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충남 북부지역의 지역혁신역량과 기업의 기술혁신활동

        김병근(Byung-Keun Kim),엄기용(Kiyong Om),유흥열(Heungyuel Ryu) 한국기술혁신학회 2009 기술혁신학회지 Vol.12 No.1

        지난 참여 정부에서 지역균형발전정책의 하나로 지역혁신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지역혁신체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들은 아직까지 지역혁신체제와 지역혁신역량에 대한 개념 파악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지역혁신체제에 관한 논의는 많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념 정립이 부족한 상태이며 학자들 사이에서도 많은 이견이 존재한다. 그리고 지금까지 혁신역량에 관한 논의 및 연구는 대부분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져 왔고, 지역 차원에서의 혁신역량 분석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본 연구는 지역혁신역량과 기업의 기술혁신활동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역 산업발전을 위한 토대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의 중심부이며 첨단산업의 메카인 충남북부지역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혁신주체들이 인지하는 지역혁신역량의 구성 내용, 기업의 혁신활동과 혁신활동의 지역화 간의 관계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학술적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analyzed region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activities of firms in Chungnam province of South Korea on the basis of a questionnaire survey of 64 regional manufacturing firms. The existence and level of regional innovation capabilities were measured by the perceptions of firms, a core actor in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research capabilities of academia, capabilities of R&D institutes, technological capabilities of industry, and governmental policy support were recognized as major capabilities of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Regional proximity was also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firms’ sourc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selection of collaboration partners. Practical as well as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at the last part.

      • KCI등재

        한국 중소기업의 협력역량, 흡수역량과 협력성과

        김병근(Byung-Keun Kim),옥주영(Joo-Young Og)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7 연세경영연구 Vol.54 No.3

        본 연구는 최근 수년 동안 대학, 공공 및 민간 연구소, 국내외 기업 등과의 기술협력 경험이 있는 국내 중소기업들의 협력역량, 흡수역량, 협력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Kale and Singh(2007)의 기업 협력역량 발전 모형에 흡수역량을 추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기업의 기술협력활동에서 흡수역량의 역할에 분석의 초점을 두었다. 2014년 7월에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212개 기업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다. 흡수역량은 기술협력경험과 협력학습 프로세스를 매개하고 협력학습 프로세스를 통해 간접적으로 기술협력성과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접적으로 기술협력성과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중소기업은 기술협력 전담기능을 두거나 흡수역량의 증가를 통하여 협력성과를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혁신의 시대에 가용 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에게는 관계특화적인 전담기능의 설치보다는 흡수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전략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과정 측면을 중심으로 협력역량의 진화를 분석하였으며 흡수역량의 선행요인으로 기업의 협력경험만을 고려하였다. 여러 흡수역량의 선행요인들의 분석과 다차원적인 구성개념으로서의 협력역량 대한 이론 및 실증 연구는 향후의 연구과제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alliance capability, absorptive capacity, and alliance performance of the korean small firms that recently have experienced research collaborations with universities, pubic or private research institutes, and domestic or foreign companies. We extended the analytical model proposed by Kale and Singh (2007) in that we added absorptive capacity variable in their structural equation model. Data were obtained from survey results collected from 212 Korean SMEs. We found that absorptive capacity mediated between alliance experience and alliance learning process. It seems that absorptive capacity indirectly promotes alliance performance through alliance learning process, but does not directly improve alliance performance. A small firm may improve alliance performance by establishing the alliance function or by enhancing its own absorptive capacity. In open innovation era, the latter seems to be the more effective strategy for the SMEs that are short of resources available. This paper examined the evolution of the alliance capability mainly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and considered only firm’s alliance experience as an antecedent of the absorptive capacity. Future researches should include an analysis of diverse antecedents of absorptive capacity and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on the alliance capability as multidimensional construct.

      • KCI등재

        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김병근 ( Byung-keun Kim ),이진국 ( Chin Kook Rhee ),정지예 ( Ji Ye Jung ),강혜련 ( Hye-ryun Kang ),조상헌 ( Sang-heon Cho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구 대한알레르기학회) 2016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4 No.5

        Asthma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re characterized by chronic airway inflammation resulting in airflow limitation. They include various phenotypes and endotypes in their disease entities. For that reason, they lack proper biomarkers and epoch-making progresses in treatment nowadays. Healthy airway has been believed to be sterile traditionally. However, with the help of nonculture sequencing techniques, researchers discovered that it is full of the commensal and symbiotic microbial flora. Therefore, microbiome has emerged as a possible biomarker and a clue to understand the pathogenesis of airway disease. Microbiome research in asthma has focus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microbiome, such as composition and diversity. However, now it refers to the role of microbiome, including Proteobacteria, in the development and pathogenesis of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Microbiome research in COPD has revealed its differen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existence and severity of the disease. Also, differences in microbiome composition according to exacerbation state or specific treatment of COPD are reported. Therefore, many researchers pay attention to the possible role of microbiome as a biomarker or a treatment target in asthma and COPD. Herein, we review recent studies on microbiome research in asthma and COPD.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6:4:321-327)

