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전주선(丹田住禪)에 나타난 심신수행론

        김수인 ( Su In Kim ) 경락경혈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8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y of mind and body practice in Dan-Jeon-Ju-Seon from the point of views of Taoism, Buddhism, and Oriental medicine. Methods: An ideolog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Dan-Jeon-Ju-Seon was first examined. Then, the definition of, other descriptions of, and various locations of, Dan-Jeon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theory of Qi movement of Shui Sheng Huo Jiang (ascent of water Chi and descent of fire Chi) in Dan-Jeon-Ju-Seon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from perspectives on the thought of Taoist Nei Dan (internal alchemy) and Oriental medicine.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mind and body practice in Dan-Jeon-Ju-Seon. Results & Conclusions: Dan-Jeon in Dan-Jeon-Ju-Seon consists of three parts, upper, middle, and lower Dan-Jeon, which is related to Jing (sperm, essence)·Qi (breath, eneregy)·Shen (spirit, intellect) of our body. Jing·Qi·Shen is a crucial part in our mind and body, mind and body are connected by energy, and the energy flow is possible by ascent of water Chi and descent of fire Chi. Ultimately, Dan-Jeon-Ju-Seon is a method of practice to keep one`s mind and body healthy, and its purpose is to do timeless meditation in our daily liv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 KCI등재

        『禪苑淸規』에 나타난 茶의 의미 고찰

        김수인(Kim Su-In) 보조사상연구원 2008 보조사상 Vol.30 No.-

          이 논문은 『禪苑淸規』에 나타나는 茶의 의미 고찰을 통해 佛敎의 茶文化를 이해하는 단초를 마련하는 데 목표를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BR>  불교의 茶湯儀禮는 선종에서 유래한 것인데 현전하는 최고의 청규서인 『禪苑淸規』에 처음으로 보인다. 『禪苑淸規』의 茶湯儀禮는 이전까지 선종에서 깨달음의 方便으로서 차를 마셔오던 飮茶의 전통을 계승하되, 그 禪的 의미를 확대시킴으로써 불교 차문화의 체계적인 정립과 대중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BR>  『禪苑淸規』의 출현으로 다양한 차용어들이 나타나게 되었으며, 특히 煎點人이나 茶頭처럼 차를 끓이는 사람이나 승려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당시 차의 전문성을 인정받았음을 알 수 있다.<BR>  『禪苑淸規』에 보이는 茶規는 당시 총림의 대표적인 規度로서 중요하게 행해졌다. 또한 茶湯儀禮는 참선수행[自利]과 대중교화[利他]라고 하는 大乘의 의미를 온축하고 있으며, 나아가 禪思想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中正行을 體現하고 茶禪一味의 精神을 실현하여 궁극에 총림의 和合을 이끌어내는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BR>  이렇게 볼 때, 『禪苑淸規』의 차가 나타내는 다양한 의미들은 후대 선종의 독특한 茶文化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후대 불교의 茶文化는 물론 禪文化를 이해하는데 일정한 도움을 줄 것이다.   Aiming to prepare the clue to understand the tea culture of Buddhism by studying the meaning of tea in Seonwoncheonggyu, this paper proceeded to the discussions as follows: First, it examined the tradition of the tea culture of Zen and Seonwoncheonggyu, and then, summarized and introduced the examples of tea in Seonwoncheonggyu. Finally, it studied the hidden meaning of the letter, "tea," dividing it into three parts.<BR>  The tea etiquette in Buddhism originated in Zen, which appears first in Seonwoncheonggyu, the existing oldest rule book. The tea etiquette in Seonwoncheonggyu succeeded in the tradition that Zen sect drank tea as a means of enlightenment, but it didn"t stay in the study of the Zen cult with a cup of tea. It expanded its traditional meaning, through which it had great influence on the systematic formulation and the popularization of the tea culture of Buddhism. With the appearance of Seonwoncheonggyu, various tea terms appeared. Considering that there was a professional or a priest called "Jeonjeomin" or "Dadu"who made tea, it can be said that the specialty of tea was recognized at that time. In addition, the tea etiquette was performed as an important rule of Chonglim (where numerous priests got together to learn and live in peace), and it contains the meaning of Mahayana Buddhism covering the study of the Zen cult (being helpful for oneself) and the enlightenment of the public (being helpful for others). Besides, the tea etiquette has the meaning of promoting harmony of Chonglim by embodying Jungjeonghaeng, the core of the Zen ideology, and by realizing the spirit of Daseonilmi (meaning that tea and Zen are one).<BR>  It is thought that various meanings of the tea in Seonwoncheonggyu made the unique tea culture of the Zen sectand further, had great influence on making the tradition of not only the tea culture of future Buddhism, but also the Zen culture.

