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탄소연대를 이용한 신석기시대 인구변화 복원: 방법론적 고찰

        김민구(Kim, Minkoo) 한국고고학회 2021 한국고고학보 Vol.- No.119

        선사시대 인구변화와 관련한 최근 연구경향 중 하나는 방사성탄소연대의 합산확률분포(SPD)를 이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이런 접근법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탄소연대의 시뮬레이션에근거하여 몇 가지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제기하였다. 합산확률분포가 인구의 정체현상을 반영하지 못하는 점, 확률변화와 인구변화 폭이 비례하지 않는 점, 소위 “가장자리 효과”가 인구유입과 소멸시점 확인을 난해하게하는 점, 보정곡선에 의해 생겨난 확률상의 무의미한 증감이 자료의 확대해석을 유도하는 점 등이다. 한국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측정된 탄소연대 합산확률을 검토한 결과, 신석기시대 인구가 4000 BC경부터 증가하며3000 BC 이후 줄어들었다는 대체적인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인구증감의 정도는 합산확률이 나타내는 비율과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 주민의 등장과 소멸 시점을 정확히 단정짓기는 어렵다. 본고의 분석은 합산확률에 대한 과도한 해석은 지양되어야 하며, 인구변화 추세에 대한 해석은 보정곡선의 기울기와 형태에 대한 고려와 병행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Summed probability distribution (SPD) of radiocarbon dates is commonly presented as a proxy for prehistoric demographic fluctuation. However, some skepticism remains. The paper discusses a few problems based on the simulations of hypothetical radiocarbon dates. It is argued that SPD may generate misleading patterns when population size did not change over time, that summed probability and population fluctuation are not directly proportional, that the so-called “edge effect” makes it difficult to specify the times of population inflow and extinction, and that anomalous ups and downs in probability graphs are vulnerable to over-interpretation. The examination of archaeological SPD suggests that Chulmun population increased from ca. 4000 BCE. and decreased after 3000 BCE. However, the ratio of the summed probability is not likely to be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demographic fluctuations. It also remains ambiguous when the Chulmun people first appeared and eventually vanished. The current analysis highlights that SPD is susceptible to false interpretation, and that the interpretation of SPD graph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slope and shape of the 14C calibration curve.

      • KCI등재

        식물 작용주체와 선사시대 한반도의 순화 과정

        김민구 ( Kim Minkoo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1

        농경에 대한 기존의 고고학적 논의는 인간 중심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인간을 주체로 식물을 객체로 보았다. 본 논문은 식물 역시 인간이나 다른 동물과 함께 작용주체라는 점을 논한다. 인간과 마찬가지로 식물 역시 번식이라는 욕망을 가지고 있고 이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쌀, 밀, 보리는 외래식물이며 선사시대에 한반도에 도래하였다. 이 식물들이 도래한 후에 선사 문화는 급격하게 변화하였는데, 대표적인 변화로 유적의 확장, 공동체 규모의 증대, 유적간 거리의 감소, 강화된 정주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변화는 새롭게 도래한 외래식물의 번식이라는 목표를 효율적으로 이루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은 선사시대 농경 공동체의 형성이란 인문적 변화를 식물의 관점에서 새롭게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보이고, 선사 농경에 관한 고고학적 논의에서 식물의 물질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야 함을 강조한다. Agriculture has been primarily understood from an anthropocentric standpoint with humans being the agents of cultivation and plants the objects of cultivation. This paper regards plants as nonhuman agents in agricultural interactions and presents an alternative perspective by emphasizing that crops had an explicit agenda of making copies of themselves and migrated to new soils using humans as a vehicle for their movement. Rice, wheat, and barley are non-native plants that arrived at the Korean peninsula in prehistory. A number of changes are archaeologically visible since their arrival, such as expansion in site range, increase in community size, shortening of inter-village distances and sedentariness. These changes were immediately beneficial to the reproduction of these crop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development of prehistoric farming communities is better understood when the changes are envisioned from the plant`s viewpoint and when a discussion on plant materiality is brought into the consideration.

