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독일의 Floral design 나타난 Floral design 작품의 색채현황 비교

        김샛별(Saetbyul Kim),유선(Yoosun Kim)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독일 Floral design 색채에 관한 학문적 연구의 역사가 깊고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독일의 Floral design의 색채현황을 비교하여 우리나라 Floral design 색채이용하고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한국과 독일의 대표적인 전문 Floral design 잡지책 1종류씩을 선택하여 Floral design 작품에서 나타나는 색채를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의 색상(hue)과 색조(tone)를 조사하였다. 한국과 독일의 Floral design에서 나타나는 주조색(Yellow Red, Yellow, Green Yellow), 보조색(Yellow Red, Yellow, Green Yellow), 강조색(Red, Red Purple)은 두 나라간 색상이 동일하였다. 한국과 독일의 색조는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은 유사한 부분도 있었으나 조금씩은 다르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한국은 독일에 비해 채도가 높고 선명한 색조인 vivid, very pale이 많이 나타났으며, 독일은 반면 채도가 낮고 차분한 색조인 dull, light가 많이 나타났다. 또한 독일은 한국에 비해 색조를 선택한 분포가 다양하고 많았다. 이와 같이 한국과 독일 Floral design에서 나타나는 색상은 유사하였지만 색조가 다르게 나타나 그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색채는 그 나라의 전통, 문화, 기후에 따라 선호도가 다르며 이는 개인과 집단, 지역성, 더 나아가 국가에 따라 그 차이가 색채 선호도에 반영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 이를 더 심화 보충 할 수 있는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hue and tone of dominant colors, assorted colors, and accent colors in Floral design works. The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Floral design works in a leading journal of Korea and Germany. Dominant colors, assorted colors, and accent colors in both countries were the same (dominant colors were Yellow Red, Yellow, and Green Yellow, and assorted colors were Yellow Red, Yellow, and Green Yellow, and accent colors were Red and Red Purple). The tone of dominant colors, assorted colors, and accent colors differed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case of Korea, colors were vivid and very pale while works in Germany had a low chroma such as dull and light colors. The range of tone in Germany"s works varied more than those of Korea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reference for color differed according to tradition, culture, or climate.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study Floral design associated with this result.

      • 기후변화를 고려한 미래 융설이 유역 수문-수질에 미치는 영향 평가

        김샛별 ( Saetbyul Kim ),하림 ( Rim Ha ),신형진 ( Hyungjin Shin ),성준 ( Seongjoon Kim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본 연구에서는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3대 대설지역에 속하는 다목적 댐 충주댐 유역(6,642.0km<sup>2</sup>)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융설이 수문과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융설모의를 위하여 주요 매개변수를 구축하였으며 그 중 첫 번째 매개변수인 적설면적감소곡선 (Snow Cover Depletion Curve; SCDC)을 10년 (2000-2010) 동안의 Terra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SWAT내에 적용되는 매개변수인 눈이 50% 피복 일 때 snow volume은 연 평균 0.47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매개변수는 강수에서 강설로 변할때의 초기 온도이며 강수량으로부터 강설량으로의 전환을 위해 물당량비를 사용하였으며 강설발생온도는 평균 -6.91로 분석되었다. 이를 SWAT 모형에 적용하기 위하여 다지점 검보정을 통한 모형의 적용성 평가 결과, 모형 효율성 계수는 수문의 경우, *.**으로 나타났으며 수질의 경우, 0.**으로 모의치가 실측치의 경향을 잘 반영 하였다. 미래 기후자료는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제 5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를 위해 생산된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대표농도경로) 기반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중 기상청에서 제공한 RCP 4.5와 RCP 8.5 시나리오(한반도 영역; 12.5km)를 이용하였다. 미래 기간은 기준년 (1980-2010)을 바탕으로 2040s (2020-2059), 2080s (2060-2099)의 두 기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미래 강수량은 봄과 여름에 증가 추세를 나타내었고 온도는 최대 4.01℃까지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을 이용한 유출 및 환경 부하량의 전망을 목표로 하여 미래 기후변화를 고려한 융설이 대설지역에 속한 다목적댐에서의 유출과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 SWAT모형을 이용한 충주댐 유역의 폭설에 따른 융설 영향 평가

