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프랑스 신좌파(New Left)의 몰락에 대한 고찰: 좌익 인텔로크라시를 중심으로

        김복래(Bok-rae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신좌파라는 용어는 1960-70년대에 일어난 좌파, 또는 극좌파 운동을 총칭해서 일컫는 용어다. 그것은 1960년대 서구세계에 생겨난 구조주의, 사회비평이론, 포스트모더니즘 등에 영향을 받았으며, 기존 사회와 문화의 권위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생겨난 좌파적 조류를 의미한다. 우리는 신좌파의 지적 기원을 미국의 대학사회를 좌경화시킨 일등공신인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외에도, 프랑스 좌익 철학자들의 저서 속에서 찾는다. ①장-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1905-1980)의 실존주의적 비평, ②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1901-1991)의 수정주의적 비평, ③ C. 카스토리아디스(Cornelius Castoriadis)(1922-1997)의 좌익주의 비평 등으로 크게 삼분 된다. 프랑스의 지식계급은 영미권의 어떤 지식인들보다 높은 명망과 인기를 누려왔다. 프랑스인에게 지식인이란 일종의 국민적 자긍심 내지는 골인(옛 프랑스인) 특유의 자기만족을 심어주는 특별한 존재라고 할 수 있다. 프랑스의 진보지식인이자 역사학자인 에드가 키네(Edgar Quinet) (1803- 1875)는 “프랑스의 소명은 자신과 타인을 위해, 아직 도달하지 않은 인류와 세계 문명의 이상 및 영광을 위해 그 스스로를 소모하는 것”이라고 자신만만하게 공언한 바 있다. 즉, 프랑스의 지성주의란 ‘지식·자유·인간 조건에 대한 눈부신 광휘의 이론적 집합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프랑스 지식인들, 특히 ‘지식 좌파’들이 놀라운 ‘개종’ 내지는 ‘변절’을 체험했다. 1989년 프랑스 혁명 200주년 기념행사 이래, ‘좌파의 정치학’이나 지식인들의 담론에서 ‘계급투쟁’이니 ‘혁명’ 같은 개념들이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특히, ‘새로운 철학자(nouveau philosophe)임을 자처하는 반(反)전체주의 지식인들은 전체주의와 치명적으로 제휴한 마르크스주의와 ‘혁명의 정치학’을 신랄하게 공격했다. 본고의 목적은 프랑스의 ‘좌익 인텔로크라시’(leftist intellocracy)의 역사와 그 몰락에 대하여 고찰하는데 있다. 좌익 인텔로크라시의 결정적인 몰락 요인으로는 ⓵ 마르크스주의의 몰락, ⓶ 반(反)소비에트주의 등장, ⓷ 지적 생활의 쇠퇴 현상, ④ 새로운 중산층을 탄생시키는 등 계급구조의 변화를 가져온 ‘경제적 근대화,’ ⑤ 포퓰리즘의 대두, ⑥ 마크롱 현상을 들 수가 있다. The term of “new left” collectively calls the left-wing and/or far-left movements in 1960-70s in Western world. It was not only influenced by structuralism, social criticism, and post-modernism, but also produced as a criticism against the established socio- cultural authoritarianism. Apart from Marcuse who greatly contributed to lefticize American universities, we can find the intellectual origin of new left in the works of French left-wing philosophers: ① existential criticism of Jean-Paul Sartre(1905-1980), ② revisionist criticism of Henri Lefebvre(1901-1991) ③ leftist criticism of Cornelius Castoriadis(1922-1997). French intellectuals are almost sacred figures. Above all, they have provided the French with a comforting sense of Gallic national pride. As the progressive thinker Edgar Quinet put it confidently, “France’s vocation is to consume herself for the glory of the world, for others as much as for herself, for an ideal which is yet to be attained of humanity ad world civilization.” Thus, the true meaning of French intellectualism consists in a dazzling array of theories about knowledge, liberty, and the human condition. However, French left-wing intellectuals experienced a conversion or a defection. Since the 200th anniversary of the French Revolution in 1989, the concepts of ‘class struggle’ or ‘revolution’ have vanished into thin air in the politics of left-wingers or in the discourse of intellectuals. Especially, anti-totalitarian intellectuals who considered themselves as ‘nouveaux philosophes’(new philosophers) made a biting attack on the Marxism and the politics of revolution fatally affiliated with totalitarianism.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history of French leftist intellocracy and its decline. The causes of decisive collapse of leftist intellocracy are ⓵ collapse of Marxism, ⓶appearance of anti-Sovietism, ⓷decline in intellectual life, ④economic modernization which brought the change of class structure with the advent of new middle class, ⑤ rise of populism, and finally ⑥ Macron Phenomen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유럽연합의 언어갈등에 대한 연구: 오직 영어 또는 다언어주의인가?

