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이중언어교육의 방향 연구 : 피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보은 대구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direction of bilingu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 in Korea based on the bilingual policy and practice of Fiji.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but as the cultural pluralism is further emphasized these days, discussions about bilingu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are naturally active. However, in Korea, which has a stronger single ethnic sentiment than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debate has just begun. Bilingu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students in Korea is being conducted around bilingual lecturers. On the other hand, Fiji has long been interest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lingual education for geographical and historical reasons. The study started at the end of July, 2015, when the researcher started working at S elementary school in Fiji. The main research participants are teachers and students of S elementary school, and K, an expert in Fijian education. Primary data was collected using teacher interview, teacher survey, and student survey. Furthermore secondary data was collected from government data, education reports of the Ministry and previous studies. These data were collected in a span of 1 year. Primary data from interview with teachers were used as the main source of information whereas the rest were used as supporting literature to write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a semi-structured format, based on questionnaire items after the survey. A total of 14 teachers in S elementary school and the educational expert, K, responded to the interview.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Fiji bilingual education by reviewing the transcript after the inter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lingual education in Fiji are as follows. First, the bilingual-friendliness and attitude of the teacher in Fiji indicates that the homeroom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is important. Teachers have established beliefs in bilingualism because they themselves are bilinguals and are accustomed to multicultural classrooms and showed a positive attitude of creating an open bilingual environment. Second, findings show that intercultural attitudes create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settlement of conflicts among ethnic groups, through the lives of villagers and intercultural attitudes in the classrooms of S elementary schools. Interculturalism means that cultures should be closer to each other while multiculturalism emphasizes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cultures. Third, bilingual education for minority language learners requires active assistance from the home and community. This suggests the following facts in Korea. First,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e role of homeroom teachers and not only bilingual lecturers. Practical training and field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help teachers establish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 bilingual education. Second, intercultural education is need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Korean society about bilingual education. Also, experiential multicultural education is needed to help understanding domestic multicultural situations. Third, because public education has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language education of all groups, it is required to actively change the family and community. Furthermore, since the number of languages ​​to be dealt with is expected to increase gradually, small community groups, school and family-centered policy should be stronger rather than having a top-down bilingual policy. Bilingual education should be an intentional effort to guarantee the linguistic rights of an individual and through this, a high level of social integration can be achieved. In other words, efforts to acquire the language power of a group may be natural, but at least on the educational level, the focus should be on the individual’s rights rather than the power game. In this