        김샛별 ( Saetbyul Kim ),신형진 ( Hyungjin Shin ),정혁 ( Hyuk Jung ),이재응 ( Jaeeung Yi ),광섭 ( Kwangsub Kim ),성준 ( Seongjoon Kim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본 연구에서는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충주댐 유역(6,581km2)을 대상으로 폭설이 융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난 30년 겨울철동안(Oct-Apr, 1981-2010) 충주, 대관령, 영월 등 6개의 기상관측소에서 측정한 일별 최심신적설량을 이용하여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기상청의 대설특보 기준에 따라 대설주의보(5cm 이상)와 대설경보(20cm 이상)가 발령됐던 기간으로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빈도와 강도를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통계적 경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30년 이상 자료보유기간을 가진 기상 관측소 6개의 연별 총 적설자료를 Mann-Kendall과 Hotelling-Pabst 검정을 적용하였다. 모형의 융설 관련 매개변수 준비를 위해 Terra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위성영상에 의한 적설분포지역으로 추출하고, 최심적설 자료를 대상으로 DEM (Digital Elevation Model)을 이용하여 고도에 따른 적설 증가율을 고려한 IDW (Inverse Distance Weighting) 기법을 적용하여 대상유역의 적설심분포도를 구축하였다. 구축한 융설매개변수를 적용하여 30년 (1981-2010)의 융설을 검ㆍ보정하고 폭설기간이 융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보고자한다.

      • 중국 신진 사진작가들의 작품 색채 경향 분석

        WANG ZIYUE,김샛별(Saetbyul Kim),유선(Yoosun Kim),영화(Younghwa Kim) 한국색채학회 2022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2

        인터넷플랫폼의 출현과 발전으로 사람들의 소비습관이 바뀌었고 이미지라는 매개체가 특히 중요해졌다. 상업사진에서 이미지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조합하여 최종적으로 시각적인 언어로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제작자는 소비자와의 소통과 공감 형성을 위한 이미지를 제작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인터넷플랫폼에서 상업사진 발전방향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조사로 중국 신진 사진작가들의 작품 경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국가에서 수여하는 상을 수상한 중국 신진 사진작가 4인을 선정하여 작품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플랫폼에서 더욱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상업사진 색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몇 가지 Aglaonema의 조명에 따른 색채의 비교 분석

        유선(Yoosun Kim),김샛별(Saetbyul Kim)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1

        식물선정은 실내장식용 분화 중 이용률이 높고 인기 있는 아글라오네마(Aglaonema)를 선정하였고 광은 주광(Day light)을 기준광(대조구)으로 3가지 조명(Ultraviolet Source-UV, Incandescent Illuminant A-HOME, Cool White Fluorescent TL84-STORE) 아래서 식물의 잎을 색측기(X-rite Eye-One Xtreme iO bundle)를 이용하여 측색 후 비교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Y계열의 아글라오네마 잎의 색상이 조명에 따라 가장 변화가 적었으며, YG계열과 G계열의 아글라오네마 잎 색상들은 상대적으로 명도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Day light, Store light에서는 색상(hue)과 톤(tone)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Home light와 UV lignt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광원의 특성과 식물색채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가 연출되거나 그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베고니아 식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물과 광원을 이용한 연구와 조명에 따라 색채의 변화와 함께 식물의 생장변화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성과 공동체의식 간의 종단적 관계 검증

        박수원(Park, Soowon),김샛별(Kim, Saetbyul)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통해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성과 공동체의식의 상호적 인과관계를 확인하는 데 있다. 사회적 관계성의 경우 교우관계, 교사관계, 부모관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공동체의식의 경우에는 자신이 직접 만나는 타인과의 관계에서가 아닌, 사회와 세계를 위한 공동체의식으로 개념화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자료 중 3차, 4차, 5차년도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적 관계성과 공동체의식은 서로 영향을 미치는 상호인과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교우관계, 교사관계, 부모관계의 질이 공동체의식을 높이는 원인 변인으로 역할하며, 동시에 공동체의식 또한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성을 높이는 변인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공동체의식이 사회적 관계성을 높이는 변임임을 확인함으로써 공동체의식을 향상시키는 교육적 처치들을 통해 청소년의 직접적인 사회적 관계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이 현실에서 마주하는 직접적인 사회적 관계의 질이 어떠한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청소년의 공동체의식함양을 위한 교육적 개입 시 교우관계 뿐만 아니라 교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증진에도 초점을 맞춘다면 효과가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reciprocal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and a sense of community by means of autoregressive cross-legged modeling. Social relationships have been examined through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peers and teachers. A sense of community has been conceptualized through a number of different dimensions, such as societies and the world, with the exception of direct personal relations. According to the 3rd, 4th, and 5th years panel data,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gathered from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involvement and a sense of community are interdepend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adolescents’ social relationships can improve the sense of community and vice versa. Therefore, social relationships are important in adolescents’ sense of socie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f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focus on improving one’s relationships with others, especially with one’s peers, it will enhance the subjects’ sense of community.

