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양한 놀이를 활용한 전래동요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 1,2학년을 중심으로
김세련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과거 우리 조상들은 어린 시절에 자연 그대로의 환경 속에서 생활하는 가운데 놀이를 통해 친구와 가족간의 유대 관계를 형성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얻었다. 그 뿐만 아니라 이러한 놀이와 함께 불려지던 놀이 요 속에는 조상들의 자녀 교육에 대한 철학과 교육적 의도가 담겨 있기도 했다. 그런데, 이러한 전래 놀이와 놀이 노래가 시대적 변화로 말미암아 오늘날에는 거의 그 자취를 잃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전통 문화의 단절을 의미하며 전통 문화의 일부분인 전통 음악의 단절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개정된 7차 교육과정의 1,2 학년 즐거운 생활과의 전통 음악 제재 곡을 분석하여 통합 교과에서 추구 하는 특성과 전통 음악 교육의 중요성을 고려해 전통음악 교육에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게 놀이와 놀이 요를 정리하고 새로운 창작 놀이와 기존의 놀이를 새롭게 변형, 구안하여 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게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우선, 교과서와 지도서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개된 놀이의 대부분이 노래 가사 바꿔 부르기, 간단한 신체 표현, 기존의 전래 놀이의 소개 정도에서 그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놀이의 대부분이 과거부터 전승된 놀이이므로 아동들의 흥미를 끌기에는 시대성이 부족하였다. 셋째, 놀이 장소도 실외놀이가 많아 짧은 수업 시간에 교실에서 효율적으로 이루어내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넷째, 놀이가 본시 제재 곡의 학습 목표와 지도 위에 상관없이 과거부터 전래 되어온 것이므로 직접적인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위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첫째, 제재 곡을 지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놀이를 창작하거나, 기존의 놀이를 제재 곡의 지도에 적합하도록 변형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제재 곡 학습의 흥미를 더할 수 있도록 기존의 전래놀이도 현대적 감각에 맞도록 놀이 소재를 변형하거나 (1-2-9 ; 신발 윷놀이), 소재를 교육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 (1-2-2 ; 협동제기), 또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아동 놀이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였다. 셋째, 가능하면 실내에서의 활용도가 높고, 짧은 시간에 실현 가능한 놀이로 구안하였다. 넷째, 본시 제재곡의 학습 목표와 학습 요소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In those days, our ancestors kept company with the members of family and friends by the various playing and had a feeling of comfortable in the nature circumstances. The playing songs, one of the various playing, are filled with ancestors educational philosophy and intention. But traces of these traditional playing method and playing songs are almost disappearing, except being acted intermittent in these days. These mean that traditional culture, special in traditional folk music, have not been handed to ours. So, this paper have an object of using the elementary school practically by planning creative playing and changing old playing into a new type of one and helping teaching traditional music by the analysis of the playing and playing song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raditional music in the text book the pleasant life - of the first-second grade which is a revised seventh curriculum and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combination curriculum and importance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irst of all,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ext book and guide book follow that, First, there is just introduction of the traditional playing which is known, simple body expression, changing the words of songs and singing. Second, most of old playing are behind of the trend of the times. So, there is short of philosophy of the times to take a child's interests. Third, it is difficult to teaching in short teaching hours because there are so many outdoor playing in consideration of the place for the playing. Fourth, there is little direct educational effect because of transmission from the old time regardless of a purpose of study and a factor of guidance of songs in the scope of class. Based on above-mentioned analysis results, I suggest teaching programs or plans by following method. First, I create playing for helping teaching songs of the scope of class or change above-mentioned playing into proper ones in the teaching. Second, I make plan and change the old playing into the playing which is familiar with modern feeling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interests in learning songs in the scope of class(1-2-9: the game of yut using shoes) and reconstruct the old playing into the playing, in which we find an article in school easily (1-2-2: the game of cooperation jegi) which is popular playing Third, I suggest playing which is using indoors and taking a short time. Fourth, I consider of educational effect helped in achieving the purpose and factors for teaching.
