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터넷과 표현의 자유

        김배원 한국인터넷법학회 2003 인터넷법연구 Vol.2 No.-

        In the modern information society where real life and cyberspace coexist, the limitation principles of law ruling free expression in real life should still apply to free expression in cyberspace. The internet often used as a synonym of cyberspace, is characterized by interaction, infinity of time and space, anonymity, internationality, ete. These show 1) the characters of technology and media: the internet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rom print, broadcasting, communication as media. 2) the character of space ' the internet builds up cyberspace different from real life in the physical world. Problems of rhe internet and free expression have been led to consider how the limitation theories, the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free expression on the internet, could be applied, given these natures of the internet. This essay firstly examines the classical theories of free expression, their current modifications, the relationships between free expression and free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he limitation theories of free expression. Then It re-examines the limitation theories of free expression on the internet considering the characters of technology and media and the character of space discussed above.

      • KCI등재

        차기정부의 ‘사법개혁’ 과제

        김배원 한국공법학회 2012 公法硏究 Vol.41 No.2

        ‘Judicial Reform’ has continued its way since the Kim, Young-Sam Government in 1993 till the year 2011 of the current government. This Judicial Reform is for designing the Jurisdiction that the rule of law and democracy could stay in harmony, by resolving the judicial distrust of the people and ensuring that the proper judicial action is to be done. Although there were certain results through much trial and error for almost 20 years of Judicial Reform, still there remain tasks for next government to take care of. It is necessary for the next government to make a synthetic survey on the subject, the object, the schedule, and the changes of the judicial circumstances as an overviewing process of the Judicial Reform. First, in reference to the subject of Reform, it requires that the executive and judicial branch push ahead Judicial Reform by the pan-national team work and cooperate with the legislative branch in the concrete legislation progress. In the second place, with regard to the schedule of Reform, thus far it was scheduled for 1 year generally except the Roh, Moo-hyun Government. But discussion in the style of the department-store-like setting should be reconsidered, leaving the preselecting the reform period. When utilizing the results of studies and discussions about the Judicial Reform accumulated over the 20 so years, it is important not remaining piecemeal approach of the Court, the Prosecution, and the Lawyer but considering the mutual relations of the three. It is also possible to assort the tasks into short, medium, and longtermed projects according to the urgency of Reform. In the end, the changes of the Judicial Circumstance must be considered because the outcome of the Judicial Reform until now and the socio-economic changes – lawschool system, the judicial participation system of the people, the advent of a multicultural society, the opening of the legal market and so on – is coming to as a new variable. Devoting to these prerequisite assignments, it is demanded that the next government counts on “the Jurisdiction for the people” and “the Jurisdiction by the people”, directing the specific reforming course as to democracy, decentralism, transparency, efficiency, specialty, and the accessibility of the Jurisdiction. Also especially, with the full viewpoint of the democracy and decentralism, it should be a prior work to change ‘appointment system of the judicial organization’ and ‘the privileges of one´s former post in the Legal circles’ to reforming to realize the “Jurisdiction of the people”. 우리 헌정사에서 사법개혁은 1987년 민주화 이후 김영삼 정부가 들어선 1993년부터 현 정부의 2011년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사법개혁’은 국민의 사법불신을 해소하고 국민을 위한 적정한 사법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법치주의와 민주주의가 조화를 이루는 사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20년 가까운 사법개혁의 경과를 보면,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나름대로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아직도 남은 과제를 차기정부에 물려주고 있다. 차기정부는 사법개혁을 추진하는 전제적 과제로서 그 주체, 일정과 대상, 그리고 사법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종합적인 고려를 할 필요가 있다. 우선, 개혁주체와 관련하여서는 기본적으로 행정부와 사법부가 범국민적인 공동작업으로 사법개혁을 추진하고 구체적인 입법과정에서 입법부와 긴밀하게 협력을 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개혁일정과 관련하여서는 노무현 정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1년 내외를 개혁일정으로 잡았는데, 활동기간을 먼저 정하더라도 백화점식 논의대상의 설정은 재고하여야 할 것이다. 지난 20여년동안 축적된 사법개혁의 연구 성과와 논의를 활용하면서 법원ㆍ검찰ㆍ재야법조의 개별적 추진방식에만 머무르지 말고 상호관련성도 고려하면서 개혁의 시급성에 따라 단기-중기-장기 과제로 구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끝으로, 그 동안의 사법개혁의 성과와 사회ㆍ경제적 변화-법학전문대학원제도와 국민참여재판제도의 시행, 다문화사회로의 진입과 법률시장개방 등-는 사법개혁의 새로운 변수이므로, 사법환경 둥의 변화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제적 과제에 충실하면서 차기정부는 “국민을 위한 사법”과 “국민에 의한 사법”에 비중을 두고, 그 구체적 개혁방향을 사법의 민주성, 분권성, 투명성, 그리고 효율성, 전문성, 접근성 등으로 정립하여 특히, 민주성과 분권성의 투철한 관점에서 “국민의 사법”을 구현하는 개혁으로 ‘법원조직의 인사제도’, ‘검찰의 조직과 권한’, 그리고 ‛법조사회의 전관예우’에 대한 개혁을 우선적 과제로 삼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미국의 정보자유법(FOIA) 50년(1966-2016)

