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능성에 관한 물음으로서의 철학 -볼프의 철학 개념과 칸트의 역사철학

        김수배 ( Soo Bae Kim ) 한국칸트학회 2010 칸트연구 Vol.25 No.-

        Dieser Beitrag unternimmt den Versuch, auf der Folie von Wolffs Philosophiedefinition (scientia possibilium, quatenus esse possunt) Kants Geschichtsphilosophie neu aufzuschließen. Wahrend die Moglichkeit im Philosophieverstandnis Wolffs hauptsachlich die Moglichkeit der Tatsachen bzw. des Tatsachenwissens bedeutet, berucksichtigt die geschichtsphilosophische Frage Kants selbst die Problematik der Moglichkeit der zu existierenden Tatsache. Diese Moglichkeit ist als diejenige Moglichkeit zu verstehen, die die Menschen durch ihre Besinnung und ihren Beschluß wirklich machen konnen bzw. sollen. Wie bekannt, gibt die geschichtsphilosophische Teleologie Kants durch den regulativen Gebrauch der Idee den geschichtlichen Fakten und Ereignissen einen Sinn. Noch wichtiger scheint aber zu sein, dass sie die Moglichkeit einer der Idee entsprechenden Entwicklung der Geschichte selbst eroffnet. Den ersten Schritt zur vollkommen entfalteten Weltburgergesellschaft, die das Ziel der Geschichte ausmacht, hat Kant m. E. in der Sicherung des Weltburgerrechts des einzelnen Menschen gesehen. Das Weltburgerrecht, das den elementaren Kontakt zwischen den Einzelmenschen bzw. den Staaten ermoglicht, ist allem Anschein nach die allererste Voraussetzung fur die Annaherung an den hochsten Zweck des Naturrechts und zugleich an das institutionelle Ziel der Geschichte der Menschengattung. Kants Idee der Geschichte in weltburgerlicher Absicht sollte demnach als gultig angenommen und von einer dementsprechend erscheinenden Praxis begleitet werden, wenn man die Menschengeschichte als mehr denn ein bloß planloses Aggregat menschlicher Handlungen ansehen will. Das bedeutet, dass die Menschengattung bestimmte Denkmoglichkeiten als ihren Zweck anerkennen und die Verwirklichung dieses Zwecks als ihr Sollen annehmen muss. Es handelt sich hier also um eine von Grund auf neue Art der Philosophie, die den Ubergang vom Seinkonnen zum Seinsollen zustande bringt, ohne dabei irgendeinen Dogmatismus oder irgendeine transzendente Idee hineinzumischen.