정상 신생아에서 제대혈의 leptin농도와 성별, 출생체중, 체질량 지수 및 성장 호르몬과의 연관성
Leptin은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는 것 이외에 자궁내 태아 발육에도 관련이 있으리라 생각되나 정확한 역할에 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신생아의 제대혈에서 leptin과 성장 호르몬의 농도를 측정하여 leptin과 출생 체중, 분만시 제태 연령, 성별, 출생 당시의 키, 출생시 체질량 지수, 분만 당시 모체의 체질량·지수, Ponderal Index 및 성장 호르몬과의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전체 46명 중 여아는 15명, 남아는 31명 이었고, leptin의 농도는 남아에서 4.63±2.4㎍/ℓ, 여아에서 6.94±2.5㎍/ℓ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050), 출생 체중, 출생 시 신장 및 체질량 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leptin 농도는 제태 연령, Ponderal Index, 모체의 체질량 지수, 태반 무게 및 성장 호르몬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The roles of leptin have been knownthat regulate energy expenditure and intrauterine fetal growth. But, the action mechanisms of leptin are poorly understood. We measured leptin and growth hormone levels in venous cord blood of healthy neonates and analysed the relationships of leptin with birth weight, gestational age, gender, birth height, body mass index, maternal body mass index, Ponderal Index and growth hormone. In 46 healthy neonates, female is 15 and male is 31. The concentration of leptinis 4.63±2.44 ㎍/ℓ in male and 6.94±2.57 ㎍ /ℓ in female.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0050)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leptin concentration and birth weight, birth height and body mass index,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geatational age, Ponderal Index, placental weight and GH.
운전자의 불안전 행동과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김세련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ecently increasing interactions between human being and machines with developing various technologies are generalization and produce comport, but errors and accidents from the interactions are also being increasing. One example of the most generalized interactions is a relation between cars and drivers. Most of car accidents have occurred because people act in judgment errors or faults rather than mechanical faults or circumstances. In this aspect, if specific correlations between human personality and unsafe acts are researche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optimize and apply efficiently the factors of human being into some cases of accident prevention. As researching the correlation between Unsafe Act and people’s personality that could make accidents between cars and drivers, this study selected 200 car drivers and surveyed them by using Enneagram and KDBQ questionnair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mong the center groups of the Enneagram, it is the Belly Type, called Jang Hyung in Korean, which has aggressive and angry personality that is related to unsafe acts, and it is the lowest style that is Heart-Centered style. Second, the type 8 and 9 people, who have weaknesses such as aggressive, defiant, and insensitive personality among the 9 styles of the Enneagram, show the highest possibility of unsafe acts.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of unsafe act occurrences based on gender, only 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each center group of Enneagram, and the male Belly Type showed the more frequent unsafe acts. When the results are summarized, this study verifies that the Enneagram personality styles could be a helpful tool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unsafe acts. Depending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needed to consider operating a personality style indicator and hiring Heart-Centered drivers in driver selection processes of large transfer companies to operate trucks or public transfer companies for Bus or Taxi. Because people of the type 8 and 9 among the Belly Type have the higher possibility to make unsafe acts than other type’s drivers, it could be more easy for the people to link accidents. If safety educations and managements for the people could be maintained, it would be effective for the safety accident prevention. More over, when work could be appropriately allocated depending on risk and difficulty after driver resources are divided as following their personality styles and prevention educations could be conducted together, this study expects its effects could be more efficient. 