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강경』과 원불교 사상

        김방룡(金邦龍)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9 No.-

        본고는 원불교와 불교의 새로운 관계모색을 제안하며 『금강경』과 원불교사상의 관련성을 다룬 논문이다. 소태산 박중빈의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원불교 사상은 한마디로 대승불교의 개혁사상임을 주장하였다. 첫째, 소태산의 객관적이고 실재적인 사상을 접근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정전」에 의존하지 말고, 『불교정전』에 의존하자는 것이다. 둘째, 소태산이『금강경』을 가지고 불법이 주체가 된 새로운 불교회상을 만든 의미는 『금강경』에서 말하는 ‘반야지’가 바로 우리의 본래마음이며, 법신불임 알아 실생활에까지 활용하자는 데 있음을 밝혔다. 셋째, ‘원불교’ 제한적으로 말하면 ‘불법연구회’는 “정각정행 · 지은보은 · 불교보급 · 무아봉공”의 사대 강령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개혁불교, 생활불교 교단이란 점을 분명히 했다. 넷째, 소태산의 사상은 용수, 혜능, 지눌의 대승불교 전통을 계승한 것이며, 그 사상적 토대는『금강경』에 두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다섯째, 소태산의 열반 후 정산종사의 주세불관, 『원불교정전』의 편찬, 불교재산관리법의 세 가지 문제가 원불교의 정체성을 독자적인 교단 방향으로 이끌어가게 한 것이며, 이제 소태산의 본래 취지에 입각하여 새로운 전환점을 모색해야 한다고 보았다. 여섯째, 소태산의 교리와 법문은 상당부분이 『금강경』의 내용을 인용하거나 활용하거나 용해하여 이루어져 있음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하여 밝혔다. 일곱째, 소태산은 불법연구회의(원불교)의 교주가 ‘석가모니불’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으며, 『불교정전』의 제일 앞에 ‘불일 증휘(佛日增輝) 법륜상전(法輪常傳)’이라고 표방한 바와 같이 자신이 불제자(佛弟子)로서 부처님의 법(佛法)을 온 세상에 펼치고자 하였음을 밝혔다. Through this paper I aim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reformation of Buddhism of Sotaesan-Pakjungbin and his Seon thought. Sotaesan-Pakjungbin is a founder of Won Buddhism. First, I inquired into his recognition about Buddhism in those days and the contents of reformation of buddhism based on his work, 『the theory of reformation of buddhism』. That is summarized by the declaration of a change of Buddhism suitable to time, life and popularity and the slogan, “Buddhist truth is found in life, life is Buddhist truth itself” Second, I examined that his Seon thought is the practice of continuous meditation and Tan-Jun-Joo Seon, Concentrating the Mind on Lower Abdomen. I inquired into the practical method of those two Seon and the reason why he had presented those Seon. From this study I reached the conclusion that Sotaesan-Pakjungbin had clarified the reformation of Buddhism to have people practice Buddhism in life and his practice of continuous meditation and Tan-Jun-Joo Seon had also appeared in aim of the reformation of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