proces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 little help to the positive change of recognition of social members and the establishment of bilingual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Key-words : Fiji, multicultural society, bilingual education, interculturalism, minority languages 본 연구의 목적은 피지의 이중언어정책 및 실제를 중심으로 한국 초등학교 다문화이중언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점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바뀌어 오고 있으나 현 시점에서 문화다원주의가 중시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다문화사회에서의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그러나 세계 여러 나라에 비하여 단일민족적 정서가 강한 한국에서는 관련 논의가 막 시작된 단계이다. 한국에서 다문화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중언어교육은 이중언어강사제도를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에 반해 피지는 지리적, 역사적 이유로 다문화교육, 다언어교육에 대한 관심이 오래전부터 시작되었으므로 한국의 상황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피지 S초등학교에서 근무하기 시작한 2015년 7월 말부터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주된 연구 참여자로는 S초등학교의 교사들과 학생들, 피지 교육전문가 K가 있다. 연구자가 약 1년간의 피지 생활에서 수집한 자료는 교사 면담, 교사 설문, 학생 설문, 정부 자료, 교육부 리포트, 그리고 기타 자료의 여섯 종류이다. 연구에서 주로 사용된 자료는 교사 면담 자료이며 나머지는 보조 자료로 사용하거나 이론적 검토의 작성에서 활용하였다. 면담은 설문 이후,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반구조화 된 형태로 실시되었으며, 총 14명의 S초등학교 교사와 교육전문가 K가 면담에 응하였다. 면담 녹음 파일을 전사 후 검토하여 피지 이중언어교육의 특징을 도출해 내는 질적 연구의 방식을 취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피지 이중언어교육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지의 교사들이 보여준 이중언어친화적 인식과 태도는 담임교사의 다문화감수성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말한다. 피지의 교사들은 본인들 스스로가 이미 이중언어화자이며 다문화적 교실에 익숙하기 때문에 이중언어에 대한 신념이 확립되어 있었고 열린 태도로 이중언어적 환경을 활용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둘째, 피지의 빌리지 사람들의 삶과 S초등학교의 교실에서 상호문화주의적 태도가 이민족 갈등 해소에 필요조건임을 알 수 있다. 다문화주의에서 여러 문화의 공존을 중시한다면 상호문화주의는 그것을 넘어 각 문화가 더 가까워질 수 있어야 함을 말한다. 셋째, 소수언어학습자를 위한 이중언어교육을 위해서는 가정과 지역사회의 적극적 도움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사실이 한국 상황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언어교육을 이중언어강사에 일임할 것이 아니라 담임교사의 역할을 강조해야 한다. 교사가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정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연수와 현장 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 둘째,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한국사회의 인식 변화를 위하여 상호문화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체험적 다문화 교육을 통한 한국적 다문화 사회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셋째, 공교육에서 모든 집단의 언어 교육을 다루기에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으므로 가정 및 지역사회의 적극적 변화의지가 요구된다. 더욱이 앞으로 다루어야 할 언어의 수가 점차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관주도형 이중언어정책보다는 지역사회, 단위 학교, 가정과 같은 작은 단위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이중언어교육은 개인의 언어적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의도적인 노력이며 이를 통해 차원 높은 사회적 통합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집단의 언어 권력의 획득을 위한 노력은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으나 적어도 교육적 차원에서는 힘의 논리 보다 개인의 권리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사회 구성원 인식의 긍정적 변화 및 다문화이중언어교육의 정착에 본 연구 또한 작은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주요어 : 피지, 다문화, 이중언어교육, 상호문화주의, 소수언어

      •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임상양상 및 예후인자 분석

        김보은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LCH) is a rare disorder with heterogeneous clinical manifestations ranging from relatively benign bony lesions to multisystem involvement. A nationwide multicenter survey was conducted in to clarify the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ith LCH. Methods : Datas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LCH registry. Between 1986 and 2010, 603 patients were registered from 28 institutions in Korea. Results : Median age at diagnosis was 65 months (range 0-376 months), and the male-to-female ratio was 1.4. Bone was the most frequently affected organ (79.6%) followed by skin (19.2%). Initially, 419 patients (69.5%) had single system involvement (SS), 85 (14.1%) had multisystem disease without risk organ involvement (MS-RO-), and 99 (16.4%) had multisystem disease with risk organ involvement (MS-RO+). At a median follow up duration of 8.1 years (range 0.8-25.2 years), the 5-year overall survival (OS) rates of patients in the SS, MS-RO-, and MS-RO+ groups were 99.6%, 99.4%, and 70.7%, respectively (P < 0.001), and their 5 year reactivation free survival (RFS) rates were 82.1%, 67.8%, and 64.3%, respectively (P < 0.001). The OS rate was lower in patients with risk organ involvement (P = 0.025) and lack of response to initial treatment at 12 weeks (P = 0.001). Multisystem involvement (P = 0.005) and age ≤ 2 years at diagnosis (P = 0.013)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reactivation. Permanent consequences (PC) were documented in 99 patients (16.4%), including diabetes insipidus in 45 (7.5%), vertebra plana or spinal deformity in 21 (3.5%), and growth hormone deficiency or short stature in 17 (2.8%). Reactivation of disease, MS involvement, and age > 2 years at diagnosi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incidence of PCs. Conclusion :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outcomes of LCH are comparable in Korean to international patients, except the lower incidence of PCs. Future efforts should target children likely to have a poor prognosis due to their age and disease sites at presentation 목적 :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은 조직구가 국소 또는 체내 여러 부위에서 침착하여 증식하는 원인 불명의 질환군으로 다양한 임상 증상을 보인다. 저자는 국내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환자의 임상양상 및 치료성적, 예후인자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환자들의 자료는 한국 조직구증식증 연구회를 통해 수집하였다. 1986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 28개 기관에서 진단받은 6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를 하였다. 결과 : 환자들의 진단시 정중 연령은 44개월(0-250) 이었으며, 남녀비는 1.4:1 이었다. 뼈(79.8%)와 피부(19.6%)를 침범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419명(69.5%)의 환자는 진단시 단일기관을 침범하였고, 184명의 환자는 다기관 침범을 보였으며, 이중 99명의 환자는 위험장기 침범을 동반하였다. 정중 8.1(0.8-25.2)년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21명(3.5%)이 사망하였고, 101명(16.7%)이 재발을 보였으며, 5년 생존률은 93.0%, 5년 무재발 생존률은 76.3% 이었다. 위험장기를 침범한 경우와 12주째 치료에 대한 반응이 좋지 않은 경우 생존률이 유의하게 낮았고, 다기관 침범을 보이더라도 위험장기를 침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생존률이 높았다. 진단시 2세 미만인 경우와 다기관 침범을 보인 경우 재발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재발을 한 경우에도 치료에 대한 반응은 좋아 사망한 경우는 적었으나, 재발한 경우 합병증의 발생 빈도가 높았다. 총 99명(16.4%)의 환자에서 합병증이 보고되었으며, 요붕증이 45명(7.5%)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이 외에 편평척추, 저신장 등이 있었다. 재발한 경우, 다기관 침범을 보인 경우, 그리고 진단시 2세 이상이었던 경우 합병증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 한국의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임상양상 및 예후는 합병증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 외에는 기존의 해외 보고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진단시 나이, 다기관 및 위험장기 침범은 중요한 예후인자로 확인된 바, 이러한 위험인자를 가진 환자들의 치료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노인의 사회적 연결망, 죽음불안, 주관적 건강상태 간의 관계

        김보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networks, death anxiety, and self-rated health in elderly subjects. Participants included 112 elderly men and women living in Seoul from several institutions such as community health center, community relief center.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7, 2015 to May 14, 2015.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characteristics such as Charlson Comorbidity Index (CCI), social networks, death anxiety, and self-rated healt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Another chronic disease was identified in 62.5% of participants, and most participants (84%) belonged to a group in which the CCI score was 0. The mean social networks score was 27.16±8.63 ranging from 0 to 50. Furthermore, the mean death anxiety score was 6.31±3.58, ranging from 0 to 15. Moreover, the mean self-rated health score was 3.36±0.83, ranging from 1 to 5; most participants (87.5%)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health status. Higher the education level, higher were the social networks (r = .250, p = .008) and self-rated health (r = .252, p = .007) levels. Furthermore, self-rated health level was high in the group with a high economic level (F = 3.325, p = .013).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cial networks (F = 1.527, p = .222) and death anxiety (F = 1.186, p = .309) existed, according to the CCI score. The self-rated health level was higher in the group in which the CCI score was 0 than that in the group in which the CCI score was 1 and over 2 (F = 5.887, p = .004).