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하곡 정제두의 생태의식

        김세정 ( Sea Jeong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4 儒學硏究 Vol.31 No.-

        본 논문에서는 서구 환경윤리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한국양명학자 霞谷 鄭齊斗(1649~1736)의 철학사상에 내재한 유기체론적 요소와 생태론적 특성들을 찾아내어 재구성하면서, 정제두의 생태의식이 지닌 현대적 의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인간중심적 환경윤리와 개체 중심적 환경윤리는 물론 이들의 한계와 폐단을 극복하고자 제안된 생태중심주의 또한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그 이유는 서양의 이원론과 이분법적 사고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서양에서는 인간과 자연, 자연과 문화, 동물과 식물, 이성과 감성 또는 이성과 영성, 남성과 여성을 둘로 나누고, 이 둘의 관계를 우열의 관계로 보기도 하고 대립과 갈등의 관계로 보기도 한다. 그리고 어느 한쪽의 손을 들어주면서 다른 한쪽은 그 아래 귀속시켜 버린다. 예컨대 인간에게만 내재적 가치를 부여하는 인간중심주의가 인간의 행복을 위해 자연을 파괴하는 문제를 야기한 반면, 심층 생태주의 또한 자연생태계에만 내재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부정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정제두는 天과 사람이 一元이며 천지만물과 사람이 一體임을 주장한다. 그리고 天地는 끊임없이 萬物을 생생하게 化育하는 功能을 지닌 것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정제두에게 있어 우주는 초월적 신에 의한 창조물도 아니고 그렇다고 기계적인 법칙에 의해 작동하는 생명이 없는 자동 기계도 아닌, 본원적인 무한한 생명력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스스로 자기조직해나가는 하나의 유기적인 생명체이다. 자연은 인간중심주의에서와 같이인간 욕망 충족을 위한 하나의 도구나 수단이 아닌 그 자체가 소중한 본원적 가치를 지닌생명체이다. 인간은 자신의 생명 본질을 天의 생명 본질에 근원 하는 바, 天과 人은 一元이며 一體이다. 우주자연의 生生不息하는 생명 본질이 곧 인간의 생명본질로써, 인간은 천지만물과 감응하면서 하나 된 삶을 살아 갈 수 있다. 그래서 정제두의 ‘天地萬物一體論’과 ‘天人一元論’은 기계론적 세계관과 인간중심주의의 폐단을 극복해 나가는 데 있어시사하는 바가 크다. 인간에게 있어 자연은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도 아니고 그렇다고 정복과 지배의 대상도 아니라, 내 생명의 근원이자 함께 더불어 살아가야 할 삶의 동반자이다. 정제두는 비록 인간과 자연만물이 一體이고 모두 동일한 生氣를 지니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인간과 자연만물이 동일하다고 보지는 않는다. 타고난 氣稟과 性稟의 차이로 말미암아 인간과 자연만물은 차별성을 지니게 된다. 막힘없는 性情을 소유한 인간만이 仁義禮智의 도덕성과 聖知通明의 우수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차등은 서구 인간중심주에서와 같이 인간 우월성의 근거로서 인간에게 자연을 정복.지배할 수 있는 정당한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차등은 인간에게 자연만물을 사랑으로 보살피고 치유하고 양육해야 할 막중한 사명과 책임을 부여한다. 정제두는 인간의 마음을 天地의 靈, 즉 感應의 주체로 규정한다. 인간의 마음만이 生氣의 精爽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 때문에 인간만이 靈明함을 지니게 된다는 것이다. 이 靈明함은 인간이 洞徹할 수 있는 근거로서 다른 존재물에 대해 黜拓惻隱해 하는 마음으로 드러나게 된다. 그리고 영명한 人心은 創出性과 隨時變易性이라는 속성을 지닌다. 이러한 마음의 영명함이 있기에 인간은 만물과 감응하면서 이들의 아픔을 치유하고 보살피고 양육해나갈 수 있다. 즉 인간이 우주자연의 다른 구성원에 대한 사랑과 자애로움과 보살핌을 통해 그들을 건강하게 양육함으로써 전체생명은 물론 자신의 개체생명도 건강하게 유지해나갈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분명히 심층 생태주의와 다를 뿐만 아니라 심층 생태주의가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인간은 자연만물과 다른 우수성을 지니고 있지만, 그 우수성은 자연만물을 치유하고 보살피고 잘 양육해야 하는 인간의 천부적 사명으로 귀결되기에, 인간의 존재 가치와 위상을 지키면서도 자연만물과 하나 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In this paper the author wants to observe the problems of Western environmental ethics, then discover and reconstruct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rganicist elements inherent in the thought of Hagok Jeong Je Du (霞谷鄭齊斗, 1649~1736) - the Korean scholar of Yangming school, and from that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his ecological consciousness in the modern era. The anthropocentric environmental ethics and the individual-oriented environmental ethics, and also the eco-centrism which was proposed to resolve shortcomings of the two former, have a lot of problems. It can be seen that those problems originated from the Western tradition of dualism and dichotomous way of thinking. In the Western tradition, things are always divided into two opposite parts: human and nature, nature and culture, animal and plant, rationality and sensibility or rationality and divinity, male and female, etc.