      • KCI등재

        죽순푸드빌리지 소재 한식 전문점 상차림 실태 조사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수인(Kim, Su In),박연진(Park, Yeon Jin) 한국식공간학회 2012 식공간연구 Vol.7 No.1

        Damyang county put efforts in raising the brand power of Damyang county as an attraction of delicious foods by making Bamboo food village as the delicious food village with Korean restaurants because people are interested more and more in enjoying delicious foods in touring. Hence, we took an investigation of ways of table-setting service and delivering foods in Korean restaurants in Bamboo foods village, and suggested improving ways of table setting for the selected restaurants that want to improve their service and table setting. Nine out of 10 selected restaurants in Bamboo foods village used flat spread-out table setting, and most of them did not care much about the personal space in table setting. Nowadays, food becomes an important factor to choose where to visit. According to the recent studies, people need to have simpler and more relaxed food-delivering ways and services, so we suggested improved table-settings and service ways for the five restaurants with a strong will of improvement. Customers will be more satisfied with our suggestions because we set the personal space in every table-setting and increase time-series services to 2 or 3 from the existing flat spread-out table setting.

      • KCI등재

        향토음식 특화 거리의 관광상품화와 활성화 방안 연구 -담양 죽순 푸드빌리지를 중심으로-

        김수인 ( Su In Kim ),박연진 ( Yeon Jin Park ),김소영 ( So Young Kim ),장혜진 ( Hea Jin Chang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3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8 No.4

