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선박의 櫓 구조와 軍船 格軍의 편성과 운용

        김병륜 한국역사민속학회 2018 역사민속학 Vol.0 No.54

        조선시대 소급되는 사료를 통해 조선시대 노(櫓)의 구조와 특성을 검토해 보면 기존 ‘한국식 노’ 논의에서는 뚜렷하게 파악되지 못한 세 가지 측면을 파악할 수 있다. 첫째, 대소 선박을 불문하고 조선시대 선박은 기본적인 형태의 노와 함께 ‘설및’ 혹은 ‘장미목’으로 불리우는, T자형 첨단부를 가진 형태의 보조 노를 별도로 가지고 있었다. 이 노는 ‘민노질’ 혹은 방향전환용으로 사용되는 노였다. 조선후기 군선(軍船) 중 충청도 지역 龜船의 경우 2개의 ‘장미목’, 그보다 작은 兵船에는 1개의 ‘장미목’을 탑재한 사례에서 보듯이 軍船에서도 ‘장미목’을 운용했다. 둘째, 『朝鮮漂流日記』와 「信行渡海船圖」를 토대로 보면 2명이 저을 때 앞 뒤로 나란히 마주보고 젓는 방식과 옆으로 나란히 앉아 젓는 방식이 병행되었다. 4명이 젓는 경우가 많았던 軍船의 노 운용방식은 사료로 확증할 수 없으나, 2명을 초과할 때는 2명씩 옆으로도 나란히 앉고, 앞뒤로도 마주보는 방식으로 노를 저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셋째, 『朝鮮漂流日記』와 「信行渡海船圖」를 근거로 보면, 조선시대 전통선박은 20세기 이후의 한국식 노처럼 서서 젓는 방식은 물론이고 앉아서 젓는 방식으로도 운용할 수 있었다. 이 같은 방식은 통신사선이나 일반적 官船은 물론이고 軍船에도 적용될 여지가 있다. 조선시대 선박의 노를 ‘한국식 노’라고 흔히 부르지만, 실제로는 중국과 일본의 전통 방식 노와도 기본 구조 측면에서는 매우 유사하다. 이른바 20세기의 ‘한국식 노’, 그리고 그것과 거의 유사해 보이는 조선시대 노는 ‘중국식 노’ 혹은 ‘동아시아의 노’와 원리적으로 공통성이 매우 많으며, 차이점은 크지 않다. 높은 효율성 등 ‘중국식 노’의 장점으로 거론된 부분은 ‘한국식 노’ 혹은 조선시대 노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 점에서 이른바 ‘한국식 노’는 넓은 의미에서 동아시아 방식 노의 한 하위 유형 혹은 동아시아 노의 한 지역적 형태로 보는 것도 가능하다. 이 같은 櫓를 젓는 군사를 格軍, 櫓軍, 能櫓軍으로 불렀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 군선인 戰船(판옥선)의 경우 노 1개당 4명을 배치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유형이다. 이런 방식은 1642년(인조 20)에 이미 보이며, 1808년 御覽用으로 편찬된 『萬機要覽』의 舟師分防法에도 보인다. 여기에서 약간 변형되어 노 1개당 4명이 배치되는 것은 동일한데, 노 1개당 長 1명을 별도로 편성하는 방식도 널리 사용된 격군 편성방식 중 하나였다. 조선후기 軍船들은 돛 없이 櫓를 주된 동력으로 사용할 때도 있는 櫓船적인 특성을 가졌다. 櫓船은 구조적 특징상 노를 저을 수 있는 많은 인력이 필요했으며, 조선의 군선도 적어도 승선 인원의 60% 정도는 격군이 차지할 정도로 노를 젓는 병력의 비율이 높았다. 이 때문에 기본적으로 비전투원인 格軍에게 전투기술을 훈련시켜 전투원으로 竝用하려는 시도가 몇차례 있었으나, 格軍의 부담을 무겁게 한다는 이유로 이 같은 방안은 실현되지 않았다. From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oars(櫓)’ used in the period were examined to find three aspects that have not been distinctly identified by discussions of the existing ‘Korean oars’. First, Joseon’s ships used basic types of oars as well as separate auxiliary oars called ‘Jangmimok(長尾木)’. The latter was subsidiary one with the T-shaped structure at the end of it. The uses of them are not clearly verified, but are presumed to be used for changes of directs. Among warships(軍船) opera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Geobukseons(Turtle Ships) were usually equipped with two ‘Jangmimoks’ and smaller warship(兵船) with one ‘Jangmimok’. Second, 『Joseonpyoryu-ilgi(朝鮮漂流記)』 shows that two men who were positioned side by side pulled on the oars. 