        김배원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1

        미국의 정보자유법(FOIA)은 알 권리를 구현하는 법률로서 1966년에 제정되고 1967년에 5 U.S.C. §552로 법전화된 이후, 1974년 개정에서부터 수차례의 개정(1976년, 1984년, 1986년, 1996년, 2002년, 2007년, 2009년)을 거친 뒤에 최근 2016년의 개정에 이르는 50년의 입법사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정보자유법의 목적은 정보로 무장한 시민을 확보하여 정부를 감시하고 부패를 방지함으로써 민주주의를 실질화하고 치자들이 피치자들에게 책임을 지도록 하려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을 일관되게 유지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정보자유법(FOIA)은 50년 개정사를 통하여 공개와 비공개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개인의 자유와 국가 이익의 조화를 도모하여왔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이러한 정보자유법(FOIA)의 구조와 내용을 개관하고(Ⅱ), 다음으로, 1966년에서 2016년에 이르는 FOIA의 전개를 개정의 배경과 내용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살펴보며(Ⅲ), 끝으로,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FOIA 50년의 통사적 의의를 검토하고(Ⅳ), 한국의 정보공개법과 관련한 시사점도 정리하고자 한다. The U.S. Freedom of Information Act(FOIA) enacted in 1966 is a statute that realizes the Public’s Right to Know and it was codified to 5 U.S.C. §552 in 1967; with the amendment of 1974 its beginning, it has been through a many number of amendments (1976, 1984, 1986, 1996, 2002, 2007, 2009) to the latest of 2016. It has the fifty-year legislative history of its own. The purpose of such FOIA is to ensure an informed citizenry to overwatch governments and to prevent corruption, in order to actualize democracy and for the governors to realize the responsibility they owe to the governed. On the other hand, the purpose has been maintained with consistency as it has stricken the balance of disclosure and withholding via fifty-year of amendment history, promoting in harmonizing the freedom of individual and the benefit of the nation. In this article,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FOIA shall be overviewed (Ⅱ), which will be followed by a brief examination of the developments of FOIA based on the background and contents of its amendments (Ⅲ); with the observation, the fifty-year history of FOIA will be reviewed on its complete historic meaning (Ⅳ) and some suggestions related to Korean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ct will be made.

      • KCI등재

        대통령 발의 헌법개정안의 완결성과 체계정합성에 대한 검토- 현행헌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배원 한국비교공법학회 2018 공법학연구 Vol.19 No.4

        A proposal to amend the Constitution was introduced; it has been 30 years since the 9th Amendments to the Constitution of 1987, October. The proposal introduced by the President(the proposal) did not pass the National Assembly. Certain commonality and differential aspects are observed from other proposed amendments since it was modified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Constitution in general, reflecting on the amendment discussions accumulated throughout time. The proposal is based on the fundamentals of the existing Constitution, modified in full measure however, including both the original and the revisions. Close observation on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proposal will be made in this study, reviewing the completeness on the legislative scope and the constitutional consistency concentrating on the below: (1) Chapter I General Provisions, Article 7, Section 3 (political neutrality of public officials while on duty), (2) Chapter II Rights and Duties of Citizens 1) ‘dualization of the subject of fundamental rights’ 2) Article 20 & 21, Section 3 (freedom of speech and press & freedom of assembly and association, Under extraordinary martial law, special measures may be taken), (3) 1) Chapter III The National Assembly, ① Article 44, Section 3 (Distribution of seats), ② Article 58, Section (Temporary budgets & the execution of budget), 2) Chapter IV The Executive, ① Article70, Section 4 (change of the president’s status and the Executive rights), ② Inappropriate usage of the title including The Executive, The Executive Branch, The Local Government, The Local Executive, ③ Article 83, Section 2 & 3 (Grant of Amnesty rights of the president & National Assembly in granting amnesty), 3) Chapter V The Courts, Article 104, Section 3~5 (Nomination of the Chief Justice of the Supreme Court), 4) Article 8 Election Commissions, Article 119, Section 1 & 2 (The affairs of the Election Commissions & Orders), 5) Chapter VIII Local Autonomy, Article 122, Section 1 (The rights of the local residents to organize Local Council). It is to improve the legislative completeness and consistency of the Constitution of not only the proposal being discussed in this paper but also the possible Constitutional amendment proposals in the future. 1987년 10월 제9차 헌법개정 이래 30 여년 만에 헌법개정안이 발의되었다. 대통령이 발의한 헌법개정안(개정안)은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헌법개정안에 머무르고 말았으나, 그 동안 축적되어 온 헌법개정 논의들을 반영하며 현행헌법 전반에 걸쳐 수정을 가한 것이고 그 동안 제시되어 온 다른 헌법개정안 자료들과 공통성 및 차별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번 개정안은 현행헌법의 기본적인 틀과 내용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그에 대한 전면적인 수정을 가한 것으로서, 수정된 부분과 존속되는 부분이 혼재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는 먼저, 개정안의 구조와 형식 및 개정 내용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아래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현행헌법과 비교하면서 개정안의 입법적 완결성과 헌법적 체계정합성을 검토한다. 그 내용은 (1) 제1장 총강의 7조 제3항(공무원의 직무수행 상 정치적 중립성), (2) 제2장 기본적 권리와 의무에서는 1) ‘기본권 주체의 이원화’ 문제와 2) 제20조 및 제21조와 제81조 제3항(언론․출판 등 표현의 자유 및 집회․결사의 자유와 비상계엄 선포시의 특별한 조치), 그리고 (3) 통치구조의 장에서 1) 제3장 국회에서는 ① 제44조 제3항(국회의 의석 배분방법), ② 제58조 제3항(임시예산과 정부의 예산집행권), 2) 제4장 정부에서는 ① 제70조 제4항(대통령의 지위변경과 정부의 권한), ② 정부, 행정부, 지방정부, 지방행정부의 용어 사용의 부정합성, ③ 제83조 제2항 및 제3항(대통령의 사면권행사와 사면위원회), 3) 제5장 법원에서는 제104조 제3항~제5항(대법관추천위원회 등의 설치와 구성방식), 4) 제8장 선거관리위원회에서 제119조 제1항과 제2항(선거관리위원회의 관장사무와 지시사항), 5) 제9장 지방자치에서는 제122조 제1항(주민의 지방의회 구성권)이다. 개정안을 단일의 완결된 입법안이라는 측면에서 현행헌법과 비교하며 살펴보는 것은, 개정안 자체뿐만 아니라 앞으로 다른 헌법개정안의 성안에 있어서도 입법적 완결성과 헌법적 체계정합성을 제고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미국헌법상의 정부언론(Government Speech)