        본 연구는 담양의 죽순 푸드 빌리지를 중심으로 지역 연구를 통하여 음식 관광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먹거리촌 선정업체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집하고, 죽순 푸드빌리지 발전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여 관련 연구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순 푸드빌리지 이용 관광객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으로 여성 56.1%, 30~49세 44.2%, 대졸이상 71.8%, 광주 및 전남권 51%, 300만원 이상의 월수입 36%를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죽순 푸드빌리지 내 한식당 메뉴에 관한 영역에 관하여 떡갈비, 대통밥, 음식 담음새, 상차림에 대한 만족도는 20대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50대 이상은 메뉴 영역에서 전체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떡갈비 정식 상차림에 대한 만족도는 30~40대가 가장 높았다. 또한 메뉴 개발 시 주력할 점에 대해서는 전통적인 맛을 살리는 점에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조사 대상자들은 죽순 푸드빌리지의 음식점 선택 시 “맛”을 가장 고려하며 앞으로 메뉴 개발 시 주력할 사항으로 전통적인 맛은 그대로 유지하며 현대인의 입맛에 맞는 음식 개발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죽순 푸드빌리지 일대 한식당의 경쟁력에 관한 영역에서는 20~29세, 30~49세(36.7%, 31.3%)는 상차림 및 분위기를 가장 큰 경쟁력으로 평가 하였으며 50세 이상은 지역적인 매력(32.7%)과 상차림(21.8%)이 경쟁력 있다고 평가하였다. 죽순 푸드빌리지를 중심으로 한 향토음식 특화 거리의 관광 상품화 활성화 방안에 관한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죽순 푸드빌리지 선정 음식점 메뉴 영역에 대하여 2만원 이상이며 2인 이상 판매되는 떡갈비 정식, 떡갈비 메뉴는 1인분 가격제를 실시하여 적정한 예산 내에서 다양한 음식을 체험 가능한 소비자 선택 기회를 제공된다면 젊은 세대들의 타 메뉴에 대한 만족도는 상승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30~50대 이상의 메뉴에 대한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맛을 유지하고 현대인에게 적합한 메뉴 개발이 필수적으로 선행 되어야 하며 동시에 지자체에서는 대표 메뉴인 떡갈비의 전통적 조리법에 대한 표준화 제시 및 담양 만의 차별화된 다양한 메뉴 개발로 경쟁력 있는 음식 관광 상품 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죽순 푸드빌리지 내 음식점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죽순 푸드 빌리지라는 특수성을 보여줄 수 있는 죽순을 이용한 메뉴 및 찬류를 개발하여 지역의 독창성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담양 지역의 음식을 활용한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은 관광객 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죽순 푸드빌리지 내 음식점 들의 식공간 내외의 환경 정비 작업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진다면 방문객들이 요구하는 위생상태 개선 부분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응답자들의 죽순 푸드빌리지 내 음식점들의 개선이 이루어 진다면 재방문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담양 죽순 푸드빌리지 향토음식 특화 거리 활성화를 위해서는 재방문의 기회를 높일 수 있도록 맛, 서비스, 시설 등의 개선과 향토음식의 전승 및 개발을 위한 기능보유자를 발굴하고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향토음식의 고유성을 잃지 않도록 전문 인력 양성 방안을 꾸준히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각 지방의 사라져 가고 있는 고유의 전통 조리법의 계승 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현재의 음식관광이 지역 향토음식이 중심이 되면서 한국음식에 대한 확산 및 전파, 한국음식 문화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는데 큰 역할을 하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improving dining experience in the restaurants of Bamboo food village and help draw up guidelines for the improvement of these dining venues by surveying custome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in 15-restaurants of the food village. The restaurants were surveyed mainly for satisfaction of the menu, especially, on the signature dishes of Damyang, “ddeokgalbi” (grilled short rib balls) and “daetongbab”-the grilled short rib balls and bamboo rice. The two dishes were more liked by people in the the 20- to 29-year age group with a score of 3.92 and 4.11, respectively. Although the 30-49 age group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score on the fixed price menu,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age group of 20-29 also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on plating and table setting with a score of 4.09 and 4.04, respectively,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ge groups in this regard (p<0.05). All the age groups surveyed answered “time-honored taste” should be captured when working on menus, which suggests it should be the first choice for the restaurants in the food village when they develop their menus. When it comes to the restaurant environment, satisfaction on sanitary condition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with a score of 4.21 given by 30-49 age group and 3.88 by the 50 and over group (p<0.05). In the category of service satisfaction, the two aforementioned age groups agai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catering to customer needs with a score of 3.99 and 3.63, respectively (p<0.05), whereas welcoming customers and serving food was scored without statistical difference by age. Being asked what needs to be done to strengthen competitive advantage of the restaurants, all the age groups answered “taste” would matter the most while the 20 to 29 and 30 to 49 age groups picked “hygiene” and the 50 and over selected “table setting and ambience” next, which was statistically different with a p value of <0.05. Regarding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the Korean restaurants in Damyang Bamboo food village, the first two younger groups (20 to 29 and 30 to 49) chose “table setting and ambience” and the eldest (50 and over) age group answered “location wise advantage,” indicating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More than 80 percent of the people surveyed were willing to revisit the venues, which suggests improving restaurant environment in Bamboo food village and offering customers a better experience are very likely to build a image of culinary tourism for Damyang.