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parts is considered unequal, opposite and competitive. If we take one side, then the other must be lowered into the dependent position. For instance, the anthropocentrism which puts the high values only on human has brought about many serious problems of nature for the sake of human, whereas the deep ecology which emphasizes only the intrinsic values of the natural ecosystem has caused various problems while refusing the dignity of human. Jeong Je Du thinks that the Heaven (天) and human emerge from the same spring (一 元), and all things in the world and human are one body (一體). In addition, he defines that the Heaven and the Earth (天地) have the ability (功能) to vividly create and raise (化育) all things unceasingly. Thus in his view the universe is not a creature made by acertain divine god, or a machine without vitality activated by a certain mechanical principle, but an unceasingly self-structuring systematic organism which is relied on the originally limitless vitality. Different from the viewpoint of the anthropocentrism according to which the nature is seen as a certain instrument or machine serves to satisfy the desires of human, the nature is in reality the organism which has its own original precious values. From the point that the substance of life of human emerges from the substance of life of the Heaven, the Heaven and the human can be seen as having the same origin (一元) and becoming a one and only body (一體). The substance of life of the universe and nature which is unceasingly vivid (生生不息) is the very substance of life of human, thus human can live a life in the mutual interaction and harmony with the nature. Therefore Jeong Je Du’s theories according to which ‘the Heaven and the Earth as well as all things in world are the one and only body (天地萬物一體論)’ and ‘the Heaven and the human emerge from one source (天人一元論)’ have many aspects which can resolve the negative effects of the mechanical world view as well as the anthropocentrism. To human, nature is not something fearsome or an object of the subjugation and domination, but a source of human life and a companion with which human must live together. Though Jeong Je Du thinks that human and all things in nature are one body and everything has the equal vitality (生氣), he does not regard human and other things in nature as the identical ones. By reas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nate energy (氣稟) and the innate nature (性稟), there are plenty of distinctions between human and other things in the world. Only human whose nature and sensibility (性情) are not blocked has virtues of humanness, righteousness, propriety and knowledge (仁義禮智), and outstanding characteristic of intelligence (聖知通明). However this discrimination does not mean that human has rights to conquer and dominate the nature based on his superiority, as the Western anthropocentrism thinks. In contrary, this discrimination means that human has the mission and responsibility to take care of and cure the nature and help it develop. Jeong Je Du defines the human heart (mind) as the holiness (靈) of the world or the subject with ability to interact with others. Only human heart is considered thequintessence (精爽) of the vital energy (生氣), therefore only human is regarded as thecreature of perspicacity (靈明). This perspicacity, based on human ability to interact with others, manifests itself as the heart anxious and sympathetic about others. And the perspicacious heart of human also has the attributes of creativity (創出性), flexibility and changeability (隨時變易性). With this heart, human can interact with all other things in the world, look after and cure their sufferings, and help them to develop. That means human, through the love and benevolence and anxiety about other members of the universe, can strongly uphold and develop the life of the entire world as well as of each being thing. From this aspect, it can be seen that Jeong Je Du’s idea is different from the deep ecology and furthermore shows the possibility for resolving some basic problems of that theory. Though human has the superiority over others in the world, this superiority is regarded as the innate responsibility of him to cure, look after and bring up all the being things, and thus offers him the opportunity to maintain the value and position of his existence, and live in harmony with other things in the world.