        김배원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논총 Vol.30 No.2

        In the U.S. Constitution while the free speech clause protects private speakers,it does not traditionally apply when the government speaks. The Supreme Court did not use the term “government speech” until the late 1980s. Only in the 1990s did the “government speech doctrine” gain prominence. The 1991 Rust v. Sullivan decision(500 U.S. 173) is heralded as one of the first government speech cases and the 2009 Pleasant Grove City v. Summum decision(129 S. Ct. 1125) also recognized government speech. For the last quarter century, the public forum doctrine has been the dominant paradigm for resolving questions about the right of access to government property or support. That dominance may be coming to an end as Supreme Court increasingly relies on and expands the government speech doctrine. Although the government speech doctrine is a relative newcomer to First Amendment jurisprudence, any doubts to its importance were dispelled by the Supreme Court’s unanimous embrace of the doctrine over the more established public forum doctrine in the recent csae of Pleasant Grove City v. Summum. Part Ⅱ of this article describes the definition and function and sketches the development of government speech doctrine. Part Ⅲ of it discusses the free speech clause and government speech-(1) private speech and government speech, (2)public forum doctrine and government speech doctrine-on federal Circuits’decision or Supreme Court’s decision. And Part Ⅳ of it concludes and describes some suggestions in the free speech clause of Korean Constitution. 미국헌법상 정부언론(government speech)의 문제는 표현의 자유의 적극적 측면과관련된 것으로서 비교적 최근인 1980년을 전후하여 논의되기 시작하여 1990년대부터활성화되었다. 1990년대 초에 이와 관련한 연방대법원의 판례가 나타나고 2009년에도 정부언론을 정면으로 인정하는 판결을 내렸다. 미국에서 정부언론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헌법적 논의는 대체로 다음과 같다. 먼저,정부가 스스로 표현의 자유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그리고 그 이유와 헌법상 근거는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둘째, 정부언론의 구체적인 개념요소 즉, 일정한 표현의 정부언론 해당성과 관련하여 그 구별기준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세째, 표현의 자유의 주체로서 정부는 스스로 표현의 자유의 체계에 참여하며 정부언론을 통하여 관점의 차별도 할 수 있게 되므로 헌법상 개인적 언론의 보장범위가축소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넷째, 정부언론도 개인적 언론과 마찬가지로 헌법상 보장되는 표현의 한 유형으로본다면, 그러한 정부언론의 헌법상 의의와 효과, 공적광장론과 정부언론이론의 상관관관계, 그리고 정부언론과 개인적 언론이 충돌하는 경우의 해결방법 등도 문제이다. 끝으로, 미국헌법상의 국교금지조항(the Establishment Clause) 하에서 정부의 종교와 관련한 모든 표현은 정부언론으로서는 금지되는가 아니면 정부언론으로서 헌법상 용인될 수도 있는가 하는 점이 문제가 된다. 정부언론과 관련한 이러한 쟁점들을 고려하면서 본고에서는 헌법상의 언론자유조항과 정부언론을 중심으로, 제2장(Ⅱ)에서 정부언론의 의의와 정부언론이론의 전개과정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제3장(Ⅲ)에서는 헌법상의 언론자유조항과 정부언론-개인적 언론과 정부언론 및 공적광장론과 정부언론이론-에 대하여 살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