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아동 그룹 홈 사례관리 구성요소에 대한 종사자들의 주관적 인식

        김봉선 ( Bong Sun Kim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4

        아동 그룹 홈은 대규모 집단 시설 위주의 아동복지정책이 가정을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보호 방식으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도입된 아동보호 형태이며, 점점 증가추세에 있다. 그러나 아직 그룹 홈의 구체적인 서비스 내용이나 방법에 대한 논의는 미약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 그룹 홈 사례관리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서 사례관리에 대한 종사자들의 인식을 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그룹 홈 종사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원 자료를 범주화 하여 분석하는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핵심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 참여자들은 개인적인 열정으로 일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아동과 그 가족을 통합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자원동원과 관련하여 비전문적인 인식을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여러 가지 상황적 한계로 인해 사례관리를 본격적으로 수행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인식을 형성하고 있었다. 따라서 향후 아동 그룹 홈에서의 체계적인 사례관리를 위해서는 대안 가정 혹은 대리 양육자로서의 전문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체계의 마련과 함께 물리적이고 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number of group homes for children is increasing as a new type of child protection introduced as a result of the transition of child welfare policies from residential institutions to community-based service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discussions of the contents or methods of group home services. Thus, as early research on the case management of group homes for childre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urvey workers` perceptions of case management and its key component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workers who were working at a group home for children and were analyzed through a thematic analysis. The major findings from the in-depth interviews are discussed below. Group home social workers perceived case management centering on children and their problems rather than on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ntegratively. In addition, they considered themselves unequal to case management and did not perceive a group home to be a facility that requires case management as a precondition. In conclusion, there should be efforts inside and outside group homes to carry out systematic case management focusing on clients` strengths.

      • KCI등재

        ARPE-19 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김봉선(Bong Sun Kim),최라영(Ra-Yeong Choi),반유진(Eu-Jin Ban),이준하(Joon Ha Lee),김인우(In-Woo Kim),서민철(Minchul Seo) 한국생명과학회 2022 생명과학회지 Vol.32 No.11

        황반 변성은 현대 사회에서 발병율이 급격히 증가한 질환 중 하나이다. 황반 변성의 대표적인 원인은 노화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로 널리 알려져 있고 최근 노령화로 인해 발병 연령은 40대부터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MH를 이용해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능 및 세포 사멸 억제 연구를 통해 눈 건강 개선 소재를 개발하였다. 먼저 TMH의 인간 망막색소상피세포 사멸 억제 효능 평가를 위해 MTS assay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H₂O₂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약 60%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TMH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사멸을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LDH release assay를 통해 세포막 보호 효능을 확인 하였으며 세포 내 ROS 측정을 통해 세포 내 활성산소종 조절을 통한 항산화 효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세포 생존과 사멸에 관여하는 세포 내 신호 단백질인 MAPKs의 인산화 조절, 항산화 효소인 HO-1 발현 조절, 세포 사멸 관여 단백질인 Bax/Bcl-2의 발현 그리고 cleaved caspase-3 단백질 분석을 통해 TMH의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그리고 세포 사멸 억제 경로를 확인 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 도출을 통해 TMH의 눈 건강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enebrio molitor larvae is well known as edible insect. Then, although it has been widely studied that Tenebrio molitor larvae has various bioactive functions such as antioxidant, anti-wrinkle, and anticancer. Nevertheless, antioxidant effects of Tenebrio molitor larvae water extract (TMH) has not been well described in Adult Retina Pigment Epithelial cell line (ARPE-19).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antioxidant effects of TMH against H₂O₂-induced oxidative stress in ARPE-19. Thus, we selected for our studies and performed a series of dose-response assay to determine the working concentration that lead to a consistent and high degree of cytotoxicity, which we defined as the level of H₂O₂ that killed 40% of the ARPE-19 cells. ARPE-19 cells were pre-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TMH (0.1 up to 2 mg/ml) before exposure to 300 μM H₂O₂. As we expected, TMH effectively prevented ARPE-19 cells from 300 μM H₂O₂-induced cell death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TMH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such as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ERK), c-Jun N-terminal kinase (JNK), and p38. Overall, the inhibitory effects of TMH on H₂O₂-induced apoptosis and oxidative stress were associated with the protection cleaved caspase-3, Bax, Bcl-2, and HO-1. The TMH suppressed H₂O₂-induced cell membrane leakage and oxidative stress in ARPE-19 cells.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MH plays an important role in antioxidant effect in ARPE-19.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활동보조서비스 연구동향 분석

        김봉선(Kim Bong-Sun)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8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2 No.42

