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iazole 또는 Pyrazine유도성 Microsomal Epoxide Hydrolase의 순수정제: Epoxide Hydrolase-관련성 43 kDa 단백질의 유도증가

        김상건,Kim, Sang-Geon 대한약리학회 1993 대한약리학잡지 Vol.29 No.2

        Microsomal epoxide hydrolase (mEH)은 epoxide형 중간대사물을 해독화하는 효소이다. 본 실험실에서는 thiazole 또는 pyrazine을 rat에 투여할 때 mEH mRNA수준이 증가되고 mEH가 유도증가한다는 것을 밝힌바 있다(Carcinogenesis, Kim et al, 1993). 본 연구에서는 Thiazole처리를 한 rat의 간 microsome 분획으로 부터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mEH를 순수분리하였고, 이를 SDS-PAGE분석 및 N 말단 amino acid 서열분석으로 확인하였다. Pyrazine처리를 한 rat의 간 microsome분획에서는 mEH와 더불어 이와 관련된 43 kDa 단백질이 함께 정제되었다. 정제된 thiazole 유도성 mEH를 토끼에 주사하여 항체를 생산하였고, 이 항체를 이용한 immunoblot 분석을 하였을 때 간 microsome 분획의 mEH가 thiazole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10배, pyrazine 투여군에서 7배 증가하였다. Pyrazine처치한 rat의 간 microsome 분획에서는 mEH 관련성 43 kDa 단백질이 동시 유도증가하는 것을 면역화학적 반응으로도 확인하였다. 이때 Pyrazine으로 유도된 rat의 간 microsome 분획 또는 정제분획에 존재하는 43 kDa 단백질과 mEH의 비율은 1 : 15로 나타났다. 정제된 mEH와 43 kDa 단백질의 N 말단 amino acid 서열을 분석하였을때 43 kDa 단백질의 N 말단이 mEH와 동일하게 나타나 관련 단백질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mEN 유도현상에 종차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hiazole과 pyrazine을 각각 rabbit에 투여하였을 때 rabbit에서 는 mEH의 유도증가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pyrazine 투여군에서 43 kDa 단백질의 증가는 관찰 되었다. 본 연구는 thiazole 또는 pyrazine 투여후 mEH 발현이 유도증가되며, pyrazine 투여 후에는 mEH 및 이와 관련된 43 kDa 단백질이 동시유도되고, 이러한 mEH 유도발현에 rat와 rabbit간에는 종차가 있음을 보여준다. Liver microsomal epoxide hydrolase (mEH) is active in the detoxification of epoxide-containing reactive intermediate. Previous studies in this laboratory have shown that thiazole and pyrazine are efficacious inducers of mEH in rats with large increases in mEH mRNA levels (Carcinogensis, Kim et al, 1993). mEH was purified to electrophoretic homogeneity from thiazole-induced rat hepatic microsomes using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whereas another protein $({\sim}43\;kDa)$ was co-purified with mEH from pyrazine-induced rat hepatic micrsomes (200 mg/kg body weight/day, ip, 3d). The antibody raised from a rabbit against mEH protein purified from thiazole-induced rat hepatic microsomes appeared to specifically recognize mEH protein in rat hepatic microsomes, as assessed by immunoblotting analysis. Immunoblotting analyses revealed a 10- and 7-fold increase in mEH levels in the hepatic microsomes isolated from thiazole- and pyrazine-treated rats, respectively. Moreover, immunoblotting analysis showed cross-reactivity of the mEH antibody with a 43 kDa protein in pyrazine-induced rat hepatic microsomes and with co-purified 43 kDa protein in purified fractions. The ratio between the 43 kDa protein and mEH in pyrazine-induced rat microsomes or in purified fractions was ${\sim}1$ to 15.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 analysis of both purified rat mEH and 43 kDa protein revealed that 10 out of 12 amino acids in N-terminus of the 43 kDa protein were identical with the mEH sequence with two amino acid residues of the 43 kDa protein undetermined. Either thiazole or pyrazine treatment, however, failed to increase the levels of mEH protein in rabbits while pyrazine caused elevation of the 43 kDa protein in this species, as determined by irnrnunoblotting analysi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reatment of rats with either thiazole or pyrazine causes elevation in hepatic mEH expiession whereas pyrazine treatment results in induction of another mEH-related 43 kDa protein and that a distinct species difference exists between rats and rabbits in the induction of mEH by these xenobiotics.