최근 다양한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인간과 기계간의 상호작용은 많은 분야와 생활 가까이에서 보편화되고 편리함을 주는 동시에 그에 따른 오류와 사고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으로 자동차와 운전자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대부분의 교통사고는 기계의 결함이나 주위환경에 의한 원인보다는 인간의 판단오류나 과실에 의한 행위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간의 성격 부분과 불안전 행위에 대한 구체적인 상관관계를 연구해 본다면 향후 사고예방에 있어 인적 요소를 조금 더 최적화하고 효율적으로 적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와 운전자 사이에서 사고를 일으키는 성격유형과 Unsafe act와의 상관관계를 탐색하고자 200명의 운전자를 대상으로 에니어그램 검사와 KDBQ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에니어그램 중심그룹 중 인간의 높은 불안전한 행위와 연관 있는 그룹은 공격적이고 분노의 특성을 갖고 있는 장형이었으며 가장 낮은 유형은 가슴 유형이었다. 둘째, 에니어그램 9가지 유형 안에서는 공격적, 반항적, 무감각한 단점들이 나타나는 8번과 9번이 불안전한 행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을 기준으로 Unsafe act의 발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에만 중심그룹별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남성 장형 사람들이 높은 unsafe act를 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분류는 불안전행위로 야기되는 사고 예방을 위한 도구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화물차를 운용하는 대규모 운송업체나, 버스나 택시등과 같은 대중교통업체의 운전자 선발 프로세스에서 성격유형검사검사와 함께 가슴형 운전자의 선발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장형 그룹 안에서도 8번, 9번 유형의 운전자의 경우 다른 유형의 운전자에 비해 불안전한 행위의 발생가능성이 높으므로 사고와 연결이 보다 쉽게 될 수 있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안전 교육과 관리가 이어질 수 있다면 안전사고예방에 있어 효과적일 것이다. 더불어 운전자 직군에 있어서 성격유형별 구분에 따라 인적자원을 구분한 뒤 위험 난이도에 따른 업무를 적절하게 배분 하고 예방교육이 함께 이뤄질 수 있다면 그 효과는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 된다.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교육을 위한 스마트폰 앱 개발 및 적용
김세련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6 국내석사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교육을 위한 스마트폰 앱 개발 및 적용 본 연구는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의 교육을 위하여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고, 이를 환자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한 방법론적인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소재 일개 대학병원의 인공 고관절 수술을 위하여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기존 교육 프로그램과의 효과를 비교 검증함으로써 앱을 활용한 환자 교육에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시스템 개발 생명 주기 (SDLC :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에 따라 시스템 계획, 분석, 설계, 구현, 평가의 5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앱 개발 및 현장적용 가능성, 문헌고찰을 통해 앱 개발에 필요한 환경 분석, 앱 개발의 목적을 설정하고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PPT 교육 컨텐츠, 앱 인터페이스 설계를 통하여 스마트 폰 앱을 개발 및 구현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대조군에게는 입원시부터 퇴원시까지 기존 교육방식인 안내책자와 동영상 교육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고, 실험군에게는 입원시부터 퇴원 후 첫 외래 방문시까지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환자의 고관절 기능, 교육 만족도, 자가 간호 지식, 자가 간호 이행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교육을 위한 스마트 폰 앱은 문헌고찰과 요구도 조사, 전문가 자문을 토대로 하여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간호를 목표로 설정하고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교육 내용을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2.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교육용 스마트폰 앱의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 :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교육 만족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교육 만족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지지되었다(Z=-2.52, p=.012). 2) 제 2 가설 :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인공 고관절 자가 간호 이행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자가 간호 이행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지지되었다(Z=-4.10, p=<.001). 3) 제 3 가설 :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고관절 기능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두 군의 고관절 기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지지되었다(F=4.39, p=.043). 4) 제 4 가설 :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인공 고관절 자가 간호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는 두 군의 자가 간호 지식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지지되었다(F=7.52, p=.009).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교육용 스마트폰 앱은 환자의 교육 만족도, 인공 고관절 자가 간호 이행, 고관절 기능, 인공 고관절 자가 간호 지식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교육 컨텐츠로서의 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교육을 위한 스마트 폰 앱 개발 연구로서 그 의미가 있으며, 추후 인공 고관절 수술 외에도 다양한 수술 간호 중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 인공 고관절 치환술, 스마트폰 앱, 교육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학습자 참여와 학습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교수실재감의 효과에 대한 연구