        김복래 ( Bok Rae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0 유라시아연구 Vol.7 No.3

        불가리아와 루마니아가 EU에 가입한 이래, 오늘날 유럽의회(European Parliament)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도전 중의 하나는 의회가 사용하는 언어의 수(數)일 것이다. 그래서 요즘 혹자는 공용어의 수를 축소시키거나, 아예 영어를 유럽의회의 유일한 공용어로 지정하자는 현실적인 방안을 내놓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두 강대국의 언어에게 이러한 엄청난 특권을 공식적으로 부여한다는 발상은 다른 비영어권 유럽국가들의 분노와 원성을 사기에 충분하다. 이미 영어는 유럽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외국어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영어를 비즈니스·관광·교육부문에서 사용하는 것과 27개 회원국 중 한 개 언어인 영어로 특별한 정치적 특권을 부여하는 것은 전혀 차원이 다른 문제이다. 본고의 목적은 EU에서 벌어지는 언어갈등을 연구하는데 있다. EU의 공용어로 오직 영어인가? 아니면 언어와 문화의 다양성을 지향하는 다언어주의를 고수할 것인가? EU에게 단일한 실무언어(working language)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고, 고비용을 줄이는 현실주의적 해결책이나, 레오나르드 오르반(Leonard Orban) EU 언어담당 집행위원(Commissioner for Multilingualism)은 다언어 사용은 EU의 민주주의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비용이라고 이를 반박했다. 최근 수십 년간 EU제도권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광고와 과학분야에서 영어의 중요성이 미증유로 증가했다. 이는 역설적으로 영어가 또 다른 2개의 링구아 프랑카(lingua franca)인 불어와 독어의 입지를 점점 제한하고 있다는 얘기가 된다. 원래 EU는 미국의 독주에 맞서는 대항마로서 출발한 것인데, EU내의 영어지배는 과연 EU의 이해관계에 일치하는가? 영어의 지배적인 위상은 다음 두 가지 이유로 설명된다. 첫째는 역사적 동인으로 제2차 대전에 승리한 열강들(미국, 영국, 구소련)은 유럽을 자본주의 대 사회주의진영으로 양분하였으며, 네 번째 승전국인 프랑스의 통제권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편이었다. 그래서 미국과 영국은 링구아 프랑카로서의 영어의 입지를 세울 수가 있었다. 둘째는 언어적 동인으로 영어는 문법 때문에 배우고 말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불어나 독어와 비교해 볼 때, 영어는 문장도 더 짧고 간결한 편이다. 이어 구소련의 몰락으로 미국은 세계에서 유일한 강대국이 되었으므로 경제는 말할 것도 없고, 정치, 과학, 기술, 팝문화에 있어서 미국의 위치는 가히 독보적이다. 본고의 구성은 유럽통합의 핵심을 차지하는 언어의 중요성과 독일의 親영어주의(Angicism)를 중심으로 EU내의 프랑스와 독일의 위상을 다루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유럽정체성의 문제와 직결된 언어적 다양성, 즉 EU의 다언어주의 정책을 옹호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고 있다. 여기서는 언어, 특히 EU가 지향하는 다언어주의를 중심으로, EU역내권 안에서 현실적으로 압도적인 영어지배(dominance of the English) 현상을 논하기로 한다. 또한 언어들의 제왕으로 부상하게 된 영어지배의 역사적·언어적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드 스완(A. De Swaan)은 EU내의 의사소통을 다음 네 가지 차원으로 등분했다. 첫째 국가적 차원, 둘째 초국가적 차원, 셋째 EU제도적 차원(유럽의회나 다른 기관들), 마지막으로 EU집행위원회의 관료제도 내에서의 의사소통 차원으로 분류했다. 모든 EU시민들의 마음속에 유럽정체성에 대한 자각이 형성되도록 하려면, 특히 초국가적 차원(transnational level)에서 다언어주의가 절실하게 요청된다. With the admission of Bulgaria and Rumania into the EU, one of the most serious challenges with which the European Parliament is confronted nowadays is the increased number of official languages within the EU. Therefore, some realists insist that the number of official languages should be reduced in the EU or that the English should be the sole official language in the European Parliament. However, bestowing such a great power and prestige on the language of two nations(US and UK) may cause the rage or complain of the different non-Anglophone European member states. The English as a king of languages is already acknowledged as the most popular and attractive foreign language not only in Europe, but also in the world. Nonetheless, giving the special political privilege into English as one of the 27 official languages of the EU must be discussed separately from simply using English in the sectors of business, tourism and educa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anguage conflicts within the EU. Only English as a single official language in the EU or multilingualism which is linguistic and cultural diversity-oriented? As for language conflicts which become more serious in the confederal EU, having one working language(English) may be the most realistic solution to reduce the high cost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in the EU. Leonard Orban, Commissioner for Multilingualism, refutes this solution in saying Multilingual use is a necessary cost of maintaining EU``s democracy. Not only in the EU institutions, but also in the sectors of business, advertising and science, etc. the importance of the English is unprecedentedly increased during recent decades. This phenomenon means that the imperial English tends to restrict more or less the position of the French and the German as two different lingua francas. Speaking basically, the EU started as a counterpart to obstruct the US hegemony in the world, but does the dominance of the English in the EU correspond to the interests of the EU? The dominance of the English can be explained by two historic/linguistic reasons. First, great nations (US, UK and ex-Soviet Union) who won a big victory during the Second World War divided the Europe into two capitalist and socialist parts. But the control of the France as the fourth winner was relatively weak. Therefore, the US and the UK could establish the dominant position of the English. Second, There are also linguistic reasons. It seems that English is easier to learn and to speak because of its grammar. The English sentences are often shorter and more concise in comparison to French and German. After the decline of the ex-Soviet Union, the US became the only significant world power. Thus, the US`` position is unparalleled in economy, politics, science, technology and pop culture, etc. This paper treats the importance of the EU languages(that is, linguistic diversity in the EU), the linguistic position(if not hegemony) of the two nations(France and Germany) in the EU, particularly in favor of the European multilingual policy, closely related into the European identity. Centering on the multilingualism at which the EU aims, it examines not only the overwhelming dominance of the English in the EU, but also the historic and linguistic reasons of the dominance of the English in the post-colonial period. A. De Swaan divides the communication in the EU into four levels: national level, transnational level, EU``s institutional level(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mmission``s internal bureaucracy. In order to awaken or inspire the true sense of the European identity in the mind of the EU citizens, it is necessary to adopt the multilingualism at the heart of the EU on the transnational level.

