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일대일로 참여국의 위협요인과 메카니즘: 중국 접경국가의 인프라 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김송죽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8 평화학연구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hreats and mechanisms participating nation in the OBOR project and to identify the gap between the basic principles and reality of One Belt And One Road. In 14 border countries of China, the 10 border countries are participating in the OBOR project and 6 economic corridors except India, Bhutan, Afghanistan and North Korea. The threats and issues of the border states of China as a recipient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on OBOR can be classified economically, politically, and socioculturally Economic threats are increasing liabilities, delivery of energy resources, unfair contracts, transfer of land leasing and operating rights due to repayment conditions or defaults, disadvantages due to China's business methods and mechanisms. Political threats are corruption of bureaucrats, venality, retaliatory measures, infringement of national sovereignty and territories, promotion of conflicts and military threats, and the preoccupation of geographical and strategic location. Socio-cultural threats are Increase in demonstrations against China due to application of China's technical standards, land leasing, illegal immigration of Chinese workers, and environmental problems. Xi Jinping Government was expressed offically about OBOR such as open cooperation, harmony and inclusion, market mechanism and mutual win-win, co-existence of co-prosperity and so on. However mechanism of the national corporation which is centered on 'the party' is contradictory to the Belt and Road's philosophy that China insists on. This means that chinese characteristic socialism in business process in a practical OBOR. 이 글의 목적은 일대일로에 참여한 중국의 접경국가가 받는 위협요인과 메카니즘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일대일로의 기본원칙과 실제 사이의 간극을 규명하는 것이다. 중국의 14개 접경국 중에서 일대일로의 6개 경제회랑에 참여한 국가는 인도, 부탄, 아프가니스탄, 북한을 제외한 10개국이다. 일대일로의 수용국이자 중국의 접경국이 받았던 위협요인과 쟁점을 경제적, 정치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분류하여 보면 아래와 같다. 경제적 위협요인은 부채증가, 에너지 자원 송출, 채무불이행 혹은 상환조건으로 토지 및 운영권 양도, 중국 특색의 일대일로 사업방식과 불공정 계약으로 인한 불이익이다. 정치적 위협요인은 현지 관료의 부정부패 및 금품매수, 보복조치, 국가주권 및 영토 침해, 갈등조장 및 군사위협과 견제, 지리적・전략적 요충지 선점이다. 사회문화적 위협요인은 중국의 기술표준 적용, 토지임대, 중국인 노동자의 불법이주, 환경문제, 토지보상 및 이주비용 문제 등의 이유로 반중시위가 증가이다. 이것은 시진핑 정부가 표명했던 개방적인 협력, 조화와 포용, 윈윈효과, 공생공영, 운명공동체, 평화와 번영 등의 일대일로 기본원칙은 실제 접경국가의 사례에서는 적용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낳게 된 주요한 원인은 ‘당’ 중심의 국가주식회사로 철저히 중국에게 이익이 돌아갈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부시정부 시기 석유자원이 해외주둔 미군 재배치(GPR)에 미치는 영향