이러닝은 기본적으로“교육 상황이 아닌 학습 상황”(강창동, 채선희, 백영균, 홍후조, 2003)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학습의 확대를 가정하고 있다(박인우, 2004). 따라서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는 교육보다는 학습에, 교수자보다 학습자에 초점을 맞춰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교육은 학습과 수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교육보다 학습이 강조되면 교육의 일부분밖에 파악할 수 없다. 이러닝 역시“교사의 통제권이 통합된 학습 환경”으로 파악하여야 학습효과를 보장할 수 있으며, 면대면 수업의 대안이 될 수 있다(박인우, 2004). 이러닝 환경에서의 학습효과를 분석할 때 교육의 개념에 주목하여 학습자 변인과 교수자 변인을 통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 변인으로 이러닝 준비도를, 교수자 변인으로 교수 실재감을 설정하였다. 온라인 환경에서의 학습은 학습자와 교수자가 서로 독립된 시공간에서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면대면 환경의 학습자와 달리 별도의 준비와 역량이 요구된다. 하지만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수준이 높다고 해도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결여되어 있다면 우수한 교육이라 보기 어려우며(박인우, 2004),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수준이 낮은 경우에도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 환경에 적응하거나 학습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유추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 변인인 이러닝 준비도가 학습자 참여, 학습 만족도, 인지된 학업성취도를 예측할 때 교수자 변인인 교수실재감이 매개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방송통신고등학교 재학생 대상으로 340부 설문지를 배포하여 287부를 최종 통계 분석에 이용하였다. 이러닝 준비도 측정 도구는 김정선과 강민석, 신성욱(2012)이 개발한 도구를 활용하였으며, 교수실재감은 고은현(2007)의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를 통해 측정하였다. 학습자의 수업 참여를 측정하기 위하여 차민정 외(2010)가 개발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학습만족도는 고은현(2007)과 Eom, Wen과 Ashill(2006), Shin과 Chan(2004)의 도구에서 일부 문항을 활용하였다. 인지된 학업성취도는 임진호(2006), Sun, Tsai, Finger, Chen과 Yeh(2008)의 도구에서 일부 문항을 활용하였다. 변인간의 관계는 SPSS 19.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은 3단계에 걸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교수실재감이 학습자 참여와 학습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준비도는 학습자 참여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이러닝 준비도가 학습자 참여를 예측할 때 교수실재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러닝 준비도는 학습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이러닝 준비도가 학습만족도를 예측할 때 교수실재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러닝 준비도는 인지된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이러닝 준비도가 인지된 학업성취도를 예측할 때 교수실재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이 학습효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준비 수준을 높이고, 교수실재감을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할 때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본 연구의 대상은 여성에 한정되어 있으며, 이러닝 준비도와 교수실재감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의 부재로 이 둘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닌다. 각 변인의 하위요인을 고려하여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NEIS를 활용한 초등 특수교육대상자의 교과평가 결과 기재 실태 및 개선 요구
김세련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평가는 수업의 효과와 학생의 성장 등을 살펴보는 매우 중요한 교육 활동이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교과평가 결과도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며, 특수학급과 통합학급에서 이루어지는 교과평가에 대해 적절한 피드백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평가 결과 기록 도구로 활용하고 있는 나이스(NEIS: 이하 ‘나이스’로 표기) 시스템에 특수학급과 통합학급의 이원화된 평가 내용과 결과를 기재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많다. 또한, 통합학급 교사가 특수교육대상자의 교과평가 결과를 기재하는 주체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통합학급 교사들은 초등 특수교육대상자의 교과평가 결과를 나이스에 어떻게 기재하고 있는지, 그들이 지닌 어려움은 어떤 것인지 통합학급 교사와 담당 학생 배경변인별로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특수교육대상자의 교과평가 결과 기재 시스템의 질적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나이스를 활용한 특수교육대상자 평가 결과 기재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나이스를 활용한 특수교육대상자 평가 결과 기재에 관한 개선 요구는 어떠한가? 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지역의 일반초등학교에서 최근 3년간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된 학생의 담임을 맡은 경험이 6개월 이상이면서 특수교육대상자의 교과평가 결과를 나이스에 기재해 본 경험이 있는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회수된 질문지 151부를 jamovi 2.2.5 soli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배경 변인별 응답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교사들이 나이스 교과평가 결과의 기재 주체가 되어 주로 특수교사를 통해 특수교육대상자의 교과평가 결과 기재 지침에 관한 안내를 받고 협의하고 있었다. 