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ocial networks and self-rated health (r = .186, p = .049) and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death anxiety and self-rated health (r = −.323, p = .001), i.e., higher level of social networks correlated to higher self-rated health and higher level of death anxiety correlated to lower self-rated health.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tervention programs for strengthening social networks and reducing death anxiety should be developed for health promotion. 고령화 추세와 더불어 노년기의 주관적 건강문제가 사회의 주요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사회적 연결망과 죽음불안이 있으나 이에 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전반적인 건강상태에 대해 이루어졌고 동반질환이 많은 노인의 건강 특성이 반영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반질환의 여부, 동반질환의 수 및 심각도가 반영된 공존질환도에 따른 사회적 연결망, 죽음불안, 주관적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향상시키는 중재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복지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보건소, 복지관 등에 방문하는 65세 이상 노인 112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은 2015년 4월 27일부터 5월 14일까지 진행되었다.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사회적 연결망, 죽음불안,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TukeyHSD 사후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72.72±5.37세였으며, 대상자의 62.5%가 만성질환을 1개 이상 가지고 있었다. 또한 대상자의 대부분이(84%) 공존질환도가 0점인 군에 속했다. 사회적 연결망 점수는 최소 0점에서 최대 50점까지의 점수의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대상자가 인지하는 사회적 연결망이 높음을 의미하는데 대상자의 평균 점수는 27.16±8.63이었다. 사회적 연결망 도구 개발 시 20점 미만인 군은 사회적 고립의 위험군으로 분류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20.5%가 사회적 고립 위험군에 속하였다. 죽음불안은 최소 0점에서 최대 15점까지 점수 범위를 갖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죽음불안이 높음을 의미하는데 본 연구의 대상자의 평균 죽음불안 점수는 6.31점±3.58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 점수는 최소 1점에서 최대 5점의 범위를 갖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게 인식함을 의미하는데 대상자의 평균 주관적 건강상태 점수는 3.36±0.83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t=-2.77, p=.007), 동거가족이 있는 경우(t=3.26, p=.001),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에(r=.250, p=.008) 사회적 연결망 정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 정도의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배우자가 있는 경우(t=-2.464, p=.015),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r=.252, p=.007), 월 평균 수입이 200만원 이상인 군(F=3.325, p=.013)에서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게 인식하고 있었다. 공존질환도 점수에 따라 사회적 연결망(F=1.527, p=.222)과 죽음불안 정도(F=1.186, p=.309)의 차이는 없었으나 공존질환도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연결망 점수가 낮아지는 추이를 보였다. 공존질환도 점수가 1점 인 군과 2점 이상인 군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공존질환도 점수가 0점인 군보다 낮게 나타났다(F=5.887, p=.004). 사회적 연결망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정적인 상관관계(r=.186, p=.049), 죽음불안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부적 상관관계(r=-.323, p=.001)를 보였다.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연결망 점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게 인식하며, 죽음불안 점수가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적 연결망을 확충시키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해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죽음준비 교육과 같은 죽음불안을 낮추는 중재 프로그램을 통해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증진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궁극적으로는 노인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창작동요에 관한 분석과 경향 연구 : 1990~2000년대 KBS, MBC 창작동요제 입상곡 중심으로

        김보은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activities of creative children's songs that have been developed since 1980s and analyses creative tendency centering on the songs which were awarded from 1990s to 2000s. For the purpose, this study identifies importance of creative children's songs, and analyses the songs awarded at the song competitions organized by KBS and MBC since 1990s, targeting the years of award, judgement, song writers, composition, beat, pitches, number of phrases, rhythm, accompaniment harmony, playing types, dynamics, and word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examines the actual conditions of creative children's songs to see whether they are suitable for children of this time, and analyses many techniques shown in songs with musical elements. Then, it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elements, words, harmony, forms and composition, and popularity.