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開發地域의 學校設立 問題點과 學校施設 確保 方案

        김민배(Min Bae Kim) 한국토지공법학회 2007 土地公法硏究 Vol.37 No.2

        In compliance with a large scale housing site development and a city development, the necessity and demand of school founding are increasing. But the land which is necessary to school founding does not buy. It is because the educational finance which is necessary to the school land and a facility is insufficient. Recently National Assembly, the government, Office of Education, with the problem of school establishment it comprehends the core awaking. In limit of region educational finance about lower school founding which is necessary cannot become accomplished in proper time and impossibly, it became. The result it is because shows the sign which will raise its head with the social problem which is serious. Solves a problem the alternative for has two. The my method is the plan which opens a court a relation law. Different my method leads and agreement and regulations it is a plan which secures a school facility. In order for the development business owner to donate a school facility, description below hazard must use the incentive system which stands. The case school facility site expense charge problem solving which includes the school in category of public facilities and establishment of the school building see come to be easy. The problem of school establishment seriously, becoming in compliance with a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the school land charge expense receives an unconstitutionality judgement, from all. It is not competent the finance which is necessary to the school establishment which it follows in that after urban development enterprising back. The case where the development business owner donates a school facility, there is a necessity which will investigate the reflection degree of breach of the constitution possibility and residential sale in lots price. And is what kind of problem to actuality and school founding of educational finance. Is the free scope of compulsory education at constitution which degree. It will be able to include a school facility in public facilities. It investigated like this point. When considering the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al finance and school facility, that the next plan is necessity, it got off a conclusion from this dissertation. 1) artificial flower of school facility and public facilities 2) principled application of cause sleeping charge and receiver charge 3) sale in lots application of rise prevention and incentive system 4) housing site development and school facility free base plan 5) the school facility security plan in compliance with a regulations and an agreement. Actually like this plans security of school facility hazard necessity are demonstrated a point.

      • KCI등재

        일본의 지적재산전략과 기술보호 정책

        김민배 ( Min-bae Kim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0 지식재산연구 Vol.5 No.3

        최근 세계적인 금융경제 위기가 일어나면서, 일본에서는 그동안 지적재산입국을 향한 정책과 전략들이 물거품이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었다. 금융위기 등에 의해 세계 전체의 경제 활동이 급격히 추락하고, 경제도 그 영향을 받아 기업 실적이 악화되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앞으로의 지적재산 활동의 대폭적인 축소가 우려되는 사태가 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도 갖고 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이러한 격동기야말로 자신들의 강점인 지적재산을 살려, 글로벌 시장 획득과 내수 확대를 위한 방안을 추구해야 할 때로 보고 있다. 이러한 인식하에 지적재산에 의한 경쟁력강화전문조사위원회 및 콘텐츠·일본브랜드 전문조사위원회는 지적재산 정책의 실시 상황과 그 성과에 대해 평가를 하는 동시에, 제3기(2009년도~2013년도)의 ‘지적재산전략의 기본방침의 올바른 방향에 대해’각각 검토를 하고 있다. 그동안 일본은 지적재산전략본부를 중심으로, 지적재산입국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들을 수립·집행하고 있다. 즉 일본은 2003년 3월 제1기(2003년도~2005년도)와 제2기(2006년도~2008년도)에 걸쳐 민관이 함께 지적재산 입국 실현을 위해 노력을 해왔다. 본 논문은 2002년도에 ‘지적재산 입국’을 내건 일본 정부가 지적재산기본법에 의거 설립한 지적재산전략본부의 제3기 지적재산추진계획을 중점적으로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실 일본은 진정한 의미의‘지적재산 입국’이 무엇인가를 고민하고, 실현하기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지적재산의 창조·보호·활용은 물론 그 지원을 위해 법·제도·정책을 탄력적으로 조화시키면서, 전략을 수립·집행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이 지적재산전략을 국내는 물론 세계적 흐름에 맞추어, 수정·보완하고 있는 점은 우리가 관심 있게 지켜봐야 할 대목이다. 그리고 일본이 지적재산 전략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일본사회의 기업이나 국민들 전체가 참여하는 관점에서 정책을 수립·집행하고 있는 점도 향후 우리의 전략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일본이 최근 특허와 노하우, 영화, 게임, 소프트웨어 등 콘텐츠 등의 지적재산을 국부의 원천으로 내걸고, 지적재산의 창조·보호·활용에 나서는 것도, 바로 이것을 최대한 활용하여 지적재산 입국 목표를 현실화하려는 데 있다. 경제와 부의 원천이 바로 지적재산에 있고, 이를 통해 경제가 지속적인 성장을 계속하도록 해야 한다는 일관된 목표도 마찬가지다. 일본이 지적재산기본법을 바탕으로 지난7년간 쌓아 올린 지적재산전략은 향후 우리가 제정하고자 하는 지식재산법의 운용과 정책을 구체화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paper studies the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and the technology protection policy of Japan. Particularly, This paper focus on the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report of third period of Japan. The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Headquarters of Japan will promote five principles below in a comprehensive and unified manner based on the “Basic Policy of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for the Third Period”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global intellectual property competitiveness. The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ic Program 2009” shall put into shape the priority measures listed in the “Basic Policy of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for the Third Period.”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of Japan is as follows : First, strengthen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to promote innovation. 2nd, strengthening global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3rd, promoting the growth strategy of soft power industries. 4th, securing the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fifth, establishing an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that corresponds to needs of users. Japan will strengthen the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to promote innovation in order to obtain many important intellectual properties and effectively use them to create economic value. Japan will strengthen its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from a global perspective, in order to facilitate innovative creations and business expansions on an international scale. Japan will designate the industries related to content creation, food, fashion, and other soft power-creating industries as a type of strategic industry. In order to reduce business risks, Japan will strengthen measures to ensure the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order to reduce the costs related to the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systems and enhance the quality of services, Japan will make further efforts to establish intellectual property systems with emphasis on user convenience. Based on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of Japan, this paper studies on the key matters. Chapter 1 explains the intellectual property awareness in Japan 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Chapter 2 discusses background of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of Japan. Chapter 3 discusses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policy of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for the third period of Japan. Chapter 4 were reviewed for technology protection and policy of Japan. and chapter 5 is the conclusion of the paper.