      • KCI등재
      • KCI등재

        菩薩十地의 成立에 관한 考察

        김상건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2 No.-

        본고는 菩薩十地의 成立에 관해서 그 起源과 발달과정을 시대와 경전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불교에 있어서 成佛은 가장 궁극적인 목적이다. 그래서 깨달음의 내용과 과정에 대한 문제는 佛敎思想史에서 가장 핵심적인 교학으로 중요시 되고 있다. 菩薩十地는 대승불교에서 보살이 成佛에 이르기까지의 수행 과정을 10단계로 정리하여 조직한 實踐修行道이다. 그래서 본고는 기존의 논문을 바탕으로 하여 十地修行의 체계를 통해서 成佛論을 좀 더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각 十地說이 어떤 사상사적 의미 속에서 변화․발전되어 갔는가를 살피면서 중점적으로 華嚴十地의 특징을 고찰하였다.十地說은 梵文佛傳인『大事』에 十地의 명칭과 내용이 구체적으로 설해지면서,『大事』十地는 十地說의 起源으로 추정되고 있다. 여기서는 初地․二地 등의 보살의 行願도 項目的으로 揭示되었고, 또 보살이 그 地를 退失하는 인연조건도 서술되어 있다.『大事』十地는 전체적으로 本生菩薩인 석존의 전생을 그린 것으로, 후세의 十地와 비교하면 내용적으로 훨씬 소박한 것이다. 般若十地의 핵심은 大乘心을 일으킨 大乘菩薩이 般若空觀에 입각한 육바라밀을 수행하여 佛을 이루는 것이다. 그러나 大乘菩薩의 實踐修行道로서 般若十地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 먼저 육바라밀의 각 個條의 상세한 내용 설명이 없는 점과 七地까지의 수행과정이 모두 부파불교의 교리를 이용하고 있는 점, 그리고 一切에 대한 無執着의 空의 단순한 반복 등이다. 華嚴十地에서 보살의 理想은 원대한 誓願과 광대무변한 菩薩萬行의 실천이다. 보살만행은 華嚴十地의 가장 큰 특징으로, 華嚴十地에서 보살의 成佛은 궁극적으로 보살만행으로 성취된다고 할 수 있다. 般若十地가 空의 理法을 강조하여 菩薩行의 논리를 보여주고 있다면, 華嚴十地는 현실적인 실천의 菩薩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보살만행은 결국 십바라밀로 체계화되면서 기존의 十地說과는 분명한 차이를 나타낸다. 그리하여 마침내 華嚴十地는 大乘菩薩道를 완성하게 된다. The present essay has investigated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establishment of Daśabhumi of Bodhisattva based on the Buddhist scripture and the period. It is said that the ultimate aim in Buddhism is the enlightenment. Therefore, the contents and process of the enlightenment are considered as the most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s. The Daśabhumi of Bodhisattva is the practical path for the enlightenment in which the 10 stages of the Bodhisattva are explained and systematized. Hence, the paper has been aimed at examining the theory of the Enlightenment through the systematic stages of the Daśabhumi of Bodhisattva and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theory of the Avataṃsaka Daśabhumi focusing on the change and development in the aspect of the history of thoughts in which each theory of Daśabhumi of Bodhisattva had evolved. The names and contents of the Daśabhumi Theory is in detail described in the Mahāvastu and the theory of Daśabhumi in the Mahāvastu is considered as the origin of the Daśabhumi Theory. In the text, the stages as the first, the second and so on are enumerated by items and the conditions of failing to achieve the stages are also explained. The theory of Daśabhumi in the Mahāvastu describes the former life of the Buddha as the Bodhisattva by birth and comparing to the later theories of Bodhisattva, the contents of the Mahāvastu on the theory of Bodhisattva is quite simple. The crucial point of the theory of the Prajñā Daśabhumi is that the Mahāyāna Bodhisattva achieves the enlightenment through practising 6 Pāramitā based on the view of Prajñā śūnyatā, but there are shortcomings in the theory of Prajñā Daśabhumi as the path of the Mahāyāna Bodhisattva. The theory of Prajñā Daśabhumi does not have detailed explanation about the theory of Daśabhumi, the practices till the seventh stage base on the doctrines of the Sectarian Buddhism in the Hīnayāna, and it simply repeats the śūnyatā as non attachment on the universe. The ideals of Bodhisattva in the theory of the Avataṃsaka Daśabhumi is for magnificent vows and various practices of the Bodhisattva. The mature practices by the Bodhisattva is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the Avataṃsaka Daśabhumi and the enlightenment of the Bodhisattva in the theory of the Avataṃsaka Daśabhumi is ultimately achieved by the mature pratices by the Bodhisattva. The theory of the Avataṃsaka Daśabhumi emphasizes on concrete practices by the Bodhisattva, while the theory of the Prajñā Daśabhumi represents the logic of Bodhisattva emphasizing on the theoretical principle of the śūnyatā. The mature practices by the Bodhisattva are finally systematizes through the 10 Pāramitā and it reveals the difference from the former theories of Daśabhumi. Through this development of the theories of Daśabhumi, the theory of the Avataṃsaka Daśabhumi is completed as the path for the Bodhisattva.