      • KCI등재

        유럽 정체성의 역사

        김복래 ( Bok Rae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9 유라시아연구 Vol.6 No.1

        본고의 목적은 유럽 정체성을 역사적인 4단계로 세분하여 밝히는데 있다. EU의 조항들에 따르면, EU는 자유와 민주주의, 인권존중, 또 기본적 자유와 법치성의 원리에 근거하고 있다. 만일 이러한 근본적 원리를 위반하는 EU회원국이 있다면 그 회원국의 권리는 당장에 중지될 것이다. 아마도 유럽정체성의 정치적 핵심과제는 ‘다양성 속의 일치’이란 기본 명제 하에, 유럽문화의 다양성을 우호적으로 증진시키고, 공통된 문화유산을 상호적으로 보존하는 것일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유럽정체성의 형성에 정치적 요소가 강하다고 해도, 인종·민족적인 배경이나 문화·역사적인 요소들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15세기 이래 공인된 역사적 구성물(historical construction)로서의 유럽의 정체성은 다음 두 가지로 요약 될 수 있다. 즉 근대 초기에 유럽은 보편적 기독교 공화국(common wealth)으로 서방세계에 널리 알려졌으며, 또 18세기 계몽주의 이래 ‘유럽문화(European culture)’라는 개념이 정착되었다. 유럽이란 개념은 이중적 의미가 있다. 첫째는 지리적 개념으로 아프리카, 아시아와 유럽대륙으로 크게 삼분된다. 둘째는 문화적 개념이다. 만일 ‘민주주의가 유럽의 발명품’이라고 가정한다면, 이는 유럽대륙이란 지형적인 땅덩어리를 지목하는 것이 아니라, 유럽대륙문화를 구분 짓는 몇 가지 특징들을 언급하는 것이다. 유럽이란 개념의 발전사는 다음 4단계로 나누어진다. 첫째, 로마제국의 시대, 둘째, 기독교국(christendom)의 시대, 셋째, 유럽민족국가의 시대, 마지막은 양차대전이후부터 EU의 결성시대이다. 우리 현 마지막 세대가 할 수 있는 지상의 임무는 이전의 세 시기, 즉 비록 무력에 의해 성립되었으나 ‘팍스로마나(Pax Romana)’라는 태평성대를 이룩했던 로마제국의 평화롭고 종교적인 관용정신, 교황권과 황제권을 두 개의 정점으로 하는 기독교공화국의 초국가주의적 이상, 또한 민족주의의 갈등을 낳기는 했으나 19세기에 백화난만했던 근대의 민족문화 등 최상의 요소들을 잘 화합·융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지상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20세기 최고의 지성인 T. S. 엘리어트의 조언대로 유럽대학들이 필요불가결한 가교역할을 담당 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사회적 수직이동 내지 신분상승의 최상보루인 교육은 유럽의 정체성 형성에도 중대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계속 그럴 것이다. 서문에서 지상의 ‘파라다이스’로 표현된 새로운 유럽의 건설은 비단 정치가나 사업가만의 문제는 아니다. 여성, 시인, 예술가, 신학자, 철학자 등 환경의 편에서 가난한 사람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사람들의 목소리도 함께 반영되어야 한다. 기독교, 무슬림, 유태교 등 다른 공동체들과 함께 어우러진 목소리가 반드시 유럽의 영혼(European soul)을 표현해야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첫째로 코즈모폴리턴적인 유럽대학과 둘째로-일상생활에서 조용한 혁명을 겪고 있는 에라스무스 세대를 포함한-범유럽인들을 모두 함께 아우르는 소위 ‘민중문화 속에서 유럽문화정체성이란 보물찾기’는 가장 성공적인 통합모델로 평가받는 EU의 토대를 더욱 공고하게 엮여주는 훌륭한 두 개의 가교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European identity’ by dividing it into four historical categories: ancient Roman Empire, Latin Christendom, European nation-states, second world war and EU formation. According to EU articles, EU is primarily based on freedom, democracy, human rights and constitutional governmen systems. If a EU member-state violates any of them, this country`s right should be suspended. Probably, the major political mission of European identity is to promote the diversity of European culture, and to preserve common historical heritages in the name of ‘the unity in diversity’. At the beginning, the formation of European identity was political and still very political. However, we cannot neglect the importance of racial or national backgrounds, cultural and historical patrimonies. As a historical construction recognized since the 15th century the European identity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First, it was known as universal Christian Commonwealth in early Modern Europe. Second, the concept of ‘European culture’ which could give a cultural identity to Europe was established in the 18th century. It was closely linked with secular philosophy; that is, Enlightenment. In the notion of Europe there is a double meaning. First, it is basically geographical. The world can be divided into three continents: Africa, Asia and Europe. Second, it is very cultural. If we consider that the democracy is an ‘invention of Europe’, this phrase does mean several attributes which characterize European continental cultures. The development history of the notion of Europe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ncient Roman Empire, Latin Christendom, European nation-states, second world war and EU formation period. The task which faces our generation is to combine harmoniously, in this fourth, contemporary stage of European history, the best elements of the previous three, the peaceful, religious tolerance of the Roman Empire; the supranational appeal courts of Christendom, the powerful vernacular cultures of the modern age. And in this task, as T.S. Eliot reminded us, the universities of Europe have an indispensable role to play. In the introduction, the construction of a new Europe is ironically described as ‘a terrestrial paradise’. However, the construction of the EU is not only a main concern of politicians and businessmen. It is necessary to count well the true voices of women, poets, theologists, philosophers, etc. who speak eagerly on behalf of poor people and the environment. In this sense, the balanced role of cosmopolitan European universities and the sincere effort for searching European identities in European popular culture can consolidate the basis of the EU; that is, the most successful model of integration in the world.