      • KCI등재후보

        하자있는 행정조사와 행정행위의 효과 일본의 판례와 학설을 중심으로

        김민배(Kim Minbae) 한국행정법학회 2019 행정법학 Vol.17 No.1

        하자있는 행정조사가 행정행위의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하자있는 행정조사가 행정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국민의 기본권보장과 법치행정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행정조사를 어떻게 운용하고 이를 통제해야 하는가에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다. 하자있는 행정조사가 위법한 행정행위의 효과를 가져 오는가. 이에 대한 판단과 기준점을 파악하기 위해 일본의 학설과 판례를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조사의 하자가 행정행위의 하자를 가져온다는 견해이다. 이것은 행정조사의 하자가 공서 양속 위반이나 형벌법규에 저촉될 경우 행정행위의 하자가 된다는 입장이다. 둘째, 행정조사의 하자의 중요도에 따라 행정행위의 하자를 판단하고자 하는 견해이다. 그리고 셋째, 행정 조사의 하자와 행정행위의 하자를 구별하는 견해이다. 행정조사와 행정행위는 다른 제도로서 행정조사의 하자와 행정행위의 하자의 승계를 부인하는 입장이다. 생각건대 공서양속 위반이나 형벌법규에 저촉되는 행정조사에 대해서는 위법성의 승계를 인정하여 행정행위의 취소사유나 무효사유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중대한 하자를 가진 행정조사에 의해서 얻은 자료 역시 행정행위의 자료로서 이용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 특히 형사적 처벌과 연계되는 행정조사의 경우 그 위법성의 승계를 인정해야 행정쟁송 등을 통해 조사 대상자가 구체적으로 효과적인 구제를 받을 수 있다. 2019년 5월 현재 국회에 행정조사기본법 에 대한 개정안이 제출되어 있다. 법률이 제정된 이후 사회 기술 변화에 맞추어 피조사자의 권익을 보다 두텁게 보호하여 국민 중심의 행정 조사 절차의 합리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취지이다. 향후 행정조사에 의해 취득된 자료를 형사 사건에서 증거로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일정한 제한을 가할 필요가 있다. 행정조사가 형벌 이나 강력한 행정제재수단과 연계되는 경우에는 변호사의 입회권보장과 영장주의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보장할 필요가 있다. 행정조사가 기본권보장과 적법절차의 정신에 적합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보완이 추가적으로 필요한가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want to examine how defective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will affect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ve act. Through these reviews, I intend to reveal the defective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the defects of administrative act, and the succession of illegality. For this purpose, I reviewed Japanese theories and precedents concerning the effect of defective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and administrative act.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opinion is that the defective of the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is carried on to the defective of the administrative act. Second, the opinion is that there are some cases that result in defects in administrative act, depending on the defective of the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And third, the view is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defects of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and the defects of administrative act. To think about it, a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that violate criminal laws and regulations must recognize the succession of its illegality. In other words, it is the reason for cancellation or invalidation of administrative act. The results of defective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shall not be available as data of administrative act. And in the case of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linked to criminal punishment, the succession of the illegality must be acknowledged. It conforms to the spirit of constitutional due process.As of May 2019, The National Assembly has submitted a bill to revise the Basic Law o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Since the enactment of the Act, the rights of the suspect have been protected more closely in line with social and technological changes, the law revision seeks to streamline the public-centered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process. Will it recognize the constitutional right to remain the privilege against self-incrimination and the right for refusal of self-incrimination i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In the future, Korea also needs to impose certain restrictions on the use of evidence obtained by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in criminal cases. In the case of the EU, the right to hold lawyers is guaranteed i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This is also related to whether the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requires the use of a warrant system. It is a matter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evidence capabilities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administrative trials. In the future, Korea also needs to actively consider the right of lawyers to participate i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linked to criminal penalties or strong administrative sanctions.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suggest what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necessary for the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system to operate in conformity with the spirit of constitutional due process.