      • 충주댐 유역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수질개선 방안

        유영석 ( Youngseok Yu ),박종윤 ( Jongyoon Park ),신형진 ( Hyungjin Shin ),김샛별 ( Saetbyul Kim ),정충길 ( Chunggil Jung ),해도 ( Haedo Kim ),이광야 ( Kwangya Lee ),성준 ( Seong Joon Kim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기후변화에 의한 미래 기온의 상승과 강수량의 패턴변화는 증발산이나 토양수분 등의 변화로 이어져 궁극적으로는 물 순환의 변화를 초래하며 유출량 변화로 이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유역의 유출특성변화는 비점오염원에 의한 오염 물질의 거동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그로인한 하천 및 호소 수질, 수생태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주댐 유역(6,585 km2)을 대상으로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 모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가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수질개선 방안으로 최적관리기법 적용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효과를 모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에서 제공하는 A1B, B1 배출시나리오를 포함하는 MIROC3.2 hires모형의 결과를 과거 30년(1977-2006, baseline period) 기후 자료를 바탕으로 편이보정(bias correction)과 Long Ashton Research Station - Weather Generator(LARS-WG)를 이용하여 Downscaling 하였다. SWAT 모형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6년(1998-2003) 동안의 일별 유출량 및 월별 수질자료(SS, T-N, T-P)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 및 검정을 실시한 후, Downscaling된 MIROC3.2 hires의 A1B, B1 시나리오에 대해 2040s, 2080s로 대변되는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SWAT모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가 미래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수질개선 방안으로는 유역의 비점오염 유출 특성에 따른 Best Management Practices(BMPs)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BMP 시나리오는 Streambank Stabilization, Porous Gully Plugs, Recharge Structures, Terrace, Contour Farming이며, 목표수질을 환경부 하천수질환경기준(환경부고시 제2006-227호)의 Ⅰa(매우좋음)~Ⅰb(좋음)으로 설정하여 BMP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하천수질 개선효과를 모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의한 수자원의 변동성뿐만 아니라 하천수질 변화를 예측하고,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수질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미래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소양강 유역의 유출량에 대한 SWAT모형의 예측불확실성 분석

        조형경 ( Hyungkyung Joh ),박종윤 ( Jongyoon Park ),신형진 ( Hyungjin Shin ),김샛별 ( Saetbyul Kim ),이준우 ( Junwoo Lee ),성준 ( Seongjoon Kim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은 수자원 관리 계획이나 정책의 변화를 결정하는 등 그 적용 범위가 매우 광범하며, 모형의 적용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검ㆍ보정 과정과 불확실성 분석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흥하기 위해 최근 수문 모델의 불확실성을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개발 되었으며,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소양강 유역(2783.3 ㎢)을 대상으로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모형의 매개변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예측불확실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때 사용된 분석 기법으로는 SUFI2 (Sequential Uncertainty FItting algorithm 2), GLUE (Generalized Likelihood Uncertainty Estimation), ParaSol (Parameter Solution)등을 적용 하였다. 이러한 기법은 모두 SWAT-CUP (SWAT-Calibration Uncertainty Program, Abbaspour, 2007) 모형에 탑재 되어있으며, 모형의 결과로써 검ㆍ보정,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각종 목적 함수 및 불확실성의 범위 등이 자동으로 산출 되므로 모형의 사용자가 불확실성 평가를 손쉽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출량 대한 매개변수를 조절함으로써 불확실성의 범위를 나타내는 지표인 p-factor, r-factor 및 95PPU (95 Percent Prediction Uncertainty)등을 산정하여 각 기법의 모의 능력과 불확실성 추정능력을 비교 평가 할 것이다. 여기서 p-factor는 불확실성 범위에 실측치가 포함되는 비율이며, r-factor는 불확실성의 상대적인 범위로 각각 1과 0에 가까울수록 모의 기법의 성능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95PPU는 예측불확실성 범위를 뜻하며, 모의값의 상ㆍ하위 각각 2.5%를 제외한 값의 집합이다. 또한 각 검ㆍ보정지점에서 추정 된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각 소유역의 유출에 관련 된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SWAT모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줄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