「Sinhaengdohaeseondo(信行渡海船圖)」 exhibits that two men worked at the oars, while they are faced with each other with each man being on a front and a rear seat, respectively. Although it is impossible to corroborate how oars were used in warships(軍船) on which there were usually four oarsmen, two measures mentioned above were likely to be simultaneously used. Thus, they might work at the oars, while being side by side or being faced with each other with each one being on a front and a rear seat. Third, oarsmen might pulled on the oars while standing as well as sitting, on traditional ships in the Joseon Dynasty, like Korea type of oars, based on 『Joseonpyoryu-ilgi』 and 「Sinhaengdohaeseondo」. Such a measure was likely to be applied to warships(軍船). If that was so, the height of floors on which oars were built in Geobukseon or Panokseon were allowed to be somewhat lowered. It seems to be necessary to further review such a perspective by connecting it with inner structures of warships(軍船)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oars of ships in the Joseon Dynasty are often called ‘Korean oars’, but their fundamental structures are actually very similar with those of Chinse and Japanese traditional ones. The ‘Korean oars’ in the 20th century and the very similar ones used in the Joseon Dynasty have a lot of commonalities with ‘Chinese ones’ or ‘East Asian ones’, while there are little differences among them. Some advantages of ‘Chinese oars’, including high efficiency are also likely to be applied to ‘Korean ones’ as well as those used in the Joseon Dynasty. In this regard, ‘Korean oars’ can be also recognized as a sub-type of East Asian oars or a local form among East Asian ones, in wider sense. The soldiers who worked at the oars were called Gyeokgun(格軍), Nogun(櫓軍), and Neungrogun(能櫓軍). In the late Joseon period, four oarsmen were most generally allotted to one oar on each Panokseon. Such a measure already appeared in 1642(Injo 20). In 『Mangiyoran(萬機要覽)』 compiled in 1808, the same measure is also recorded. The slightly changed one in which one director was added to the existing four Gyeokguns who were allotted to one oar was also widely used. The warships in the late Joseon period had some characteristics of Noseon(櫓船) which sometimes used oars as its main power, without any sails. Noseon(櫓船) needed many personnel who could pulled on the oars, due to its structure features. The ratio of military forces who should work at the oars was high on the warships in the Joseon Dynasty: Gyeokguns accounted for at least about 60% of all crews. Some attempts to train and use Gyeonkguns(格軍) who were originally noncombatants, as combat persons were made. However, such a measure was not realized, because too heavy a burden was imposed on Gyeokguns(格軍).