      • KCI등재

        차의 기원에 대한 초의선사의 관점

        김수인 ( Kim Su-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8

        차 문화사에서 차나무의 기원에 관한 견해는 아직까지 통일되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국과 인도, 그리고 각 나라마다 자생설이 있다. 또한 차나무와 관계된 인물들을 보면 대체적으로 신이적인 내용과 관련이 있다. 중국은 신노이(神農氏), 인도는 기비(耆婆, 기파), 그리고 신이적인 인물인 보리달마(菩提達磨)는 인도와 중국설을 겸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차나무의 기원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세 가지 설이 있는데, 『삼국사기』의 중국에서 대렴(大廉)이 가져와서 지리산에 심었다는 중국설,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의 인도설에 기반을 둔 가야의 허황후설과 자생설을 주장한다. 이러한 세 가지 기원설에 근거한 우리나라의 차 문화는 조선 초·중기까지는 쇠퇴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전까지 쇠퇴했던 차 문화는 조선후기가 되면서부터 점차로 흥기하기 시작한다. 그 중심에 서있던 차인은 바로 일지암의 초의선사(1786-1866)이다. 한국 차 문화사에서 초의선사의 위상은 대단히 높다. 따라서, 조선 후기의 차 문화는 초의선사를 빼놓고 논의하기는 매우 곤란하다. 무엇보다도 그 당시 초의선사는 불교 승려로서 차의 성인으로까지 칭송되었던 인물이다. 이러한 초의선사의 차의 기원에 관한 관점은 그의 후반기에 저술된 『동다송(東茶頌)』과 「봉화산천도인사다지작(奉和山泉道人謝茶之作)」, 두 편의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두 작품의 차의 기원에 대한 관점은 서로 다르다. 먼저 1837년 52세 무렵에 저술한 『동다송』은 홍현주에게 다도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서 보낸 것으로 중국 신농씨의 기원설이다. 다른 하나는 1850년 65세 무렵에 저술된 「사다시(謝茶詩)」의 작품으로 산천도인 김명희가 보내온 「사다시」에 화답한 것이다. 「사다시」는 차의 기원에 대해 인도불교와 차문화를 근거로 한다. 이 시에서 그의 세계관은 중국 불교와 차 문화를 벗어나 인도 불교와 차 문화로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데, 그것은 범어(梵語)의 `알가(閼伽)`가 중국에서 `茶(차)`라는 어원이라는 것이다. 이 무렵 초의스님은 범어 원전의 해독 능력으로 인도 불교의 차 문화사를 새롭게 정립하고, 그 기원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수정·보완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In the tea culture, p.oint of view on the origin of tea p.lant has been not coincided so far. Generally, there are the Chinese, India, the birthp.lace of the p.lant each country theory. And in view of figures concerned tea p.lant, they are generally all related to theories in divine contexts. The Chinese theory is concerned with Shennong, the Indian`s related to Jiva, Bodhidharma was transmitter of Chan Buddhism was related to China, India. On the other hand, Korean theories about the origin of tea p.lant, there are three sub-categories, there were that Samguk Sagi exp.lains Dae-leam, a Chinese official, brought tea into Jiri mountain, others are an argument with regards to Heo, Hwang-ok, the wife of King Suro of Gaya based on India`s theory at the Joseonbulkyotongsa and, an argument exp.laining that tea p.lant was grown locally at the beginning. The tea culture of Korea based on the three theories has declined in the early and mid of Joseon dynasty. In the late of the dynasty, however, it gradually became on the rise. Tea Researcher of standing at the center was Cho-ui Seonsa(1786-1866). In the tea culture of Korea, his status is very high. therefore, In the late of the Joseon dynasty` tea culture, it is very difficult to discuss excep.t him. Above all things, He was as a Buddhist monk and highly lauded as the saint of Korean tea in those days. Cho-ui Seonsa`s p.oint of view on the origin of tea p.lant was found in the two literaries were DongDaSong and SaDap.oem had written late in his life. But, the view of p.oints of tea origins was different. First, the DongDaSong written in the year of 52 in 1837 was based on Chinese Shennongshi`s SeekKeang was intended to introduce tea ceremony to Hong Hyeon-ju. Next, SaDa written when he was 65 in 1850 was a resp.onding message to written by Kim, Meang-Hee. The Sadap.oem India was based on Buddhism and tea culture about the origins of the tea. In this p.oem, His world view was exp.anded from Chinese Buddhism and tea culture to Buddhist India and tea culture. It was that Sanskrit `Argha` etymology was `tea` in China. Around this time, He newly establised the Buddhist tea culture of India due to the interp.retting ability to Sanskrit and could be estimated that he modified and sup.p.lemented his initial p.oint of view on the origin of tea p.lant.