      • KCI등재

        아시아와 유럽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비교연구

        김복래 ( Bok Rae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8 유라시아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아시아와 유럽의 문화적 가치를 서로 비교하는 것을 주안점으로 삼고 있다. 아시아와 유럽의 상이한 가치를 심도 있게 상호 비교·고찰함으로써 유럽연합과 미래의 동아시아 FTA의 가능성을 21세기의 키워드인 ‘문화’라는 공통분모에서 찾아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 사려 된다. 2006년에 인도네시아의 부통령 칼라(Jusuf Kalla)는 동아시아 정상회담에서 이른바 ‘아시아적 가치’를 동아시아 FTA와 동아시아 공동체와 연결시킨 바 있다. 그가 정의하는 아시아적 가치는 ‘경쟁’이 아니라, ‘협동’체제에 있음을 누누이 강조했다. 비록 1997~1998년 아시아의 금융위기로 인해 많은 타격을 받기는 했지만, 본 연구의 목적은 아시아적가치라 불리는, 한중일 삼국의 공통된 문화분모들을 모색하고 규명하는 데 있다. 아시아적 가치는 다양한 전통적 문화콘텐츠들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는 아시아적 가치를 역설적으로 ‘비(非)유럽적 가치’라칭할 수도 있으리라. 중동의 이슬람주의, 인도의 힌두이즘, 동남아의 불교사상에 이르기까지, 실로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종교와 문화요소들이 아시아적 가치라는 기치아래 집단 동원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동아시아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관련하여, ‘유교적 가치들’에 집중되어 있다. 이른바 신유교주의 시대가 도래한 셈이다. 본 연구는 영미의 ‘제 1세계’와 소비에트 블록을 형성하는 ‘제 2세계’의 경제모델들과 비교하여, 아시아 제 3세계 국가의 경제모델을 문화적으로 설명하는 데 있다. 허만 칸은 동아시아의 역동적인 경제성장을 유교문화와 연결시킨 장본인이다. 칸의 신 유교주의 가설에 따르면, 동아시아 국가들은 전통적으로 공통적인 문화의 깊은 근원을 갖고 있다. 세계 시장체제에서 이러한 문화적 유산은 성공적인 경제활동 내지 비즈니스전략을 위한 비교우위를 형성해왔다. 허만 칸의 추종자들은 유교적 가치가 근대 아시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상응한다는 설득력 있는 주장을 폈다. 이러한 문화적 가설을 가지고 본 연구는 아시아적 가치를 심층적으로 재조명할 것이다. 즉 국가주의와 정치적 리더십에 있어서 리더의 인성중심주의, 가족주의, 자기 극기, 교육에 대한 강조, 세속주의, 근면, 사회적 복종과 합일, 협동과 조화 등 아시아적 가치로 정의되는 문화적 요소들을 유럽적 가치와 비교고찰할것이다. 17세기 프랑스의 현인이며, 저명한 사상가·철학자인 몽테뉴가 언급한대로 ‘비교가 능사’는 아니다(Comparaison n`est pas raison). 실제로 이질적이며 상이한 사회 문화적, 역사적 콘텍스트에서 성장 발전한 아시아와 유럽적 가치를 비교한다는 일 자체가 무모하고 불가능한 시도일 수도 있다. 그러나 유럽연합의 아버지 장 모네가 강조한 대로 경제 통합에서도 문화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는 없다. 즉 경제적 이해관계나 득실만을 가지고 성공적인 경제통합을 이루기가 어렵다는 얘기다. 지면상의 이유로 본 연구는 첫째 프로테스탄트/유교주의적 윤리 내지 이데올로기의 비교, 둘째로 두 개의 상이한 가치들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물론 아시아적 가치에 연구의 우위를 두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두 개의 문화적 가치나 정체성이 유럽연합과 동아시아 경제협력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하게 될 지를 집중적으로 조명할 것이다. 혹자는 동아시아의 FTA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도 않을뿐더러, 동아시아 경제에 전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지 못할 것이라고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하기도 한다. 그러나 공통적인 문화 분모를 찾으면서 한중일 삼국이 상호 협력한다면, 무역마찰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문화와 관련된 신종 일자리도 대량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아시아 지역의 ‘공중선’과 공통된 유대감을 가져오는 제도를 창출한다는 것은 장기적으로 볼 때 동아시아 지역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만일 필요하다면 문화가치를 창출하거나 개발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compare Asian & European values. It is very useful to find cultural common denominators called ‘Asian values`` among three countries: Korea, Japan and China for the future of East Asian FTA. In 2006 Indonesian Vice President Jusuf Kalla linked the concepts of Asian values with the proposed East Asian Free Trade Agreement and East Asian Community arising from the East Asia Summit. He defined Asian values as placing emphasis on co-operation over competition. Asian values contain various contents. Maybe, we can consider them as ‘non-European values`` which comprehend Islamism in the Middle East, Indian Hinduism, and Buddhism in Southeast Asia. However, a recent scholarly research is concentrated on ‘Confucian values`` in close relation with economic growth in East Asia. First attempt to explain the economic model of these ‘Third World`` countries, in parallel with those of American and European ``First World`` countries and Soviet-bloc ‘Second World`` countries began at the end of 1970s. It is Herman Kahn who contributes to link East Asian dynamic growth with Confucian culture. Kahn`s neo-Confucian hypothesis is that the countries of East Asia have common cultural roots going far back into history, and that under the world-market conditions of the past 30 years this cultural inheritance has constituted a competitive advantage for successful business activity. Herman Kahn`s followers suggest that Confucian values are ‘the modern day Asian Protestant ethics.`` With this cultural hypothesis adopted, we will reexamine Asian values such as statism or centralism of personalities in political leadership, familism, self-restraint, insistence on education, secularism, diligence, social obedience and unity, cooperation and harmony, etc., in comparison with European values. According to Montaigne, “comparaison n’est pas raison. In effect, there can be no comparison between two heterogeneous Asian/European values, respectively cultivated in a different socio-cultural, or historical context. Thus, on account of limit space, we will focus our attention first on Protestant/Confucian ethics; second on the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in two disparate values in giving priority to so-called ‘East Asian values``; and finally on the perspective on two cultural identities and their role in European Union and in East Asian economic cooperation in wider and looser sense. According to Lee, a ‘formal regional integration in the form of a preferential trading bloc`` in East Asia is neither feasible nor beneficial to the region. As a way of bringing about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East Asian region (China, Japan, and South Korea) should create institutions that would provide ‘regional public goods.`` Why not create cultural values, if necessar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축제가 문화관광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 -영국의 에든버러 축제와 리즈 웨스트 인디언 카니발을 중심으로-