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songs in 2000s have characteristics of musical elements: variable and specified rhythms and rap, pitches using agrement, or jumping pitches, chords and discords, soft, static and lyrical tones, free progress of pitches (2 degrees, 6 degrees, and sequential progress), which provides familiarity and pleasure for us. For beats, complex beats are used, which gives us something different. The characteristics in words include various episodes such as ' yearning for rural life, computer games, or pet dogs' rather than tough periods. And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appear through contrast with animals, plants and natural phenomena. For the characteristics in harmony, as harmony is getting complicated and dependent on popularity, jazz-style or popular harmonies are usually being used rather than classic harmony. Those in forms and composition include the followings: increased number of phrases from 35 to 55, abundant use of harmonies, various and comprehensive accompaniment, changed forms, sudden change in the speed of songs, plentiful use of staccato which causes mood of songs to be changed, use of accents which makes songs powerful, many use of temporary signs which puts vigor to the mood of songs through which words and musical expression are emphasized. And children are getting familiar with popular songs as they are exposed to them through TV or computers. Therefore, our creative children's songs are changing according to the current trend. So for desirable development of creative children's songs, this study suggests that: words designed for children, and literary elements which contain children's life and world should be developed. The nature of children's songs to follow should be based on innocent mind of children and their life. And children's songs should be future-oriented, and be accompanied by musicality and artistic mind. 본 논문은 창작동요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1980년대부터 발달되어 온 창작동요 활동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재조명해보고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출품되어 온 창작동요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에 따라 나타나는 창작경향을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분석상에서는 창작동요의 중요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199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발표된 창작동요제에 입상한 곡들을 중심으로 하되 그 중에서 MBC와 KBS가 주최한 창작동요제의 입상곡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수상년도ㆍ수상내역, 작사ㆍ작곡자, 조성, 박자, 가락, 마디 수, 리듬, 반주화성, 연주형태, 다이내믹, 가사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한 창작경향에서는 동요 창작의 실제를 살펴봄으로써 현시대 아동들에게 적합한 창작동요의 창작여부를 짚어보았으며, 음악적 요소가 함께 어우러진 동요에 나타나는 여러 기법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음악적 요소에 나타난 특징과 가사의 내용(노랫말)에 나타난 특징, 화성에 나타난 특징, 형식과 구성에 나타난 특징, 대중성에 입각한 특징들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 음악적 요소에 나타난 특징에서는 2000년대의 창작동요곡에서 다양하면서 세분화된 리듬꼴과 말하기 형식(Rap), 꾸밈음을 사용한 가락이나 도약성 가락이 많이 등장하였고, 성부간의 화음과 불협화음, 그리고 음정 간에 이루어지는 부드럽고 정적이며 서정적인 음색이 등장했으며 음높이가 자유스러운(2도, 6도, 순차적 진행) 진행이 더해져서 더욱더 우리에게 친근함과 즐거움을 선사해주었다. 박자에서는 변박자가 많이 쓰여짐으로 색다른 맛을 느끼게 하였다. 가사의 내용(노랫말)에 나타난 특징에서는 예전의 힘들었던 시절의 가사가 아닌 오히려 ‘시골에 대한 그리움’이나, 요즘 시대에 걸 맞는 ‘컴퓨터 게임’, 그리고 집에서 키우는 ‘애완견’에 대한 에피소드 등 가사의 내용상의 소재가 참으로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다. 또한 의성어나 의태어가 동물, 식물, 자연현상에 많이 빗대어 져서 등장되어지고 있었다. 화성에 나타난 특징에서는 화성이 더욱더 복잡해지고 대중성에 입각하다 보니 고전적 화성이 쓰여지기 보다는 재즈풍이나 대중적 색채가 짙은 그러한 화성이 많이 쓰여지고 있었다. 형식과 구성에 나타난 특징에서는 35마디~55마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마디 수가 많아졌고 풍부한 화성의 쓰임과 함께 다양하고 포괄적인 반주 형식이 비춰졌으며, 형태 또한 많이 바뀌어졌다. 또한 곡의 빠르기가 갑자기 변화된 부분, 스타카토가 다량 사용되어 곡의 분위기가 바뀐 부분, 악센트의 표현으로 곡의 분위기가 강해진 부분, 임시표의 사용이 두드러짐으로 곡의 분위기를 한층 더 살려낸 부분이 많아져서 가사와 음악적 표현이 강조되기도 하였다. 또한 요즈음 급속도로 확산되어지고 있는 대중가요가 어린이들에게도 많이 익숙해지고 있으며 텔레비전이나 컴퓨터를 통하여 접하여지고 있는데, 그 실정의 영향으로 우리의 창작동요곡도 그 추세에 걸맞게 변화되어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창작동요의 바람직한 방향은 진정으로 우리 어린이들에게 적합한 가사, 그리고 어린이들의 삶과 그들만의 세계가 담긴 문학적 요소들이 많이 발굴되어야 할 것이며 앞으로 따라야 할 창작동요의 성격은 어린이들의 순수한 동심을 기초로 하며 그네들의 삶에 입각한, 본연의 모습에서 흐트러지지 않은 그러한 동요의 성격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미래를 향한 눈을 뜨고 어린이의 동요, 어린이를 위한 동요가 탄생되고 불리워져야 할 것이며 창작동요의 방향 또한 순수한 감각을 잃지 않은, 음악성과 예술성이 내재되어 있는 곳으로 향해가야 할 것이다.