      • KCI등재후보

        망암 火車의 구조적 특성과 실효성

        김병륜 한국공자학회 2011 孔子學 Vol.21 No.-

        Hwacha(fire wagons or fire carts) developed by Byeon Yi-jung(Mangam), is a weapon that carried the legacies of the Josun Dynasty-era fire wagons which had small portable hand cannons. While the fire wagons used before the imjin war had cannons with arrow type projectiles, Byeon’s fire wagon, which was used first during the Imjin war, was most characterized by its 40 victory cannons with ball type projectiles. Before Byeon developed fire wagons with Seungjachongtong(victor-y cannons), Yu Seong-ryong also came up with a similar fire wagon. But Yu only suggested having 15 victory cannons installed, while Byeon’s weapon had 40 of those. Considering that fire wagons can use barrage fire to the enemy, Byeon’s fire arm is better characterized as a fire wagon with 40 cannons instead of 15. Indigenous Josun dynasty-era cannons-including the victory cannon-had limitations on the accuracy. But a fire wagon, instead of being able to accurately aim at targets, can release barrage fire at the enemy assembled in a specific area, which is known to have excellent anti-personal fire capabilities. The Byeon’s fire wagon is equipped with 40 victory cannons which can shoot up to 15 iron balls, totalling 600 iron balls per wagon. There are records of 40 Byeon’s fire wagons being used during the Imjin War at the Battle of Haeng-Ju, which shows that these fire wagons were capable of firing up to 24-thousand iron balls targeting the enemy at once. So it seems like Byeon’s fire wagon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victory of the Korean troops during the Battle of Haeng-ju. The fire wagon proving its capabilities through real battles, has established a background for the fire wagon’s survival during the late Josun dynasty. Counties in Europe had a weapon similar to the fire wagon called the Organ Gun, but it has not been used in masses like the case in Korea. During the 1800s the Huryondogam(military training center) had a total of 213 firearms and 121 fire wagons. The ratio between the number of regular firearms verses fire wagons was 1 to 0.56, which shows that Korea placed more importance on the Organ Gun style weapons. An additional study is needed to find out exactly why Korea placed more emphasis on the organ gun style weapons. Presumably, since Josun was relatively less developed in gun carriage technologies to operate Heavy cannons, therefore Korean placed greater importance on the fire wagons. 망암(望菴) 변이중(邉以中: 1546~1611)이 개발한 화차는 소형 휴대용 총통을 다수 탑재하는 조선시대 화차의 전통을 계승한 무기였다. 망암 화차 개발 이전에 사용된 화차가 주로 화살형 발사체를 발사하는 총통을 탑재했다면, 임진왜란 때 처음 사용된 망암 화차는 구형 발사체를 발사하는 승자총통 40문을 탑재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변이중이 승자총통을 탑재한 화차를 개발하기 이전에 유성룡도 이런 방식의 화차를 개발했다. 하지만 유성룡은 단지 15자루의 승자총통만을 탑재하는 화차를 제안한 반면에 변이중이 개발한 화차는 승자총통 40자루를 탑재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화차가 기본적으로 적에게 탄막사격을 가할 수 있는 무기라는 점을 고려해보면 겨우 15자루의 승자총통을 탑재하는 유성룡 화차보다는 40자루의 승자총통을 탑재하는 망암 화차가 화차의 고유 특성을 제대로 살린 설계라고 할 수 있다. 승자총통을 포함한 조선 고유의 총통들은 기본적으로 명중률에 제한 사항이 많았지만, 화차는 개별 표적에 정밀 조준 사격을 한다기보다, 일정한 지역에 포진한 적 집단에 탄막사격을 가할 수 있으므로 대인사격에 탁월한 효과를 거뒀던 것으로 보인다. 망암 화차는 승자총통 40문을 탑재하고, 승자총통은 최대 15발의 철환을 발사할 수 있으므로 망암 화차 1대는 최대 600발의 철환을 발사할 수 있다. 임진왜란 행주대첩에 사용된 화차가 40대였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당시 망암 화차 40대는 최대 24,000발의 철환을 적에게 집중 발사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 같은 망암 화차의 능력은 행주대첩에서 조선군이 승리하는데 크게 기여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화차가 실제 전투를 통해 그 성능을 입증한 것은 조선 후기에 화차가 계속 중요한 무기로 살아남을 수 있는 배경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유럽에도 조선의 화차와 유사한 무기인 오르간 건(Organ Gun)이 있었지만, 조선처럼 대량으로 사용되지는 않았다. 1800년대 초반 조선군 핵심부대인 훈련도 감는 모두 213문의 각종 화기와 121대의 화차를 보유했다. 일반적인 화기 대비 화차의 비율은 1대 0.56으로 조선이 다른 나라에 비해 오르간 건 형식의 무기를 매우 중시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에서 왜 이렇게 여러 종류의 화약무기 중에서 ‘Organ Gun’ 형식의 무기를 더 중시했는지 그 이유를 명확하게 밝혀내기 위해서는 앞으로 추가 연구를 해 볼 필요가 있다. 전근대 화기의 명중률이 제한사항이 많아 탄막식 사격을 할 수 있는 화차의 장점이 상대적으로 부각되었다는 점 등이 조선이 화차를 중시한 이유가 되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아마도 조선에서 대형 화포 운용에 적합한 포가의 발달이 상대적으로 미흡했던 점도 화차가 상대적으로 더 중시될 수밖에 한 요인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판옥선의 승조원 편성에 대한 연구