      • KCI등재

        칸트의 『덕론』은 타율의 윤리인가? - “덕의무” 개념에 관한 발전사적 연구를 중심으로 -

        김수배 ( Kim Soo-bae ) 한국칸트학회 2016 칸트연구 Vol.38 No.-

        『도덕형이상학―덕론의 형이상학적 기초원리』(=『덕론』)은 칸트 윤리학의 마지막 저서이므로 출판 시기만 놓고 본다면 의무론적 윤리 이론의 정점에 해당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칸트가 『도덕형이상학의 정초』(=『정초』)나 『실천이성비판』에서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여겨 도덕성에 관한 논의 대상에서 배제했던 행위 목적이나 결과를 『덕론』에서 중심 개념으로 다루었다는 등의 이유로, 이 저서는 그 자신이 타율의 윤리라고 비판하여 물리쳐버렸던 볼프학파의 견해로 후퇴한 것이 아니냐 하는 논란과 더불어 해석상의 어려움을 제기한다. 이 논문은 『덕론』이 도덕적 행위의 목적 또는 실질로서 “덕의무”를 고려하는 배경을 발전사적인 관점에서 재구성한다. 특히 칸트가 『정초』나 『실천이성비판』의 관점에서 성립하기 어려운 것처럼 보이는, 자유로운 자의의 대상으로서 의지의 실질(목적)이자 동시에 의무라는 “덕의무” 개념을 『덕론』에서 상론하며 도입하는 과정에서 “덕”개념에 부여한 의미에 주목한다. 그리고 『도덕형이상학』의 성립에 직접적인 소재를 제공한 『도덕철학 강의(비길란티우스)』와 그 강의의 교재였던 바움가르텐의 『철학적 윤리학』과 『제일 실천철학의 기초원리』), 그리고 『덕론 초고』 등의 관련 내용과 특징을 분석한다. 이 같은 작업은 『덕론』을 전통 윤리와의 대결을 통해 형식주의 비판에 대응하려는 시도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줄 뿐 아니라, 원리 중심의 윤리이론과 맥락 중심의 윤리이론, 또는 동기주의와 결과주의 사이의 양자택일을 강요하는 것처럼 보이는 윤리학적 딜레마에 대한 한 대안 가능성을 시사해줄 것이다. Kant behandelt in seiner letzten ethischen Schrift Metaphysik der Sitten (Tugendlehre) den Begriff “Zweck”(Objekt, Materie) moralischer Handlungen, gleichsam als den notwendigen Bestimmungsgrund der Moralitat. Den Begriff hielt er noch in der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und in der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fur bloss empirisch und subjektiv, daher schloss er ihn aus dem Begrundungzusammenhang der reinen Moralitat aus. In dieser Hinsicht ist nicht selten die Frage gestellt worden, ob Kant in der Tugendlehre moglicherweise wieder in dieselbe moralphilosophische Ansicht der Wolffschen Schule zuruckgefallen sei. Diese Studie versucht, den Hintergrund der Kantischen Behandlung des Begriffs der “Tugendpflicht” entwicklungsgeschichtlich zu rekonstruieren. Dabei wird der Hauptaugenmerk auf die Veranderung gelegt, die der Begriff “Tugend” in Kantischen moralphilosopischen Uberlegungen erlebt hat. Es wird auch analysiert wie die betreffenden Stellen sowohl in der Vorlesungsnachschrift Metaphysik der Sitten Vigilantius oder in den Vorarbeiten zur Tugendlehre als auch in den beiden Kompendien fur die Vorlesung, namlich Ethica philosophica und Initia philosophiae practicae primae von Baumgarten, zur Entstehung der Tugendlehre beigetragen haben. Es wird sich klaren, dass die Tugendlehre nicht nur als ein Verteidigungsversuch gegen die sogenannte Formalismuskritik, sondern auch als Versohnugsmoglichkeit zwischen der am Motiv orientierten Gesetzesethik und der eudamonistischen Tugendethik angesehen werden kann.

      • KCI등재후보

        칸트 철학 연구에서 체계성과 역사성

        김수배(Kim Soo-Bae) 대한철학회 2003 哲學硏究 Vol.86 No.-

        본 논문은 철학 연구에서 체계성과 역사성의 문제를 칸트 철학 연구의 발자 취를 통해 조명하고 있다. 이러한 과제는 우선 칸트 작품집 내지 전집의 편찬 방침과 관련하여 칸트 철학을 바라보는 체계적 관점과 역사적 관점 사이의 갈등의 사례들을 정리하는 데에서 출발한다(II). 그 이유는, 칸트 작품 편찬의 역사가 한편으로는 그의 철학 체계 전체를 조망하는 작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칸트 철학과 그 저서들의 발전 과정 내지는 성립 역사를 고려하는 작업과 결부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 동안 출판된 여러 칸트 전집들은, 이 두 작업들 중 어디에 중점을 두었는가에 따라서 서로 판이한 성격을 띠게 되었다. 다음(III)으로는 칸트 철학 연구의 역사를 체계성과 역사성이라는 관점에서 평가하면서 그 개별 시기들의 특징과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칸트 철학과의 대결을 시도한 모든 형태의 칸트주의는, 결국 칸트 철학에 대한 해석이 칸트 철학의 발전사나 문헌학 연구의 다양한 업적과 그 수준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그러한 칸트 철학 연구의 역사를 통해 드러난 체계성과 역사성의 관계를 요약해 보고, 또 기초 연구로서의 발전사적-문헌학적 연구의 의미를 짚어보고자 한다(IV).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구 동독의 철학 이해와 독일 통일 직후의 사상적 화합의 문제

        김수배(Kim Soo-Bae) 대한철학회 2004 哲學硏究 Vol.90 No.-

        독일 통일 이후 독일인, 특히 구 동독 지역 주민들의 정신적 삶의 영역과 관련하여 일어난 변화와 문제들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2차 대전의 종전 이후부터 재통일 이전까지의 동독 지역의 철학적 유산에 대한 적절한 평가 작업이 전제가 된다는 것이 본 논문의 출발점이다. 이 논문의 전반부는 먼저 기존의 자료를 바탕으로 구 동독 철학의 전개 과정을 정리하고, 재통일 이후 진행된 구동독의 공식 철학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철학적 의의에 관한 논의를 요약하고 평가한다. 논문의 후반부는 1989년 동독의 실질적인 붕괴 이후 같은 지역에서 가치관이나 세계관의 차이와 관련하여 발생한 몇몇 구체적인 문제 사례들로서, 철학 관련 제도의 구조 조정 및 과거 청산 작업을 둘러싼 논쟁, 유사 종교 단체들의 문제, 종교 교과목에 관한 법적 분쟁 등을 소개한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