관적으로 인식되는 색채를 긍정적인 행태로 유도할 수 있는 감성색채와 주변과 조화를 이루는 일관성 있는 색채배색에 대한 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성, 시인성, 가독성에서도 누구나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공공안내 정보의 색채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색채서비스디자인 방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서 시인성 향상을 고려한 공공안내 정보의 디자인 방향을 고찰하고 색채디자인 관련기술의 현황을 조사 · 분석하여 사인정보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색채서비스디자인 모델 연구를 통해 색채디자인 개발 기술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추출된 색채서비스디자인 모델은 색채맵가이드라인 시스템으로 시인성 향상을 위해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추천 색채맵과 효과적인 배색 샘플의 시인성을 미리 검토해볼 수 있는 배색시뮬레이션이다. 궁극적으로 색채가이드라인 서비스디자인은 불특정다수의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시각정보에 대한 인지정도를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색채서비스디자인 모델의 개발을 시도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색채서비스디자인을 통해 명확한 정보의 전달이 모든 사람들을 배려하는 공공안내 정보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고 무분별한 제작에서 오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색채전문지식을 갖춘 인재의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Emotional colors that can induce colors perceived very subjectively among the information delivered to human in a positive manner and consistent color arrangement harmonized with the surrounding have not been fully develop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lor service design method to develop the color guidelines of public information that anyone can easily recognize in usability, visibility, readability. For this purpose, the design direction of public information considering visibility improvement was reviewed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the status of color design-related technology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olor design development technology through color service design model research that can improve the visibility of signal information. The color service design model derived through this study is a color map guideline system and the service provided in the system to improve visibility is color arrangement simulation that can previously review the visibility of a recommend color map and effective color arrangement sample. Ultimately, color guideline service design is meaningful to attempt the development of a concrete color service design model that can improve the degree of perception on visual information delivered to many and unspecified persons. Therefore, through color service design, the delivery of clear information will be able to improve the usability of public information caring for all people and save costs resulting from reckless production and help to create jobs of talented people with expertise in color.

      • KCI등재

        색감정보 디자인에서 심리적 특성과 선호컬러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디자인분야 직업능력개발 훈련생을 중심으로 -

        김숙기 ( Kim Sug-k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2 No.-

        인간의 의식·무의식의 사고와 행동을 긍정적으로 유도하는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방법으로 맞춤형의 감성정보 디자인 모델을 제안할 수 있다. 특히 현실에 적용가능한 개인의 감성정보 중에서 시각적 인지가 높은 색채 정보와 개인의 심리적 특성으로 구성되는 색감정보는 개인마다의 상황을 이해하고 실행가능한 행동과 사고의 지표로 가치화시킬 수 있으므로 융의 심리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MBTI 성격유형검사와 하워드 선과 도로시 선의 CRR 색채심리검사를 통해 심리적 특성과 선호컬러의 분석 지표로 맞춤형 색감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간의 주요활동을 지표로 구성된 MBTI의 유형을 행동과 정서·심리적 측면에서 응용가능 한 심리와 태도로 분류하고 CRR 검사를 통해 개인마다의 심리상태를 선호컬러 순서에 따라 지니는 의미를 해석하여 색채와 심리적 특성을 빈도분석과 대응분석을 통해서 상관성을 분석하고 지속발전가능한 개인의 색감정보로 반영되도록 하였다. 실험대상의 모집단은 자신의 현재를 이해하고 새로운 미래를 위해 유연성 있게 대응해야할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훈련생들을 표본 조사하여 사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과 개인의 상황정보가 반영되는 콘텍스트디자인이 다양한 분야에서 통합·융합되어 변화하는 상황에 유연한 행태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정서적·육체적·심리적 균형을 조화롭게 디자인할 수 있는 색감정보 디자인방법의 가이드라인으로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We propose custom design model of emotional information as the way to give an impact on inducing thought and behavior positively from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of human being. Especially, color information that has high visual recogni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color of sense that consists of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personal emotional information available for being applied to the reality, can be valued by the index of thought and workable behavior from the understanding of individual situation. Therefore, it can consist of custom information of the color of sense by analysis index of preference color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rough CRR color psychological test by Howard & Dorothy Sun and MBTI character type test based on Jung`s psychological theory. Accordingly, we divided MBTI types, which are made of the index of the main behaviors of human being, into applicable mentality and attitude in behavior and emotional psychological sides, and analyzed the meaning followed by the order of preference color for individual mental state through CRR test to analyze the correlation by correspondence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for color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flect it on sustainabl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olor of sense. Sample survey to case study was made for the population of the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job capability development program to comprehend their present state and cope with the future flexib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guideline for color emotional design method possible to design with harmonious balance of emotional, physical, psychology so that context design in which this environment and individual situation information are reflected can respond flexibly to changing with integration, convergence in many fields.