      • KCI등재

        부여 송국리유적 장방형주거지 출토 탄화 목재의 연구

        김민구(Minkoo Kim) 한국상고사학회 2007 한국상고사학보 Vol.55 No.-

        본고는 부여 송국리유적 장방형주거지 단계 거주민의 주거지 조영용 목재 선택양식을 설명하는 가설의 틀을 모색한다. 이를 위하여 네 기의 장방형주거지에서 출토된 목탄의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종분석 결과, 가옥 조영용 목재로는 거의 대부분 소나무속(Pinus)과 참나무속(Quercus)의 목재가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성탄소연대로 5,000 cal. B.P.에서 2,500 cal. B.P. 전후까지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부여군 일대의 식생에서 소나무와 참나무가 우점수종을 이루었다는 기존의 화분분석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조영용 목재의 종류에서 뚜렷한 인위적 선별의 흔적을 찾을 수는 없었다. 하지만 수종분석 결과를 유적 전체가 아닌 개개의 수혈주거지로 시야를 좁혀서 볼 경우, 소나무 또는 참나무의 목재는 각기 다른 가옥의 조영에 배타적으로 사용된 양상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이렇게 주거지별로 뚜렷한 목재 선택의 대비가 (1) 유적 주변 식생의 시간적인 변화를 반영할 가능성, (2) 가옥의 기능이나 점유자의 사회적 신분과 같은 주거지의 성격적 차이와 연관되었을 가능성, 그리고 (3) 가옥의 조영과 관련된 세부적인 규준(規準)을 공유하지 않는 동시기 가구들의 독자적인 목재 선택을 반영할 가능성, 이렇게 세 가지로 대별하고 그 각각의 타당성 여부를 살폈다. 본 논문에서 제기한 가설들은 분석된 결과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일부이며, 향후의 연구를 통하여 더욱 가설들이 제기,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충분한 시료의 확보를 위해 선사주거지에서 실물유체를 채집, 분석하는 기술(記述)적인 단계의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selection of building materials by a group of agricultural people at the Songgukri site (circa 2,700 cal. B.P.) in Korea. It is commonly agreed in archaeology that wood selection for building materials was neither random nor determined solely based on physical properties of trees. Rather, the selection can be impacted by cultural factors, including socio-religious belief and local traditions pertaining to trees and wo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wood selection process at the Songgukri site, charred building remains from four pit-dwellings, which are believed to have been occupied by a single community, were identified. The result of pollen analysis conducted in the vicinity of the site was examined as an additional data set. Among the total of 60 charcoal remains identified, pine(Pinus) and oak(Quercus) in combination take the majority. These trees together take about 97% of the data set when the percentage is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wood pieces. They take about 87% when the percentage is based on ubiquity. The pollen study also suggests that pine and oak were two dominant tree species in the region during the site occupation. When considered together, these two data sets-charred wood remains and pollen-do not necessarily reveal patterns that are suggestive of distinctive human decisions on wood selection. The identification of building materials for each pit-dwelling, however, shows that each dwelling structure was built exclusively either with pine wood or with oak wood. These two types of building materials rarely occur together in the same structure. The observed patterns are clearly non-random and are indicative of human decisions on wood selection. It is argues based on additional archaeological evidence that the observed patterns cannot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unctional or temporal differences of the dwelling structures, nor with reference to status differences among the site occupant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was no consensus made at the community level regarding what type of tree constitutes a proper building material. Rather, the agreement on wood selection seems to have been made only at the household level.

      • KCI우수등재

        다중치 논리를 위한 한정 추론

        김민구(Minkoo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2 정보과학회논문지 Vol.19 No.2

        불확실한 지식을 표현하기 위하여 참과 거짓의 중간 값들을 갖는 다중치 논리 이론들이 많이 연구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다중치 논리들은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논리의 확대 이론으로 개발되어 왔다. 따라서, 이러한 다중치 논리에서 사용하는 인훠런스 방법도 기존의 논리에서 사용하는 모더스 포넨스(Modus Ponens)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한 추론 결과를 종종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밝히고, 다중치 논리를 이용할 때 적합한 추론 방식을 의미론적 제약과 논리 이론을 결합하여 제안하였다. Multivalued logics have been developed in an attempt to encode uncertain facts with some intermidiate truth values. Although multivalued logics can be considered as extensions of classical logic, their inference mechanisms. Just as modus ponens reveal more irrelevant properties than the inference mechanisim of classical logic. We argue that having those irrelevant properties is not a problem of multivalued logic, but is a problem of the use of the same implication as used in classical logic. For this argument, we show that the use of material implication in multivalued logic produces implausible results in many examples of default reasoning, and propose a suitable notion of entailment for multivalued inference.