      • KCI등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와 성과분석

        김병근(Byung-Keun Kim),조현정(Hyun-Jung Cho),옥주영(Joo-Young O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 연구기관들의 기술이전과 사업화 과정에 관련된 주요 활동 및 기술이전 사업화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고 국내 공공 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모형은 투입-중간산출역량-산출(성과)의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이론을 바탕으로 투입 요인으로는 R&D 투입, 기술사업화 전략/지원, 기술사업화협력, 사회적 자본 등을 포함하고, 중간산출역량요인으로 R&D역량을, 산출요인으로 기술사업화 성과 등을 포함하고 있다.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모형을 국내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한 88부와 관련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분석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주요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R&D 투입은 R&D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R&D역량은 기술사업화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술사업화 협력과 사회적 지본도 기술사업화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술사업화 전략 및 지원이 기술사업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We have analyzed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rocess and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A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cess model was presented as an input, intermediate outcomes/ capabilities, output (outcome) structure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put variables include R&D inpu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rategy/support, collaboration, social capital. The model also includes R&D capabilities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as intermediate variable and output variable respectively.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was measured as the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 and spin-off We conducted survey and 88 institutes responded. Empirical results show that R&D input influence R&D capabilities and R&D capabilities influence the output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Collaboration activities and social capital also appear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utput. However, the effect of strategy and support on the output appear to b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우수등재

        중소기업에서 기술협력, 전유수단과 지식일출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병근(Byung Keun Kim),박성근(Song Kun Park) 한국경영학회 2014 經營學硏究 Vol.43 No.1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MEs` innovative activities in Korea. It is widely accepted that SMEs have to utilize various external sources of innovation due to their limited internal resources. However, there has been few systematic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s of incoming knowledge spillover, technological collaborations, appropriability mechanisms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We have analysed 117 Korean SMEs (KIS 2010 data) to un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innovation performance, especiall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atent activities. Main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vertical collaboration network appear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while the network with partner outside of the supply chain shows a negative impact. Second, the strategic appropriability mechanisms appear to show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nnovation performance. Third, patent activities exhibit tw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it shows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collabora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d it shows a positive o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ing knowledge spillover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SMEs need to develope different technological collaboration strategies according to types of their partners. Strategic appropriability methods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than patent to appropriate the innovation outputs. Additionally, it suggests that patent activities can have negative impact on technological collaboration network in some case, especially when it deals with commercially sensitive information with vertical partners. Finally, patent activities can affect(or reflect) the firm`s knowledge management capability, which is essential to make use of incoming knowledge spillover to innovation performance. All of these findings can provid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Korean SMEs`s innovation strategies.

      • KCI등재

        신기술 도입이 가스안전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병근(Byung-Keun Kim),하태영(Tae-Young Ha),조현정(Hyun-Jung Cho) 한국가스학회 2010 한국가스학회지 Vol.14 No.5

        본 논문은 가스 안전에 대한 신기술의 도입 및 훈련 교육이 가스사고 방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시행되고 있는 검사, 안전 시험, 그리고 훈련프로그램들이 조사되었다. 그리고 지난 20년 동안의 가스 사고, 가스 안전장치 보급률 및 훈련, 가스 검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SPSS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도시가스 및 액화석유가스 시스템 모두에서 휴즈콕의 보급률 및 훈련 프로그램이 가스사고율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y and education for gas safety on the prevention of gas accidents. For the purpose of a study, inspections, safety tests and training programs conducted by KGS were examined and the gas accident data, installation rate of safety devices and training, inspection data for last 20 years were also collected and t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by using SPSS. The results showed that in both of City Gas and LPG system, the installation rate of fusecocks and training program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for reducing the gas accident rate.