둘째, 나이스 교과평가 메뉴에 교과평가 결과를 입력할 때 특수학급에서 이루어진 교과평가의 결과는 나이스에 등록된 평가 요소와 관계없이 특수교사에게 받은 교과평가 결과 내용을 임의입력하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통합학급 담당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5년 초과 경력의 통합학급 교사들은 대체로 비장애학생과 동일한 평가 요소와 관련하여 임의입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합학급에서 이루어진 교과평가의 결과는 비장애학생과 동일한 평가 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평가 기준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나이스 학기말종합의견 메뉴에 기재할 땐 평가를 실시한 학급 형태와 무관하게 모두 나이스에 등록된 평가 요소와 관계없이 학생이 해당 교과와 관련하여 보인 성취 내용을 서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자의 교과평가 결과와 관련하여 통합학급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은 특수교사는 교과평가 결과를 나이스에 기재하고 있지 않으며, 나이스에서 평가 선행작업 시 과목별 평가 요소를 학생별로 반영 및 수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점이다. 넷째, 통합학급 교사들이 나이스에 특수교육대상자의 교과평가 결과를 기재하면서 느끼는 어려움의 수준은 대체로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부와 교육청, 교육지원청의 안내와 지침이 부족한 것과 가이드북의 부재, 나이스 시스템상의 불편함에 대해서는 ‘그렇다’ 이상의 결과를 보여 이에 대한 지원이 부족한 실정임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나이스에서 특수교육대상자의 교과평가 결과를 효과적으로 기재하기 위하여 개별화교육평가 결과와 교과평가 메뉴 간 연동 기능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해 특수교사도 함께 교과평가 메뉴에 접근하여 평가 결과를 기재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면 현재 특수교육대상자의 교과평가 결과를 가정에 전달하는 통로를 하나로 통일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나이스를 활용하여 특수교육대상자의 교과평가 결과를 기재하는 방법과 내용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간구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특수교육대상자의 교과평가와 관련된 구체적 지침이나 가이드북을 명료하게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가 통합교육 현장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태도를 요구한 데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교과평가 결과 기재 실태를 전국단위로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크라우드펀딩의 법적 문제와 개선방안 : 증권형·대출형 크라우드펀딩을 중심으로
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은 자금수요자가 자신의 사업이나 자금조달 목적을 홍보하여 불특정 대중(crowd)으로부터 자금공급 여부에 대한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을 이끌어 내고, 온라인상의 전문중개기관(intermediation)을 통해 소액의 자금을 조달(funding)하는 행위이다. 이러한 크라우드펀딩은 오프라인 금융시장에서 시작되어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SNS 활성화로 인하여 기금마련에서부터 투자자들의 자금 마련을 위한 수단으로까지 성장하였다. 특히 금융형 크라우드펀딩인 증권형·대출형 크라우드펀딩은 자금수요자는 대안적 자금조달 수단으로서 활용하고, 자금공급자는 저금리에 따른 투자수익확대를 위해 활용한다는 점에서 빠르게 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대적 의미의 새로운 투자와 자금조달의 금융 플랫폼 이면에는 금융소비자보호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자금수요자의 입장에서는 정보공개에 따른 지식재산권 유출문제 및 크라우드펀딩 관련 중개업자의 무분별한 채권추심 및 이자독촉, 신용정보 오남용의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 자금공급자의 입장에서는 관련 펀드의 성격, 규모, 리스크에 대한 충분한 정보의 수집이 불충분하여 정보비대칭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자금공급자가 제공한 정보에 대해서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역선택의 문제 및 자금수요자의 도덕적 해이 문제와 사기 및 채무불이행 문제가 발생한다. 전자소비자계약 이론은 정보비대칭성에 근거하여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이론인데, 크라우드펀딩에서 체결되는 계약도 고전적 계약과는 달리 정보비대칭성이 존재하는 계약이므로 자기책임원칙이 일정부분 수정되어 상대적으로 열악한 위치에 있는 소비자, 특히 금융형 크라우드펀딩에서는 금융소비자를 보호하여야 한다. 따라서 정보비대칭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중개업자의 역할과 책임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2015년 7월 6일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을 도입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은 신생기업의 자금조달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마련되었지만, 개정된 법률로 인하여 추가적인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는 크라우드펀딩의 특성상 단순중개 업무만 하도록 하여 자본시장법상 설명의무(동법 제47조)와 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동법 제48조)이 배제되었다. 반면 발행인의 정보게재의무(동법 제117조의10 제2항) 및 이에 대한 중개인의 사실확인의무(동법 제117조의11)가 도입되었지만 정보비대칭성을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사실확인의무는 소극적인 의무에 불과하고 적극적인 사기방지조치의무가 도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발행인은 증권의 발행조건과 재무상태 등을 기재한 서류 또는 사업계획서 중 중요사항에 관한 거짓의 기재 또는 표시가 있거나, 중요사항이 기재 또는 표시되지 아니함으로써 온라인소액투자중개를 통하여 증권을 취득한 자가 손해를 입은 경우에 손해배상책임이 인정되지만(동법 제117조의12), 손해배상책임 주체에서 중개인은 배제되었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자금수요자에 대한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는 중개인의 책임이 한정되었다. 