      • KCI등재

        생명의 신성함에 대한 논쟁과 법적 과제 : 헬가 쿠세의 이론을 중심으로

        김민배(Kim, Min-Bae)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91 No.-

        생명의학이 발전하면서 인간의 생명을 둘러싸고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여러 가지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인간의 탄생과 생존 그리고 죽음에 이르기까지 종교적 원리와 현실의 이해관계가 대립하고 있다. 즉, 배아, 임신중절, 장기이식, 뇌사 등을 둘러싸고 생명의 신성함이나 인간의 존엄과 가치가 충돌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생명의 신성함(Sanctity of Life)이 낙태와 안락사에 대한 격렬한 논쟁과정에서 이념적 역할을 했다. 생명의 신성함이 죄 없는 인간을 죽이는 것에 대한 금지의 논거로 제시되었다. 이에 반해 생명의 신성함을 비판하면서 생명의 질과 공리주의를 주장하는 논거들이 등장하였다. 돌이켜 보면 종교적 차원에서 볼 때 생명의 신성함이나 인간의 존엄은 오랜 역사적 전통을 지닌 개념이다. 그러나 생명의학이 발전하면서 생명의 신성함과 인간의 존엄에 대한 개념과 관계들을 재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생명의 신성함과 인간의 존엄 그리고 생명의 질 등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하는 점이 쟁점이 되고 있다. 인간의 생명을 직접적으로 결정해야 하는 의료현장에서 어떤 판단기준에 기초하여 환자를 치료해야 하는가. 혹은 치료를 중지해야 하는가. 일정한 상황에서 선택적 결정을 내릴 때 종교적 차원에서 인간생명의 신성함을 우선할 것인가. 아니면 생명의 질을 고려하여 생명의 신성함에 반하는 결정을 할 것인가. 현실적 문제해결을 위한 해법을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의 전통적인 생명 문제와 윤리의 기반인 생명의 신성함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성경에서는 생명의 신성함의 기원을 어떻게 설명하는가. 기독교의 생명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간존엄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생명의 신성함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편 기독교적인 생명윤리 원칙을 무의미하다거나 부인하면서 새로운 윤리 원칙을 제창한 쿠세(Kuhse, H.)의 주장을 검토하고자 한다. 쿠세는 인간의 생명의 가치를 뒷받침하는 종교와 결별하고, 의식능력의 유무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는 새로운 생명윤리를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쿠세의 주장을 분석함과 동시에 전통적인 생명의 신성함의 의미를 재검토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최근 급속히 진보하는 생명의학의 발전에 따라 기독교의 전통적 생명윤리 내지 생명의 신성함은 더 이상 존재할 가치가 없는가. 쿠세나 싱어(Singer, P.)가 주장하는 생명의 질이나 공리주의와의 공존은 가능한가. 서로 다른 이해에 기초한 주장들이 생명의 신성함과 관련하여 어떠한 법적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는가. 인간의 존엄의 기반이 되는 생명의 신성함은 침해당하거나 포기할 수 없다. 생명의 신성함의 절대성을 주장하는 입장에서는 악용을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생명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와 의학의 발전은 신성함의 예외를 요구하고 있다. 그것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그 출발은 생명의 신성함과 생명의 질이 제기하는 논거들에서 시작해야 한다. 그리고 인간의 생명에 대한 판단 기준은 법률로 정립될 수 밖에 없다. 중요한 것은 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는 법률의 정당화의 논거와 기준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그러한 대안의 마련을 위한 기초적 논거와 이론 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주된 목적이 있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biomedical science, various problems have emerged surrounding human life. From the birth, survival and death of man, religious principles and human interests are sharply divided. In other words, the sanctity of life or human dignity is in conflict over embryos, abortions, organ transplants and brain death. The sanctity of life also played an ideological role in the debate over abortion and euthanasia in the United States. The sanctity of life was presented as the rationale for the prohibition against killing innocent humans. On the other hand, Kuhse H. and Singer P. criticized the sanctity of life and advocated the quality of life and utilitarianism. On the religious level, the sanctity of life or human dignity is a concept with a long historical tradition.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biomedical science,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sanctity of life and human dignity. The need to redefine the concepts and relationships is being raised. That is, how to reset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sanctity of life, human dignity, quality of life, etc. Doctors directly determine human life in the medical field. Based on what criteria of judgment should the patient be treated? Should we stop? When making an optional decision under certain circumstances, will we prioritize the sanctity of human life on a religious level? Or will you make a decision against the sanctity of life in consideration of the quality of life? Realistically, a solution is needed to solve the problem solving the problem. In this study, I’d like to examine the sanctity of life,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life ethics of Christianity. How does the Bible explain the origin of the sanctity of life? Through an understanding of Christian on the sanctity of human life, I’d like to examine the sanctity of life which is the basis of human dignity. And criticizing Christian bioethics principles, I’d like to review Kuhse s claim to advocate quality of life and utilitarianism. Kuhse insists on a new life ethic that must be determin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human consciousness. In this study, I’d like to analyze Kuhse s arguments in more detail, while at the same time reviewing the meaning of the traditional sanctity of life. Then, as Kuhse claims, 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biomedical science, is the traditional bioethics of Christianity and the sanctity of life no longer worthy of existence? Is the quality of life, utilitarianism and the sanctity of life possible for harmony cooperation? What legal problems do arguments based on different interests cause with respect to the sanctity of life? Under any circumstances, we cannot give up human dignity based on the sanctity of life. But how to set an exception to the sanct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quality of life and the arguments raised by utilitarianism. After all, the standard of judgment on human life must be established by law. What s important is how to come up with justification and standards that everyone can accept. In this study, I have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n presenting basic arguments and theories for the preparation of such alternative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韓国の人事聴聞会制度と法意識