        김병륜(Kim Byong Lyuen)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3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0

        본 논문은 조선시대 판옥선의 선장과 전투요원, 비전투요원들이 어떻게 편성되었는지 밝히기 위해 쓰여졌다. 판옥선은 조선 중기부터 후기까지 수군의 대표적 군함일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주력 군함이다. 때문에 판옥선의 정확한 승조원 편성을 복원하는 작업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 판옥선의 승조원 편성방식을 정확히 밝혀낼 수 있다면 조선 중 · 후기 수군의 구체적 운영 모습을 이해하거나 구체적인 전투방식을 유추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수군의 지휘관인 수사-첨사-만호는 직접 판옥선 선장(船將) 역할을 맡았으며, 각 지역별로 추가로 편성된 판옥선의 선장에는 한량이나 전직 관원이 임명되었다. 수사나 첨사, 만호가 아닌 선장들은 법전에 임용 기준을 따로 두지 않았으며, 그 지위도 정식 관원(官員)이 아니라 수군 각 본영의 장교급 정도에 불과했다. 이로 미루어 보건데 당시 조선 수군의 작전 방식은 선장의 재량권과 자율성을 중시하는 형식이 아니라 상급 지휘관의 의도와 사전에 정해진 작전지침을 철저하게 준수하는 형태였음을 짐작케 한다. 판옥선에는 타공(舵工), 요수(繚手), 정수(碇手), 무상(舞上) 등 선박의 운항을 맡은 요원 8명이 편성되어 있었다. 이 중 타공(타수)은 타(키), 요수는 돛, 정수는 닻을 맡은 요원이다. 무상은 그 실체가 분명하지 않으나 선박의 전방에 항해에 방해가 되는 것들은 없는지 살피는 견시(見視)의 임무와 뱃길을 파악해서 타공이 정확하게 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선장에게 조언하는 임무를 겸하는 직책으로 생각된다. 판옥선의 전투요원으로는 사수(射手), 화포장(火砲匠), 포수(砲手) 등이 있었다. 판옥선 1척당 활을 쏘는 사수는 15~18명, 화약무기 전문 기술자이면서 동시에 화약무기를 직접 운용하기도 하는 화포장은 10명, 화약무기 운용병인 포수 24명이 탑승했다. 조선 후기에 접어들면서 화약무기 기술이 보편화되면서, 화포장 10명 대신에 화포교사 혹은 교사 5명을 편성하는 경우도 있었다. 노를 젓는 노군은 격군, 능로군으로 부르기도 했는데 노 1개당 4명이 편성되는 것이 표준 편제였다. 여기에 노 1개당 노장(櫓長)을 추가로 편성하거나 20명 정도의 예비병력[餘軍]을 추가로 편성하기도 해서, 좌우 각 8개 노를 가진 판옥선이라면 전체 노군은 100명 정도가 됐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ritten to examine how a captain, combat personnel and non-combat personnel were organized in the Panok Ship. The Panok Ship(板屋船) was not only a representative warship in the mid and late Joseon but also main warship of Joseon’s naval forces at the time of the Imjin war(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refore, it is very significant work to exactly restore the embodiment of crews, because if it is accurately revealed, it may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specific operations of the naval forces in the mid and late joseon or infer the definite combat methods. Manho(萬戶), Cheomsa(僉使) and Susa(水使) who were, the commander of the Naval Forces directly play a role of the captain in Panok Ship, and Hanryang(閑良) or the former public officials were appointed as the captain of Panok Ship, embodied additionally by each province. There was no separate standard of appointment for captains except for Manho, Cheomsa and Susa, and their status was not formal public official, but merely naval officer class in each headquarter of Joseon’s Naval Forces.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 strategies of Joseon’s Naval Forces at that time, did not allow discretions or autonomies of captains, but strictly complied with intentions of senior commanders and prescribed strategic instructions. In the Panok Ship, eight personnel who took charges in navigations of warships were embodied, including Tagong(舵工), Yosu(繚手), Jeongsu(碇手) and Musang(舞上) and so on. Tagong(Tasu), Yosu and Jeongsu operated rudder, sail and anchor, respectively. The roles of Musang is not obvious, but it is thought that he might perform both lookout duty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any obstacles ahead of the warship and another duty to advise his captain to exactly operate it. The combat personnel of Panok Ship included Sabu(射夫:archer), Whapojang(火砲匠:Artillery Engineer) and Posu(砲手:gunner) and so on. In one Panok Ship, there were 15-16 Sasus who shot arrows, 10 Whapojangs who were not only firearms specialists, but also directly operated firearms and 24 Posus, operators of it. As firearms technologies were generalized, 5 Whapokyosa(火砲敎師:Artillery Instructors) were sometimes embodied instead of 10 Whapojang. It was the standard embodiment that 4 Nogun(櫓軍:oarsmen) who were also called Gyeokgun(格軍) and Neungrogun(能櫓軍) were embodied per one oar. And also, Nojang(櫓長:head of Noguns) or approximately 20 reserve forces[餘軍] were additionally embodied per one oar, therefore, the Panok Ship with each of 8 oars on either side might include about a total of 100 Nogun.

