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유의지의 계보학

        김바다 고려대학교 2010 虎院論集 Vol.18 No.-

        Willensfreiheit ist ein Grundbegriff, durch den die moderne Metaphysik und Ethik systematisch aufgebaut werden kann. Nietzsche hat die Willensfreiheit scharf kritisiert. Der Aufsatz analysiert Nietzsches Kritik an der Willensfreiheit und die Uberwindung dieser. Nach Nietzsche ist 'Wille als Ursache' eine Voraussetzung fur die Philosphen, die Willensfreiheit positiv aufbauen wollen. Deswegen kritisierte Nietzsche 'Wille als Ursache' unter Verwendung seines eigenen Willensbegriffes. In diesem Aufsatz wird zuerst Nietzsches Willensbegriff erortert und die durch diesen Begriff entfaltete kritische Diskussion gegen Willensfreiheit betrachtet. Zweitens wird eine genealogische Betrachtung gegen Willensfreiheit versucht, d.h. die metaphysische Pramisse, die die Willensfreiheit voraussetzt, und die psychologischen Bedingungen, durch die Irrtum entstehen kann, werden analysiert. Konkret, Nietzsches Kritik uber Glauben an Ich oder Subjekt, Dualismus als metaphysischen Schein und Nietzsches Analytik uber ‘Furcht' und ’Machtgefuhle von Priestern‘ werden angezeigt. Drittens wird Nietzsches Ausblick, der das Leben ohne Willensfreiheit ist, skizzieret d.h. durch 'die Unschuld des Werdens' kann traditionelle Metaphysik geleugnet und neue Metaphysik aufgebaut werden. Unter der existenziellen Dimension kann das Leben ohne Willensfreiheit durch 'Wille zum Leiden' verwirklicht werden.

      • KCI등재

        인간의 자기 이해의 관점에서 본 니체의 도덕비판- <아침놀> 을 중심으로

        김바다 한국니체학회 2014 니체연구 Vol.26 No.-

        This essay aims to reconstruct Nietzsche’s critique of mor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self-understanding. Because Nietzsche criticized not only various moral theories, his critique is oriented toward widening the self-understanding of humans. A fundamental motive of Nietzsche’s critique of morality is to overcome the biased and superficial self-understanding of humans that traditional morality represented, and ultimately to feel ourselves and our world differently, by relearning about humanity. In order to point out the superficiality of previous human self-understanding, Nietzsche attempts to grasp the spontaneity of drives that constitute the essence of human on an unconscious level. Drive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cognition and action of humans. If the importance of drive is evoked, we can understand the importance that drive implies ‘the other in the self’, and grasp the idea that a voice of the other echoes from our inner world. Drive is ‘the other of reason’ and ‘the historical, social other’. Because the other exists in our inner world on the deepest level, the area of forming and creating life can be limited by the other. Consequently, we should recognize what we already and always live with the other. In addition, we should carefully look at the influence of the other in the self in order to reach a mature and comprehensive self-understanding. 본고는 니체의 도덕비판을 인간의 자기 이해를 확장하려는 시도로 이해하고 이와 관련한 니체의 논의를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니체의 도덕비판은 도덕이론을 넘어서 인간의 자기 이해를 확장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기본적인 문제의식이다. 니체의 도덕비판의 주요한 동기 중 하나는 기존의 도덕이 전제하고 있는 편협하고 피상적인 인간 이해를 넘어서, 인간에 대해서 새로 배우고 우리가 자기 자신과 세계에 대해 다르게 느끼는 것이다. 니체는 기존의 도덕이 전제하는 인간 이해의 피상성을 지적하기 위해 무의식의 수준에서 작동하면서 인간의 본질을 구성하는 충동을 중심으로 인간을 이해하고자 한다. 충동은 우리의 인식과 행위에 있어서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충동의 중요성을 상기한다면, 충동이 함축하는 ‘자기 안의 타자’의 중요성을 이해하게 될 것이며, 우리의 내부로부터 ‘타자’들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게 된다. 충동은 ‘이성의 타자’이며,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타자’이다. 그리고 우리의 가장 심층적인 부분에서부터 ‘타자’들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삶을 조형하고 형성해나가는 영역 역시 제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는 이미 항상 타자들과 ‘더불어’ 살고 있으며, 타자들의 영향력을 조심스럽게 분별하면서, 즉 타자들을 ‘넘어서’ 성숙한 자기 이해에 도달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크루즈 관광객의 기대 성과가 만족과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