      • SCOPUSKCI등재

        지속가능한 사회-기술 전환을 위한 정책 거버넌스 유형에 관한 연구

        이영석,김병근,Lee, Youngseok,Kim, Byung-Keun 기술경영경제학회 2014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2 No.3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구조적인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사회-기술 시스템이 하나의 핵심적인 분석단위가 되고 있다. 또한 지속가능성이라는 복잡한 도전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전환이론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지속가능한 사회-기술 전환을 거버닝하기 위해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의 문제를 정부의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환이론과 거버넌스 이론을 접목하여 사회-기술 전환을 위한 정책 거버넌스를 유형화함으로써, 전환목표 달성을 위한 정부의 역할모델과 전환정책 설계를 위한 실천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 조정수준과 전환압력이 발생하는 위치를 전환정책 거버넌스를 유형화화기 위한 핵심 맥락으로 설정하고, 주도적 정책 거버넌스, 촉진적 정책 거버넌스, 조정적 정책 거버넌스, 설득적 정책 거버넌스 등 4가지 거버넌스 유형을 도출하여 각각의 특징과 사례를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접근은 분석적 측면에서 각 유형별로 전환을 촉진하는 정책기능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한편, 규범적 측면에서는 정책입안자가 어떻게 효과적인 전환정책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판단기준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론적 측면에서는 혁신정책 관점의 전환이론을 기존의 거버넌스 이론과 접목함으로써, 양 연구의 간극을 줄이고 전환에 대한 거버넌스적 고찰을 구체적인 전환이론과 연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Socio-technical systems are receiving growing attention as a core concept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proper solutions to sustainable growth. In this paper, we review the way for governing socio-technical transitions from a governmental perspective. Based upon the governance studies and transition research, we set social coordination and locus of transition pressures as transition contexts to differentiate transition policy governance. We propose four types of policy governance for sustainable socio-technical transitions: leading, facilitative, coordinative and persuasive. Analysis on four case based upon this typology shows different transition polices of each transition pathway in analytical aspect. It provides basic criteria for policy makers to design effective transition policies in normative aspect. Also,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closing the gap between transition research and governance studies.

      • SCOPUSKCI등재

        정부의 기업연구개발지원의 부가성 효과에 관한 정성적 연구

        김호,김병근,Kim, Ho,Kim, Byung-Keun 기술경영경제학회 2014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2 No.4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how and why the additionality effects occur in the case when a firm receives government subsidy as opposed to counterfactual situation. To demonstrate this, we selected 12 SMEs(small and medium enterprises) firms in Daejeon area and have conducted multiple case studies. In order to analyse the multiple cases of firms, we classified firms innovative activities into three stages which are composed of input, behaviour and output stages and related various factors. Furthermore,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ypes of firms and stages of firm growth. Empirical results show that various input, behaviour and output additionality effects exist when firms receive public subsidies. Compared to companies in the growth and mature stages, startup phase companies depend on government subsidy extensively and they use public subsidies strategically to develop new product and to change their strategic direction. The attitude of firms to use government subsidies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types and stage of growth as well. 본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기업이 연구개발활동을 위하여 정부지원을 받은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부가성 효과가 나타나는지와 부가성 효과가 나타난다면 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탐색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전지역의 12개 중소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다중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과정에 따라 기업의 R&D 노력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와 이들에 따른 R&D 투자와 의사결정 단계, 기업의 R&D 노력을 통한 행동변화단계, 기업의 R&D 노력에 의한 성과와 피드백단계로 구분하여 전반적인 R&D 활동 및 부가성에 대한 사례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기업의 유형과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효과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기업의 연구개발활동에 따른 투입, 행동, 산출부가성이 다양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업은 창업기의 기업일수록 R&D 활동에서 정부지원사업에 대한 의존성이 매우 높았으며 기업의 주요한 제품개발과 신규사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연구개발을 위하여 정부지원사업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유형과 기업의 성장단계 별로 각 기업이 정부지원사업으로 추진하는 사업의 성격과 정부지원사업을 활용하는 태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특허의 질적 가치가 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재관,김병근,Jeong, Jae-kwan,Kim, Byung-Keun 기술경영경제학회 2017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5 No.3

        본 연구는 연구개발스톡과 6개의 지식스톡(특허의 질적 가치)이 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기업의 시장가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토빈Q 모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402개 기업의 미국특허등록 108,851건(연도관측치 2,795건)의 특허를 분석하였다. Hall모형의 확장 모형 분석결과, 연구개발스톡/자산, 청구항스톡/특허스톡, 인용스톡/특허스톡 등이 기업의 시장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수준이 높진 않지만 피인용스톡/특허스톡, 발명자스톡/특허스톡 등도 기업의 시장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특허경영시대에 특허의 질적 수준 고도화와 특허의 가치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s corporate management enters the era of informatization or knowledge management, the level of patent quality, which is the fruit of R&D and technical innovation, is an important element of corporate competitiveness in this age of unbridled compet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relevance between R&D stocks and 6 types of knowledge stock (patent quality) and corporate market values in utilization of related research models. With Tobin Q model utilized, 108,851 U.S. patents (observed value per year: 2,795) registered by 402 domestic enterprises were analyzed. As the Hall model was analyzed, it turned out that the R&D stock/asset, claim stock/patent stock, and citation stock/patent stock had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market values. The inventor stock/patent stock also show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market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