        김민배(Kim Min Bae)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法學硏究 Vol.13 No.1

        한국인의 법의식을 무엇으로 판단해야 하는가. 한국에서도 법의식에 대한 각종 여론조사들이 행하여진다. 사형제도, 낙태, 존엄사 등 한국사회에서 현안 혹은 쟁점이 된 사항들이다. 이들 사항들은 한국사회의 역사적 배경, 문제가 사안의 상황, 국민들의 신념 등에 의해 그 의견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즉 시대의 흐름, 경제적 수준, 정치적 이유, 양심과 신념에 따라 그 때 그 때 다르게 나타나지만 한국사회의 도덕이나 법의식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한국사회의 도덕이나 법의식 수준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지표가 인사청문회제도라고 할 수 있다. 2000년 처음 도입된 한국의 인사청문회제도는 한국의 공직자상은 물론 한국사회의 도덕과 법의식을 대변하는 상징적 지표가 되고 있다. 인사청문회제도의 바탕이 되고 있는 재산공개제도는 권위주의 정권하에서 가려져 있었던 권력과 명예, 재산과 지위라는 철의 4각지대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폭발력을 보여주었다. 동시에 그것은 한국사회의 개혁과 혁신을 넘어서, 국민들이 새로운 차원의 민주화와 투명성, 그리고 공정성을 요구하는 기준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인사청문회제도를 통해 한국인의 법의식과 도덕적 기준을 살펴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공직자들에게 어떠한 도덕과 법적 기준을 요구하고 있는가, 엄격한 도덕적 내지 법적 기준이 초래하는 문제는 없는가, 같은 위법사항내지 부도덕한 기준을 놓고도, 국민과 공직자간에 서로 달리 적용하는 현실을 어떻게 볼 것인가, 정권에 따라 다른 공직자 임명의 기준이 국민들에게 미칠 영향은 무엇인가 하는 점 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사청문회제도의 배경과 법적 근거, 인사청문회법의 주요 내용을 검토하였다. 또한 인사청문회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병역기피, 이중국적, 위장전입, 가족간 증여, 다운계약서, 논문 중복과 표절 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특히 공직자 임용기준에 대한 국민 여론과 관련하여 2005년 여론과 공직자 기준, 2009년 여론과 도덕적 판단기준에는 일정한 차이가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인사청문회제도의 과제와 관련하여 제도적 차원의 개선 사항과 법적 내지 도덕적 기준의 변화에 따른 개선방안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인사청문회 제도가 당면한 과제를 통해 한국인의 도덕과 법적 판단기준의 올바른 방향을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未承認國家와 베른條約