      • KCI등재

        향나무속의 분류학적 연구

        김수인 ( Su In Kim ) 한국산림과학회 198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77 No.3

        In order to solve the taxonomic problems of the genus Juniperus growing in South Korea, an identification key of the genus and sprcies, was developed bayed un flower structure, cane and seed shape, branching habit, tree form, leaf characteristics etc. of the 7 native species and the a exotic cultivars. The typical patter: of karyotype found by chroinosome analysis of the species was used for the identification among morphologically similar species. The length of chromsomes were ranged 9∼15㎛ in all studied specie. J. Chinonsis, var Procumhens, and var. kaizuka sere tetraploid, 4n=-44. var. globosa, var. procumbens, var. horizontalis, J. virginiada. J. rigida. j. rigida var. langicarpa. and J. coreana were diploid. 2n=-22. The species in the Sahina section showed large variation in the length of chronmsome and kinetochore position. The species in the Qxycedrus section showed the cyt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the 11th chromuaome m-type(acrocentric), and the m-type abundant chromosome set was relatively uniform as compared to those of the .Sabina section. The species in the Sbina section, which are planted in the large city area, show great morphological variation because many different ecotypes were mixed and often crossed among thorn. In summary, this study was able to make clear identification and to find out similarity among Juniperus, species by the morphological and cytological analysis.

      • 육법공양에서 차의 위상과 의미

        김수인 ( Su In Kim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5 한국예다학 Vol.1 No.-

        본 연구는 불교교단에서 교리적ㆍ의례적으로 성립되어 온 육법공양을 살펴보고, 특히 차공양이 지닌 그 의미들을 고찰하였다. 붓다에 의해탄생된 불교는 출가자와 재가자가 수레의 두 바퀴처럼 보시를 매개로 주고받는 관계를 이루어 오면서 발전한 종교였다. 출가자는 법을 전했고 재가자는 의식주를 제공함으로써 서로 교단을 이루어 온 것이다. 초기교단에서는 출가자에게 제공하는 네 가지공양(四事供養)이 기본이었다. 대승불교에 이르러서는 공사상에 바탕을 둔 교리적 정비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대승의 상징인 육바라밀과 연결된 육법공양은 사찰의 헌공문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쳐 왔다. 차는 보시바라밀, 향은 지계바라밀, 꽃은 인욕바라밀, 쌀은 정진바라밀, 과일은 선정바라밀, 그리고 등불은 지혜바라밀에 해당한다. 대승의 육바라밀 중에서 가장 큰 특색이 보시바라밀인데, 보시와 연결된 차는 어떠한 상징적 의미가 있는가 하는 점을 연구하였다. 차는 모든 생명을 살리고, 겸손하며 어려움을 거치면서 만들어짐으로써 대승불교의 보시정신을 잘 드러내고 있다. We propose the process of foundation of six puja, which consisted of the doctrine and ceremony in Buddhist Samgha, and observed the meaning of tea puja. Buddhism developed in relationship of giving and taking between bhikkhu and bhikkuni samgha who pass the dharma and upasaka and upasika who provide the necessity of life as symbolized by two wheels in cart. In the early stage of Buddhism,the Buddha provided four basic offerings to bhikkhu and bhikkuni samgha. When it comes to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modification is made based on sunyata thought. Especially, six puja connected with six paramita(the symbol of Mahayana Buddhism) have strong effects on the offering culture in Buddhism; tea is dana-paramita, scent is sila-paramita, flower is ksanti-paramita, rice is virya-paramita, fruit is dhyana-paramita, and lamp isprajnana-paramita. That is the symbolic meaning of tea which is related to dana-paramita, the biggest characteristic in six puja. Tea suggested the offering spirit of Mahayana Buddhism in that it saves all creatures, is modest and proceeds through difficulties.