      • KCI등재

        한국근대양명학에 관한 연구 현황과 전망

        김세정 ( Kim Sea-je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2 No.-

        이 논문의 목적은 2016년까지 지난 60여년간 진행된 한국의 근대양명학에 관한 연구성과들을 수집·정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근대양명학 연구의 과제와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한국 근대의 대표적인 양명학자로는 이건창(李建昌: 1852-1898), 박은식(朴殷植: 1859-1925), 정인보(鄭寅普: 1892-미상)를 들 수 있다. 먼저 지난 60년간 진행된 이들에 대한 연구성과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건창에 관한 연구성과물을 분석해 보면, 1987년 『李建昌全集』이 간행되고, 『黨議通略』번역본 7종이 있다. 이희목의 저서 『이건창 문학연구』(2005)와 박사논문, 그리고 석사논문 8편과 연구논문 25편이 이건창의 문학에 관한 연구물이다. 문학 분야를 제외한 철학이나 역사학 분야의 연구물은 송석준의 「寧齋 李建昌의 心學思想」을 비롯 수편의 연구논문에 불과하다. 최근 문학 작품에 대한 사상적 근거로서의 이건창의 심학사상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이건창의 역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점은 고무적이다. 박은식에 관한 연구가 양적으로 가장 많고 질적으로도 가장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1975년 『朴殷植全書』가 간행되고, 주해작업을 거친 『왕양명실기』(2010)와 『왕양명선생실기』(2011)가 출간되었다. 『韓國通史』번역본 7종을 비롯하여 총 15종의 번역서가 있으며, 신용하의 『朴殷植의 社會思想硏究』를 비롯한 저서 7종이 있다. 9편의 박사논문, 54편의 석사논문, 165편의 연구논문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으로 고르게 연구 성과가 나왔다. 또한 어느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역사학, 철학, 정치학, 교육학, 문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루어졌다. 최근 근대 시기 동일한 양명학에 바탕을 두면서도 중국이나 일본의 양명학과는 다른 박은식만의 독창적 양명학의 특징을 밝혀내려고 하는 연구 성과들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평가된다. 정인보에 관한 연구물은 박은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문집의 경우에는 『?園國學散藁』(1955)와 『?園鄭寅普全集』(1983)과 『陽明學演論』(1972)이 간행되었다. 단행본의 경우에는 김삼웅의 『위당 정인보 평전』단 한 권뿐이다. 번역서는 『?園文錄』(2006)과 『조선사연구』(2013)가 있다. 정인보의 양명학 전모를 심도 있게 조명할 수 있는 단행본과 박사논문이 빈약하다. 초반에는 문학과 역사학 분야에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철학분야에서도 정인보 연구자들이 늘어나면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정인보의 양명학이 민족주의적 입장에서만 다루어져 오다가 최근에는 일본의 근대양명학이나 중국의 근대양명학과의 비교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 또 하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근대양명학 연구와 관련하여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 한국양명학자들에 대한 철학 분야의 연구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박은식과 정인보의 경우 근대 중국과 일본의 양명학과의 영향 관계와 차이점을 명확하게 밝힐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근대양명학의 현대적 만남과 현대적 문제 해결 가능성을 모색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llect, arrange and analyze achievements in research on Early modern Yangming studies carried out in the last 60 years, and based on that seek problems as well as prospects of the research on the Early modern Yangming studies in Korea. Some typical scholars of Early modern Korean Yangming studies are Lee Geon Chang (李建昌, 1852~1898), Park Eun Sik (朴殷植, 1859~1925) and Jeong In Bo (鄭 寅普, 1892~?), etc. At first, the achievements in research on their thoughts in the last 60 years can be seen in the following table. About the results of research on Lee Geon Chang, “Lee Geon Chang Completed works” (李建昌全集) are published in 1987, and the translation of “General discussion on political factions” (黨議通略) comes to 7 volumes. In addition, there are many research results concerning Lee Geon Chang’s literary career such as the book “Research on Lee Geon Chang’s literary career” by Lee Hee Mok (2005), 8 PhD. and Master’s theses, and 25 research papers. However, in philosophical or historical field, there are only some research papers such as “The study of mind of Yeong-jae Lee Geon Chang” by Song Seok Jun. Research on the study of mind of Lee Geon Chang based on the thoughts expressed in his literary works, along with the research indicating historical significances of his thoughts, can be seen as encouraging tendencies. It is obvious that the research on Park Eun Sik occupies the largest quantity and is the most profound in quality. After the publ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Park Eun Sik completed works” (1975), “Authentic records of Wang Yangming” (2010) and “Authentic records of Master Wang Yangming (interpreted in Korean language)” (2011) are published. There are 15 translation works including 7 volumes of the translation of “A bitter history of Korea”, and there are also 7 books including Shin Yong Ha’s “Research on social thought of Park Eun Sik”. With 9 PhD. theses, 54 Master’s theses and 165 research papers until now, it can be said that the research is carried out generally and impartially. And the research is not limited in any field but covers various ones such as history, philosophy, political thought, pedagogy, sociology etc. As we can see in recent papers of Park Jeong Shim, Kim Hyeon Woo, Lee Hye Gyeong etc, the meaningful point that those papers clarify is that although relying on the Early modern Yangming studies in general, Park Eun Sik’s thought has creative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Chinese or Japanese Yangming studies. The research results concerning Jeong In Bo is actually insufficient in comparison with ones of Park Eun Sik. For instance, about his works, there are only “Dam-won’s manuscripts in national language” (?園國學散藁) (1955), “Dam-won Jeong In Bo completed works” (?園鄭寅普全集) (1983), and “Interpretations on Yangming studies” (陽明學演論) (1972) that are published. About the publication, there is only “Critical biography of Wi-dang Jeong In Bo: spirit of Jo-seon”, a book by Kim Sam Woong. About the translations, there are “Writings and records of Dam-won” (2006) and “Research on Jo-seon history” (2013). And there is still lack of works and PhD theses which clarify profoundly the entire image of the Yangming studies of Jeong In Bo. However, number of researchers on Jeong In Bo, focussing on literature and history in the early stage and philosophy recently, increases considerably. Moreover, if the Yangming studies of Jeong In Bo have been previously considered based on the democratic stance only, the recent research is also extended to the comparison with the Early modern Yangming studies in Japan or China, and it can be seen as a new characteristic in the research on Jeong In Bo’s thoughts. About the problems concerning the research on the Early modern Korean Yangming studies, it can be said as follows. Firstl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philosophy of the thinkers of Early modern Korean Yangming studie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influences of and differences from Chinese and Japanese Yangming studies in Park Eun Sik and Jeong In Bo’s thoughts. Thirdly, it is necessary to seek for the possibility for interacting with the modern times and resolving modern problems of the Early modern Korean Yangming studies.