        김송죽,최유나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4 아태연구 Vol.21 No.3

        This article has been analyzed the correlational relation between military capability and petroleum via examining the transition of GPR(Global Posture Review) after Cold War. Over the last five decades(1941-1991), America had been declared tremendously large number of military strategies. However, there had not existed distinguishable transition on GPR. It was til 1990s that the U.S. had not shown any movement on changing GPR. Arriving at mid-1990, America expanded its military bases into oil-producing areas, such as Middle East, Central Asia, and Africa. US military expenditure has also been hugely enlarged compared to Cold War era. This research has been clarified economic interests had driven GRP into the oil-producing areas. After the serial warfares after Cold War (1990 Gulf War, 2001 Afghanistan War, and 2003 Iraq War), US oil industry advanced into Caspian region, Libya-the former rogue, and Africa where US bases had been dispatched. Via looking at the mentioned cases, this article draw a following conclusion; at macro level, geoeconomic power of petroleum has driven the direction of diplomatic policy, whereas at micro level, individual profiles of the promoting group has given an impetus to the policy making process. Especially, during J.W.Bush administration, it had been plausibly apparent for the U.S. to attain its national interests utilizing GPR in order to sustain its hegemonic power. Oil has been treated as vital national interest for America who has been the first oil-importer and oil-consumer since 1980s. To obtain its goal, the U.S. has made use of hard power(economic and military power), ultimately for her to reign as a hegemonic state. 본 논문은 탈냉전시기 해외주둔 미군 재배치(GPR: Global Posture Review) 사례를 통하여 군사력과 석유자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미국은 냉전기 50년(1941-1991년) 동안 수많은 신군사전략을 발표해 왔지만 부대편성 및 배치에는 실질적인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탈냉전기인 1990년대 중반부터 군사변환과 동시에 GPR 계획을 발표하였고, 부시정부 시기에 이를 본격적으로 실행하였다. 그 결과, 미군기지는 정치군사적·전략적으로 산유국들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중동·중앙아시아·아프리카 지역으로 이동하는 커다란 변화를 가졌다. 구체적으로는 탈냉전시기 미국 주도하에 치러진 3차례의 전쟁과 BTC 송유관 건설, 리비아와의 국교정상화, 미-아프리카 사령부 창설 등의 사례를 통하여, 석유자원과 주요 외교정책결정그룹의 집단사고가 해외주둔 미군을 산유국이 밀집해 있는 지역으로 재배치시켰다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외교정책결정과정에서 석유자원의 지경학적 힘과 정책결정자의 집단사고이론이 적용됨을 분석하였다. 석유라는 경제적 이익이 거시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주요 정책결정자들의 개인적 배경과 성향이 미시적 요인으로 작동하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미국의 군사력 동원 및 강화를 가져왔다.

