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행위자의 주관과 객관의 이중성은 어떻게 양립가능한가?

        김선희(Sun-Hie Kim)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3

        주관적이면서 객관적이기도 한 인간의 이중적 본성이 양립한다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김재권은 행위론에서 바로 이 문제를 제기한다. 인간 행위에 대한 기존의 대표적인 이론들, 인과론과 비인과론은 행위를 바라보는 주관적 관점과 객관적 관점을 이원적으로 분리하거나 어느 한쪽으로의 환원을 시도한다. 필자는 주관과 객관의 양립가능성 문제에 접근하는 기존의 모델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새로운 대안을 제안할 것이다. 여기서 이 문제를 해명하기 위한 시도의 하나로 김재권의 투사 및 시뮬레이션 모델을 검토하고 그것이 갖는 설명력과 한계를 논의한다. 나아가 필자가 고안한 시뮬레이션 집단사고실험 모델은 그러한 한계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주관과 객관의 이중성을 해명하는 하나의 모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논의할 것이다. How can we explain that the dual nature of human beings,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is compatible? Kim Jaegwon poses this problem from his action theory. Existing representative theories of action, causal theory and non-causal theory, attempt to divide the subjective viewpoint and the objective stance of agents into two, or try to reduce to one side. I will critically review existing models approaching the issue of compatibility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and suggest new alternatives. Here, I examine Kim’s projection thesis and simulation model and discuss its explanatory power and limitations. Furthermore, I will argue that the model of group simulation thought experiments I designed can be a model for explaining our dual nature of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by showing that it can solve such limitations.

      • KCI등재후보

        톨스토이의 참회록에 나타난 의미의 위기에 대한 철학상담

        김선희 ( Kim Sun-hie )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2010 철학 실천과 상담 Vol.1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참회록』에 나타난 톨스토이의 위기를 철학상담의 관점에서 재조명함으로써, 삶의 의미 위기에 대한 철학상담의 가능성을 모색하려고 한다. 실제로 우울증과 자살충동의 위기를 겪었던 구체적이고 역사적인 톨스토이의 사례를 통해, 삶이 무의미해지는 의미의 위기 문제를 철학상담은 어떻게 다룰 수 있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먼저 의미의 위기 문제가 어떤 성격의 문제인지 살펴 본 후, 톨스토이가 의미의 위기를 극복해낸 방법을 추적하고 분석함으로써 그것은 일종의 철학상담이며 철학적 자기치유의 과정이었다는 것을 논의한다. 그리고 의미의 위기 문제에 대하여 기존의 심리치료와 철학상담 사이에 존재하는 접근방식의 차이를 대조하고 철학상담 고유의 특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나아가 톨스토이의 위기에 대한 스티븐 시걸의 하이데거적 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필자의 대안적 해석에 의한 철학상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the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bout the crisis of meaninglessness in the Tolstoy’s Confessions. How can the philosopher as a counselor help a counselee in dealing with the problem of meaninglessness? I will argue that the way in which Tolstoy resolved his own problem is a kind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a process of philosophical self-therapy. I will do this by comparing psychotherapeutic and philosophical approaches to meaning crisis like Tolstoy’s case. I also critically examine S. Segal’s Heideggerian interpretation of Tolstoy’s crisis, then suggest my alternative philosophical counseling model or interpretation of Tolstoy’s meaning crisis.

      • KCI우수등재

        철학적 꿈분석 방법론을 적용한 상담사례와 그것의 실천적 효과

        김선희(Sun-Hie Kim) 한국철학회 2014 철학 Vol.0 No.121

        이 논문에서 필자는 그동안 연구해온 철학적 꿈 분석의 방법론에서 출발하여, 그 방법을 적용한 꿈 사례들을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그것의 실천적 효과를 검토하려고 한다. 즉 이 논문의 목표는 철학적 꿈분석 방법의 실천적 적용을 통하여 철학상담에서 어떻게 꿈을 다룰 수 있으며 철학적 대화를 통하여 꿈을 분석하는 것이 상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또한 그것의 효과는 무엇인지 논의하는 것이다. 나아가 실제의 상담 맥락에서 꿈분석 모델을 적용하고 그것의 실천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철학상담에서 꿈의 주제를 다룰 수 있는 방법의 실천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천적 목표를 위하여 필자는 철학적 꿈분석 방법을 적용한 상담 사례들을 다루는 것에 초점을 둘 것이다. 즉 6개가량의 사례를 통하여 어떻게 꿈에 대한 철학적 분석이 이루어지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주며, 나아가 꿈을 내담자가 처한 문제 상황이나 상담의 맥락과 연결시켜 분석함으로써 철학상담에서 꿈의 대화가 갖는 중요한 역할 내지 효과를 실천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그리하여 철학상담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꿈을 다룰 수 있으며 철학적 분석이 지향하는 꿈의 역할과 의의가 무엇인지 논의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start with the methodology of philosophical dream analysis which I have researched. And I examine the roles and effects of philosophical dialogue of dreams. I will discuss practical effects of philosophical dream analysis by analyzing cases of dreams which apply the methodology in the contex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So I will provide the practical bases for dream analysis (or dream interpretation) by philosophical dialogue. For the purpose,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case study of dream analysis. I deal with the cases of six dreams which apply philosophical dream analysis in practice. Through analysis of cases, I show concretely how counselee"s dreams can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her/his life history, and then I evaluate practical effects of philosophical dream analysis. It offers reflection on their values and world view, and profound insights for counselees. As a result, they could have found a clue to solve their own problems. Therefore, I assert that my model of philosophical dream analysis is an important way which increase counselee"s self understanding by philosophical dialogue of dreams.