      • KCI등재

        『의산문답』에 나타난 홍대용의 공생의 생태주의

        김세정 ( Sea Jeong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5 No.-

        우리는 인류에게 물질적 풍요로움을 선사한 반면 인간과 자연을 공멸로 몰아가고 있는 자본주의 문명에서 인간과 자연이 공생하는 생태문명으로 전환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생태문명으로의 전환기에 있어 실학자 홍대용의 인물균(人物均)과 역외춘추론(域外春秋論)에 함축된 생태학적 평등주의와 공생의 원리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의산문답(醫山問答)』에 나타난 홍대용의 생태의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인간이 동식물보다 우수하다고 주장하는 유자들의 인간우월주의적 사고에 대한 비판이다. 인간의 입장이 아닌 본원적이고 보편적인 하늘의 입장에서 바라보면 인간과 자연물이 귀천이 없이 모두 균등(人物均)하다는 것이다. 둘째, 인간과 자연물의 균등의 근거는 ‘기(氣)일원론’과 지구는 기로 구성된 살아 숨 쉬는 유기체적 존재라는 ‘지활물(地活物)설’에서 찾을 수 있다. 기에는 귀천의 차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로 구성된 존재물 사이에는 귀천의 차등이 존재하지 않고 평등하다. 셋째, 문명에 대한 비판적 태도이다. 중고(中古)시대에 이르러 인간의 욕망이 증대되면서 자연에 대한 본격적인 과도한 착취가 진행되어 자연생태계가 파괴되고 조화와 공생의 관계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넷째, 차별 없는 평등한 세상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나로부터 세상을 바라보는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하늘의 입장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이다. 그래야만 나, 나아가 인간만이 귀하다는 편견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럴 때 타자나 자연물은 더 이상 착취와 지배의 대상이 아니라 내가 보살피고 돌봐주어야 하는 평등한 삶의 동반자라는 것을 자각하게 된다. 그래야만 다른 사람, 다른 민족, 다른 나라, 나아가 다른 자연물과 평화로운 공생의 삶을 살아갈 수 있다. 홍대용이 주장하는 존재의 균등성은 심층 생태주의의 생태학적 평등주의와 상통하고, 배려와 돌봄의 윤리는 심층 생태주의자들의 공생의 원리와도 일치한다. 이러한 인간과 자연물에 대한 평등적 사고는 ‘자연존재물에 대한 존중’과 나아가 ‘인간과 자연존재물의 조화와 공존’을 지향함으로써 서구 인간중심주의의 폐단을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또한 성리학이 자칫 인간중심주의로 경도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해 줄 수 있다. 나아가 홍대용이 지향하는 배려와 돌봄을 기반으로 한 공생이란 단순히 인간과 자연과의 공생만이 아니라 인간과 인간,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 간의 공생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은 심층 생태주의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데 있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In the context of capitalist civilization which, on the one hand, offers material prosperity to humankind but, on the other hand, drives man and nature to the destruction, we are now at the time to change to the ‘ecological civilization’ in which man and the nature live in the symbiotic relationship. At this time, Silhak (實學) scholar Hong Dae Yong’s ecological egalitarianism and principle of co-existence - implied in the theory of ‘equality of man and things (人物均)’ and the argument named ‘outer Spring and Autumn’ (域外 春秋論) - can give us many valuable suggestions. Hong Dae Yong’s ecological consciousness rendered in “Catechism of Eusan mountain” has some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ly, the criticism against the human chauvinism in the viewpoint of Confucian scholars according to which man is superior to all other creatures. From the original and universal standpoint of the Heaven, different from that of man, man and other creatures are equal and between them there is no discrimination (人物均). Secondly, the foundation of the equality between man and other things can be found in ‘the theory of Ether (氣) as the original principle’ and ‘the theory of the Earth as a living thing (地活物)’. There is no high-low distinction in Ether, so there is nothing but the equality among all things constructed of Ether. Thirdly, the critical attitude towards the civilization. From the Middle Ages (中古), man’s passions were so much increased that the nature was brutally exploited and as the result the ecosystem was destroyed and the harmonious and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ings in the nature worsened. Fourthly, method to achieve an equal and harmonious world. That is the way according to which man must overcome the anthropocentric standpoint to see the world from the Heaven’s position. Only with this thinking can man overcome the prejudice that human beings are the most precious creatures. At that time, man can become aware that the others or things in the nature are not objects of exploitation and domination, but the companions that are living with him and he must take care of and protect. Doing that way, the others as well as other nations, other ethnics, other things in the world will be able to live symbiotically and peacefully. The equality of existing things in Hong Dae Yong’s thought shares some common points with the ecological egalitarianism of the Deep ecology, and the moral principle of heeling and taking care of things in his theory agrees with the principle of symbiosis that the Deep ecology states. Thus his thought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repair all the damages man had caused. And it can prevent the leaning towards the anthropocentrism that Neo-Confucianism nearly felt into. Moreover, the symbiosis based on the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in Hong Dae Yong’s theory is not only between man and nature, but also between man and man, nations and nations, countries and countries. Thus it can be said that Hong Dae Yong’s thought offers a suggestion on how to solve the problem existing in Deep ecolog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왕양명의 생명철학과 참 자아 실현의 교육론