      • 수학일기쓰기 활동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보은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학적 의사소통 방법 중 수학 일기 쓰기 활동을 학습자에게 적용한 후,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수학 일기 쓰기 활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학생들의 사전 학력평가 성적을 통해 수준을 파악하고 총 4차시의 실험을 거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통해 세 수준의 학생들에게 수학 학업 성취도는 각기 다르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또한 수학 일기 쓰기 활동에 대한 태도는 세 수준 학생 모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수학 일기를 활용한 상·중·하 수준의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가?’라는 연구 문제 결과는 상·중 수준의 학생에게는 수학 일기 쓰기 활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지만,하 수준의 학생에게는 부정적인 영향을 보였다.즉, 수학 학습에 있어서 수학 일기 쓰기 활동이 의사소통 중 쓰기에 좀 더 익숙한 상위권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둘째,‘수학 일기 쓰기 활동을 한 후 학생들의 반응은 긍정적인가?’라는 연구문제 결과에서는 수학 일기 쓰기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문제 해결력,반성 및 유용성에 관한 문항은 평균 5%의 학생이 그렇지 않다는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다.그러므로 수학 일기 쓰기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는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본 연구는 예비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4주간의 단기간 수학 일기 쓰기 활동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단기간이 아닌 장기간의 연구를 걸쳐 지속적인 효과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 둘째,본 연구는 수학 일기 쓰기 활동을 일차함수 단원에 한하여 예비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상·중·하 수준의 학생들에게 각기 다른 수학 일기를 제시하였는데 다른 학년 서로 다른 단원에 맞는 상·중·하 수준의 각기 다른 수학 일기 모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수학 일기 쓰기 활동에서 교수·학습 모형은 활동 중심,반성적 사고,의사소통의 구성주의 학습 원리를 상호 유기적으로 적용하고자 구안한 교수·학습 모형의 한 예이다.구성주의의 원리를 적용한 교수·학습 모형은 하나의 틀로만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므로,다양한 방법과 관점으로 교수·학습 모형과 교수방법의 예들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 '이다' 구문의 특성 연구

        김보은 청주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에서는 ‘이다’ 구문에서 보이는 여러 가지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함으로 본고 2장에서 형태론적 관점으로 설정한 ‘이다’의 범주와, 통사론적 관점으로 설정한 ‘이다’의 범주 그리고 의미론적 관점으로 설정한 ‘이다’의 범주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이다’의 용언설인 ‘지정사설’, ‘계사설’, ‘지정 형용사설’, ‘기능동사설’과 ‘이다’의 접사설인 ‘파생접사설’, ‘통사적 접사설’의 견해와 타당성을 짚어보았다. 여러 가설들의 타당성과 한계성을 살펴본 결과, ‘이다’는 ‘통사적 접사’로 봐야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여 본고에서 설명할 ‘이다’ 구문의 특성은 ‘통사적 접사’에 염두에 두고 살펴보았다.