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QDB 망에서의 데이타 대기 시간 예측 방안 연구

        김미점(Mi Jeom Kim),김영호(Young Ho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B

        DQDB 프로토콜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시뮬레이션과 분석을 통한 성능 측정이 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DQDB 통신망에서의 임의의 노드에서의 데이터 대기시간을 예측했다. 기본적인 생각은 노드의 위치와 전송하고자 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 버스 요구를 이용하여 임의의 노드에서의 세그먼트 대기시간을 예측한다. 기본적인 가정은 한 노드의 목적지 노드가 될 확률은 그 노드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들이 동일하며 각 노드에서 자신의 노드가 몇 번째 위치했는가를 아는 것이다. 이러한 예측을 검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한 결과 전체망의 부하가 대역폭의 두 배정도까지는 어느 정도 적증하나 그 이상일 경우에는 예측이 어긋났다. 여러 부하하에서의 결과를 종합하여 전체 부하가 대역폭의 100%에서 200%사이일 때 예측이 유용함을 확인했다.

      •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손의 기민성과 놓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미점 ( Mi Jeom Kim ),염동삼 ( Dong Sam Youm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0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외상성 뇌손상 편마비 환자의 손의 기민성과 놓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2006년 11월 30일부터 12월 14일까지 통영에 거주하는 외상성 뇌손상 편마비 환자 1인을 대상으로 교차실험설계를 사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평균값, 시각적 그래프와 VCR을 통해 강제유도운동치료가 대상자의 손의 기민성과 놓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강제유도치료보다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외상성 뇌손상 편마비 환자의 손의 기민성과 놓기 능력을 향상시켰다. 강제유도운동치료가 강제유도치료보다 손의 기민성 능력은 0.25개 향상시켰고 놓기 능력은 2.575초를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 강제유도운동치료가 강제유도치료보다 외상성 뇌손상 편마비 환자의 손의 기민성과 놓기 능력 모두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강제유도운동치료는 편마비 환자의 상지 재활에서의 중요한 기능 증진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the dexterity and release ability of the affected hand in hemiplegia with TBI and to look for ways to improve the adult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The way of this study was a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The subject was 1 hemiplegia with TBI lived in Tong-young and studied on November 30th, 2006 to December 14th, 2006. The result analysis represented by average value, visual graph and VCR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of each dexterity and release ability of this subject had improved by the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more than Constraint-induced therapy. The CIMT more than CIT improved dexterity ability as increased number of 0.25 pieces and release ability as reduced time of 2.575 second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CIMT more than CI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ability of dexterity and release of affected upper extremity in hemiplegia with TBI patient.

      • KCI등재

        커뮤니티 케어 서비스 대상자의 하지 기능과 균형 능력간의 관련성

        김미점(Kim Mi-Jeom),유재웅(Yu Jae-Woong),이성복(Lee Sung-Bok)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본 연구는 청양군에 거주하고 있는 커뮤니티 케어 서비스 대상자의 하지 기능과 균형 능력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충남 청양에 거주하는 커뮤니티 케어 서비스 대상자 중 60대 이상의 노인 1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하지 기능과 균형 능력 특성은 빈도분석, 하지 기능과 균형 능력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x2)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하지 기능과 균형 능력간의 관련성을 연구한 결과는 하지 기능과 롬베르그 검사간의 관련성은 P< .01, .05 수준, 하지 기능과 일어서서 걷기 검사간의 관련성은 P < .01 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서 하지 기능과 균형 능력간의 관련성이 유의한 것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케어 서비스 대상자들의 다양한 변인들에 따른 하지 기능과 균형 능력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여 하지 기능과 균형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of community care service subjects residing in Cheongyang-gun. Methods : This study targeted 119 elderly people of over 60 years older among community care service recipients residing in Cheongyang, Chungcheongnam-do. The data analysis method used the SPSS 23.0 program, and a frequency analysi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characteristics, and a chi-square (x2) test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Results :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the balance abi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the Romberg’s test was significant at the P <.01, .05 lev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the Timed up and go test was significant at the P <.01. Conclusion :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is significant, and in future studies, we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of community care service subjects, It is expected that a program to improve ability will be implemented and research on its effectiveness will be conducted.