        김세정(Kim Sea-jeong) 한국양명학회 2004 陽明學 Vol.- No.11

        한국 사회는 자율과 생명을 죽이고 타율과 죽임이 지배하는 총체적 교육위기에 직면해 있다. 학벌위주의 풍토와 살인적 입시경쟁은 전인교육을 포기하고 획일적이고 주지주의적이며 타율적이고 종속적인 교육으로 나아가도록 획책하고 있다. 본 논문은 양명 교육론의 근간이 되는 철학사상을 주체적ㆍ실천적ㆍ유기체적 인간관이라는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참 자아 실현의 교육론의 출발점인 立志와 더불어 참 자아 실현의 구체적 교육 방안들이 어떠한 내용과 의미를 담고 있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오늘날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총체적 교육 위기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데 있어서의 양명 교육론이 던져주는 시사점을 모색한다. 양명의 교육론은 한마디로 인간의 주체성과 창의성과 실천성, 즉 생명을 살리는 교육이다. 교육은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선천적인 본심(양지)을 주체적으로 자각하고 실천하는 과정을 통해 참된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고, 주체적ㆍ자율적ㆍ실천적으로 끊임없이 참된 자아를 성취할 수 있도록 가르치고 길러주는 과정이다. 양명의 참 자아 실현의 교육 방안은 첫째, 재능과 덕성이 상호 부합될 수 있도록 하는 ‘才德一致’의 교육, 둘째, 아동들을 능동성ㆍ자율성ㆍ창의성을 증진시켜주는 교육, 셋째, 배움과 실천을 합일하는 ‘學行合一’의 교육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서만 주체적이며 창조적인 참된 자아를 성취시켜 나갈 수 있다. Korean society has faced a critical crisis of education in which self-regulation and life are destroyed and subordinating and killing rule. Academical cliquism and murderous competition for university entrance have played a large part in aggravating the educational crisis. This article systematically studies Yang-ming educational philosophy from the perspective of a subjective, pragmatic, organic self. It also studies specific educational methods that will lead to self-realization as well as determination of purpose in life. Finally, it will investigate the meaning of Yang-ming educational philosophy in the current educational crisis. Yang-ming educational philosophy, in short, enlivens human subjectivity, creativity and practicality, that is, human lif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one that can make students voluntarily recognize their own nature and achieve their self-realization. It should help students develop their true "self' subjectively, autonomously, and pragmatically. Yang-ming's educational methods are: 1) one that can harmonize students' talents and character; 2) one that can enhance students' activeness, self-regulation, and creativity; 3) one that can lead students to act as they learn. A subjective and creative true self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this educational philosophy.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정제두의 천지만물일체를 위한 수양론