      • KCI등재
      • KCI등재

        탄화물 분석을 통한 삼국시대 대두(大豆) 이용 방법 고찰

        김민구(Minkoo Kim),류아라(Ara Ryu) 한국상고사학회 2018 한국상고사학보 Vol.100 No.-

        호남과 강원 지역에 소재한 삼국시대 주거지에서 덩어리 형태로 탄화된 대두(大豆) 잔존물을 발견하였다. 일련의 탄화 실험과 현미경 검경을 통해 다음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탄화물은 주로 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작물의 흔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둘째, 탄화는 콩이 덩어리 형태로 빚어진 다음에 발생한 것이다. 즉, 탄화 과정에서 덩어리가 생성된 것은 아니다. 셋째, 탄화물 단면에서 다공(多孔) 구조가 확인되는데 이는 대상물이 탄화되기 이전에 약간의 수분을 지닌 반죽 형태로 존재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관찰된 탄화물들은 주거지 바닥면에서 수습된 것이며, 주거지 내부에 저장되었던 음식 또는 음식의 재료로 생각된다. 분석 결과를 종합했을 때, 확인된 대두 탄화물은 메주 같은 두류 발효 식재료의 잔존물일 것으로 판단된다. 메주 또는 된장과 관련한 가장 오래된 국내역사 기록은 683년 신문왕대의 것이다. 고고학 자료상으로 메주 잔존물은 AD 3세기 이후 유적에서 빈번하게 발견된다. We report remains of carbonized soybean lumps discovered from archaeological sites in Jeollanam-do and Gangwon-do, South Korea.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al charring and microscopic examinat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made. First, the charcoal remains were mainly composed of soybean seeds. No other plants were present. Second, the lumps were not the result of carbonization. This implies that soybean seeds were processed in forms of lump or block before carbonization. Third, the remains were porous, which suggested that they retained some moisture before carbonization. Carbonized soybean lumps were recovered from pithouse floors and are considered to have been the residue of food or food ingredients. The current investigation suggests that the remains were meju , a fermented soybean lump that serves as a basis for a number of traditional Korean condiments. The earliest historical record on meju is dated to AD 683 during the reign of King Sinmun. The earliest archaeological remains of meju is radiocarbon-dated to be around AD 3rd century.

      • KCI등재

        식물유체로 본 고대 벚나무류 과실의 식용과 재배

        김민구(Minkoo Kim)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20 고문화 Vol.96 No.-

        벚나무속(Prunus )에 속하는 과실(복숭아, 자두, 매실, 살구, 앵두 등)의 고고학적 출현사례를 검토하고 재배방식을 추정하였다. 검토 결과, 세 가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삼국사기 같은 고문헌에는 복숭아를 의미하는 도(桃)와 자두를 의미하는 리(李)가 비슷한 빈도로 언급되지만 실물자료상으로는 복숭아의 출현사례가 압도적으로 많다. 재배는 주로 복숭아에 집중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벚나무류 과실은 식용되었을 가능성은 높지만 발견사례는 많지 않다. 둘째, 복숭아에는 최소 두 가지종류가 혼재한다. 내과피(內果皮)의 형태상 한 부류는 재배 복숭아와, 다른 한 부류는 산복숭아와 비슷하다. 하지만 형태와 크기를 보면 양자는 연속선상에 있으며, 따라서 재배 여부는 보수적인 관점에서접근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로 비정되는 일부 복숭아 내과피는 인위적으로 파괴되었다. 이것은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키기 위해 종피파상법(種皮破傷法)을 실시한 흔적으로생각된다. 이런 행위는 복숭아 재배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Archaeobotanical remains of Prunus fruits (peach, plum, apricot, cherry) were examined to understand fruit tree cultivation in antiquity. The following observations were made. First, although both peach and plum were mentioned in historical texts, archaeological data consist almost exclusively of peach stones. Only a few remains of other types of cherry tree fruits have been found. It is likely that fruit tree cultivation mainly focussed on peach. Second, archaeobotanical assemblages contain two different types of peach stones. In the forms of endocarp, one group is similar to cultivated peach (Prunus persica ) whereas the other group is similar to wild peach (P. davidiana ). Two groups are not easily differentiated based on the stone sizes. Nonetheless, large peach stones could have originated only from cultivars. Third, peach stones from Gungnam Pond and Inyong Temple bear traces of scarification. The practice of scarification on peach stones is a clear evidence for fruit tree cultivation in antiquity.

      • KCI등재

        현장외 시공 공법 채택의 영향 인자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김민구(Kim MinKoo),Brilakis,Ioannis,안윤규(An YunKyu) 한국BIM학회 2015 KIBIM Magazine Vol.5 No.3

        Over a few decades, off-site construction (OSC) has been widely used for building and bridge constructions. OSC is a construction method that build structures at a different location than the location of use, and normally it occurs in a manufacturing plant.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perceived benefits of OSC, yet relatively few studies which quantitatively assess the benefits and factors affecting the decision of the use of OSC have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use of OSC system and its revitalization solutio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the research method,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are conducted by visiting industry experts of OSC and sending a questionnaire to the OSC stakeholders including engineers, manufacturers, contractors and clients in the United Kingdom (UK). The construction industry of the UK is targeted for the study since it has a number of commons with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current low take-up of the OSC. The survey provides the results that the reluctance of clients to use OSC is the key factor of the slow use of OSC despite of the perceived benefits of OSC. In addition, in order to revitalize OSC in the construction market, three revival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