        본 연구는 활동보조서비스 관련 기존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여 향후 활동보조서비스 정책과 실천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7년까지 수행된 활동보조서비스 관련 학술논문 83편의 초록을 확보하여 내용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보조서비스 연구는 사회복지학 뿐 아니라 교육학, 재활학 등 다양한 영역에서 다루어지고 있었으며, 양적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이 수행되었다. 둘째, 단어출현빈도 분석결과 활동보조서비스 전기에는 이용자 관련 단어들이 주로 출현하였으나, 후기에는 전담인력과 활동보조인의 직무 관련 단어들이 더 빈번히 출현하였다. 셋째, LDA를 활용한 토픽모델링 결과 분석대상 83편의 논문들은 ‘서비스 이용 경험 (토픽 1)’, ‘서비스 품질 영향요인(토픽 2)’, ‘서비스 제공 영향요인(토픽 3)’, ‘직업의식 영향요인(토픽 4)’, ‘서비스 제도분석(토픽 5)’ 등 5개의 토픽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대상 및 연구주제와 관련된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연구동향의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s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research. For this purpose, the abstracts of 83 paper s abstract with key-words such as personal assistance and personal support were secured and contents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ies on the subject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s were covered not only in social welfare but also in various fields. Although quantitative research has been performed overwhelmingly,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since 2011.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word occurrence, the study was mostly performed by users. However, in the latter period, researches on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and personal assistants were mainly performed. Third,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using LDA, Service Experience (Topic 1) , Service Quality Affect Factor (Topic 2) , Service Provide Affect Factor (Top 3) , Factors influencing job consciousness (topic 4) 4) and Service System Analysis (Topic 5) . Among them,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topic 3 is highest and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topic 2 is lowest.

      • KCI등재

        증례 : 내분비-대사 ; 항정신병 약제 치료 중 동반된 프로락틴 분비 뇌하수체 거대선종 치료 1예

        김봉선 ( Bong Sun Kim ),김주성 ( Joo Sung Kim ),류형규 ( Hyong Kyu Ryu ),박진웅 ( Jin Woong Park ),현선아 ( Sun A Hyun ),강제욱 ( Je Wook Kang ),최용준 ( Yong Jun Choi )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지 Vol.88 No.1

        이전의 연구에서 정신병증과 고프로락틴혈증이 동시에진단되어 bromocriptine으로 고프로락틴혈증을 조절한 증례가 보고된 바 있으나, 정신병증과 프로락틴 분비 뇌하수체거대선종이 동반된 환자에서 두 질환을 약물적인 치료만으로 안정적으로 치료한 증례는 많지 않다. 본 증례에서는 정신분열증으로 항정신병 약제로 장기간 치료를 받던 환자에게 발생한 프로락틴 분비 뇌하수체 거대선종을 진단하여 상반된 치료 기전을 가진 도파민 길항제와 작용제를 동시에처방하여 치료했다. 그 결과 혈청 프로락틴 수치 및 뇌하수체 선종의 크기는 감소하고 정신분열증이 악화되지 않는 등성공적으로 치료되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ntipsychotics are the drug of choice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but they can induce hyperprolactinemia and growth of pituitaryadenomas by blocking dopamine 2 receptors in the pituitary gland. In contrast, the medical treatment for a prolactinoma is adopamine agonist. Therefore, managing a patient concurrently diagnosed with a prolactinoma and psychosis is challenging. We describea patient with schizophrenia who was diagnosed with a prolactinoma. We changed his neuroleptic to quetiapine and prescribedbromocriptine for the prolactinoma. As a result,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a dopamine agonist and antipsychoticwithout psychotic exacerbation. Our case suggests that dopamine agonists can be administrated to patients with schizophreniaand a prolactinoma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ir psychopathological status.

      • KCI등재

        장애인 자립생활운동에 나타난 임파워먼트 과정 연구

        김봉선(Kim Bong-S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2

        임파워먼트와 관련된 여러 선행연구들은 현재의 실천이 임파워먼트의 실제 이념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채 매우 미시적이고 제한적으로만 이해되고 있음을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다. 또 이러한 실천을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 기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이고 제도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의 결과로 실제적인 정책변화를 이루어낸 사례로서 장애인 자립생활운동과 그 발전과정에 나타난 임파워먼트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임파워먼트의 과정은 총 5단계로 구성되며 그 중 개인의 임파워먼트와 관련해서는 의식화 과정이, 거시적 임파워먼트와 관련해서는 조직화가 매우 중요한 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 Previous studies on empowerment have commonly noted that current practice of empowerment understands empowerment only macroscopically and limitedly without reflecting the true idea of empowerment. In addition, they are emphasizing lack of information on specific techniques for the practice. Thu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independent living movement for the disabled, which have experienced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changes and produced actual improvements in policies as their resul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mpowerment observ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owerment consists of a total of five stages, and among them, the stage of conscientization is very important for individual empowerment and the stage of organization for macroscopic empowerment.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들의 간접외상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김봉선(Kim, Bong Sun),이은진(Lee, Eun J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사회복지학 Vol.73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를 사회적 재난으로 정의하고, 이로 인한 청소년들의 간접외상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8월~9월까지 약 4주간 경기도 소재 9개 고등학교 학생 1,927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들의 간접외상은 ‘사회에 대한 불신반응’, ‘개인의 인지·정서 변화’, ‘침습반응’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세 변수 모두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변수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하였으나 매개효과의 성격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가 장기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청소년들의 간접외상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 그리고 이에 대한 개입시 개인의 내적특성인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와 함께 본 연구결과의 함의와 한계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defined COVID-19 as a social disaster,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rect trauma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To collect data, an Internet survey was conducted on 1,927 students from 9 high schools in Gyeonggi-do for about 4 weeks from August to September 2020.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indirect trauma of adolescents due to COVID-19 was high in the order of ‘distrust reaction to society’, ‘individual cognitive and emotional change’, and ‘invasive reaction’. And all three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depression, all mediating effects of self-resilience were significant, but the nature of mediating effects was different.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a social welfare program against indirect trauma and depression of adolescents at a time when COVID-19 is prolonged. And the program for this should be related to improving ego-resilience. Along with thi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result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mad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파킨슨병 모델 동물에서 GDNF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유전자치료