      • 이순신의 明 都督 임명설에 대한 검토

        김병륜(Kim Byong Lyuen)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6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5

        李舜臣(1545~1598)이 명나라 都督에 임명된 적이 있다는 인식은 正祖 재위기 이후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졌던 것으로 보인다. 정조는 1793년 이순신을 領議政으로 추증할 때, 이순신을 ‘명나라 수군 도독(有明水軍都督)’으로 칭하고 있다. 이 같은 인식은 임진왜란 당시나 임진왜란 종전 직후의 기록들에는 보이지 않는다. 지금까지 밝혀진 사료로 볼 때, 이순신이 명나라 都督에 임명되었다는 인식은 金堉(1580 ~ 1658)이 그의 말년에 지은 이순신 神道碑銘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金堉은 이순신 신도비명에서 ‘명나라 장군 陳璘이 중국 명나라 황제에게 이순신의 전공을 보고했고, 이를 가상하게 여긴 명나라 황제가 이순신에게 都督印을 하사했다’는 요지로 기록했다. 이 같은 인식의 원형은 ‘이순신이 都督印을 받았다’는 것이지, ‘이순신이 도독에 임명되었다’는 것이 아니다. 이순신이 실제로 도독에 임명되었다면 임명에 관련된 문서나 기록이 남아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은 물론이고 중국의 역사기록에도 그 같은 내용은 없다. 따라서 이순신이 도독에 임명되었다는 인식은 기본적으로 사실에 근거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최근 都督印을 포함한 八賜品에 대한 한 연구에 따르면 이순신의 都督印은 명나라의 하사품이라기보다는 陳璘 장군의 개인 선물일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이순신이 명나라 도독에 임명되었다는 관련 기록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고, 都督印의 유래조차 불확실하다면 이순신이 도독에 임명되었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 정조 재위기에 역사적 실체가 분명하지 않음에도 이순신이 명나라 수군 도독이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은, 인조이후 정조 재위 시기에 이르기까지 大明義理를 강조했던 시대 분위기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e recognition that Yi Sun-sin(李舜臣) was once appointed to Dodok(都督, Commander) of Ming China(Ming Dynasty) seems to have been generally accepted since a certain point in time of late Joseon dynasty. In 1793, when King Jeong-jo(正祖) granted honors of Yeonguijeong(領議政, Chief State Councilor) to Yi Sun-sin, he is referred to as ‘Naval Commander of Ming China’ by the King. This kind of recognition is not found in the records during and immediatel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ccording to what has been revealed up to now, the recognition that Yi Sun-sin was appointed to the Commander of Ming China is derived from Yi Sun-sin Sindobi(神道碑), a tombstone built by Kim Yuk(金堉). Kim Yuk recorded, “Admiral Chen Lin of Ming China reported the distinguished service of Yi Sun-sin to the emperor of Ming China who admired this and consequently bestowed Dodokin(都督印, Commander’s seal) on Yi Sun-sin” in tombstone. The archetype of this recognition is ‘Yi Sun-sin received the Dodokin’not that ‘Yi Sun-sin was appointed to Dodok’. If it is the case that he was appointed to Dodok, there should remain records or documents related to the appointment. However, there exist no such contents not only in Korean history but that of China either. Thus, the recognition that Yi Sun-sin was appointed to Dodok seems not based on historical facts. According to a recent study on Dodokin, the Dodokin of Yi Sun-sin seems to be close to the personal gift of the Admiral Chen Lin rather than the royal gifts of Ming China. As there are practically no relevant records that prove the appointment of Yi Sun-sin to Dodok of Ming China and as the origin of the Dodokin is unclear, it is highly unlikely that Yi Sun-sin was appointed to Dodok