      • KCI등재후보

        지능형 감성정보시스템 디자인 방법론에 관한 연구

        김숙기(Kim, Sugki),김종기(Kim, Chongki)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1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욕구는 갈수록 다양해지고 높아짐에 따라 감성적 측면의 욕구도 더해지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정보는 콘텐츠 아이덴티티 구축에 있어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특히 가상공간 내에서의 색채문화는 인간의 의식적?무의식적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굿 디자인의 모델 중 하나로 인간 중심의 디자인에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예를 들어 PC. 모바일 등을 통하여 노출되는 색체정보들은 인간의 심리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마케팅의 중요한 전략요소로 접목되어 제품의 경쟁력과 차별화에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다라서 본 연구는 인간의 복잡하고 다양한 심리를 디자인에 반영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한 지능형 감성정보 디자인의 가능성을 위해 퍼지 신경망을 이용한 심리유형별 색감정보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연구 모델은 실험과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색감에너지정보를 정량적으로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색감정보는 사용자들에게 색채테라피 역할 뿐만 아니라 감성적인 욕구충족으로도 접근가능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eing followed more various and higher in use"s desire to content, the desire in emotional side is addes also. The information to satisfy such human emotion is very effectively used in constructing virtual space is appeared with great importance as one of good design models to satisfy human conscious and inconscious emotion. For instance, color information to be exposed through PC, mobile phone gives very big impact on human psychology so it plays a leading role in competitive power and differentiation of product being linked to major strategic factor in marketing. Therefore, this research if to present color emotional information design method perpsychological type applying fuzzy neuron for the possibility of intelligent emotional information design being started for the purpose of reflecting human complicated and various mentality on design. Presented research models were abstracted with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experiment and analysis, and the abstracted color information is expected to be available for access of emotional desire satisfaction as well as color therapy.

      • KCI등재

        부부교육 프로그램이 부부갈등 해결에 미치는 효과

        김숙기(Kim, Sook-Ki)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1 Global Creative Leader Vol.1 No.1

        본 연구는 부부교육 프로그램이 부부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부부들의 갈등관계 해결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부갈등 요인을 탐색, 규명한 후 핵심요인을 선정하고 부부갈등 해결을 돕는 부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부부갈등을 겪고 있는 아홉 쌍의 부부들에게 부부갈등 해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참여부부들에게서 나타나는 변화를 측정하여 양적 자료를 분석하고,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나타나는 반응과 관련된 질적 자료를 활용하여 진행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에 대한 사례 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부부교육 프로그램은 참여 부부의 갈등관계 해결 및 관계향상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본 프로그램이 갈등해결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가 개발한 부부교육 프로그램이 갈등을 겪고 있는 부부들에게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성인교육프로그램 모형을 제공 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marital education program on the marital conflicts of married couples who were in conflicts. The factors that provoked marital conflicts were explored to select the key factors, and then a marital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resolve marital conflic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nine married couples who were in conflicts. The couples participated in the marital education program, and what effects it produced was investigated. A quantitative analysis was made by analyzing what changes the couples underwent, and a case analysis was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by observing how they responded to the program. As a result, the marital education program brought favorable changes to the conflicts of the married couples and their relationship, and that turned out to be effective at easing marital conflic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model of adult education program that turned out to be effective and applicable to married couples who are conflicts.

      • KCI등재

        학교사회복지 실천지침 개발 기초 연구

        최경일,최혜정,김숙기,서동미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0 학교사회복지 Vol.0 No.4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s for strengthening the expertise and also increasing the practical effectiveness, by developing the practice guidelines for school social works. For this, this study drew the frame of reference through the literary analysis related to the school social work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nd then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focusing on the experts in school social work practice.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actice guidelines for school social work included total seven items such as ethics & value, title & qualifications, perspective of practice, job, service contents, service methods, and knowledge & ability in order. The main direction of the contents of practice guidelines focuses on the uniqueness, professionalism, field applicability, and future-orientation of school social work.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sustainable practice guidelines were expanded in the conclusion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사회복지의 실천 지침서를 개발하여 현장 실무자의 전문성 강화 및 실천적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근거가 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국 및 한국 학교사회복지 관련 문헌 분석으로 준거틀을 도출하여 학교사회복지실천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사회복지 실천지침은 총 7항목으로 윤리와 가치, 명칭과 자격, 실천 관점, 업무, 서비스 내용, 서비스 방법, 지식과 능력 순으로 도출되었다. 실천지침 내용의 주요한 방향성은 학교사회복지의 고유성, 전문성, 현장 적용가능성, 미래지향성에 초점을 두게 된다. 이에 본 연구의 의의는 학교사회복지 실천지침 개발을 위한 탐색적 접근으로 문헌분석과 학교사회복지 실천가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함으로써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 하여 결론에서는 지속가능한 실천지침의 내용 확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