또한 대출형 크라우드펀딩 시장은 국내에서 급속히 성장하고 있지만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나 자본시장법에서 이를 중개할 플랫폼을 감안한 법적 규제체계가 마련되지 않았다. 특히 대부중개업자는 대부업법상 미등록 대부업자를 중개하지 못하는 한계로 인하여(동법 제11조의2 제1항) P2P대출 중개업자는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통신판매중개업자로 등록하여 영업 중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대부업법상의 최고 이자율 제한(동법 제8조 제1항) 등의 차입자 보호 규정이 배제되어 금융소비자 보호에 미흡하다. 또한 현재 간접대출형이 대부분인데 간접대출형에서 금전소비대차계약에 기한 채권은 금융회사가 가지고 있으므로 자금공급자는 자금수요자에게 직접 채무의 이행을 청구할 수 없어 자금공급자의 권리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P2P대출에서 자금공급자와 자금수요자를 보호할 법적 규제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금융형 크라우드펀딩에 관한 국내의 법적 규제 상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법적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연구한 선행연구가 미비하였다. 또한 국내 학술 논문도 이미 자본시장법상 제도화가 된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에 대해서만 주로 연구하고, 대출형 크라우드펀딩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였다. 특히, 자금공급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자금수요자를 보호하는 대부업법만의 규제로는 한계가 있다. 이에 미국의 SEC(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도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P2P대출 중개업자가 발행하는 약속어음(notes)을 투자계약 및 증권법상 어음이라고 유권해석하여 중개업자를 증권법상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P2P대출 중개업자를 자본시장법상 규제하여 투자자를 보호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자금공급자의 대출채권, 원리금수취권, 담보금반환청구권 및 담보수수료지급청구권이 자본시장법의 증권에 해당되는지에 대한 법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금융형 크라우드펀딩을 이용하는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고 중개업자를 규제하기 위한 법적 개선방안을 입법론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특히 해외의 입법상황을 비교법적으로 연구하여 우리나라에 도입될 수 있는 부분을 검토하였다. 나아가 크라우드펀딩 관련 이해당사자의 이해관계 및 법적 규제가 경제에 미칠 수 있는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법경제학적 방법론으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그래서 증권형 크라우드펀딩과 관련하여서는 현행 자본시장법상의 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의 의무를 강화하고 투자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대출형 크라우드펀딩에 관해서는 법적 규제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 자금공급자의 채권이 자본시장법상 증권에 해당되는지 알아보고, P2P대출 중개업자를 자본시장법으로 규제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사티어 성장모델의 일치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세련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0 국내석사
현대사회에서 평등한 부부관계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결혼생활의 안정은 단순한 결혼생활의 유지보다는 자신과 배우자 그리고 부부관계가 모두 존중되어 조화를 이루는 결혼생활의 만족을 통해 이뤄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조화로운 부부관계를 위해서는 부부가 평등한 관계에서 만나 일치성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사티어 성장모델의 일치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우선, 부부를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일치성과 결혼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는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일치성의 각 하위영역들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유자녀 부부 245쌍을 조사하여 그 중 158쌍(316부)의 질문지가 최종분석에서 사용되었다. 그리고 조사도구로는 자기보고식으로 답하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Ver. 12.0 program을 활용하여 Cronbach의 α계수,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정,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부부의 일치성 및 결혼만족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일치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남편의 경우 교육수준, 직업, 종교유무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부인의 경우 교육수준과 주관적 경제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대인간 차원은 남편 부인 모두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심리내적 차원은 남편 부인 모두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으며, 영성 차원은 남편 부인 모두 교육수준, 종교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그 외 추가적으로 남편의 경우 직업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으며, 부인의 경우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라서도 차이를 나타냈다. 결혼만족도의 차이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남편이 부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남편의 경우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부인의 경우 교육수준, 결혼기간, 주관적 경제수준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일치성의 하위영역(대인간 차원, 심리내적 차원, 영성 차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사회인구학적 특성의 영향력은 없었고, 자신의 일치성 하위영역 중 대인간 차원의 영향력이 부인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배우자의 일치성 하위영역 중 심리내적 차원이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인의 경우 사회인구학적 특성에서는 결혼기간과 주관적 경제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었고, 일치성 하위영역에서는 자신과 배우자의 대인간 차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통해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의 결혼만족도는 사회인구학적 변인보다 심리적 변인인 일치성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 일치성의 하위영역 중 대인간 차원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다. 