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면 피부온도를 활용한 PMV 지표 기반 쾌적환경 조성의 타당성 연구

        김보성 ( Bo Seong Kim ),민윤기 ( Yoon Ki Min ),신에스더 ( Shin Esther ),김진호 ( Jin Ho Kim ) 한국감성과학회 2013 감성과학 Vol.16 No.3

        This research examined the validity of whether the PMV index-based comfort- or uncomfort-indoor environments could be classified by the facial skin temperature, one of the physiological indicator for human. To do this, we distinguished between a comfort thermal environment and an uncomfort thermal environment using the PMV value, and then facial skin temperatures were measured in both environments. As a result, the facial skin temperature of occupants were different between the comfort- and uncomfort-indoor environments. It suggested that the facial skin temperature could be used in shaping th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ased on the PMV index. While this result suggested the PMV index-based on comfort and uncomfort indoor environments could not be valid, because the facial skin temperature was lower in the uncomfort thermal environment than in the comfort thermal environment.

      • KCI등재

        만성 뇌졸중 환자의 가정기반 재활 프로그램에 관한 인식조사

        김보성(Kim, Bo-Seong),김덕주(Kim, Deok-Ju)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1 No.2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가정기반 재활 프로그램의 인식도와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추후 뇌졸중 환자의 가정기반 재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9년 6월 30일부터 7월 31까지 충북지역에 위치한 5개의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와 보호자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환자 100부, 보호자 100부, 총 200부였으며, 직접 회수된 설문지는 최종 62부, 83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Version 24.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가정기반 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본 결과, 환자와 보호자 모두 프로그램을 받아보지 않은 경우가 더 많았으며, 받아본 경험이 없었던 이유로는 대부분 어디서 제공하는지 알지 못하였거나, 이용하는 기관에서 제공해 준 적이 없기 때문이었다. 가정기반 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본 결과, 환자와 보호자 모두 신체기능과 구조항목에서는 근력 및 운동 조절, 활동과 참여 항목에서는 이동과 자조활동, 법적⋅사회적 지원에 대한 정보 서비스 항목에서는 보건 및 사회보장서비스에 대한 정보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가정기반 재활 프로그램의 경험 유무에 따른 환자의 일상생활, 우울, 삶의 질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프로그램에 경험이 있는 그룹이 경험이 없는 그룹에 비해 일상생활 수행도의 평균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론 : 본 연구는 가정기반 재활 프로그램의 인식도와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추후 뇌졸중 환자를 위한 가정기반 재활 프로그램의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wareness and necessary components of home-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chronic stroke patients and caregivers, and subsequently use them for developing home-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stroke patients in the future. Methods : From June 30 to July 31, 2019, we conducted a survey among stroke patients receiving occupational therapy at five hospitals located in Chungcheong Province and their caregivers. We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o 200 participants, 100 of whom were patients and 100 were caregivers. We received 62 and 83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pati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Version 24.0. Results : Results from the survey showed that most patients and caregivers had not been involved in any home-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Reasons for this included lack of knowledge on where these programs were available. An examination of the requirements for home-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showed that the greatest need for a focus on muscle power and movement control; mobility and self-care; information on health and social security services. Patients activities of daily lif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differed based on whether they had previously received a home-based rehabilitation program. Patients who had received home-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ha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levels of daily performance than those who did not(p<0.05).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be used to develop a home-based rehabilita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by considering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home-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 KCI등재

        ICF에 기반한 가정연계 재활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자기효능감 및 참여에 미치는 효과

