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Human Adjuvant Disease 1예

        김병연,유병무,배상철,유대현,김성윤,김신규,최희윤 대한내과학회 1992 대한내과학회지 Vol.42 No.1

        저자들은 43세의 여자 환자에서 silicone 주입후 류마토이드 관절염의 증상을 발현한 HAD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silicone을 이용한 미용성형술이 증가추세에 있으므로 HAD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Human adjuvant disease means the autoimmune disease or autoimmune disease-like syndrome developed after plastic surgery using foreign body implantation. After first report of HAD by Miyoshi at 1964, a number of cases have been reported especially from Japan. Siliocone has been known as biologically inert material, but a couple of side reaction and experimental data argue against such conventional idea. It is impossible to identify the exact role of implanted substance in the occurence of autoimmune disease, but there are a few indirect evidences for adjuvant effect of silicone. Therefore silicone or paraffin function as adjuvant at least in the development of HAD. The spectrum of HAD are as follows: unclassifiable connective tissue disease like syndrome, rheumatoid arthritis, SLE, polymyositis, adult Still's disease, ITP, Hashimoto's thyroiditis, etc. There has been no report regarding HAD in Korea. We experienced a case of HAD manifesting as rheumatoid arthritis in 43 years old female patient who had been injected with silicone fluid for augumentation mammoplasty 13 years ago and report this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측두하악관절내장 환자의 진단분류에 따른 하악운동 특성의 분석

        김병연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齒大論文集 Vol.14 No.-

        저자는 좌우 관절별 세부 진단군에 따른 측두하악관절내장 환자들의 임상 증상과 하악운동의 특징을 분석하여 측두하악관절내장의 진단과 치료 효과의 평가에 대한 이들의 유용성 및 한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자료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정상인 38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고 MRI상에 의하여 측두하악관절내장 환자로 진단된 374명을 실험군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군을 다시 MRI상을 이용하여 4개의 세부 진단군으로 분류하였다. 대조군과 세부 진단군에 대하여 임상 증상 미 발생기간. 하악운동범위,교합상태 등의 임상 검사와 MKG를 이용한 전두면 및 시상면상에서의 하악운동형태,최대 및 평균 하악개폐운동속도,최대 개폐구속도 궤적의 형태 등의 하악운동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얻어진 자료를 비교 분석한 바 결과를 얻었다. 1. 동통의 발생 빈도는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에서 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에 비해 높았으며, 관절잡음의 발생 빈도는 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에서 높았고, 개구제한의 발생 빈도는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에서 높았다.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의 진행 기간은 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에 비해 짧게 나타났으며 편측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의 진행 기간이 가장 짧게 나타났다. Angel씨의 분류에 따른 교합형태의 분포는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능동적 최대개구범위, 수동적 최대개구범위, 전방운동범위, 좌측 측방운동범위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운동범위가 감소하였으며 실험군의 각 군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측 측방운동범위는 대조군과 실험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편측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에서의 비이환측으로의 측방운동범위는 이환측으로의 측방운동범위에 비해 적게 나타났으나 편측 정복성 관절원판변위에서의 측방운동범위는 이환측 빛 비이환측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전두면상의 개폐구운동의 형태는 각 구간에 유의한 분포의 차이가 있었으며, 단순편위형(F-2)의 경우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에서 대조군 및 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에 비해 발생 빈도가 높았다. 시상면상의 개폐구운동의 형태는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에서 대조군 및 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에 비해 단순편향형(S-1)의 분포가 증가하였으며 복잡편향형(S-2)의 분포가 감소하였다. 5. 최대개구속도 궤적 형태의 경우, 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분포를 보였으나 편측 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의 무봉형(OV-3)의 분포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에서는 단봉형(OV-1)및 쌍봉형(OV-2)의 분포는 감소한 반면 무봉형의 분포는 증가하였다. 최대폐구속도 궤적 형태의 경우, 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단봉형(CV-1)과 쌍봉형(CV-2)의 분포는 감소하였으나 무봉형(CV-3)의 분포는 증가하였고,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에서는 대조군 및 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에 비해 단봉형과 쌍봉형의 분포는 감소한 반면 무봉형의 분포는 증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