        김세정 ( Sea Jeong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4 No.-

        정제두에 의하면 본원적으로 天과 人은 一元이며 天地萬物과 人은 一體이다. 그리고 인간은 천지의 靈으로서의 人心을 통해 자연만물과 감응하면서 천지의 만물 화육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인간은 단지 이러한 영명한 人心을 지니고 있는 것만으로 아무런 장애나 노력 없이 천지만물과 하나 됨 삶을 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이 자연만물과 하나 된 삶을 살기 위해 修養이 필요한 이유와 구체적인 수양 방법들에 대해 고찰하고, 정제두 수양론이 지니는 생태론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간은 영명한 人心만이 아닌 개체욕망(私欲)의 발동 가능성을 안고 있다. 개체욕망은 우주적 차원의 자아를 망각한 채 天과 人을 둘로 나누어 버리고 자신의 육신만을 ‘나’라고 여기며 육신의 편안함과 이익만을 추구함으로써 天人一元의 타고난 본성을 차폐시킨다. 개체욕망은 인간의 본성과 감정의 작용에 過·不及을 야기함으로써 자연만물과의 온전한 감응 작용을 가로막고, 종국에는 자신의 욕망 충족을 위해 자연만물을 손상시키고 파괴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인간은 사욕을 제거하고 영명한 마음이 천지만물과 온전하게 감응토록 하는 후천적 ‘修養’을 필요로 한다. 현실 세계에서 인간이 천지만물과 하나 된 삶을 살기 위한 구체적 수양 방법으론 ‘四端의 확충’, ‘明明德과 親民의 一事’, ‘盡性을 통한 天地化育에의 참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모두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지닌다. 첫째, 本性, 明德, 四端, 良知, 禮義 등 다양하게 표현되지만 이들은 모두가 인간이 자연만물의 생명 손상을 자신의 아픔으로 느끼는 ‘痛覺의 주체’를 의미한다. 둘째, 이러한 통각의 주체가 하는 주된 기능은 바로 천지만물과의 ‘感應’이다. 감응은 자연만물의 손상을 아파하고 치유하며 이들을 보살피고 키워주는 실천적 행위를 포함한다. 셋째, 내가 자연만물과 감응하는 하나의 일이지만 감응 주체인 나로부터 보면 ‘明明德’, ‘成己’, ‘忠’이라 말하고, 감응되는 자연만물로부터 보면 ‘親民’, ‘成物’, ‘恕’라고 말하는 것일 뿐이다. 넷째, 나의 본성을 실현하는 일은 곧 자연만물의 본성 실현은 물론 천지의 만물 창생과 化育으로 귀결된다. 이러한 정제두 수양론의 생태론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의 환경윤리는 인식의 전환을 매우 중시하는 반면, 수양론에 대한 논의는 찾아보기 어려운 반면 정제두는 실제적인 수양을 매우 중시한다. 물론 자연은 인간 욕망 충족을 위한 도구와 수단이 아니라 하나의 소중한 생명이자 인간과 삶의 동반자라는 인식의 전환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을 바탕으로 인간의 이기적 욕망을 극복하고 자연과 하나 된 삶의 살 수 있는 생태적 감수성을 회복하고 이를 확충해 나가는 끊임없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럴 때 인간은 진정으로 자연과 하나 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둘째, 사회 생태론자인 머레이 북친이 이성만을 존중하고 영성, 감성, 감정 등을 열등한 것으로 취급하여 또 다른 위계화의 문제를 야기하는 반면, 정제두는 영성, 이성, 감성, 감정 등 인간의 내적 요소들을 우열의 문제 또는 대립적 관계 내지는 취사선택의 문제로 보지 않는다. 이러한 요소들은 모두 인간이 자연만물과 감응하는 데 있어 그 어느 것 하나 무시하거나 버릴 수 없는 주요한 요소들이다. 중요한 것은 수양을 통해 이러한 요소들이 자연만물과의 감응 과정에서 過·不及의 상태에 빠지지 않고 中節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양한 요소들의 균형과 조화를 중시함으로써 북친과 같이 이성 절대주의에 근거한 또 다른 위계의 가능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In Jeong Je Du’s view, first of all the Heaven and human have the same source (一元), and all things in the world and human are one and only body (一體). Furthermore, as the holiness (靈) of the world, human can communicate with others in the world through his mind (人心) and thus can participate as the subject in the improvement of the world. However in reality, despite this numinous and bright mind, if human does not make any endeavor, he will not be able to live together with other things in the world as a whole body. In this paper, the author would like to search for the important reasons for the cultivation (修養) aiming at the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things in the nature, the detailed methods for cultivating, and from those tries to find the ecological significance contained in Jeong Je Du’s theory of cultivation. Human has got not only the numinous and bright mind (人心), but also the propensity for the emergence of individual desires (私欲). The individual desires make human forget his own universal dimension, divide the Heaven and the human into two separate parts and abandon them, and regard only his physical body as his ‘ego’ himself and thus seek only the convenience to it, ignoring the innate character of ‘sharing the same source with the Heaven (天人一元)’. Those individual desires cause much excess and deficiency in human nature and feeling, to such an extent that it obstructs th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other things in the nature, and finally cause many problems when leading human to damage and destroy the nature only for the sake of human desires. Hence there is the necessity of the a posteriori ‘cultivation (修養)’ for human to eliminate his desires and harmoniously communicate with other things in the nature. In order for human to live in harmony with other things in the world, there are some detailed methods of cultivation such as ‘expanding the four sprouts (四端)’, ‘manifesting the illustrious virtue (明明德) and being close to the people (親民) as an undertaking (一事)’, ‘participating in the transformation and nourishment of the world (天地化育) by performing all innate nature (盡性)’ etc. They all share some similar features as follows. Firstly, though they are called by many names such as ‘innate nature (本性)’, ‘brilliant virtue (明德)’, ‘four sprouts (四端)’, ‘good knowledge (良知)’, ‘rites and righteousness (禮義)’, etc, these names all refer to ‘the subject sympathizing with sufferings (痛覺)’ - means human feels painful in front of other things’ damage of life. Secondly, the outstanding ability of this subject is the very interaction (感應) with other things in the world. The interaction also includes practical activities such as the feeling of the damage of other things, the cure for it, and the concern and growing of them. Thirdly, although the interaction between me and other things in the nature is only one fact, it can be seen from two different aspects: if it is considered from me, it will be called ‘clarifying the brilliant virtue (明明德)’, ‘self-growth (成己)’, ‘loyalty (忠)’ etc; if it is considered from other things, it will be called ‘being close to people (親民)’, ‘growing things (成物)’, ‘mercy (恕)’ etc. Fourthly, the realization of my innate nature is regarded as the realization of the nature of other things in the worlds, and the transformation and nourishment (化育) of all things. The ecological significance of Jeong Je Du’s theory of cultivation can be seen as follows. Firstly, although the Western environmental ethics emphasizes on the change of recognition, it is not easy to find the arguments on theory of cultivation in those ethical theories; whereas Jeong Je Du particularly stresses on the real cultivation process. Obviously, the change of recognition according to which the nature is not the instrument or tool for the satisfaction of human desires but an important existence and the companion of human must precede. Based on this change of recognition, we must do our best to restore and expand the ecological sensitivity in diminishing human desires and live together with the nature as the whole body. Then human can create an opportunity to really live in harmony with the nature. Secondly, while Murray Bookchin - the social ecologist - respects only the rationality and considers all others such as divine character, sensibility, emotion etc as inferior, thus causes many problems in unequal viewpoints, Jeong Je Du does not regard human inner characters such as rationality, divine character, sensibility or emotion etc, as problems of discrimination or opposite relation that must be resolved. All of those characters play their roles in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other things in the world and thus cannot be ignored or rejected. The important thing is that,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with things in the world, through the cultivation, those characters can overcome the excess and deficiency and maintain the balanced state. This emphasis on the balance and harmony between various characters can prevent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any other unequal treatment which, like in Bookchin, is based on the absolutism of rationality.