      • KCI등재후보

        신냉전 시대 북한 미사일 위협과 배경: 지정학 관점에서 본 2019년 북한 미사일 도발 사례 중심으로

        김송죽 한국평화종교학회 2019 평화와 종교 Vol.0 No.8

        This paper reveals the changing security geograph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from a geopolitical perspective by analyzing North Korean missile threats and backgrounds in 2019 the New Cold War era. As a result, the North’s denuclearization drive and peace mood on the Korean Peninsula ended, including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three inter-Korean summits, two U.S.-North Korea summits and 9.19 inter-Korean military agreement that it had pursued since last year.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missiles that have been provoked this time are the diversification and majority of weapons types, increased the number and shortened cycle of launches, enhanced performance and technology, and also the diversified launch sites throughout North Korea. First, the North Korean version of the Iskander(KN-23) has a range of more than 600 kilometers and is capable of striking throughout South Korea and parts of U.S. Army Bases in Japan. It can also evade the South Korea-U.S. missile defense with low-altitude flights. Second, the North Korean version of the ATACMS(Multiple Launched Rocket) has a range of more than 400 kilometers and can strike all parts of the South except Jeju Island. Its features can be scattered with hundreds of bomblet units to devastate large areas. Third, the the Multiple Rocket Launcher is more than 250 kilometers long and can accurately strike the U.S. army base in Pyeongtaek, Cheongju air base, and the THAAD base in Seongju. Its characteristic is six-shot series and has great destructive power with GPS Induction Functions. Fourth, the Multiple Rocket Launcher has a range of more than 400 kilometers and can hit the South Korean. In addition, Nuclear loading and two consecutive shots are possible. Fifth, the SLBM is a strategic-grade weapon equipped with a submarine that can carry multiple missiles and strike while standing in the sea for a long time, and can also strike the U.S. mainland. 13 provoked North Korean missile threats are ① an act of “military provocation” rather than a “military exercise” in violation of the UN resolution. ② There is a certain pattern in North Korea’s missile provocations, and the level of the North’s verbal abuse is increasing. ③ North Korea was not willing to denuclearize from the first place. ④ Our military currently does not have a weapons system capable of responding to North Korea’s new missiles. The reason behind the sudden shift from a declaration of denuclearization and a peace mood on the Korean Peninsula to the threat of missiles again is that first, a armed demonstration against the United States to demand for lifting economic sanctions on North Korea. Second, it is regime guarantee politically. Third, it is a “time-consuming” operation to complete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technologically. Fourth, it is a threat to the South and the U.S. psychologically.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switch to the hard policy toward North Korea. In other words, it’s necessary to suspend and review the appease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deploy tactical nuclear weapons to enhance defense security rather than peace, share nuclear weapons with the United States, convert to its own nuclear armed forces, switch to the blood alliance system of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and take over North Korea under U.S., U.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본 논문은 지정학적 관점에서 신냉전 시대 2019년 북한 미사일 위협과 배경을 분석함으로써, 한반도 및 동북아의 안보지형 변화를 밝힌 글이다. 북한은 올해 13차례 미사일 도발을 감행했다. 그 결과, 지난해부터 추진해 왔던 2018 평창 동계올림픽, 3차례 남북정상회담, 2차례 미북정상회담, 9.19 남북군사합의 등 북한의 비핵화 추진과 한반도의 평화 분위기는 종식되었다. 이번에 도발한 북한 미사일의 특징은 무기 종류의 다양화·다수화, 발사의 횟수증가 및 주기단축, 성능 및 기술의 고도화, 발사장소도 북한 전역으로 다양해졌다. 첫째,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는 사거리 600km이상으로, 남한 전역 및 주일미군기지 일부를 타격할 수 있으며 저고도 비행으로 한미 미사일 방어를 회피할 수 있다. 둘째, 북한판 에이태킴스(자탄형 로켓)는 400km이상으로, 제주도를 제외한 남한 전역을 타격할 수 있으며 자탄 수 백개 흩뿌려 넓은 지역을 초토화할 수 있다. 셋째,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는 250km이상으로, 평택 미군기지·청주 공군기지·성주 사드기지 등을 정밀 타격할 수 있으며 6발 연속사격 및 GPS 유도기능이 있어 파괴력이 크다. 넷째, 초대형방사포(KN-25)는 400km이상으로, 남한 적역을 타격할 수 있으며 핵탑재와 2발 연속사격이 가능하다. 다섯째, SLBM은 미사일을 여러 발 싣고 장기간 바닷속에 대기하다 공격할 수 있는 잠수함을 갖춘 전략급 무기로, 미국 본토도 타격할 수 있다. 13차례 도발한 북한 미사일 위협이 시사하는 바는 ① 유엔(UN) 결의를 위반으로 ‘군사훈련’이 아닌 ‘군사도발’ 행위에 해당한다는 점, ② 북한 미사일 도발에는 일정한 패턴이 존재하며 북한의 막말 수위가 높아진다는 점, ③ 북한은 애초부터 비핵화를 할 의지가 없었다는 점, ④ 우리 군은 현재 북한의 신형 미사일에 대응할 수 있는 무기체계가 없다는 점이다. 북한이 비핵화 선언과 한반도의 평화무드에서 다시 미사일의 위협으로 급선회한 배경은 첫째, 경제적으로 대북제재 해제를 요구하기 위한 미국에 대한 무력시위다. 둘째, 정치적으로 체제보장이다. 셋째, 과학기술적으로 핵미사일 완성을 위한 ‘시간끌기’ 작전이다. 넷째, 심리적으로 대남·대미 협박이다. 따라서 우리정부는 대북유화정책 중단 및 재검토, 평화보다는 국방안보를 강화할 수 있는 전술핵 배치 및 미국과의 핵공유, 자체 핵무장으로의 전환, 한미일 혈맹체제로 전환, 미국을 비롯한 UN, 국제사회의 공조 아래 북한 접수 등 대북강경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 KCI등재