      • KCI등재후보

        감각통합프로그램이 뇌성마비유아의 감각통합능력 및 신변처리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미점 ( Mi Jeom Kim ),박재국 ( Jae Kook Park ),김영미 ( Young Mi Kim ),김소희 ( So Hee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감각통합훈련이 뇌성마비유아의 감각통합능력 및 신변처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감각통합능력 및 일상생활능력이 지체된 것으로 진단된 뇌성마비 유아 1명을 대상으로 대상유아의 장애 및 발달 특성을 고려한 감각통합프로그램(촉각, 전정각, 고유수용각 훈련을 중심으로 구성)을 구안,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아동용 감1)각반응검사(SSP)와 신변처리능력 평정척도(DARBAS의 하위 영역)를 통하여 검토하였다. 프로그램은 2004년 11월부터 2005년 4월까지 총 72회기(주 3회, 회기당 40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각 능력의 변화 수준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상유아의 감각통합능력은 사전 점수 89점보다 56점 향상된 145점으로 나타나 감각통합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신변처리능력 평정척도에서 대상유아의 신변처리능력은 사전 7.3개월 수준에서 사후 30개월 수준으로 평균 22.7개월 수준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구안된 감각통합프로그램이 뇌성마비유아의 감각통합능력 및 신변처리능력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추론하였다. Th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was applied to improve the sensory integration and the self-help abilit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effectively. Pre- and post- test designs were applied for one child with celebral palsy who showed the delayed sensory integration and the self-help abilities. The main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e sub-tests of DARBAS and SSP(Short Sensory Profile) Test.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child from November 2005 to April 2006 and the total attempts were 72 times (40min. per time and 3 times per week). The followings are what w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1) The effectiveness of th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on the sensory integration abilities of the child with cerebral palsy was investigated by a comparison of the results obtained from pre- and post- tests; the sensory integration ability was improved by 56 point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89 for pretest to 145 from post-test), showing the positive effectiveness of th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2) The self help ability of the child was improved by 22.7 months (from 7.3 months before the test to 30 months after the test) These suggest that th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is very effective to the improvement of the sensory integration and the self-help abilit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작업치료가 다문화 가정의 특수 아동의 학습능력발달에 미치는 효과

        김미점 ( Mi Jeom Kim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2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작업치료가 다문화 가정의 특수 아동의 학습능력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2010년 2월부터 10월까지 청양군지역의 다문화 가정의 특수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서비스 시작 시와 10월 평가 시로 구분하여 시각적 그래프로 나타냈다. 연구결과: 청양군지역의 다문화 가정의 특수 아동을 대상으로 작업치료를 실시하고 그 후의 학습능력발달의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4명의 특수 아동의 프로그램 실시 시와 10월 평가 시의 학습능력발달의 변화는 평균 인지 4.75점, 사회성/정서 4.25점, 대운동 3.75점, 소운동 4.5점이 향상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 다문화 가정의 특수 아동의 서비스 지원에 있어서 작업치료가 학습능력발달의 전영역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의 특수 아동의 학습능력발달을 위해 작업치료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on the affected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specific problems. Method: 4 specific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Cheongyang-gun were studied from February 2010 to October 2010. This study`s analysis program was generated by Visual Graph. Research: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epy showed that out of the 4 children, the total average was improved in cognitive ability at 4.75, social/emotion ability at 4.25, gross motor ability at 3.75, and fine motor ability at 4.5 out of the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checklist.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we may summarize as follows. First, a specific child of multicultural families improved on cognitive ability, social/emotion ability, gross motor ability and fine motor ability of their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by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Second, a specific child of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needs occupational therapy for their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 다문화 가정의 아동을 위한 작업치료 서비스 지원의 필요성에 관한 고찰

        김미점 ( Mi Jeom Kim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2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문화간의 격차로 인해 일상생활의 적응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다문화 가정의 아동들을 위한 지원 서비스로서 작업치료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론: 첫째, 다문화 가정 아동에 대한 고찰로 다문화 가족 현황, 다문화 가정 자녀 현황, 다문화 가정 아동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 다문화 가정 아동의 서비스 지원에 대해서는 교육 서비스, 건강 서비스를 살펴보고, 셋째, 작업치료 서비스 지원에 대한 것으로는 작업치료 서비스, 작업치료 서비스 지원 효과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다문화 가정 아동을 위한 서비스 지원으로 작업치료 서비스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결론: 작업치료 서비스 지원 효과는 첫째, 신체적 건강 증진 효과로서 행동 및 신체 발달, 놀이 향상 등이 나타났으며, 둘째, 정신적 건강 증진 효과로서 주의 집중력, 대뇌피질 활성화 등이 나타났으며, 셋째, 사회적 건강 증진 효과로서 삶의 질 향상, 사회적 지지 등이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아동의 교육 및 건강 지원 서비스로서 작업치료 서비스가 필요함을 인식할 수 있으며, 향후 작업치료사의 미래사회 서비스 분야로서 다문화 가정의 아동에 대한 서비스도 관심을 갖고 확대되고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of review: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ecessity of service aid of Occupational Therapy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Main: This study was a literature date search and review. This was to review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Service Aid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nd Service Aid of Occupational Therapy.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s constructed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y,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nd problem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Service Aid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s constructed educational service and health service. Finally, Service Aid of Occupational Therapy is construct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and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Conclusion: The service aid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should be solved through various service approaches and service quality improvement for social adaptation. This study is to be a very important service aid of Occupational Therapy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 KCI등재