그러므로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치성의 이차 수준인 대인간 차원에서의 접근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일치성의 하위영역 중 심리내적 차원과 영성 차원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으나, 일치성의 세 차원은 서로 상호보완적이며, 동시에 작용한다는 사티어 성장모델의 이론적 근거에 따라 심리내적 차원과 영성 차원이 대인간 차원에 영향을 미쳐 결혼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갖는다고 예상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결혼만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부부가 평등한 관계에서 만나 일치적인 대처로 들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셋째, 일치성의 하위영역이 성별에 따라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른 대인간 차원의 영향력은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비해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남편의 결혼만족도는 배우자인 부인의 심리내적 차원에 영향을 받는다. 부인의 결혼만족도는 배우자인 남편의 대인간 차원에 영향을 받으며, 이 영향력은 부인 자신의 대인간 차원보다 더 큰 영향력을 보이므로 부인이 남편에 비해 배우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이를 통해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우리나라 전체 부부의 결혼만족도로 일반화 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다. 둘째, 부부를 한 단위로 표집 하였으나 성별에 따른 일치성과 결혼만족도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분석방법에 있어 하나의 단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부부의 일치성을 구조화된 질문지만으로 밝혀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현대 부부에게 요구되고 있는 평등한 부부관계의 의미를 인간 내면의 에너지인 영성을 근간으로 제시하는 일치성을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중요성이 인식된다. 이러한 의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address the effect of congruence in the Satir Growth Model on the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To begin with, the differences in congruence and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of couples were identified in social demographic quality, and then the effect of each subordinate dimensions in social demographic quality and congruence of couples on marital satisfaction levd was determined. For this thesis, 245 couple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who had children were surveyed and 316 questionnaires(158 couples) were analyzed finally. An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had the form of answering to oneself was used as a survey instrument. Using SPSS WIN Ver. 12.0 program for analysis of gathered data, this thesis practised α coefficient,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of this thesis was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of couples were affected by congruence, psychological variables, more than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And interpersonal dimension among subordinate dimensions of congruence indicated significant effects. Second, intrapsychic dimension and spiritual dimension among subordinate dimensions of congruence didn't affect significantly on marital satisfaction level, but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basis of Satir Growth Model, intrapsychic dimension and spiritual dimension had affection on interpersonal dimension. So intrapsychic dimension and spiritual dimension had indirect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level. Third, sexual difference showed differences in effects of subordinate dimensions of congruence on marital satisfaction level.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dimension according to sexual difference affected marital satisfaction level of husbands more than wives, and the levels of marital satisfaction of husbands were affected by intrapsychic dimension of wives. Marital satisfaction level of wives were affected by interpersonal dimension of husbands, and this effect was bigger than wives' interpersonal dimension. Hence, it can be suggested that wives were affected by their spouse more than husbands. This thesis had importance in that it explored the meaning of equal marital relations required in this society through congruence of couples.