      • KCI등재

        양명심학을 통해 본 돌봄과 치유의 효 인성교육

        김세정(Kim, Sea-jeong)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51

        본 논문은 「인성교육진흥법」의 핵심 가치·덕목 가운데 하나인 효(孝)가 현대 우리사회에 어울리지 않는 봉건적이고 수직적인 가치이며, 외부에서 일방적으로 주입한 덕목으로 자율성과 실천성 확보가 어려운 덕목이라는 비판이 타당한 가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한다. 이에 양명심학에서의 효에 대한 이해와 효 인성교육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II장에서는 양명의 삶과 효의 관련성 및 『전습록』에 나타난 효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III장에서는 양명심학에 있어 효는 당위의 도덕규범으로서의 리가 아닌 순수한 본심이 자연스럽게 발현되는 것, 효도하고자 하는 마음이라는 내용을 고찰하였다. IV장에서는 부모에 대한 효는 의무나 보답의 차원이 아니라 감응과 통각의 주체로서의 양지(良知)의 발현으로서 부모님에 대한 돌봄과 치유라는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실천 행위를 수반한다고 하는 내용을 고찰하였다. V장에서는 양명이 말하는 효는 단지 내 부모에 대한 사랑과 돌봄과 치유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인민(仁民)’과 ‘애물(愛物)’처럼 모든 존재물에 대한 사랑과 돌봄과 치유의 뿌리가 된다는 내용을 고찰하였다. VI장에서는 효 인성교육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양명심학에서 인간은 누구나 주체적·능동적·자발적으로 부모에 대한 효도는 물론 다른 사람과 자연물에 대해 사랑하고 돌보고 보살필 수 있는 본성과 마음과 능력을 선천적으로 내재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양명심학에서는 효와 관련된 덕목과 절목들에 대한 주입식, 암기식 교육은 물론 교사가 학생들을 일방적으로 교화시키는 수직적, 수동적, 타율적 인성교육은 반대한다. 다만 학생들 스스로 선천적 양지를 자각하고 양지 실현의 필요성과 방법을 알아서 스스로 양지를 실현해 나가도록 도와주는 형태의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인성교육은 필요하다. 그 구체적 내용으로 ‘이기적 개체 욕망의 제거와 자기반성의 효 인성교육’과 ‘지행합일의 효 인성교육’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기존의 효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벗어나 양명심학에서 이야기하는 돌봄과 치유로서의 효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더불어 자기반성에 근거한 자율성과 능동성과 실천성을 증진시켜주는 효 인성교육을 바탕으로 인성교육 방안을 새롭게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This paper starts from the question whether the criticism of the filial piety (孝) -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lues and virtues of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 as nothing but an old-fashioned and vertical value not suitable with our modern society, a virtue unilaterally indoctrinated and unable to ensure the liberty and the practicability, is appropriate or not. And then it considers the thought on filial piety in Yangming’s philosophy of mind, and methods to educate the filial piety humanly. In the second part, the author regards the life of Wang Yangm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filial piety and the content relating to the filial piety in his work “Introduction for Practical Living”. In the third part, the author considers that the filial piety in Yangming’s philosophy of mind is not an evident moral principle but a genuine heart, a feeling to self-manifest naturally and to practice the filial piety. In the fourth part, the author sees that the filial piety to parents is not something like duty or repayment, but a positive practical action of the innate knowledge (良知) to take care and provide the cure for parents as a subject of sympathy and sensitivity to pain. In the fifth part, the author tries to clarify that the filial piety that Yangming thought does not only stop at the love and care and cure for one’s parents, but becomes the root of love and care and cure for all being things, as ‘the benevolence for people’(仁民) and ‘the love for things’(愛物). In the sixth part, the author studies the methods for the humanity education about filial piety. In Yangming’s philosophy of mind, every one has innately the capacity and inherent nature to do the filial piety to parents, as well as take care and love for other people and things in the nature. Thus Yangming’s philosophy of mind is opposed to the inculcated and learn-by-rote education about filial piety, as well as the vertical, passive, heteronomous education in which teachers unilaterally reclaim students. Conversely, it is necessary to have a form of autonomous and active humanity education that helps the students be aware by themselves of their own innate knowledge, recognize the necessity and the way to practice that innate knowledge and then practice it by themselves. That issue is considered in two specific aspects, namely ‘humanity education about filial piety as a self-reflection and elimination of the egoistic individual desires’ and ‘humanity education about filial piety as a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t is necessary to find out a new way for the humanity education relying on the humanity education about the filial piety which improves the autonomy, activity and practicability based on the self-reflection and the new comprehension of the filial piety as the care and cure in Yangming’s philosophy of mind, escaping from the existing negative knowledge about filial piety.

      • KCI등재

        서구의 환경철학과 왕양명의 한몸철학

        김세정(Kim Sea-jeong) 한국양명학회 2000 陽明學 Vol.- No.4

        In last 20th century, the global industri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had rapidly progressed have given human beings the material affluence but the man's merciless exploitation and ruin of nature have caused a very serious crisis of ruin of ecology and human beings themselves. Such criticisms that anthropocentrism, instrumental nature-view and mechanical world-view underly such global life-crisis have been bought forward and also such powerful requests that we must shift to new paradigm such as ecological world-view to solve the life-crisis have been raised. So I will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mutual aid between western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Wang Yang-ruing' Han-mom philosophy to solve the modern life-crises. Arne Naess, who proposes Ecosophy T having only one ultimate norm: "Self-realization", insists to enlarge self from narrow egoistic self to Self embracing all life forms on the planet and then to maximize (long-range, univeral) Self-realization, diversity and symbiosis. It is the way to solve the modern ecological problems. Thomas Berry insists that, to be viable, our sense of reality and of value must shift from an anthropocentric to a biocentric norm of reference. And we must begin by accepting the fact that the life community, the community of all living species, is the greater reality and the greater value, and that the primary concern of the human must be the preservation and enhancement of this larger community. But Wang Yang-ming's Han-mom philosophy is based on the dynamic capacity for self-organization of universal all nature, psychological and physical property of Chi(*D, and reciprocity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it calls human individual desire that separates human himself from nature and ruins nature to fulfill human interests to account and then insists that we must remove individual desire and rehabilitate the original benevolence and the sense of pain toward universal all nature through our own intemaI self-awakening and then we have not only to realize human life-essence but also to embody creative realization of natural life through the practical activity of affection for natural world. Eco-philosophy can make a firm basis which can put its principles into dynamic and practical activity by supplement of Han-mom philosophy. And Han-mom philosophy can be a practical alternative plan to solve the problem related with ecological crisis by meet with such eco-philosophy that suggests the concrete counterproposal to solve the modem ecological problems through analyzing the diverse background of ecological problems and basing on the results of ecology.