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은 본고 3장에서 이루어졌다. 본고 3장 1절에서는 본격적으로 형태·통사론적 특성과 통사·의미론적 특성을 각각 살펴보았다. 우선, 형태·통사론적 특성과 관련하여서는 남기심(2001)에서 제시한 유형을 토대로, ‘이다’ 구문을 ‘분류문, 유사분류문, 비분류문’으로 분류하여 이들 각각의 구문에서 보이는 ‘X+이다’의 특성, 즉 ‘X+이다’를 단어형성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류문’에서는 ‘이다’를 ‘답다’와 ‘같다’ 구문과 비교하여 ‘이다’가 자립성이 없는 요소이지만 선행 명사 사이에 조사가 개입되어 선행 명사와 분리될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았다. 또한 ‘이다’는 ‘같다’와 함께 단형 부정문 형성이 가능하고, 관형어의 수식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단어형성이 불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사분류문’에서 보이는 ‘X+이다’ 구문의 형식은 남길임(2004)에서 제시한 ‘이다 관용 구문’과 유사하다고 보고 ‘이다 관용 구문’의 특성을 제시하면서 ‘유사분류문’과 비교하여 살펴봤다. 그 결과 ‘유사분류문’의 ‘X+이다’는 제3의 의미를 형성하고, ‘아니다’ 부정이 불가능하며 소절 구성을 이룰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X+이다’의 ‘X’가 의문문과 부정문의 초점이 될 수 없다는 알 수 있었다. 이때 ‘유사분류문’과 ‘이다’ 관용 구문은 대부분 같은 특성을 갖고 있는 구문으로써 단어형성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셋째, ‘비분류문’에서 보이는 ‘X+이다’ 구문은 남기심(2001: 163)에서 말하였듯이 ‘문법 차원이 아닌 담화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할 특수 형식의 문장’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사실은 ‘X+이다’가 통사적 구성의 형성보다는 단어형성의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할 문제로 판단하였다. 3장 2절에서는 통사·의미론적 특성으로 ‘이다’와 선행 요소들 간의 통사적 제약과 선행 요소들 간의 의미 관계, 즉 의미제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선행 요소들 간의 통사적 제약으로는 ‘X+이다’가 부사어와 관형어의 수식을 받는지에 대해 살펴봤는데, ‘X+이다’ 구성에 대한 부사어의 수식 문제는 부사 자체의 수식제약과 함께 ‘이다’가 갖고 있는 의미자질이 복합적으로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어 ‘이다’는 부사의 수식을 받는 일반적인 용언과는 다르게 ‘이다’의 선행어로서 ‘명사’에 의한 제약을 갖는 성분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다’는 용언의 성질을 갖는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관형어의 수식 문제에서 {관형어+명사}와 같은 ‘구’의 형태에 ‘이다’가 결합한 것으로 보면 ‘구’와 연결되는 ‘이다’의 특성은 ‘통사적 접사’와 같은 맥락이라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이다’의 범주를 ‘통사적 접사’로 봄과 동시에 그것이 바로 ‘이다’ 구문의 특성임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다’ 구문 중에 ‘강조’를 나타내는 ‘강조 구문’이 있는데 이러한 ‘강조 구문’은 ‘분열문’일 때에만 가능하다고 본다. 3장 3절에서는 ‘이다’ 구문의 선행 요소들 간의 의미 관계를 즉 ‘이다’ 구문에서 이루어지는 ‘등치관계’, ‘상위관계’, ‘비유관계’, ‘동작표시관계’, ‘속성표시관계’, ‘의미한정관계’로 여섯 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봤는데, 의미 관계에 따라 ‘이다’의 문법적 기능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았다.