      • 임진왜란기 조선 수군의 전술 : 무기 운용을 중심으로

        김병륜(Kim, Byong-lyuen)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9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1

        이순신이 임진왜란 해전에서 차지했던 위상이 컸던만큼, 이순산 위주로 임진왜란 해전 전술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피한 면이 있다. 하지만 임진왜란 해전에 대한 이해를 좀 더 진전시키기 위해서는 어디까지가 조선 수군의 일반적 전술이고, 어디부터가 이순신 개인의 전술인지 좀 더 세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이 접촉식 충격 전술 혹은 충돌(Ramming) 전술을 적극적으로 운용했다고 볼만한 사료적 근거는 없다. 또한 현존 사료만으로 보자면 임진왜란 당시의 거북선이나 판옥선에 충각 혹은 그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장치가 장비되어 있었다고 분명하게 결론 내릴만한 사료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임진장초(壬辰狀草) 』 에서 여러 번 언급되는 ‘당파(撞破)’의 경우, 전체 문장의 맥락을 보면 화약무기를 이용하여 적선을 격파했다는 포괄적 의미의 용어로 보인다. 다시 말해 당파는 충돌 전술과는 관련이 없다. 조선 수군이 등선백병전에 적극적이었다고 볼만한 사료적 근거도 없다. 조선 수군이 당포와 한산도 등에서 왜장이나 왜병의 목을 벤 기록이 여러 차례 등장하지만, 구체적인 상황 묘사가 나오는 사례를 보면 활이나 화약무기로 제압한 후 바다에 떨어진 왜적의 목을 베었디는 식으로 설명하고 있다. 즉 적의 수급 획득과 등선백병전은 무관한 것이 분명하다. 수급획득, 아국 피로인 구출, 노획품 획득 등을 목적으로 적선에 올라간 경우는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적을 완전 제압한 후 전장 정리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등선백병전과 연계해서 이해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물론 왜군들이 등선백병전을 시도했을 때 조선 수군이 장창 등으로 방어한 사례는 있으나 하나의 공세적 운용방식으로 적선을 상대로 등선백병전을 시도한 사례는 확인되지 않는다. 조선 수군의 판옥선에는 활 운용, 화약무기 운용과 관련된 직책은 있으나 칼이나 창 같은 단병무기를 전문적으로 운용하는 병력도 존재하지 않았으며, 육상의 적을 추적할 때도 원래는 활을 운용하는 사부 등을 운용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은 손으로 들고 쏘는 승자총통류부터 바닥에 거치하고 쏘는 천·지·현·황지총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총통을 운용했다. 여기에 육상의 적을 상대할 때는 완구에서 비격진천뢰를 운용한 사례도 있다. 상대적으로 적과 근접했을 때는 질려포, 대발화 등 투척식 화약무기도 사용했다. 거북선의 경우 총통을 6∼10m(3∼5間) 거리에서 사격했다. 이 같은 초근거리 근접사격은 당시 화약무기의 낮은 명중률을 보완하는 하나의 수단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수군은 이와 함께 총통에 여러 발의 철환을 장전하여 사격하는 다발식(多發式) 장방법(裝放法)을 사용했다. 총통의 명문을 통해서 볼 때 승자총통의 경우 늦어도 1580년대부터 이 같은 다발식장을 사용했으며, 「임란첩보서목(壬亂捷報書目)」을 통해서 볼 때 현자총통처럼 바닥에 거치하고 쏘는 중·대형 총통의 경우에도 늦어도 임진왜란 중에는 이 같은 다발식 장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다발식 장방법을 이용한 화약무기 운용 전술은 소형탄환을 여러 발 사용한다는 점에서 대인(對人) 공격에 효율적인 방식이었다. 동시에 점표적인 아니라 일정 면적에 소형 탄환을 산포한다든 점에서 일종의 탄막사격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는 당시 화약무기의 낮은 명중률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조선 수군은 대체로 폭발력이 없는 고체탄(solid projectile)을 주로 사용했다. 이 같은 제한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조선은 화전(火箭)을 이용한 화공술도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전체적으로 당시 총통은 장전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해상 운용에서는 선체의 흔들림 등으로 명중률에도 일정한 한계가 있었으므로 이 같은 제한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사부(射夫)를 판옥선에 탑승시켜 지속적으로 활을 화약무기와 함께 병행 운용하였다. 