      • Dimethyl-4,4'-dimethoxy-5,6,5',6',-dimethylenedioxybiphenyl-2,2'-dicarboxylate(PMC)의 약리작용에 관한 연구 : PMC와 마늘유복합제의 알콜성지방간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MC in Combination with Garlic oil against Liver Fat Infiltration in Rats

        김상건,류지연 德成女子大學校 藥學硏究所 1996 藥學論文誌 Vol.7 No.1

        Dimethyl-4,4′-dimethoxy-5,6,5′,6′-dimethylenedioxy-biphenyl-2,2′-dicarboxylate(PMC)의 간장보호효과 기전의 일부를 규명하기 위하여 PMC가 cytochrome P450(P450), microsomal epoxide hydrolase(mEH), glutathione S-transferase(GST) 효소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PMC를 5∼100㎎/㎏의 용량으로 5일간 투여한 후 간조직중의 효소발현을 측정하였을 때 P450 2B1/2 단백질발현이 PMC 투여용량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여 1일 50 또는 100 ㎎/㎏용량에서 4∼5배 증가하였다. P450 2E1의 단백질 양은 PMC를 고용량으로 투여한 군에서만 감소하였다. P450 1A1/2의 발현은 PMC투여에 의하여 변화하지 않았으나, P450 2C11은 PMC를 투여한 후 용량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mEH와 GST 단백질발현은 PMC투여 약물용량에 관계없이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PMC를 단독으로 EH는 garlic oil(GO)과 병용하여 투여할 때의 알콜성지방간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PMC와 GO (1:2 비율)의 혼합물 150㎎/㎏을 3일간 전처치하였을 때 ethanol투여로 유발되는 간장중의 triglyceride (TG) 함량증가를 대조군에 비하여 71%로 감소시켰다. PMC, GO를 각각 전처치할 때에는 isopropanol에 의하여 유도되는 TG 함량증가가 각각 50%, 0%로 감소되었으나, 이들 약제를 병용투여할 때는 감소되는 효과가 소실되었다. Ethanol로 유발되는 지방간 모델에서 cholesterol함량을 측정한 결과 PMC, GO 또는 PMC+GO를 전처치 한 동물군에서 cholesterol증가를 각각 22%, 33% 또는 26%로 감소시켰으며, isopropanol을 투여하여 유발되는 cholesterol의 함량증가는 동일한 전처치에 의하여 각각 30%, 0%, 80%로 저하되었다. 요약하면, PMC는 간장 대사효소중 P450 2B1/2를 유도발현하며, P450 2C11은 억제적으로 발현시키나, mEH, GST의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MC와 GO을 병용하여 투여할 때 지방간형성에 대한 약한 방어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Monoterpenoid계 약물에 의한 간 Glutathione S-Transferase의 유도발현

        김상건,유은영,정기화 德成女子大學校 藥學硏究所 1994 藥學論文誌 Vol.5-6 No.1

        향신료, 화장품 및 의약품에 사용되는 d-limonene (Li)이 glutathione S-transferases (GSTs)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보고는 있으나, limonene의 구조유사체인 α-pinene (Pi), geraniol (Ge) 및 cineole (Ci)의 효과에 관한 보고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Pi등이 rat와 mouse 간조직 중의 GSTs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면역화학적 분석 또는 효소활성도의 측정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GSTs는 친전자 xenobiotics와 glutathione과의 포합반응 등 생체내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을 갖는 dimeric phase Ⅱ 효소이다. Pi, Ge, Ci 및 Li 투여군의 rat 간 cytosol 분획을 SDS-PAGE로 분석하였을때 GST 이동부위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band 강도의 현저한 증가가 있었으므로 anti-GSTs 항체를 이용하여 immunoblot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색한 약물 모두가 GSTs의 수준을 corn oil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시켰으며, 특히 Pi와 Li투여군이 가장 강한 증가를 보였고 Ci와 Ge 투여군은 유도정도가 비슷하였다. 1-Chloro-2.4-dinitrobenzene에 대한 GSH 포합의 GST 효소활성도를 측정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Pi, Ge, Ci, Li이 각각 2.0, 1.6, 1.6, 1.9 배 증가하였다. GSTs의 subunit Ya, Yb_1, Yb_2 및 Yc의 발현정도를 immunoblot으로 분석하였을 때 모든 subunit에서 증가가 관찰되었다. Mouse에서 얻은 간 cytosol 분획에서는 다소의 증가가 있었으나 rat에 비하여 증가강도가 약하였다. 검색 약물 중 특히 Pi 투여군에서 유도가 강하였고, Ge 투여군에서는 GST의 유도가 없었다. Mice 간조직에서 GST 포합 효소활성도는 Pi, Ge, Ci, Li에 의하여 각각 3.0, 1.1, 2.0, 1.5 배로 증가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