        성기한(Ki-Han Sung),윤인규(In-Gyu Yoon),정현실(Hyun-Sil Jung),김을선(Eul-Seon Kim),김현주(Hyun-Joo Kim),김양호(Yang-Ho Kim),윤 식(Sik Yoon),김봉선(Bong-Seon Kim),김재봉(Jae-Bong Kim),백선용(Sun-Yong Baek)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6

        6-OHDA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유발한 파킨슨병 모델 동물을 대상으로 유전자 치료 목적으로 GDNF 유전자를 포함 하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Ad-GDNF)를 주사하여 행동 변화와 줄무늬체와 흑색질의 tyrosine hydroxylase (TH) 면역반응양성의 도파민성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연구하였다. 성숙한 수컷 Sprague-Dawley계 흰쥐의 줄무늬체에 6-OHDA를 주사하고, 1주 후에 apomorphine에 의한 회전 운동 양상 을 측정하여 분당 7회 이상 회전하는 동물은 파킨슨병 모델 동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들 동물의 줄무늬체에 Ad-GDNF를 주사하고 1주 후에 apomorphine에 의한 행동 양상을 다시 측정하고, 이어서 심장 관류고정을 실시하여 형태 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Ad-GDNF 대신에 LacZ 유전자를 포함하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Ad-LacZ)를 주사한 것을 대조 군으로 이용하였다. 1. 파킨슨병 모델 동물의 줄무늬체에 Ad-GDNF를 주사한 동물에서 apomorphine에 의한 회전 운동 수가 유의하게 감소 하였다. 그러나 Ad-LacZ를 주사한 대조군에서는 회전 운동 수의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2. 회전 운동 수가 감소한 동물의 줄무늬체에 존재하는 TH 면역반응 양성의 축삭 종말은 대조군의 75% 수준으로 Ad- LacZ를 주사한 37%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여 TH 면역반응 양성 축삭종말의 퇴행성 변화가 방지되었다. 3. 흑색질의 TH 면역반응 양성 신경세포의 수는 Ad-GDNF를 주사한 군에서는 대조군의 82% 수준으로 Ad-LacZ를 주사한 군의 60% 수준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어서 6-OHDA에 의한 신경세포의 사멸이 방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파킨슨병 모델 흰쥐의 줄무늬체에 Ad-GDNF를 한차례 주사하여 1주 후에 줄무늬체와 흑색질의 도파민성 세포의 사멸이 방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 recombinant adenoviral vector encoding human GDNF gene (Ad-GDNF)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DNF gene in 6-OHDA-induced Parkinson’s disease rat. The changes of rotatory behavior and density of THimmunoreactive axon terminals and number of cell bodies were observed by the GDNF expression.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Parkinson’s disease (PD) rat models were prepared by the injection of 6-OHDA into the striatum. After 1 week, the animals showing apomorphine-induced rotatory behavior above 7 turns/ min were defined as PD rat model. Ad-GDNF was injected into the striatum of animal model and tested the apomorphine- induced rotatory behavior at 1 week after injection. These animals were perfused with Zamboni fixative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nges after rotatory behavior test. Instead of Ad-GDNF, Ad-LacZ injected PD rats were used as a control.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1. The apomorphine-induced rotational behavior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treatment of PD rat by the injection of Ad-GDNF. The Ad-LacZ injected PD rat showed no change in rotatory behavior. 2. The density of TH-ir axon terminals in the striatu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Ad-GDNF injection (75% of normal side), but there was no change in the density by the Ad-LacZ injection (37% of normal side) compared to 6-OHDA lesioned striatum. This means the Ad-GDNF injection prevented the degenerative change of TH-ir axon terminals in the stritum of the PD rat. 3. The number of TH-ir cell body was significantly recovered by the Ad-GDNF (82% of normal side), but there was not recovered by the Ad-LacZ injection (60% of normal side) compared to 6-OHDA lesion. This means the retrogradely transported Ad-GDNF induced the TH expression in the dopaminergic neurons of the substantia nigra. Gene therapy with Ad-GDNF prevented the degeneration of dopaminergic neurons and axon terminals in the 6- OHDA-induced PD r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