        김복래 ( Bok Rae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2

        오늘날 축제는 세계적 관광현상으로 널리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저가항공사의 출현에 따라 국내외여행이 갈수록 용이해지고, 글로벌화로 인해 국가 간의 인적·물적 교류가 절정에 달하면서 지난 수십 년간 각종 축제들이 그야말로 폭발적인 성장을 이룩했다. 여러 가지 일련의 이벤트들이 모두 일괄적으로 통 털어 ‘축제’라고 불리면서, 축제가 아닌 것이 없을 만큼 축제의 개념 역시 널리 확장되기 시작했다. 축제관광 이벤트의 구조적 시스템은 다음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정부, 시장,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시민권을 창출하는 ‘제3의 영역(third spheres)’이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비(非)영리단체, 비(非)정부단체, 자발적인 운동단체, 우호협회, 교회, 자선단체 등이 포함된다. 또한 관광이벤트의 주체는 생산적인 측면에서 이를 계획·조정·운영하는 ‘기획자(organizer)’와 소비적인 측면에서 이벤트가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와 관광체험을 즐기는 ‘소비자(consumer)’로 크게 양분할 수가 있다. 또한 학자들은 축제를 통한 관광개발에서 ``지역커뮤니티``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는데 동의한다. 스티언스트랜드(Stiernstrand)에 의하면, 관광의 경제적 효과는 관광지에서 행해지는 소비, 즉 ‘관광소비’에서 발생한다. 맥도넬 (McDonnell), 알렌(Allen), 오툴(O``Toole)(1999)의 연구에 따르면, 이벤트의 가장 중요한 수혜자는 여행, 숙박, 레스토랑, 쇼핑 등 관광연계서비스의 종사자들이다. 이벤트는 외래방문객의 수와 그들의 재방문, 또 축제개최를 위한 보조금과 스폰서십을 확보하는 경우에 대체로 커다란 관광효과를 발휘한다. 과거의 ‘식민지대국에서 관광대국으로’ 발돋움한 영국에서 축제는 문화·경제개발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영국의 축제기획자들은 많은 (재)방문객들을 유치하는 이벤트를 개발하기 위해 영국의 역사와 문화적인 테마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또한 개최도시의 긍정적인 문화 이미지를 주조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인다. 영국이 축제와 이벤트를 개발하고, 개최하는 주된 요인은 관광이 경제적 이익뿐만 아니라, 그 외에도 또 다른 많은 사회문화적인 혜택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전통을 존중하는 신사의 나라’ 영국에서는 튼실한 경제와 국가 건설, 또 문화관광개발을 위한 국가전략으로써 축제와 이벤트를 적극적으로 지지·후원하고 있다. 영국정부는 과거의 자유방임적이고 소극적정부의 역할을 과감하게 탈피해서, 이제 영국의 관광개발과 세계홍보에 발 벗고 나서게 된 것이다. 이는 영국정부가 높은 성장잠재력과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고부가가치 산업인 관광산업이 그동안 침체된 영 국의 경기 회복에 핵심적인 동력이 될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카메론 수상은 “관광산업이야말로 영국이 절실히 원하는 고용을 창출할 수 있는 가장 빠른 길” 이라고 강조하고, “영국에 들어오는 관광객을제약하는 장애요소를 제거 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수 십 년 동안 이벤트와 관광부문에서 ‘정부·민간·지역사회’, 이 삼자간의 역할이 중대한 변화를 겪어왔다. 이는 이벤트와 관광산업에서 영국정부와 비즈니스, 즉 정치·경제부문의 역할이 미증유로 커졌음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서 이는 영국이 관광산업을 경제회복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는 것이며, 젊은 영국의 시대는 막을 내리면서 또 다시 ‘관록과 전통의 영국’으로 회귀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고의 목적은 지역공동체 지향적(community-oriented)인 축제와 이벤트에서 문화관광이 차지하는 역할과, 역으로 축제가 문화관광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고는 또한 사례연구로서 영국의 다문화축제와 이벤트를 제시할 것이다. 이러한 축제와 이벤트는 문화관광개발과 지역공동체의 관계를 굳게 다지는데 크게 기여한다. 하나의 시장도구로서 잘 기획된 이벤트는 문화관광객들을 유인하는 효율적 수단이 된다. 에든버러 축제나 리즈 카니발의 사례에서도 잘 알 수 있듯이, 관광산업 중에서도 가장핵심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인 축제는 문화관광개발에 크게 이바지한다. 축제는 외래방문객과 지역주민간의 상호적 문화교류를 증진시키며, 이른바 통 큰(?) 손님들, 즉 소비단위가 큰 문화관광객들을 지역이벤트참여에 적극 유도할 수가 있다. 문화관광은 축제개최지에 많은 혜택을 가져오며, 지역경제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축제에 참가하는 외래방문객들이 소비하는 그 지역의 특산물이나 서비스는 지역경제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지만, 문화관광산업은 관광개발로 인한 그 지역의 미적 손실이나 환경 훼손의 문제는 별로 고려하지 않는다. 즉 축제기획자와 정부는 오직 경제적 효과만을 고려할 뿐, 축제가 미치는 사회적 충격이나 영향력 따위는 별로 안중에 없는 편이다. 그래서 골드블라트, 게츠, 할 같은 학자들은 축제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하여 더욱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지역축제개발을 통해 문화관광은 더욱 발전했고, 이러한 축제는 개최지역에 많은 경제와 문화적 혜택을 가져다주었다. 또한 에든버러 축제나 리즈 카니발의 경우처럼, 이러한 축제의 사회경제적인 제반요소 들이 문화관광의 성장에 크게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 에든버러 축제나 리즈 카니발은 많은 국내외 방문객들을 유치한다. 이 양 축제는 지역경제의 성장과 경제적 이익을 가져왔으나, 오직 심도 있는 연구만이 이 두 축제가 지역경제와 공동체에 미친 경제·사회적인 충격들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Nowadays, festivals are considered as a ``worldwide tourism phenomenon``. In particular, the UK - in the transition from colonial empire into the great tourist nation - they exercise a huge influence on the British cultural and economic development. That is to say, the festival organizers actively tend to use not only the British history and cultural themes to attract many tourists toward the UK as the ``glorious vanguard of modern West civilization, but also to create the positively cultural image of the festival destination. The reason of why the UK organizes so many cultural events is that tourism and economic opportunities can bring sooner or later social and cultural benefits to the country. In the last decades, the roles among the three parties: government-private sector-local community have