        김바다,유다종,위주연 관광경영학회 2019 관광경영연구 Vol.91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xpectations and performance of cruise tourists who have experience in cruise tour and to investigate how each resul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cruise tourists and how this resulted satisfaction eventually influence them in repurchasing of cruse product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week from Jan 21 to 27, 2019 on tourists who have experiences in cruise tour. Total 148 survey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d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for Windows. The study have shown that expectation of experience affect all performance factors of deviance, interest, sociability, and experientiality. In addition, in performance, all factors of deviance, interest, sociability, and experientiality affected satisfaction, while only devi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 KCI등재

        관광공연의 물리적환경이 경험가치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바다,김현희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0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45

        국외관광에서 공연이 한 나라의 문화 또는 지역의 전통 예술을 한눈에 보는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특히, 관광과 예술은 개별 산업으로서도 발전 중이지만, 최근에는 하나의 산업이 아닌 융복합 산업으로 확장하여 경쟁력을 높이고 있으며, 그 성과물이라 할 수 있는 관광공연은 해당 국가를 대표하는 관광상품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관광공연 상품을 알리기 위한 노력은 중요하고 시의적절하다. 하지만, 그간의 연구는 이미 공연된 작품의 속성 파악이나 공연의 지속성 등에 한정되었으며, 관광객의 감동을 끌어내는 공연환경이나 관람경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공연의 물리적환경이 경험가치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관광공연의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문화예술, 관광공연산업 그리고 관람객 유치 확대를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관광공연의 물리적환경 중 관객들이 공연을 관람하면서 경험하는 공간적, 시설적 환경은 한국의 관광공연을 재구매에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는 생소한 ‘관광공연’에 대한 초기연구로서 추후 관광공연의 콘텐츠 개발, 마케팅 등의 후속연구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It can't be denied that performan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a country's culture or traditional arts at a glance when touring abroad. Tourism industry and art industry are developing separately as single industries, but recently, they have expanded into a convergence industry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tourism performance, which is the result, has become one of the representative tourism products of the country concerned. From this point of view, efforts to promote tourism performance products to foreign tourists visiting our country are important and timely. However, the past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identifying the nature of already performed performances and the persistence of performances, and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the performance environment or viewing experience that attracts tourists. Therefore,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tourism performance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ourism performance on the experiential value and the repurchasing intention, and strategic implications for expanding the attraction of visitor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ourism performance and the value of experience. According to the study,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tourism performance, the spatial and facility environment experienced by the audience while watching the performanc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repurchase of the Korean tour performance. This study is an initial study of "tourism performances" unfamiliar to Korea, and hopes that it will lead to follow-up research on content development and marketing of future tourism performances.

      • KCI등재

        게스트하우스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직원친절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바다,김정희,심우섭 관광경영학회 2018 관광경영연구 Vol.83 No.-

        Through the related research between the service of foreign tourists’ accommodations, hospitality of staff,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on their accommodations service quality, and among those factors this study focuses on the result of how the hospitality of the staff affects the satisfaction of gu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foster middle-low price accommodations for foreign tourists in Korea such as hostels and city lodging and help guesthouse operators expand their understandings about the traits of tourists. The study would also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operators to manage their facilities rationally and strategically. For the actual research, the spatial range of the sampling was based on English speaking, Thai,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who used city lodging located in Seoul Jung-gu and Jongno-gu. The survey was reconstruct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and among 300 questionnaires, excluding the invalid questionnaires, 203 were used as valid data. First of all, the overall analysis content shows that the tourists who stayed at guesthouses considered the location of the place the most important motive of their choice followed by cleanness, economic feasibility, and facility conditions. Secondly, the location, cleanness, economic feasibility and facility conditions affected the satisfaction of the guesthouse. Third, the service quality selection property (location, cleanness, facility condition, economic feasibility) and satisfaction had a mediator effect with the hospitality of the staff.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mong all the provided services, not only are the static features important but also the hospitality of the staff which can give emotional change after the visit, is also important for tourists in choosing a guesthouse. Fourth, the satisfaction had a meaningful effect on revisit intention. When the satisfaction of the tourists was higher the percentage of revisitation was also higher. The current Korean tourism business is only operated by focusing on the immediate profits without planning for a long-term systematic tourism market. However we should keep in mind that in order to gradually expand the tourism market to gain long-term profit, every facility, service and quality should be enhanced and making an overall plan will help Korean tourist business.

