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파라쿼트 중독환자에서 Hart 생존율 곡선의 중요성과 예후인자

        정화 ( Kim Jeong Hwa ),이영희 ( Lee Yeong Hui ),신성혜 ( Sin Seong Hye ),김바울 ( Kim Ba Ul ),이재규 ( Lee Jae Gyu ),이지은 ( Lee Ji Eun ),이진규 ( Lee Jin Gyu ),이광영 ( Lee Gwang Yeong ) 대한신장학회 2004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3 No.2

        배 경 : 파라쿼트 (paraquat)는 제초제로 사용되는 맹독성 농약으로 소량의 섭취로도 사망할 수 있으며, 환자나 보호자의 진술에 의한 섭취량, 검사실 소견, 소변 dithionite 검사 등의 결과만으로 중독의 정도 및 예후를 간접적으로 판정하여 치료의 지표로 삼고 있다. 방 법 : 저자들은 파라쿼트 중독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고, Hart 등이 제시한 생존곡선을 이용한 예후 판정이 가능한지, 그리고 어떤 지표를 이용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할지를 알아보기 위해, 음독 후 24시간 이내에 환자의 혈중 파라쿼트 농도를 측정하여, Hart 등이 제시한 생존곡선을 기준으로 90% 생존곡선 이하의 농도군을 A군, 90% 생존곡선과 70% 생존곡선 사이의 농도군을 B군, 70% 생존곡선과 50% 생존곡선 사이의 농도군을 C군, 50% 생존곡선과 30% 생존곡선 사이의 군을 D군, 30% 생존곡선과 20% 생존곡선 사이의 농도군을 E군 20% 생존곡선과 10% 생존곡선 사이의 농도군을 F군, 10% 생존곡선 보다 높은 농도 군을 G군으로 구분하여 각 군의 생존율과 사망률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958년 2월부터 2003년 2월까지 내원하여 치료받은 파라쿼트 중독 환자 516명 중 24시간 이내에 내원하여 치료받은 17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환자의 연령은 45.6±17.1세, 남자 101명 여자 74명, 전체 환자 사망률은 69.1%였다. 환자 수는 A군 27명, B군 15명, C군 8명, D군 9명, E군 11명, F군 12명, G군 93명이었으며, 각 군의 사망률은 A군 7.4%, B군 26.7%, C군 37.5%, D군 55.6%, E군 63.6%, F군 83.3%, G군 96.8%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p<0.0005), Hart의 생존곡선을 이용하여 예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로 24시간 이내의 혈장 파라쿼트 농도군이 가장 중요하여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가 B군 4.4 (0.7-27.5), C군 7.2 (0.9-54.9), B군 15.0 (52.1-105.6), E군 21.0 (3.2-139.7), F군 60.0 (7.4-487.1), C군 359.9 (56,9-2277.9)으로 음독양, 소변 dithionite test 보다 중요하였다. 결 론 : 파라쿼트 중독 환자의 예후 판정에서 음독양, 소변 dithionite 검사보다는 24시간 이내에 혈중 paraquat 농도를 측정하여, Hart 생존곡선을 이용한 예후 판정이 가장 정확하며, 이 결과를 이용하여 치료 방침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 : Paraquat is highly toxic herbicide used in agriculture, and mortality of paraquat poisoning is very high. The predictions of severity of poisoning assessed with the amount of ingestion, results of urine dithionite test and laboratory findings are not accurat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whether Hart`s probability of survival curves are useful for predicting outcomes of paraquat-poisoned patients and which factors influence the outcomes of the patients. Methods : We grouped 175 patents with paraquat poisoning into seven groups using curves of probability of survival suggested by Hart, et al. Group A was patients with plasma paraquat concentration be low 90% probability of survival curve, group B patients with paraquat levels between 90% and 70% probability of survival curves, group C patients with paraquat levels between 70 and 50% probability of survival curves, group D the ones with paraquat levels between 50% and 30% probability of survival curves, group E the ones with paraquat levels between 30 and 20% probability of survival curves, group F paraquat levels between 20 and 10% probability of survival curves, and group G patients with paraquat levels above 10% probability of survival curve. And we analyzed the survival and mortality rates of each groups. Results : The mortality rates of groups A, B, C, D, E, F and G were 7.1%, 26.7%, 37.5%, 55.6%, 63.6%, 83.3% and 96.8% respectively (p<0.0005).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death of patients was the paraquat concentration grouping with odds ratios (95% CI) of 4.4 (0.7-27.5, group B), 7.2 (0.9-54.9, group C), 15.0 (52.1-105.6, group D), 21.0 (3.2-139.7, group E) 60.0 (7.4-487.1, group F), and 359.9 (56.6-2277.9, group G). Conclusion : In assessing prognosis of patients with paraquat poisoning, grouping of the patients using initial plasma paraquat concentrations is the most important, and the policy of treatment can be decided according the results. (Korean J Nephrol 2004;23(2):270-27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