changed in the section of event and tourism industry. As above, the UK known as the ``nation of tradition &gentleman`` supports cultural events and festivals in order to make strong economy, firm nation-building and culture tourism development strategy. By breaking from the past laisser-faire policy and negative/ passive government role, the UK is now eagerly engaged in the campaign of national tourism development and world promotion. This means that the growth of tour industry can be the ``prime mover`` in the recovery of the British economy under the depress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not only the role of culture tourism in creating the community-oriented events and festivals, but also the impacts of festivals on the culture tourism. As a case study, we will present two examples of the British multi-cultural festivals and events: Edinburg festivals and Leeds West Indian carnival. The event which is an effective market instrument can attract cultural tourists in the world. The festival and cultural even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ulture tourism. Furthermore, they promote the relationship between ``hosts and guests``. They attract consumption-oriented cultural tourists possessing big purchasing power. On the other hand, the culture tourism brings a lot of benefits to the festival destination, but any systematical research on this subject has not been done yet. The festival exercises direct/indirect influences on local economy. The local specialities and services that outer visitors consume during the festival have direct impacts on local economy and business, but the culture tourism industry is not necessarily interested in the loss of local beauty and the environmental degradation. That is, the festival organizer and local government only take account of the economic benefits, but they ignore the implication of socio-cultural impacts on the festival. Thus, famous scholars like Goldblatt, Getz and Hall insist that greate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ocio-cultural impacts over festival. Through the development of local festivals, the culture tourism has developed and such festivals have brought a lot of economic and cultural benefits to the local community. In the case of Edinburgh festival and Leeds carnival we observe that the socio-economic elements of the festival can contribute to the growth of culture tourism. The Edinburgh festival and Leeds carnival attract many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As stated above, the two festivals bring the economic growth and benefits to the local economy and community, but only in-depth study can help us to comprehend the level of socio-economic impacts of two festivals. Finally, I’d like to suggest some useful lessons learned from Edinburgh Festival and Leeds carnival for the Korean nation dreaming of cultural great nation strateg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creative culture contents that we could observe in the Edinburgh festivals. I took part in many Korean local culture festivals, but the contents of Korean regional festivals seemed to be very similar and monotonous. The definition of cultural industry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ountries: in the US, for example, it is called an entertainment industry, but in the UK, it is designated in the name of ‘creative’ industry. The reason is that the key essence of culture industry is in the human creativeness or creativity, etc. The brilliant futurist Peter Ferdinand Drucker also insisted that the victory and defeat of every country in 21th century would be concluded in the culture industry. Thus, it is a great task for the creative Korea to train top-level creative human resources in culture tourism & festival industry. On the other hand, as we observed in the successful case of the Leeds carnival based the other’s aboriginal culture it is for us a proper time to accept the multi-cultural or plural-cultural contents in Korean peninsula which already embraces more than one million immigrants in order to develop or transform them into Korean or Koreanized festival contents. Because the space of festival or festivity where us-ness and other- ness, or internal local people and external visitors intersected mutually to become ‘oneness’ may be the most humanitarian and most beneficial instrument to integrate various peoples for national harmony.