      • 『비극의 탄생』과 『즐거운 학문』에 제시된 미적 정당화 테제의 차이에 관한 연구 : 니체의 자연주의 탐구로의 이행에 관한 소고

        김바다 고려대학교 2011 虎院論集 Vol.19 No.-

        본 논문은 니체의 실존의 '미적 정당화(ästhetische Rechtfertigung)'에 관한 예비적 분석을 시도한다. 본고가 예비적 분석인 이유는 실존의 '미적 정당화' 테제의 내용 자체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니체의 공식적인 저작 중 『비극의 탄생』과 『즐거운 학문』에서 제시되는 '미적 정당화' 테제 사이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의 목표는 두 저작 사이에 존재하는 니체의 사상적 차이를 밝히고 그러한 차이가 발생하게 된 원인을 분석하고 제시 해 보려는 것이다. 두 정식화 사이의 차이는 니체가 두 저작에서 '세계'라는 개념을 어떻게 다르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통해 보여질 것이다. 『비극의 탄생』에서 니체는 '세계'를 '가상'으로 이해하고 있고 '가상'으로서 세계와 인간을 위한 '위안'을 위한 것으로서 '예술'을 설명하고 있다. 이와 달리 『즐거운 학문』에서 니체는 실재론자들을 비판하며 '세계'를 인식하는 주체 내부의 활동, 특히 '충동'에 주목하고 있다. '충동'에 따라 인식주체는 세계를 다르게 파악하기에 '세계'는 우리가 지각하는 그대로의 세계가 아니다. 따라서 관건이 되는 것은 '충동'의 활동을 설명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두 정식화 사이에서 차이는 니체의 '자연주의적 탐구'로 정리될 수 있다. 『비극의 탄생』을 집필하던 당시 니체는 '근원적 일자'와 같은 초자연적 개념을 제시하며 세계와 인간의 다양한 활동을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즐거운 학문』에서는 '신의 죽음'이 선언되고 신과 같은 '초자연적' 개념을 배제하고 세계와 인간을 설명하려고 시도한 것이다.