      • KCI등재

        철학적 사고실험을 적용한 상담사례 분석

        김선희(Sun Hie Kim) 철학연구회 2012 哲學硏究 Vol.0 No.97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practical effects of philosophical thought- experiments by analyzing philosophical counseling cases which apply thought experiments in practice. So I will argue that philosophical thought-experiments model is an important way which we can use rich philosophical thoughts in the process of counseling. The method of philosophical thought-experiments applies abstract thought to concrete level of actual situations in the counseling process. It connects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general-abstract level and a more concrete level in client`s specific problem situations. Philosophical thought-experiments stimulates counselees to reexamine their own desire-belief-value system, and to formulate their problems clearly. Philosophical thought-experiments I applied to these cases in practice are ``thought experiment of eternal life``, ``to overcome the fear of death``, Nietzsche`s eternal recurrence thought experiment, ``to regret in the future viewpoint``, ``to maintain a sense of self-worth``, ``to find the reason of life, and so on. I used these thought experiments in the group counseling and individual counseling, then I analyzed the results of cases of counseling and examined practical effects of philosophical thought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quite interesting. The analysis shows that practical effects of philosophical thought experiments depend on clients`s situations. A thought experiment offers various practical effects to clients/visitors: to deepen their own understanding, to switch their thinking structure, to provide new insights, or to reflect on their values and worldview, and so on. As a result, they could have found a clue to solve their own problems. In a sense, a thought experiment functions effectively in a manner necessary to each of the visitors/counselees.

      • KCI등재후보

        삶의 의미상실에 대한 철학상담 : 철학적 사고실험을 적용한 상담사례

        김선희 ( Sun-hie Kim )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2011 철학 실천과 상담 Vol.2 No.-

        이 논문은 철학적 사고실험을 이용한 철학상담의 한 사례를 다룬 것이다. 여기서 다룬 사례연구는 삶의 의미를 상실하고 우울증에 빠진 내담자와 수행한 철학상담을 토대로 한 것이다. 나는 그녀의 우울증이 삶의 의미상실(혹은 의미 위기)로부터 나온 ‘철학적 우울감’이라는 것을 보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사례를 통하여 철학적 사고실험이 상담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내담자에게 어떻게 도움을 주었는지 보여 주려고 했다. 이 상담 사례의 경우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철학적 사고실험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녀와의 철학적 대화에서 특히 쇼펜하우어와 톨스토이의 사상으로부터 구현한 두 가지 사고실험이 효과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즉 쇼펜하우어 사상으로부터 구현한 사고실험은 그녀가 집착하는 것의 실체를 알게 해 주었다. 또한 톨스토이로부터 구현한 사고실험은 (의미상실의 문제와 연관된) 자신의 우울증의 성격을 이해하고 삶의 방향을 찾는데 도움을 주었다. In this paper, I will deal with a case of philosophical counseling by philosophical thought-experiments. This case is about the counselee who is suffering from depression, the crisis of meaninglessness. I try to show that her depression is not psychological but philosophical. In order to cure my counselee who is suffering from insignificant of life, I use philosophical thought-experiments in the process of counseling. The method of philosophical thought-experiments applies abstract thought to concrete level of actual situations in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process. The role of philosophical thought-experiments stimulates counselees to reexamine their own system of values and to formulate their problems. In this case, I applied two thought-experiments ――constructed from the thoughts of Schopenhauer and Tolstoy―― to philosophical dialogue with my counselee, and the two philosophical thought-experiments functioned effectively.

      • KCI우수등재

        소통과 치유의 공동체는 어떻게 가능한가?