      • KCI등재

        담양 음식문화거리 조성 활성화 방안

        김수인(Kim Su In),김소영(Kim So Young) 한국식공간학회 2013 식공간연구 Vol.8 No.2

        These days, local governments in Korea begin to realize understanding customer needs, physical environment, facility design, management mindset improvement and quality control is essential to survive the increasingly fierce competition of developing and facilitating special district projects for the local economy, largely due to the changing customer lifestyle and growing social awareness. Moreover, more organized and concrete efforts and management need to be made to develop food culture streets and eventually win the competition while enhancing internal and external competitiveness and maintaining a competitive edge by differentiation is key to vitality of food culture streets. In the study, seven restaurants were selected for a field study done by a team of two researchers each, where the owner and employees responded that they mostly demanded aggressive marketing efforts by local authorities in line with carrying out the food culture street project for "Changpyeong Gukbap", literally soup with a rice in Changpyeong, and street sculptures to install in term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 storyboard to promote the soup in terms of interior design and the common earthen bowls suitable to warm up food along with plates for all the restaurants on the street, which are listed in order of priority. As for training and education for restaurant owners, customized culinary sessions were demanded first. They come down to indicate that delicious food, food hygiene and safety and equipment improvement are requir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in the dining industry in a sustainable manner and eventually invigorate the food culture street.

      • KCI등재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한 화장용 크림 유화액의 유화안정성 평가

        홍인권 ( In Kwon Hong ),김수인 ( Su In Kim ),박보라 ( Bo Ra Park ),최준호 ( Junho Choi ),이승범 ( Seung Bum Lee ) 한국공업화학회 2016 공업화학 Vol.27 No.5

        화장품 제조의 기본원리인 유화과정은 섞이지 않는 두 액체성분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한 쪽의 액체를 다른 쪽의 액체에 분산하여 안정화된 유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유화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하여 화장용 크림 유화액을 제조한 후 유화액의 점도변화, 입자 크기 변화, 입자 크기 분포변화 등을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비이온성 유화제의 HLB 값은 EMU-01 (HLB = 12.9), EMU-02 (HLB = 12.9), EMU-03 (HLB = 12.4), EMU-04 (HLB = 12.5)이다. 4종류의 혼합유 화제 모두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가 증가하고 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화장품 제조 시 교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는 감소하고 점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4종류의 혼합유화제를 사용한 유화액 모두 층분리는 일어나지 않아 56일까지의 유화액의 안정성은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유화액의 점도는 EMU-01 > EMU-02 > EMU-03 > EMU-04로 크게 측정되었으며, 입자 크기는 EMU-01 ~ EMU-02 > EMU-03 ~ EMU-04로 측정되어 화장용 크림 유화액을 제조할 경우 맞춤형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Emulsification is a fundamental process of cosmetics manufacture which produces stabilized emulsion by dispersing the liquid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by adding an emulsifier in an immiscible liquid. Various types of emulsifiers can produce various cosmetic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tability of emulsifier by measuring variations in the viscosity, particle size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HLB values of nonionic emulsifiers which are used in this paper are 12.9, 12.9, 12.6 and 12.5 for EMU-01, EMU-02, EMU-03 and EMU-04, respectively. All types of emulsions showed an increase in the particle size and a decrease in the viscosity with the time. Also they showed a decrease in the particle size and an increase in the viscosity with respect to increasing the stirring speed. However, the stability of emulsions up to 56 days was secured by observing the non-separation of emulsions. In addition, the viscosity of the emulsions was measured in the order of EMU-01 > EMU-02 > EMU-03 > EMU-04 while the size of particles was measured in the order of EMU-01 ~ EMU-02 > EMU-03 ~ EMU-04. This indicates that our emulsion can be potentially used for preparing a cosmetic facial cre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