        김보성(Kim, Bo-Seong),김덕주(Kim, Deok-Ju)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1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3 No.2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화된 가정연계 재활 프로그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자기효능감 및 참여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만성기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을 무작위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정연계 재활 프로그램은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ICF)의 신체기능 및 구조, 활동 및 참여, 법적 사회적 지원에 대한 정보 서비스와 관련된 활동을 바탕으로 하여 각 영역별로 구성하였으며, 작업치료를 받는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하루 30분, 주 5회(2회는 치료실, 3회는 가정), 8주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결과, 중재 후 집단 내 상지기능 평가와 자기효능감척도 항목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1). 참여의 수행도는 실험군에서만 개인관리, 이동성, 일상활동영역 총점, 사회역할영역 총점, 참여 전체 총점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p<.05, p<.01). 참여의 만족도는 실험군에서 개인관리, 일상활동영역 총점, 지역사회생활, 참여 전체 총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p<.05, p<.01), 대조군에서는 일상활동영역 총점에서만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p<.05).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간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상지기능, 자기효능감, 참여 수행도의 일상활동영역과 총점, 참여 만족도의 지역사회활동, 사회역할영역과 총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p<.01). 결론 : 구조화된 가정연계 재활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에서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에게 가정에서 할 수 있는 활동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추후 가정연계 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치료사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tructured home-linked rehabilitation program on upper extremity function, self-efficacy, and participation perform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20 chronic stroke patients, and 10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in the control group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study. Based on the activities related to physical function, structure, activity, and participation i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the home-linked rehabilitation program was composed of 20 in each area, and 30 per day for outpatients receiving occupational therapy. Minute, 5 times a week (2 times in the treatment room, 3 times at home), 8 weeks. Results : As a result of the study,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valuation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self-efficacy scale within the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p<.01). The performance of participation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ersonal management, mobility, daily activities, social role, and particip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only (p<.05, p<.01).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total score of personal management, daily activity area, community life, and particip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p<.05, p<.01), and in the control group, only the total score of the daily activity area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p<.05, p<.01). shown (p<.05).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group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aily activity area and total score of upper extremity function, self-efficacy, and participation performance, community activity, and social role area and total score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p<.05, p<.01). Conclusion : The structured home-linked rehabilitation program implemented in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guidelines for activities that can be performed at home to stroke patients living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to therapists who want to develop a home-linked rehabilitation program in the future.

      • KCI등재

        양식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의 비병증 예의 근육변성

        김보성 ( Bo Seong Kim ),이성주 ( Sung Joo Yi ),황세명 ( Se Myung Hwang ),이무근 ( Mu Kun Lee ),박영진 ( Young Jin Park ),송교정 ( Kyo Jung Song ),허민도 ( Min Do Huh ) 한국수산과학회 201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7 No.2

        In this study, 6-10 clinically healthy farm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ere obtained from Jeollanam-Do Wando Soan-myeon, Bogil-myeon, and Nohwa-eup monthly for 1 year 7 months and were examined histopathologically. As a result, the adductor muscle had severe cellular swelling and myonecrosis. These lesion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and Giemsa. The lesions were not caused by infection of bacteria or parasite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sion frequency and water temperatureand discovered that increased water temperature was associated with increasing lesion frequency. As water temperature is related to growth rate, increased growth rate was closely related to increased lesion frequency. We considered that these lesions could be a useful factor in measuring shellfish health.

      • KCI등재

        공조방식에 의한 예상 온열감 반응(PMV) 변화에 따른 심리/생리적 감성반응의 변화

        김보성 ( Bo Seong Kim ),민윤기 ( Yoon Ki Min ),민병찬 ( Byung Chan Min ),김진호 ( Jin Ho Kim ) 한국감성과학회 2011 감성과학 Vol.14 No.4

        본 연구는 냉?난방공조 조건에서 예상 온열감 반응(predicted mean vote; PMV)의 변화에 따른 심리?생리적 감성반응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공조 시스템의 냉?난방 가동에 따라 PMV의 변화를 유도하고, 쾌/불쾌 및 각성/이완 정도를 심리적 감성반응으로, 심박률(heart rate; HR)을 생리적 감성반응으로 활용하여 PMV 변화에 따른 심리?생리적 감성반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PMV 변화 범위 내에서 재실자의 심리적 쾌/불쾌 및 긴장/이완 반응과 생리적 반응이 공조 조건이 달라짐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난방과 냉방의 공조조건에 따라 재실자의 실내 온열환경에 대한 감성반응이 서로 다를 뿐 아니라 각 공조 조건에 민감한 감성반응이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실내 온열조건을 재실자에게 가장 적합하도록 조절하고자 할 때, 인간의 심리 및 생리적 감성반응을 모두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changes of both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motional responses according to change of the PMV (predicted mean vote) in the heating and the cooling air conditions. For this purpose, the changes of PMV were induced by the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s of the 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s. In addition, positive/negative and arousal/relaxation were measured as the participant`s psychological emotional responses, and HR (heart rate) was measured as the participant`s physiological emotional responses. As a result, in same range of the PMV, both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motional-responses were changed by air conditioning. It is suggested that occupant`s emotional responses would depend on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heating and cooling in indoor thermal environments, and both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motional response should be considered when occupants try to match the indoor thermal environments to their thermal expec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