      • KCI등재
      • KCI등재

        프랑스의 좌우 패러다임에 관한 통시적 고찰: 종식인가 변형인가?

        김복래 ( Bok-rae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9 유라시아연구 Vol.16 No.2

        프랑스 혁명(정치혁명)의 원년 이래 우리는 좌우라는 용어를 ‘진보’와 ‘보수’ 세력으로 나누어 사용해왔다. 보수적이거나 혁명의 진행에 소극적이고 온건한 세력은 우익으로, 상대적으로 급진적이고 과격한 세력은 좌익으로 나누는 것이 혁명기에 하나의 관행으로 정착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정치적 선택도구로서의 좌우패러다임은 현대정치학에서 보편적이고 편재적인 용어로 자리매김을 했다. 그런데 프랑스혁명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전파시킨, 이 좌우대립의 이분법적 패러다임은 아직 21세기에도 여전히 유효한 것인가? 1990년대 영국총리 토니 블레어(Tony Blair)가 표방했던 이른바 ‘제3의 길’의 등장 이후로 정치가들은 너나 할 것 없이 자신들이 ‘좌우 너머에’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일부전문가들도 역시 좌우라는 정치적 이분법이 더 이상 유권자들의 세계관이나 정치적 성향을 정확히 대변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즉, 기존의 단순한 이원적 대립구도로는 대중영합적인 포퓰리스트(populist) 우익정당을 지지하는 노동자들이나, 보통 우파적 가치로 알려진 자유시장경제를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중도좌파 및 녹색정당의 지지자들을 현실적으로 제대로 설명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프랑스 극우성향의 뉴 라이트(Nouvelle Droite) 운동의 창시자인 알랭 드 브누아(Alain de Benoist)는 진보와 보수정당 간의 전통적인 좌우이데올로기가 점차로 소멸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유럽에서 좌우를 나누는 중요한 쟁점은 바로 ‘계급’인데,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거의 프랑스인구의 70% 이상이 계급의식(class consciousness)이나 이데올로기적 적대감을 매우 진부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렇다면 좌우패러다임의 종주국이라는 프랑스에서조차도 이분법적 이데올로기와 계급의식이 약화된 근본적 이유는 무엇인가? 프랑스혁명이후 근현대사의 대부분을 좌(左)클릭한 다음에, 이제 프랑스 정치는 다시 ‘우(右)클릭’ 내지는 ‘극우’로 방향전환을 하려는 것일까? 1980년대까지만 해도 프랑스 좌파나 우파 모두 프랑스 정치에서 ‘극우의 귀환’을 예측하거나 기대한 정당은 하나도 없었다. 그동안 좌파문화가 지배적이었던 프랑스에서, 과연 무엇이 그동안 변방의 신세였던 프랑스극우를 이토록 성장하게 만들었을까? 이 극우의 성장은 온건한 성향의 우파나 좌파에게 모두 위협적인 것인가? 과거 선거 전략의 일환으로 좌파(사회당)와 극좌(공산당)가 서로 손을 잡았듯이 우파와 극우도 역시 서로 화해할 수가 있을까? 이제 중도를 표방하는 마크롱 대통령의 당선으로 전통적인 좌우 패러다임은 완전히 종식된 것인가? 이러한 질문들에 답하기 위해서 우리는 프랑스의 좌우지형도와 정체성을 형성시켜 온 역사적 콘텍스트를 반드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고의 목적은 첫째 프랑스 극우성장의 근본적 요인들을 진단하고, 둘째 좌우패러다임의 타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프랑스 혁명에서 마크롱의 집권에 이르기까지 프랑스의 좌우패러다임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프랑스 우파는 ① 전통주의자(traditionalist), ② 자유주의자(liberal), ③ 보나파르트주의자(Bonapartist) ④ ‘혁명적 우파(revolutionary right)’로 나누어지는 반면에 프랑스 좌파는 ① 자유주의자(liberal), ② 급진주의자(radical), ③ 무정부주의자(anarchist)로 구분된다. 1789년 프랑스혁명에서부터 비롯된 갈등과 균열로 인해, 프랑스에서는 거의 2세기 동안이나 체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다음 세 가지 중요한 논제들을 놓고서 좌우 진영이 첨예하게 대립했는데, 첫 번째 논쟁은 ‘공화정인가 왕정인가?’하는 정치제도에 관한 논쟁이었고, 두 번째 논쟁은 1880년대 프랑스사회를 뜨겁게 달구었던 종교문제, 세 번째 논쟁은 1830년대에 자본주의와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트 간의 계급투쟁, 사회주의와 노동운동의 발달로 인해 촉발된 사회적 문제였다. 본고는 프랑스 우파의 계보, 앞서 기술한 세 가지 논쟁을 중심으로 한 좌우 진영의 대립과 항쟁의 역사, 극우의 성장으로 나누어져있으며, 결론부문에서는 좌우패러다임의 유효성에 대하여 답하기로 한다. Since the 1789 French revolution (political revolution) claiming to stand for liberty, equality, fraternity, we have commonly used the terms ‘left and right-wings’ as respectively signifying progressive/conservative forces. By later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economic revolution) conservative right-wing camps support ‘free-marketism,’ whereas progressive left-wing camps defend planned ‘state-interventionism.’ The former (right-wingers) socially protects traditional values (social order/hierarchy), while economically endorses free market economy. On the other hand, the later (left-wingers) struggles to obtain equal rights for all against the rigid social order of Ancien Regime based on ‘birth’ or ‘blood.’ As a convenient tool of political option, the left-right paradigm has been firmly established as a universal and omnipresent-pattern term in modern political science. Nevertheless, is this contradictory dichotomy still effective in the 21<sup>st</sup> century? In the 1990s many politicians pretend to be ‘beyond the left-right divide,’ with the advent of the ‘Third Way’ advocated by the former British prime minister Tony Blair. Some scholars also insist that the old left-right paradigm can no longer describe the political propensities of voters or their view of the world. So, with too much simplistic/schematic left-right paradigm, we cannot exactly explain blue-color workers who support the populist far-right and right party or moderate-left voters & green party supporters who positively advocate free market economy, commonly known as right-wing values. Alain de Benoist, founder of the French New-Right (Nouvelle Droite) movement point to the gradual disappearance of traditional political ideologies in both left and right parties. The class consciousness can be the proper criterion which parts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recent survey, more than 70% of French people consider class consciousness or ideological antagonism as banal or hackneyed. If so, what are the main reasons for the disappearance or decline of bifurcated ideologies, and of class consciousness in late 21<sup>st</sup> century France? Does really revolutionary France want to switch her long direction from the left into the right or even far-right? In France, homeland of the political labels left and right, nobody expects the revival or resurgence of far-right even until 1980s. In France where left-wing culture was dominant and still is, what makes the French far-right so popular in the public opinion? How has a resurgent far-right been able to challenge to the moderate right or the left? As an electoral strategy which made the French left (socialist party) act in partnership with the far-left (communist party), can the right also reconciliate with the far-right? With the election of Macron as president, is the traditional left-right paradigm over? But democracy, too, needs directions. For all the details of policy making, all the nuances of ideology, we as voters, need a straightforward way of lining up the options and making our choices. Thus, to answer to these above-mentioned questions we need to comprehend the historical contexts which have made form the left-right topography and its political identity. This paper presents a diachronic study on the history of French left/right paradigm from the French revolution into the centric government of Macron, in order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rapid growth of French far-right (Front National), an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stereo-typed left-right paradigm. According to French political scientist Rene Remond, the French right-wings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raditionalist, liberal, Bonapartist, and revolutionary right. On the other hand, the French left-wings can be also divided into liberal (republican), radical (communist), and anarchist. Due to the divides and conflicts caused by the French revolution in 1789, modern France could not succeed in making a ‘national consensus’ for two centuries. There are three polemical issues between left and right-wing camps. The first issue is on the political regime: republic or monarchy? The second issue is a religious problem which polemically heated up the French society and academy in 1880s. The last one is a social problem sparked by the class struggle between bourgeois and proletaria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industrialism, socialism and labor movement. This paper is divided into three parts: genealogy of French right-wings, history of left-right opposition & struggle concentrating on the above-mentioned three politico-religious-social issues, to answer to the relevant question: end or renewal of left-right paradig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