        시진핑 시기 중국 인공지능의 현황과 전략

        김송죽,유호근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2 국제정치연구 Vol.25 No.1

        이 글은 중국이 세계 1위의 인공지능(AI) 강국을 추구하는 입장에서, 인공지능의 현황과 국가전략을 분석하였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정치의 권력변환을 일으키는 가장 큰 변수가 되고 있다. 인공지능을 누가 어떻게 지배할 것이며, 새로운 거버넌스의 주역은 누가 될 것인가? 이것이 주요한 이슈인데, 신냉전 시대를 맞이하여 현재 중국은 미국과 함께 양강구도를 이루는 AI 강국이다. 최근 중국 인공지능이 미국을앞지를 만큼 기술의 빠른 추격과 비약적 산업발전을 이룰 수 있는 점에는 세 가지 요인이 작용했다. 즉, ① 기술적으로 막대한 빅데이터의 활용 가능, ② 14억의 인구로 세계 최대의 내수시장 형성, ③ 시진핑 정부의 인공지능 전략 및 정책에 대한 강력한 지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2017년 7월 국무원이 발표한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계획> 정책은 산업규모 확대 계획과더불어 6가지 중점 국가전략인 ① 최첨단・고효율의 스마트 경제 육성, ② 개방 협력 중심의인공지능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③ 차세대 인공지능 과학기술프로그램 시행, ④ 안전하고편리한 스마트 사회 건설, ⑤ 안전하고 효율적인 스마트 인프라 체계 구축, ⑥ 군민 협력 메커니즘의 통・융합 패러다임 강화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시진핑 정부는 인공지능을 통해서새로운 성장 및 발전의 추진동력 확보, 인민 삶의 질 개선 수단, 국가안보 강화, 이 세 가지목표를 달성하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중국은 인공지능을 경제・안보・사회 등 국가전반에 대한변혁의 동력으로 전략화하였다. 중국 인공지능의 기술개발은 향후 시진핑 체제 및 중국공산당 일당의 정권 유지와 미국과 중국 중심의 신(新)국제질서의 재편 과정에서 패권을 장악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핵심적 수단이자 다변화한 전략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중국의 인공지능은 법적으로 선(先)허용 후(後)규제의 방식을 택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인간중심의 인공지능 보다는 통제와 감시 중심의 인공지능이 활용되고 있는 특징을 보였다.

      • KCI등재

        21세기 중국 동북지역 고속철도 건설의 특징과 국가전략: 도시간-지방간-국가간 사회경제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김송죽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2 평화학연구 Vol.23 No.1

        이 글은 중국 동북지역의 고속철도 건설을 사례로, 시진핑 정부의 국가전략과 철도건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전략적 함의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중국은 2004년까지 1cm의 고속철도도 없었다. 그러나 현재 세계 고속철도 총 운행거리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면서 세계 1위가 되었다. 중국철도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룬 것은 10년 정도도 채 되지 않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철도강국으로 부상했다. 지난해 시진핑 정부는 증가하는 철도 부채에도 불구하고, 17개의 국가급 철도사업 중에서 10개를 동북지역에 산정했다. 중국 동북지역은 2004·2008·2016년 중장기철도망계획을 기반으로, 2020년까지 14개의 고속철도(랴오닝성 6개, 지린성 2개, 헤이룽장성 6개)를 건설했고, 올해부터 2025년까지 10개의 고속철도를 건설할 예정이다. 동북3성은 하얼빈을 중심으로 종축인 하얼빈-대련과 횡축 치치하얼-하얼빈-무단장까지 T자형으로 이미 350km/h의 고속철도가 놓여있다. 국제고속철도도 5개가 운행중이다. 이 철도들은 동북3성의 도시와 도시, 지방과 지방, 그리고 국가와 국가를 연결시키고 사회경제적, 정치외교적 네트워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있다. 연구결과, 시진핑 정부가 동북지역에 고속철도 건설하는 이유는 ①중국의 지정학적 팽창전략의 일환으로 유라시아 전략적 교두보를 구축 ②자원과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확보 ③해외시장을 개척하여 국내성장 둔화 해소 ④지역균형발전 및 도농 간 지역 간의 안정 도모를 위해서였다