캠프 사역을 통한 소규모 교회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여름과 겨울에 진행되는 캠프가 교회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누구나 알고 있다. 하지만 소규모 교회의 경우 캠프를 행할 경제적 어려움과 섬기는 교사와 자원봉사자의 부족으로 자신의 교회에 요구되는 교육의 모습은 생각지도 못한 채 여러 교회가 연합으로 진행되는 캠프에 보내거나 야유회 정도로 귀한 교육의 기회를 잃어버리는 안타까움이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바라보면서 본 논문은 캠프 사역을 통한 소규모교회의 활성화를 위하여 연구되었다. 필자가 섬기는 교회는 청도에 있는 작은 시골교회이다. 필자의 교회 역시 소규모교회이고, 교회 교육을 진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필자가 오랜 세월동안 레크리에이션 지도자로, 연합캠프와 타 교회 캠프강사로 활동한 것을 기반으로 하여 본 교회에서 소규모교회를 위한 캠프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소규모교회의 교회교육에 자립화를 꾀하였으며 캠프 후 교회의 활성화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하지만 소규모교회들이 안고 있는 문제들이 있었다. 첫째, 교회 스스로가 우리는 작아서 안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둘째, 실재로 움직일 사람이 부재하다는 것이다. 셋째, 해결해야 할 문제가 너무나 많아 오랜 시간이 걸린다. 넷째, 교회의 영적인 수준과 개개인의 신앙적인 차이가 많다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가장 먼저 시도한 것은 교사교육이었다. 시대 이해를 통하여 교회가 당면한 포스트모던 사회의 문제에 대해 서로 나누었고, 소규모교회이지만 소그룹이 가진 장점들을 나누는 가운데 자신감을 불어넣어주었다. 교사로서 성경에 대해 부족한 지식은 성경파노라마 공부를 통하여 충족하였고, 캠프 기간 중 교사가 해야 할 역할들을 나누어 담당함으로 일에 대한 부담은 줄이고, 자신감은 높여주었다. 두 번째로 유도한 것은 소규모 교회이니 만큼 전교인들이 캠프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광고를 통하여 교회학교의 존재와 캠프 진행에 대해 알도록 하였고, 자원봉사자 모집과 중보기도를 통하여 몸은 떨어져 있지만 마음만은 함께 하는 캠프가 되도록 하였으며, 캠프 보고회를 통해 앞으로도 모든 성도들이 교회학교에 많은 사랑과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부탁드렸다. 세 번째로 진행한 것은 자원봉사자 교육이었다. 먼저 자원봉사자들이 스텝으로 캠프를 섬기는 가운데 해야 할 일을 명확하게 해 주었다. 다음은 그들의 섬김을 통하여 많은 아이와 청소년들의 신앙에 큰 도움이 된다는 사명감을 고취시켜 주었다. 실재 아이들과 청소년들은 신앙의 선배들이 자신을 섬겨주는 것에 큰 만족과 기쁨을 가지게 되었고, 자신들도 나중에 후배를 위하여 섬길 것을 결단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의도한 것은 소규모교회들이 캠프 프로그램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도록 도왔다. 캠프프로그램 가운데 놀이 프로그램, 공동체 훈련, 강의와 설교는 필자가 담당하였고, 모임별 성경공부, 찬양, 상담, 생활지도 등은 교사와 자원봉사자들이 나누어 진행하여 아이들로 하여금 필자가 진행하는 캠프라는 생각보다 교회 스스로 진행하는 캠프라는 생각이 들도록 하였다. 이렇게 진행된 캠프로 인해 소규모 교회들이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성도가 관심을 가지고 진행된 캠프가 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성도들은 앞으로도 교회의 미래를 위하여 아이들에게 많은 관심과 기도로 도와주겠다는 것이다. 둘째로 교사의 자신감 회복이었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는데 해야 할 일들이 나누어지고, 교육을 통하여 사전 준비를 하게 되니 마음속에 자신감이 생기더라는 것이다. 셋째로 자원봉사자들이 후배들을 향한 진한 사랑이 싹트게 되었고, 봉사의 기쁨을 배웠다는 것이다. 아이들의 경우 소규모 집단 캠프를 통하여 시간이 여유로웠고, 관계에 어색함이 없어서 서로가 더 가까워지는 경험을 하였다고 고백하였다. 캠프는 교육목표를 이루기 위한 집중적이고 축약된 교육으로 짧은 시간 동안 효과적이고 연속적인 교육을 통해 건강하고, 영적이며, 공동체적 인간을 세울 수 있게 한다. 소규모 교회의 활성화를 이루기 위해 어려운 가운데서도 자체적으로 캠프를 활용할 경우 짧은 기간 동안 그 목적한 바를 이룰 수 있도록 도와준다. 많은 소규모교회들이 캠프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가운데 캠프 사역을 잘 활용하여 교회 교육에 자립을 꾀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고, 교회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