이 같은 임진왜란시기 수군 무기 운용 전술의 상당 부분은 이미 임진왜란 이전에 출현하였다. 이순신의 전술 중 무기 운용상의 주요 특징은 그 같은 조선 수군 전술발전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Naval tactics of the Imjin War(壬辰倭亂) have been discussed mainly in Yi Sun-Sin(李舜臣) . Yi Sun-shin s position in the naval battle of the Imjin war was absolute.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understand the naval tactics of the Imjin war, mainly Yi Sun-sin. However, in order to advance understanding of the naval tactic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at is different between the Chosun Naval Forces general tactics and Yi s tactics. At the tim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re was no reason to believe that the Chosun naval forces operated ramming tactics. In addi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no definite conclusion that the existing turtle ship(龜船) or Pan-ok ship(板屋船) was equipped with a ram(衝角) or a similar device.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Imjin Jangcho(壬辰狀草)』, dangpa(撞破) means attack using gunpowder weapon or destruction using gunpowder weapon. It seems to be a generic term in that it used gunpowder weapons to defeat enemy ships. It is not related to ramming tactics. and There is no reason to believe that the Chosun naval forces were actively using boarding tactics. At the tim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Chosun naval forces operated a wide variety of Gunpowder weapon. n the case of the turtle ship, the gun was shot at a distance of 6 to 10 meters. Such near-range firing seems to have been a means of supplementing the low accuracy of gunpowder weapons at the time. When operated fire arms, the Chosun naval forces loaded several bullets in one barrels. These weapons operation tactics were effective in attacking people in that they used several small bullets. At the same time,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can achieve a kind of barrage fire effect because it distributes a small bullet to a certain area. At that time, the Chosun naval forces mostly used solid projectiles, which had no explosive power.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Chosun naval forces actively used attacking with fire. As a whole, gunpowder weapons were time-consuming to load, and there was a certain limit on accuracy in maritime operation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Chosun naval forces actively operated the bow in the ship. Much of these weapons operation tactics have already appeared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1592). Part of these tactics can be evaluated as tactics of the Chosun Naval Forces rather than the Yi s tactcs.