        김민배(Kim, Min-Bae) 한국토지공법학회 2010 土地公法硏究 Vol.50 No.-

        북한은 2003년 1월 베른조약에 가입하였다. 이미 일본은 1975년에 베른조약에 가입했다. 그러나 일본은 국제법상 북한을 국가로 승인하지 않고 있다. 즉 북한의 유엔가입에도불구하고, 외교정책상 국제법상 미승인국가로 대우하고 있다. 따라서 일본과 북한과의 사이에는 외교내지 법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일본이 북한의 저작물에 대해 보호할 의무가 있는가 하는 점도 같은 차원에서 문제가 되었던 사례다. 즉 북한을 국가로 승인하고 있지 않은 일본의 현실 때문에 북한 주민에게 일본법원에서 당사자 능력이 있는가. 북한의 저작권은 일본의 저작권법에 의한 보호를 받을 수 있는가. 일본에서 북한 저작물의 저작권 취득과 이용허락권의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일본 동경지방법원은 원고의 당사자 능력을 제외하고는 모두 기각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쟁점들에 대해 문제가 되었던 일본의 판례를 통해 북한에 대한 일본의 입장과 정책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판결은 직접적으로는 북․일간의 문제이 지만 향후 남북한 관계와 한․일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북한 저작권과 관련한 소송의 제기가 늘어나고 있다. 일본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북한의 저작물에 대해 그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북한의 저작물 보호와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판례를 통해 북한의 저작물이 남한에서 보호된다는 점을 명백히 하고 있다. 그러나 그를 인정한 논리는 매우 다르다. 즉 베른조약이나 저작권이 아니라 우리헌법 제3조의 영토조항을 근거로 북한에도 우리헌법의 효력이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저작권을 인정하는 판결을 내리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달리 일본이 북한에 대해서 저작권의 보호의무가 없다는 판결을 내린 논거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향후 일본과 북한사이의 외교관계 뿐만 아니라 저작권내지 불법행위 등의 판단에 대한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남한과 북 한 그리고 일본의 관계는 물론 향후 3개 국가 간의 외교정책이나 법적 문제들을 어떻게 정립해 나아갈 것인가 하는 점을 나타내는 사례로서 연구검토를 하였다. North Korea joined the Berne Convention in January 2003. Japan has already joined the Berne Convention in 1975. However, Japan has not accepted North Korea as a nation under international law. And article 6 of the Copyright Law in Japan to protected works are as follows. Only those works falling under one of the following items shall receive protection under this Act:(i)works of Japanese nationals (Japanese nationals includes juridical persons established under the laws and regulations of Japan and those who have their principal offices in Japan; the same shall apply hereinafter); (ⅱ)works first published in this country, including those first published outside this country and thereafter published within this country within thirty days from the date from their first publication;(ⅲ)works in addition to those listed in the preceding two items, with respect to which Japan has the obligation to grant protection under an international treaty. Based on the above provisions, the North Korea claim that the works areavailable for this event. Article 6 by the copyright laws of Japan, Japan said that works are duty of care to protected works. North Korea argues that the works protection have universal value. North Korea argues that copyright protection set by the Berne Convention Article 3(1)(a),the conditions of concerning the rights and obligations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other words, Article 3 of the Berne Convention claim to compliance, Criteria of Eligibility for Protection:(1)The protection of this Convention shall apply to: (a)authors who are nationals of one of the countries of the Union, for their works, whether published or not. Highlights of this case are as follows. First, Is the plaintiff eligible parties? Second, Is Japan protected by copyright law? In this paper, the problem of eligible parties (the plaintiffs) were examined. And Japan is obligated to protect the copyright or have not been reviewed for. In conclusion, the Tokyo District Court had dismissed to the plaintiff (North Korea) claims.

      • 영업비밀로서의 직무발명

        김민배(Min-Bae Kim),신재호(Jae-Ho Shin) 세창출판사 2007 창작과 권리 Vol.- No.46

        To be protected as a trade secret o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Law, a trade secret should be useful information, which is not known to the public, has an independent economic value, and has been maintained in secret by considerable effort. On the other hand, Employee Invention System has some problems in using employee invention as a Trade Secret, because the system balances employee's interests and employer's assuming application for a patent required to disclosure to the public. This paper examines these problems from the viewpoint of an employer who uses the employee invention as a Trade Secr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