        학생 능동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최윤희(Choi, YunHee),김용진(Kim, Yong-Jin),민재식(Min, Jae Sik),이윤형(Lee, Yoonhyeong),한효정 (Han, Hyojeong),김미점(Kim, Mi Jeom),이동엽(Lee, Dong Yup),신영준(Shin, Youngj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학생 능동 수업 유형과 학생 능동 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초ㆍ중ㆍ고등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는 2016년 7월부터 12월까지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로는 학생 능동수업의 경험을 가진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며, 본 연구를 위해 학생 능동수업 성과 지표를 개발하고, 학생 능동수업 유형별 교육적 효과 차이와 학생 능동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첫째, 언어적인 활동이 중심이 되는 수업보다 는 학생들은 조작적이며 수공적인 유형의 수업에서 학생 능동 수업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생보다는 초ㆍ중학생이,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학업 성적은 중, 하 수준의 학생보다 상 수준의 학생들이 능동 수업의 모든 유형에서 높은 효과가 나타났다. 6개월에서 1년 미만 능동 수업 경험을 가진 경우에 학생 능동 수업의 교육적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 능동 수업의 교육적 효과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고르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적 사고력’, ‘자기 주도 학습 능력’, ‘정보 매체 활용 능력’,‘발표 토론 참여 빈도 증가’ 부분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인식이 많았다. 학교급별 효과 차이는 ‘심미적 감성 역량’, ‘자기 관리 역량’, ‘과학적 참여’, ‘자기 주도 학습 시간의 증가’ 부분에서 중학생들의 효과가 초등, 고등학생들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과학적 사고력’, ‘자기관리’, ‘과학적 참여’ 부분에서는 남학생에게 효과가 있었고, 1년 이상 학생 능동 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자기 주도 학습 시간의 증가’ 면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학업 성적과 능동 수업의 경험에 따른 학생들의 잠재적인 발달 수준의 간격을 줄일 수 있는 방안 제시와 학교급별, 성별에 따른 학생 능동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을 양적 및 질적 분석을 통해 좀 더 심도 깊게 밝히고 구체적인 대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student active class types and student active classe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to December, 2016. Participants were 460 elementary, mid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active experience in student activities. As a result, first, students active classroom activities were more effective than active classroom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were more effective in all types of active class than the students with middle and lower grades. In the case of students who have active class experience for 6 months to less than 1 year, the active effect of student active class is high. Second, the educational effect of student active class was e enly higher in all areas. Howe er, there were many perceptions that scientific thinking ,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ability to use information media , and The effect of school level difference on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aesthetic emotional competence , self-management competency , scientific participation , and increase of self-directed learning time was higher than that of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Scientific thinking , Self-management , and Scientific participation were effective for male students, and students who received active classes for more than one year were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self-directed learning tim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ways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student s potential developmental level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active classroom activities, depending on the school s grade and gender, It is necessary to clarify more deeply through the analysis and to prepare specific alternatives.

      • KCI등재

        커뮤니티 케어의 주거 환경 개선 사업의 만족도 연구

        이성복(Lee, Sung-Bok),김미점(Kim, Mi-Jeom),김혜정(Kim, Hye-Jeong)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1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3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청양군에서 실시하고 있는 커뮤니티 케어의 주거 환경 개선 사업의 만족도에 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충남 청양에 거주하는 커뮤니티 케어의 주거 환경 개선 사업 이용자 중 60세 이상의 노인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진단은 다중응답의 빈도분석, 안전사고 예방설치물과 서비스의 만족도 수준은 기술통계, 일반적 특성과 만족도간의 상관성은 스피어만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일반적 특성과 만족도간의 상관성은 안전사고 예방 설치물의 규격이 9개 항목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 가장 높은 상관성이 나타났으며, 나이와 설치/개선 항목은 0개의 항목과 상관성을 보여 가장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향후 커뮤니티 케어의 주거 환경 개선 사업의 만족도를 높이고 거주지역에서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주거 환경 지원이 보다 더 다각적이고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바라며, 또한 그에 따른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of community care in Cheongyang-gun.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50 elderly people over the age of 60 among the user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of community care living in Cheongyang, Chungcheongnam-do. As for the data analysis method, using the SPSS 23.0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frequency analysis of multiple responses for diagnosis, descriptive statistics for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safety accident prevention emplacement and services, and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Results :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the standard of the safety accident prevention emplacemen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9 items, showing the highest correlation, and age and emplacement/improvement items showed correlation with 0 items, showing the lowest correlation. Conclusion :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of community care in the future and provide more diverse and active support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live safely in the residential area. It is also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contin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