      • KCI등재

        『節制方略』으로 본 南道制勝方略 주요 특징의 형성과정과 ‘4運체제’

        김병륜(Kim, Byong-Lyuen) 역사실학회 2017 역사와실학 Vol.62 No.-

        이 논문은 「節制方略」을 통해 南道制勝方略의 형성과정과 그 특징의 일단을 분석한 내용을 담고 있다. 南道制勝方略의 형성과정을 防禦使 파견과 軍兵 分屬이라는 두 가지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해보면 防禦使 등 京將 파견이 제도화된 시점은 『明宗實錄』을기준으로 1563년 4월이며, 防禦使 등에게 軍兵 分屬이 제도화된 시점은 「節制方略」을 기준으로 1563년 5월이다. 즉 南道制勝方略이 제도화된 시점은 柳成龍의 설명처럼 乙卯倭變(1555) 때가 아니라 그 보다 더 늦은 1563년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그 주체도 金秀文이 아니라 중앙 조정 즉 備邊司였다. 各邑·各官의 병력을 4개의 부대로 나눠 운용하는 이른바 ‘4運 체제’는 「節制 方略」에 포함된 1558년 ‘戊午年金秀文節制’에 처음 나타나며, 임진왜란 당시 경상도에서의 적용 사례도 확인할 수 있지만, 柳成龍의 설명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병력 운용체제다. ‘4運 체제’는 특정 邑의 병력이 상황 발생 지역으로 출전할 경우에도, 최소 1개 運은 잔류시켜 本邑의 방어를 그대로 유지시켰다. ‘4運 체제’는 京將 파견과 軍兵 分屬에 수반되는 지휘체제의 분산에 좀 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南道制勝方略 형성 및 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병력운용체제로 보인다. 이상의 점으로 미루어 볼 때 南道制勝方略에 대한 柳成龍의 전통적 인식과 설명 중 일부는 실제와 다소 거리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制勝方略의 형성과정과 특징에 대해 좀 더 면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contains the formation process of Nado Jeseung Bangryak(南道制勝方略) and the result of an analysis on certain aspects of its characteristics as judged by Jeolje Bangryak(『節制方略』). For the purpose, characteristics of Namdo Jeseung Bangryak were first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two salient points, 1) Dispatching of Bangeosa (防禦使), and 2) Separate commissioning of the military force of a Province concerned to a Bangeosa,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new institution seen from that perspective. According to Veritable Record of king Myeongjong(『明宗實錄』), dispatching of Central Commanders such as Bangeosa to provinces was first institutionalized in April 1563, and according to Jeolje Bangryak separate commissioning of military forces to Bangeosa was first institutionalized in May 1563. In other words, it seems that the timing of institutionalization of Namdo Jeseung Bangryak was not in 1555 when Eulmyo Waebyeon(乙卯倭變) or Japanese Invasion of 1555 occurred as explained by Ryu Seong-Ryong(柳成龍) but in 1563, about 8 years later. The authority who institutionalized dispatching of Bangeosa who was to command military forces separately commissioned was not Kim Soo-moon(金秀文) but was the Central Court or Bibyunsa(備邊司). As can be seen from this, the traditional explanation of Ryu SeongRyong on the formation process of Namdo Jeseung Bangryak turned out to be somewhat inaccurate when compared to the actual situation. The record on separate operation of the military force of each local government or local official in four units or the so-called ‘4 Un(運)’ first appeared in ‘Kim Soo-moon Jeolje of 1558(戊午年金 秀文節制)’ which is contained in Jeolje Bangryak. The existence of this ‘4 Un System’ leaves certain room in interpreting Jeseung Bangryak from the traditional view of Ryu Seong-Ryong who believed that ‘Although Jeseung Bangruyak is oriented toward concentrated operation, once defeated, it makes additional defence impossible. ’Notably, under the ‘4 Un System’, even when the military force of a particular town or local government is dispatched to another area in need of assistance, at least ‘one Un’ remained in the local government concerned for its defence. It seems that the ‘4 Un System’ maintained an close relationship with Namdo Jeseung Bangryak in that it able to respond flexibly to the concentration of troops and the distribution of command system. This shows that there is a need for more detailed study on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Namdo Jeseung Bangryak.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