        김선희(Sun-Hie Kim)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2

        이 논문에서 필자는 대화가 자기인식 및 자기이해에 기여한다는 존 하드윅의 논의에서 출발하여, 대화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자기이해를 돕는 소통과 치유의 공동체 모델을 탐구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집단철학상담의 대화공동체를 모델로 삼아, 진정한 대화와 소통은 치유공동체로 발전해 나가는 출발점이 된다는 것을 논의하고자 한다. 즉 진정한 대화는 단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기이해와 자기인식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 나아가 자기이해를 증진시키는 대화공동체는 치유공동체로 발전해 나갈 수 있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여기서 소통과 치유는 별개의 독립적인 문제가 아니라 긴밀한 연관을 갖는다는 것이 드러날 것이다. 나아가 집단철학상담의 사례를 통해, 어떻게 한 공동체는 소통과 치유의 공동체로 발전해 나갈 수 있는지 그 조건들을 검토하고 논의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will start with John Hardwick’s argument that dialogue contributes to self-knowledge, and I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mmunity of dialogue and healing that helps self-knowledge by analyzing the nature of dialogue. Specifically, through the model of group philosophical counseling, I will argue that genuine dialogue and communication is a starting point for developing into a healing community. In other words, true dialogue is not just for communication, but also for promoting self-understanding and self-knowledge. It will also show that dialogue communities that promote self-understanding can develop into a healing community. Here it will be revealed that communication and healing are not separate independent problems but have a close connection. Furthermore, through cases of collective philosophical counseling, I will review and discuss the conditions of how communities can develop into communities of communication and healing.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신체전송과 개인동일성의 문제

        김선희(Sun-Hie Kim) 한국철학회 2004 철학 Vol.80 No.-

        노버트 위너는 개인의 신체정보를 전송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래대로 그 신체를 복구한다는 신체전송의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신체전송의 개념은 시공적인 한계와 물리적 육체의 한계를 뛰어넘어 동일한 개인이 살아남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개인 동일성과 영생에 대한 특정한 전망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그러한 생각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신체전송의 사고실험에 나타난 개인의 동일성과 영생의 개념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우선 신체전송의 과정을 올바로 이해할 때, 신체전송은 신체와 두뇌정보 전체를 복제하는 모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그 경우 영생의 조건인 개인의 동일성을 유지하는 데 실패한다는 것을 논의한다. 즉 나의 신체를 전송하여 그 과정에서 살아남은 것은 내가 아니라 나의 복제체일 따름이라는 것을 논의한다. 그렇다면 신체전송의 사고실험은 그자체로 신체동일론에 대한 반례가 되지 않는다. 즉 신체전송을 통하여 나의 동일성이 유지되지 않았다면 신체전송은 신체동일론을 반박하는 사례가 아니다. 나아가 신체전송의 사고실험을 몇가지로 변형할 경우, 오히려 그 사고 실험의 결과들은 신체동일론을 더욱 지지하거나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을 논의한다. 그리고 신체전송과 유사한 복제의 사고실험을 해석함에 있어서, 객관적 관점에서의 식별불가능성이라는 반론에 대응하여. 답변한다. 여기서 〈기억과 행위의 신체성〉 논제를 통하여, 주관적 관점만이 아니라 객관적 관점에서도 나와 나의 복제체 사이에 의미있는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신체전송의 방식으로 영생 내지 불교의 윤회를 설명하려는 시도에 대하여 고찰하고, 그러한 영생의 개념이 왜 잘못된 것인지 논의한다.

      • KCI등재후보

        고통에 대해 어떻게 말할 것인가?

        김선희(Kim, Sun-Hie)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5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4

        이 논문의 주제는 고통에 대해 올바르게 말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무고한 자의 고통이나 의로운 자가 당하는 고통을 생각할 때, 우리는 고통의 문제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부조리한 인간의 고통에 대해 우리는 어떻게 말해야 하는가? 또한 우리는 타인의 고통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자신의 고통에 대해 어떻게 말해야 하며,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나아가 오늘날 불의한 고통을 호소하며 철학 상담소를 찾아온 내담자와 어떻게 대화할 수 있을까? 그런 내담자를 위해 철학 상담은 무엇을 할 수 있으며, 어떻게 위안을 줄 수 있는가? 이 글에서 나는 의로운 자의 고통을 상징하는 욥의 발화를 분석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고통에 대해 올바로 말하는 방식에 관해 논의할 것이다. 성서의 욥기에서 출발하되 고통에 대해 올바로 말할 수 있을 때 유신론자와 무신론자 사이에 열리는 대화의 가능성을 타진할 것이다. 또한 철학은 고통 받는 이에게 어떻게 위안을 줄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철학이 주는 위안의 성격이 무엇인지 논의할 것이다. 나아가 신학과 철학 텍스트 간에 사유의 상호교차 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유신론자든 무신론자든 오늘날 무고한 고통을 호소하며 철학 상담소를 찾는 내담자를 위해 철학은 고통의 문제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discuss the way we should talk about the unjust suffering. My question is based on Job text of the Old Testament that deals with the problem of unjust pain. How should we deal with the problem of unjust pain? How should we say about the irrational, unreasonable, and unjust suffering? If we consider the unjust suffering like Job"s, the way we talk about the pain should be changed. It is not the question of justifying the existence of evil and unjust suffering, but the question concerning the healing and consolation for sufferers. We should shift our concern from theoretical questions regarding the justification of human suffering to practical questions regarding consolation of human suffering. Furthermore, I discuss how philosophy could comfort for clients which lament over their unjust sufferings, and what the nature of philosophical consolation is. Then I try to explore how to comfort innocent sufferers which visit philosophical counselor in these d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