      • KCI등재후보

        지경학 관점에서 본 ‘동아시아철도공동체’ 구상과 현실: 남북철도 및 북한철도 건설의 경제적 손익 중심으로

        김송죽 한국평화종교학회 2018 평화와 종교 Vol.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lization of Northeast Asian Railway Community Initiative announced by president Moon Jae-in from the view of geoeconomics, as a case study of the railways project linking North and South Korea. The significance of the construction of South-North rail and North Korea’s rail modernization is the restoration of space about Korean Peninsula railway in Northeast Asia that has been severed in the past, the contribution of peace settlement in Northeast Asia, the rise of Two Korea as a hub of logistics in Northeast Asia, and the formation of departure and arrival station for international railway networks based on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conomic interests and impact about construc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railway and North Korea railway exist as follows: to increase of trade volume of human and logistics; to have regional development and economic integration effect due to construction of hinterland around railway stations ; to minimize the transport costs about distance and time via multimodal transport with using railways and shipbuilding ; to emerge the center of logistics based on the nor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Northeast Asia including 120 million people in the border region, the huge consumption market, natural resources something like natural gas, mineral, crude oil etc. However, from aspect of geo-economics, railway construction may actually be damaging to gain the economic interests of our government. This is because it is not a direct return on railway construction but a synergistic effect based on uncertain speculation and anticipation. The bigger problem is “Who will pay for this construction?” and “Who do you build for?” If the agreement is ratified, the construction cost will be covered by the national tax. However, railway construction is not economically efficient compared to investing at great cost. The reasons for low economic efficiency are as follows; ① First, the problem is to share the initial construction cost. ② Second, the competitiveness of railway is higher in the logistics transportation than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and the utilization rate of railway is higher in countries with large land area such as China, Russia and Kazakhstan than in smaller ones. ③ Third, it has physical and functional obstacles of transnational railway such as Increase in gauge, change of locomotive and freight, change of electric power, communication, voltage and signaling system. ④ Fourth, Railways that are public goods are not capital goods that guarantee profitability like port and air. ⑤ Fifth, As can be seen from past experiences such as Expensive labor costs of North Korean, corruption and default failure ⑥ Sixth, North Korea's volatile and one-sided attitude will face many difficulties when the actual business progresses. ⑦Seventh, The construction of North-South Korea Railway has a problem of sharing the cost of relocating North Korean military units stationed in the DMZ area. ⑧Eighth, Korea should build a new railway line because of the bottleneck of Seoul Station. In conclusion,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for the East Asian Railway Community Initiative proposed by Moon Jae-in's government is very low. and the economic efficiency is very low compared to the investment in the railways project linking North and South Korea. 한반도의 남북철도는 일제강점기에는 수탈의 상징이었고 1950년 한국전쟁이후 이데올로기와 민족분단의 상징이었다. 그렇다면 오늘날 남북철도 연결은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의 상징이 될 수 있을까? 이 글의 목적은 지경학적 관점에서 문재인 정부의 동아시아철도공동체 구상과 실현 여부를 북한철도의 건설 사례로 검토한 것이다. 연구결과, 남북철도 및 북한철도 건설의 경제적 효과와 이익으로는 인적・물류의 교역량 증대로 얻는 경제적 이익, 철도역의 배후지 건설로 인한 지역개발과 경제통합 효과, 철도-선박 복합운송으로 인한 운송시간・운송거리의 단축, 접경의 1억2천만 명의 인구력과 거대한 소비시장, 풍부한 천연자원 등의 동북아 물류의 중심지로서 한반도 북방지역 부상으로 집약될 수 있다. 그러나 지경학적 측면에서 철도건설의 경제적 이익은 직접적 수익이 아니라 불투명한 추측을 포함한 시너지 효과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손실의 가능성이 더 크다. 남북 및 북한 철도건설의 주요문제는 ‘누가 이 건설비용을 지불할 것인가’이며 ‘누구를 위해서 건설하는가’이다. 