      • 교차타당성방법을 이용한 선형모형의 로버스트 예측오차에 대한 연구

        김보은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are many parameter estimation methods. However, exists the unsuitable data in the model selection, then we were used to the following the robust model selection. Besides, the parameter can be used to solve the problem from the unknown distribution. As experiment, we conclude that the contamination distribution satisfies rather the robust method than least square method in any situation and the data have been a small observation. In this paper using the statistical methodology of the cross-validation, we estimate the robust parameter on the non-normality observation, and then we see the conclusion that obt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ast square method and the robust method. Finally, we can compare the MSE with the both model and predict the estimation of prediction error from the loss function.

      • 국내 음악치료사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심리·정서 요인을 중심으로

        김보은 仁濟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사의 심리·정서적 요인에 대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을 하여 음악치료사의 삶과 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 수행방법에 따라 논문을 수집하여 포함/배제 기준에 따라 총 42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논문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별 특성을 살펴본 결과 음악치료사의 경험과 성장이 가장 많은 연구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역전이, 소진, 불안, 직무스트레스 순이었다.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류한 결과 음악치료사에 관련된 연구는 2008년 석사 학위논문을 시작으로 2017년에는 박사학위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그 이후로 2018년까지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출판 유형별 분류결과 석사학위논문 19편, 박사학위논문 1편과 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는 22편으로 학회지의 비율이 높았다. 음악치료사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연구 22편과 질적 연구 20편이며 연구의 공통적인 결과로 음악치료사의 심리·정서적 요인은 음악치료사로서의 성장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연구의 동향을 알아봄과 동시에 음악치료사의 삶과 임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정서적 요인을 밝히고 앞으로 음악치료사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Systematic reviews on the study of domestic music therapists : Based on the factors of the therapist's psychological emotions Bo-eun KIM (Advisor: Prof, Sung-jin KIM) Department of music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gure out factors influencing music therapist's life and clinic by systemic reviewing psychology·emotion of domestic therapist. Collection of paper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method of systemic literature review, and 42 paper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clusion/exclusion criteria. As a result of observ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by factor of all selected papers, music therapist's experience and growth were studied the most, and next frequency ranks are counter-transference, burnout, anxiety and job stress in order. As a result of classify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research of music therapist has been begun since 2008, starting from master's thesis at 2008 to doctor's thesis at 2017, thereafter, a lot of researches has been proceeded steadily. As a result of classifying publishing type, there were 19 master's theses, 1 doctor's thesis and 22 studies published in conferences. When it comes to music therapist study, there were 22 survey researches, 20 qualitative researches. Common result of these researches was that music therapists' psychologic and emotional factors influence on not only their growth as a music therapist but also their personal growth. Thus,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rend of researches of music therapist and at the same time tries to figure out psychologic·emotional factors which have effects on music therapist's life and clinics, and also to provide data base for research of music therapist in the future.

      • ‘총체적 언어 접근법’ 기반의 한국어 기능 통합 교육 연구

        김보은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plans for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unction based on whole language approach to improve language ability of learners as a second language. For this purpose, Chapter 1 presented the purpose, method of study and organization of discussion, reviewe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is and clarified what this study aimed for. Chapter 2 discussed the necessity of whole language approach in Korean education, concept and feature of ‘Whole Language Approach’, one of language learning theory closely related to this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necessity of integrated education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in korean education, concept and feature of 'integrated education of language function. Chapter 3 examined the integrated aspects of language function focusing on teaching materials publish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6 universities, the main fields of Korean educ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presented type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and tendency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in korean education focusing on ‘activity of language function’, ‘sequence of language’, and ‘integrity of language function’ Chapter 4 presented the learning model of the second language and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processing from aspects of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 learning model of the second language presented was reflected in the language activities per type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proposed by this study. This study finally proposed the optimal integration model of language function by actually applying the language activities pr type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presented by this study, of Korean learners in education in universities. Lastly, Chapter 5, conclusion, summarized the above contents, and concludes with comments on positive aspects of this study by mentioning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effectiveness of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unction based on ‘Whole Language Approach’;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stagnated language activity model in korean textbook, and to improve Korean ability of learners as the second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