      • KCI등재

        니체의 『도덕의 계보』에 관한 재검토 - 1논문과 2논문을 중심으로

        김바다 한국니체학회 2013 니체연구 Vol.24 No.-

        Nietzsche made an assertion about the origin and the development of morality in On the Genealogy of Morality. Due to the hypothetical aspect of Nietzsche’s claim, it is often the case that people fall into the unproductive understanding such as merely accepting or denying his idea and it is also the case that forming coherent understanding on his idea is difficult. In order to attempt to solve this problematic situation, I’ll try to clarify Nietzsche’s naturalistic, perfectionistic premises in this paper to show that Nietzsche developed a coherent claim about the origin and the development of morality in the first and the second essay of On the genealogy of morality from the premises. Nietzsche’s perfectionism is rooted from his central concept ‘will to power(wille zur Macht)’. In On the genealogy of morality ‘will to power’ is explained as an affection of cruelty or an attitude of exercising power. His perfectionistic premise includes the idea that ‘active expression’ of ‘cruelty’ can be considered as an exercise of human nature: will to power; which provides standards to judge between right and wrong or whether one’s life is good. Nietzsche’s naturalism appears constantly on the genealogy of morality and it takes the position that morality should be explained by non-moral terms without any supernatural concepts. From the premises Nietzsche outlined a grand narrative about the origin and the development of morality in On the Genealogy of Morality. Human as natural animal had been changed into social animal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ization,such as memorizing essential elements in daily lives. In order to memorize something, people stressed others with cruelty when their words were not remembered properly. As a consequence the concepts of responsibility, justice and punishment were formed in the process. As the society expanded in this manner, social stratum was divided into two classes: master and slave. Masters exercised artistic cruelty by forming states and establishing a state law, while slaves were overwhelmed by masters that resulted the deprivation of the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cruelty. Hence, masters provided the standard of what is ‘good’ and ‘bad’ in order to actively express their power by stipulating themselves as good and slaves as inferior and weak. Unlike them, slaves expressed power in reactional way by considering others as ‘evil’ and stipulating themselves as ‘good’. In the same way, masters and strong people wielded their artistic cruelty as power through forming states and establishing a state law. On the contrary, since slave and weak people could not inflict their cruelty, they could not help internalizing their cruelty,consequently ‘bad conscience’ appeared. However, society has been systematized and culture has been established firmly. Consequently, under the condition even master and strong people had no chance of wielding power actively. Therefore bad consciousness was passed down to us and it became a universal moral emotion. From what has been discussed above, we can see Nietzsche’s two premises and a coherent claim about that morality was proposed from the premises. But Nietzsche’s premises itself remain as a matter to be discussed further. 니체는 『도덕의 계보』에서 도덕의 기원과 발전에 관한 주장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니체의 주장이 ‘가설적 성격’을 띄고 있다는 점에서 그것을 단지 수용하거나 거부하는 식의 비생산적인 이해로 귀착하거나 일관된 이해에 어려움을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난점을 넘어서기 위해 니체의 주장에깔린 두 가지 전제를 명료하게 밝히고 이 전제로부터 『도덕의 계보』 1논문과 2논문을 중심으로 니체가 도덕의 기원과 발전에 관한 일관된 논의를 전개하고 있음을 보일 것이다. 니체의 완전주의는 그의 핵심 개념인 ‘힘에의 의지’를 근간으로 한다. 『도덕의계보』에서 니체는 ‘힘에의 의지’를 ‘잔인함’이라는 ‘정서’ 혹은 힘을 표현하는 ‘태도’로 설명하고 있고 이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잔인함’을 ‘능동적으로표현’하는 것은 힘에의 의지라는 인간의 본성을 실현하는 것이고 이것이 옳음과그름 그리고 좋은 삶에 대한 기준이 된다. 더불어 니체의 자연주의는 『도덕의 계보』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입장으로서 도덕에 대한 설명은 초자연적 개념을 사용하지 않고, 도덕 외적인 개념들을 통해 제시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전제로부터 니체는 『도덕의 계보』 1논문과 2논문에서 도덕의 기원과 발전에 관한 거대한 서사를 그리고 있다. 자연적 동물로서 인간을 사회화시키는 과정에서 망각에 대한 기억의 투쟁이 진행되고 여기서 주요한 계기로 작용하는 것이 ‘잔인함’의 표현이다. 이 과정의 결과 책임과 정의 그리고 형벌이라 는 개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사회가 확대됨에 따라 국가를 형성하고 법을 제정하여 자신의 예술적 잔인함을 표현하는 강자와 강자들에 의해 잔인함을 표출할 기회를 얻지 못한 약자들로 사회의 계층이 구분된다. 이에 따라 강자들은 좋음과 나쁨이라는 가치판단을 제시하고 자신을 좋음으로, 자신보다 열등하고 약한 자들을 나쁨으로 규정하여 힘을 능동적으로 표현한다. 이와 달리 약자들은자신이 아닌 것들을 부정하며 악한 것으로, 악한 것과 대비되는 것으로서 자신을 선한 것으로 규정하여 힘을 반동적 방식으로 표현한다. 같은 맥락에서 강자들은 국가와 법을 제정하여 자신들의 잔인함을 능동적으로 표현하지만, 이러한기회가 차단된 약자들은 잔인함을 내면화하여 양심의 가책이 발생된다. 그러나사회가 더욱 체계화되고 문화가 정립되면서 이제 강자들조차 자신들의 잔인함을 표현할 기회를 갖지 못하게 되며 양심의 가책은 보편적 도덕적 감정으로 우리에게 전승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도덕의 계보』에서 제시된 니체의 두 가지 전제와 이로부터 제기된 일관된 도덕에 관한 가설을 살펴볼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니체의전제 자체에 관한 논의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남겨져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