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3.11 이후 일본의 원폭 영화 : 「어머니와 산다면(母と暮せば)」, 「태양의 아이(太陽の子)」를 중심으로

        김성운 ( Kim Seong Un ) 현대일본학회 2022 日本硏究論叢 Vol.56 No.-

        1945년 원폭의 쓰라린 경험은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경계가 아닌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즉 전면적인 원전 건설 정책으로 이어졌다. 2011년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이러한 전후 일본 원자력 정책에 대한 비판으로 연결되었고, 그것의 출발점이 된 히로시마ㆍ나가사키 원폭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재고를 촉발했다. 이러한 담론적 지형에서 원폭 관련 일본 영화들은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어머니와 산다면」은 원폭 투하의 주체가 미국이며, 일본은 미국과 무모한 전쟁을 벌임으로써 원폭 피해를 자초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태양의 아이」는 일본 역시 미국과 마찬가지로 전시에 핵무기 개발에 뛰어들었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일본이 핵 에너지의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가 되었을 수도 있었다는 사실을 상기시켰다. 이 두 영화는 원폭의 피해를 운명으로 받아들이며 전쟁의 맥락을 소거하고 그 속에서 일본인을 피해자로 그리는 ‘피폭 내셔널리즘’에 균열을 일으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원폭의 의미에 대한 재고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인간의 잘못으로 벌어진 ‘인재’로 여겨지고 있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The painful experience of atom bombings of Hiroshima and Nagasaki in 1945, rather than pushing the Japanese away from nuclear energy, worked as a catalyst for “atoms for peace”. In other words, it meant a total embrace of the nuclear energy policy. The March 11, 2011 (3.11) nuclear crisis at the Fukushima Daiichi plant led to criticism of Japan’s post-war nuclear policies, resulting in a general re-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meaning of Hiroshima and Nagasaki,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of such policies. On this discursive terrain came a new generation of Atomic (A)-bomb-related films that set themselves apart from their pre-3.11 counterparts. Nagasaki: Memories of My Son emphasized the fact that it was the United States (U.S.) military that dropped the bomb on Nagasaki, which was a result of the reckless decision made by the Japanese military to wage a war against the U.S. Gift of Fire reveals the history of Japan’s own nuclear weapon project during the war, reminding us that Japan could have been a perpetrator of nuclear weapons rather than the victim. Both films are meaningful works in that they attempted to revise the foundational narrative of “victims’ nationalism” that has described Japanese people as “victims” of nuclear weapons rather than “perpetrators of the war and colonial rule.” This revision of the history of A-bombs has much to do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Fukushima nuclear crisis as a man-made disaster.

      • ‘빛으로 대화하는 인터렉티브 아트’ STEAM 프로그램 개발

        김성운 ( Kim Seong-un ),현동걸 ( Hyun Dong-geul ),신애경 ( Shin Ae-kyung ),양경식 ( Yang Kyoung-sik ),임성만 ( Lim Sung-man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8 No.-

        인터렉티브 아트란 상호작용성을 바탕으로 관람객의 참여를 포함하여 작품의 의도를 완성하는 예술의 한 형태이다. 인터렉티브 아트 작품들은 주로 컴퓨터와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임, 열, 기상변화 등의 외부자극에 반응하도록 만들어져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인터렉티브 아트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지식과 기술, 인문학적인 지식과 미술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인터렉티브 아트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과학적 개념과 원리를 이용하여 창의적인 예술 작품을 만들도록 하여 과학적 소양과 예술적 감성뿐만 아니라 창의적 사고력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과학과 예술이 서로 융합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인터렉티브 아트를 활용한 초등 3-4학년군 STEAM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2009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3-4학년군 과학 ‘(3) 거울과 그림자’ 단원과 현대미술의 한 장르인 인터렉티브 아트를 결합한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빛’을 주제로 ‘빛으로 대화하는 인터렉티브 아트’라는 제목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총 6차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인 흐름은 보기→따라하기→버리기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보기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다양한 인터렉티브 작품을 감상하고, 이를 통해 인터렉티브 아트에 대해 이해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따라하기 단계에서는 보기 단계에서 감상했던 인터렉티브 아트 작품 중 빛을 이용한 몇 개의 작품을 학생들이 직접 모방하여 만들어 보는 과정이다. 마지막 버리기 단계에서는 지금까지 보거나 따라했던 작품 기법을 버리고, 학생 자신만의 창작 기법을 고안하여 ‘우리 고장’을 상징하는 인터렉티브 아트 작품을 만드는 과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대부분 그룹 활동으로 구성되어져 있어, 구성원들의 협력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특히 마지막 버리기 단계에서 학생들 자신만의 기법을 창안하기 위해서는, 그룹내 구성원들끼리 많은 토론과 시행착오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차시별 내용 구성을 살펴보면, 1∼3차시는 인터렉티브 아트를 보고 따라하기 단계로, 인터렉티브 광고를 통해 인터렉티브 아트 접하기, 작품 감상을 통해 인터렉티브 아트에 대해서 알기, 인터렉티브 아트 작품을 통해 빛의 직진과 반사 원리 학습하기, 인터렉티브 아트 따라하기, 그리고 인터렉티브 아트 작품 제작을 위한 생각 발전시키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4∼6차시는 인터렉티브 아트 작품 창작하기(버리기) 단계로, 프로그램의 목표 확인하기, 인터렉티브 아트 작품 설계 및 제작하기, 작품 전시회 및 작품제작 소감 발표하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성취할 수 있는 학습 목표는 내용 목표로 ‘빛의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을 중점으로 작품에 대한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를 설정하였고, 과정 목표로 ‘작품을 창의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공동의 과제해결을 위한 협동심을 기를 수 있다.’, ‘현대미술에 대한 흥미를 가진다.’를 설정하였다. 이 프로그램 내용에 사용된 STEAM 과목별 요소를 살펴보면, 과학(S)에는 ‘빛의 직진’, ‘빛의 반사’, ‘그림자’가, 기술(T)에는 ‘조명기구 제작’, ‘영상 장치의 이용’이, 공학(E)에는 ‘빛의 성질을 인터렉티브 아트작품으로 구현하기 위한 실제’가, 예술(A)에는 ‘인터렉티브 아트’, ‘미적 표현’, ‘예술가적 창의성’이, 수학(M)에는 ‘작품설치 및 전시회를 위한 공간적 구성과 배치’, ‘관객참여를 위한 적절한 작품의 크기 및 형태 구상’이 사용되었다.