      • KCI등재

        양명심학과의 비교를 통해 본 기대승의 수양론

        김세정 ( Kim Sea-je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8 No.-

        이기심성론에 있어서 고봉학은 양명심학과 다르다. 고봉학은 리와 심에 있어 인간 개개인의 주체적 심이 아닌 보편적 리를 중시한다. 그리고 양지 또한 본체가 아닌 보편적 리를 드러내는 도덕적 정감 작용에 국한된다. 나아가 그 리를 온전하게 보존할 수 있는 사람 또한 일반인이 아닌 성인으로 국한된다. 그렇다면 수양론에서는 어떨가? 본 논문은 기대승의 수양론을 양명심학의 수양론과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고봉학과 양명심학의 동이점을 밝혀 보는데 목적이 있다. 고봉학에서는 당위의 도덕규범과 행위준거로서의 리(理)의 우선성과 선재성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먼저 리를 밝히는(明理) 공부가 선행되며, 그 이후에 마음을 공평하게 하는 (平心) 수양공부를 진행해야 한다. 주경(主敬)과 사성(思誠) 공부는 우주만물의 도리를 인식하는 공부로 규정된다. 반면 양명심학에서는 `심즉리(心卽理)`이기 때문에 마음 밖에서 리(理)를 찾는 향외적 인식 과정은 불필요하다. 다만 사욕을 제거하고 양지를 실현하는 치양지(致良知)만이 필요할 뿐이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수양론에서 고봉학은 양명심학과 유사한 측면들이 보인다. 기대승은 `격물(格物)`을 `독서궁리(讀書窮理)`로 국한하지 않고 격물을 `우사처기당부(遇事處其當否)`와 `위선거악(爲善去惡)`으로도 정의한다. 이러한 견해는 격물을 `사상마련(事上磨鍊)`과 `위선거악(爲善去惡)`으로 해석하는 왕수인의 견해와 유사하다. 그리고 기대승은 중도(中道)와 권도(權道)를 중시한다. 권도의 주체는 바로 마음이다. 왕수인은 `중(中)`과 `천리(天理)`를 때에 따라 변역하는 마음의 수시변역성(隨時變易性)으로 규정 한다. 끊임없는 변화의 장 한가운데서 마음이 고정불변한 격식에 얽매이지 않고 주체적으로 사태를 판단하고 처리하는 것이 바로 수시변역이요 권도이다. 향내적 마음의 수양 공부를 중시하고 실제적인 일에서 마땅함을 추구하며 마음의 주체적 판단에 근거한 중도와 권도를 중시하는 기대승의 수양론은 분명 양명심학과 만나질 수 있는 부분이다. Go-bong`s study (高峰學) which is within the theory of principle-ether and mind-nature (理氣心性論) is different from Yangming`s study of mind (陽明心學). Go-bong`s study, between the principle and the mind, emphasizes the universal principle but not the individual mind. And it is limited to the ethical feeling effect that shows the universal principle, not to the innate conscience (良知) or substance (本體). Furthermore, in this study, the subject that can preserve the principle is the sage (聖人), not the ordinary people. So what about the cultivation in Go-bong`s study? This paper would like 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Go-bong`s study and Yangming`s study of mind,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theory of cultivation of Ki Dae Seung and Wang Yangming. In Go-bong`s study, the priority of the Principle (理) as the criterion of activity and the moral standard of `ought` is considered the premise, thus the work clarifying the principle (明理) is preceded, and the following must be the cultivation of `making the mind fair` (平心). The effort to keep respect (主敬) and honestly meditate (思誠) is regarded as the effort to grasp the laws of all things in the world. Whereas in Yangming`s study of mind, based on the premise that `mind is the Principle` (理), the extroverted cognition in which it must find the principle outside the mind is unnecessary. It needs only the elimination of the selfishness and the fulfillment of the innate knowledge (致良知). However, regardless of those differences, in the sphere of cultivation, Go-bong`s study and Yangming`s study of mind share some similarities as follows. Ki Dae Seung does not limit `the investigation into things` (格物) to `the work reading books and grasping the principle` (讀書窮理); in his opinion, `the investigation into things` is `to resolve thing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遇事處其當否) and `to do good things and eliminate evils` (爲善去惡). That opinion is similar to the viewpoint of Wang Shouren according to which `the investigation into things` is considered `to practise right in the affairs` (事上磨鍊) and `to do good things and eliminate evils` (爲善去惡). Moreover, Ki Dae Seung emphasizes on `the way of mean` (中道) and `the way of adaption` (權道). The subject of `the way of adaption` is the very mind. Wang Shouren thinks that `the mean` (中) and `heavenly principle` (天理) is `the changeability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隨時變易性) of the mind. In the unceasing change, the mind is not restricted to an unchangeable formality, but subjectively estimates the situations and decides the resolutions, that is the very `changeability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as well as `way of adaption`. Thus, the emphasis on introverted cultivation of the mind, the pursuance of the appropriation in practical matters, and the emphasis on `the way of mean` and `the way of adaption` which is based on the subjective estimation of the mind, those thoughts in Ki Dae Seung`s theory of cultivation are really similar to Yangming`s study of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