이것을 비준하게 되면 국민세금으로 건설비를 부담하게 될 공산이 큰데, 수조원에 달하는 비용 지불과 투자에 비해 경제성이 매우 낮다는 것을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즉, 초기 건설비용의 분담 문제, 철도의 경쟁력은 여객운송보다는 물류운송에서, 국토면적이 작은 우리나라보다는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과 같이 국토면적이 넓은 국가에서 활용도가 높다는 점, 운송비와 운송량 측면에서 철도보다 선박이 절대적 경제우위를 차지한다는 점, 다국가를 경유할 때마다 궤간 변경, 기관차 및 화차 변경, 전력・통신・전압・신호체계의 변경 등 국제철도의 물리적・기능적 장애요인에 따른 추가비용이 발생한다는 점, 공공재 성격을 가지는 철도는 항만과 항공처럼 수익성을 담보하는 자본재가 아니라는 점, 북한의 변덕스럽고 일방적인 태도로 실제 사업 전개시 많은 난관에 부딪힐 것이라는 점, DMZ 접경지대에 주둔한 북한 군부대 이전의 비용 분담의 문제가 있다는 점, 서울역의 병목현상으로 인한 새로운 철도노선 건설과 그 비용의 문제 등으로 공사비 대비 경제적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지경학적 측면에서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동아시아철도공동체 구상의 실현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는 결론이다. 이것은 철도건설의 가장 근본적인 경제적 요인만 분석한 것이지, 여기에 급박하게 전개되고 있는 국내외 정치외교, 군사안보, 사회문화적 변인들을 추가하면 그 가능성은 더욱 희박하다. 따라서 우리정부는 남북철도 연결공사 중단 및 재검토, 철도 보다는 수익성이 있는 북한항만 및 해운 투자로의 전환, 미국을 비롯한 UN, 국제사회의 공조 아래 GTI처럼 다자간 협력개발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중국 동북지역 고속도로망 확충의 특징과 국가전략 : 도시간-성(省)간-국가간 사회경제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김송죽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4 중앙사론 Vol.0 No.40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national strategy of highway construction in Northeast China. Based on 2003 China's Northeast Project, and 2005 National Highway Network Plan, Northeast China(Liaoning·Jilin·Heilongjian provinces & Inner Mongolian Antonomous Region) has been extended 21 highways planning to complete til 2020. As a result of spatial analysis of ‘point-line-facet network’, it has been carried out the following features of national strategy. First, at city(municipal) level the role of 20 intersectional cities has been magnified. Second, all intersectional cities except Shuangliao(small sized city) are categorized as medium-sized cities, which allow the designated areas to be developed into future metropolitan for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ird, capital city of the 3 Northeast Provinces of China (named Shenyang, Changchun, Harbin), has been played a pivot role in transportation throughout history, which conforms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local areas. Fourth, the infrastructure development of Northeast area of China in the intersectional cities has been made a strategic pair with Shenyang special economic zone, Tumen River Area Development Plan & Changchun-Jilin-Tumen, Harbin-Daqing-Qiqihaer Industrial zone etc. Futhermore at province(local) level highway construction has been focused in Jilin province and Inner Mongolian Antonomous Region, which aims to disperse and balance the previously concentrated economic activities in Liaoning province. Also, the intersectional cities are exposed not only to the infrastructure plan, but also to the local balance development plan. Moreover, the highway construction has reinforced the relation between the central and the local, prompting the economic efficiency and development in national resource industry in Northeast Area. At national level, the 9 highways are expected to perform as a core of traffic route in Northeast Asia and Eurasia, along with the three bordering states, North Korea, Russia, and Mongolia. As the seven bordering cities of Northeast China have been under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GTI: Greater Tumen Initiative Hunchun special economic zone), they has been acting as a economic port for international trading, which will facilitated the national resource transportation from the bordering states. Last but not least, 5 highways has been constructed in bordering area with North Korea although it possesses the shortest dimension of margins, which aims to promote socio-political stability of Ethnic minority groups like Yenbian Chaoxianzhu Antonomous Region, and extend its influence on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th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n Northeast area has been implicating not only the physical transportation plan, but also grand national strategy of central government based on geographical reckoning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Hence it will secure the future developmental motivation, facilitate the stability between industry and agriculture, and lay out new international order of Northeast Asia and Eurasia.