      • KCI등재

        빛의 굴절 현상의 설명에서 나타나는 시각주의와 비과학적 설명의 유형 - 시선추적 연구

        김성운(Seong-Un Kim)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0 Brain, Digital, & Learning Vol.10 No.4

        In this study, The visual attention and types of unscientific explanations that appear in the explanation of refraction phenomena were investigated. 22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third-party perspective tasks and observer perspective tasks related to the refraction of light were present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visual attention shown in the explanation and explanation of the phenomen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visual attention of the groups that gave scientific explanations about the refraction phenomenon of light and the group of unscientific explanations were different. In addition, it was more difficult to explain from an observer s perspective than from a third party perspective. The types of unscientific explanations were explained in the third party perspective task that light emanates from the eye and moves forward to the object, and in the observer perspective task that light travels along the object and assumes an arbitrary observer at a specific location in the photograph.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for the transfer of the concept of refraction of light and its application in real context requires to integrate the third-party perspective and the observer perspective into instruction.

      • KCI등재

        교육실습에서 시선 비디오를 활용한 교수 반성의 담화 분석

        김성운(Seong Un Kim),양일호(Il Ho Yang)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19 Brain, Digital, & Learning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alogue in the instructional reflection using the gaze videos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teaching practice. 4 pre-service teachers (3 females, 1 male) were instructed to wear a eye-tracking device during 4 weeks of teaching practice, and one instructional reflec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gaze video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of discourse contents, and analyzed by qualitative categoriz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discourses such as teaching materials, teaching behavior, student behavior, and other lessons were mainly expressed in the reflection of the gaze videos. And as the number of weeks of class reflection increased, it gradually became more educational. In addition, the gaze videos made it possible to infer the situation, actions, and thoughts of the time, and made it easier to grasp the students expressions and actions. Also, the teacher could recognize the scenes that were not recognized at that time, and they was able to grasp the problem of teaching behavior objectively. And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and improve gaze treatment and allocation due to the indication of the gaze position.

      • KCI등재

        1960년대 일본의 낮시간대 TV 멜로드라마와 젠더 정치

        김성운(Kim, Seong-Un) 일본사학회 2019 일본역사연구 Vol.49 No.-

        After the success of Fuji TV’s Nichinichi no haishin in 1960, TV stations concentrated melodramas that depicted extramarrital affairs and tragic romance at 1pm time slot to grasp the hearts of housewife viewers. This popularity of the afternoon TV melodramas had much to do with the creation of the middle class society that was represented by the contruction of ‘danchi’ apartment complexes. During the Cold War, the “free world” made great efforts to create middle class societies in suburbia because the lifestyle of the new suburban middle class became the centerpiece of the ideological effort of the capitalist societies. Japanese government also strove to create a strong middle class society through the construction project of the ‘danchi’ apartment. In the newly created middle class society, housewives were often described as queens in the home who efficiently managed household, using a variety of consumer electronics offered by the capitalism. Through “New Life Movement,” postwar Japanese government and corporations emphasized the central role of housewives in the construction of rational and modern households. However, real life housewives suffered despair and solitude when they faced the reality where they had to perform their domestic role given by the postwar society without any help. This situation created a fertile ground for the popularity of TV melodramas. Helped by the everyday scheduling that encouraged habitual watching, afternoon melodramas invited housewives to romantic daydreams. However, these melodramas failed to offer criticism on and resistance against the existing family system and gender role while presenting female protagonists as victims of the situation or the bearers of ultimate maternal virt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