      • KCI등재

        중국-러시아 송유관 건설의 정치적 동학

        김송죽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지역과 세계 Vol.38 No.1

        This study analyzes how the Sino-Russia oil pipeline construction in 2011 has been created under the multidimensional strategic structures with regard to the interests of elites, states, geopolitics, and its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system. This structure manifests several objectives such as the domestic and foreign pursuits of interests as well as energy security protection. Thus, I argue that the extensive transnational oil pipeline construction of China has its own characteristics and goals which render profound implications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 general, I argue the fact that China has been playing active role in the construction of oil pipelines across countries is due not only to obtaining its economic interests but also to pursuing its political considerations directly related to its national security. That is, there exist apparent economic reasons for China to build the Sino-Russia oil pipeline: to secure oil supplies; to minimize transport costs via geographical benefits; to revitalize the economy on the border; and to promote investment from Chinese companies, and so forth. However, multidimensional political considerations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in addition to the pursuit of economic interests. In this perspective, I identify four dimensions of political considerations a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① individual, Chinese elites; aim to maintain diplomatic achievements 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political legitimacy; ② the state, or Chinese regime, aims to settle borderline disputes and prevent the outbreak of independent movement from ethnic minorities; ③ regionally, China aims to attain the leadership position in Asia and cope with ‘pivot to Asia’ goal of the United States; and ④ internationally, China devises a means to enhance the national image by establishing bi- and multi- organizations for the peaceful energy cooperation. In sum,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Chinese oil pipeline construction as a concentration of an economic activity as well as a political and diplomatic activity that immediately connects to its national interest. H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ssue of energy security should now be classified as traditional security, or high politics, which typically regarded as an issue of non-traditional security, or low politics. 본 연구는 석유수입국인 중국 입장에서, 중국-러시아 송유관 건설이 개인, 국가, 지역, 국제의 다각적 차원에서 에너지 안보 이외에 대내외적으로 어떠한 정치적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지를 밝혔다. 또한 이를 통해 중국의 국제송유관 건설이 갖는 성격과 그 의미, 나아가 국제정치적 함의를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중국이 최근 강력한 의지를 갖고 추진하는 국제송유관 건설은 단순히 석유자원 확보, 지리적 이점을 이용한 운송비용 절감, 접경지역의 무역·경제 활성화, 중국기업의 투자 증대 등 경제적 이익 뿐만은 아니었다. 그 이면에는 정치적 이익 즉, 개인 차원에서 정치엘리트의 외교업적과 정치적 정당성 확보, 국가 차원에서의 군사협력 강화와 국경분쟁 예방, 국내 소수민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지역 차원에서 중국의 정치외교 주도권 확대, 일본과 미국의 세력 확장에 대한 대응과 예방, 국제 차원에서 다자·양자기구 등과 같은 협의체 형성을 통한 국가이미지 제고 등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중국정부의 대내외적 정치외교적 실리를 추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국경을 넘나드는 국제송유관 건설은 경제적인 행위이자 동시에 정치·외교적인 행위의 집결체로 국가이익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실체임을 설명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비전통 안보와 하위정치로 분류되었던 에너지 문제가 어떻게 전통안보와 상위정치로 전환되고 있는지를 시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