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상인과 하지장애자의 보행형태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김무영,Kim, Moo-Young 한국운동역학회 2003 한국운동역학회지 Vol.13 No.3

        This paper aims at collecting the guantitative data of kenematic variables by analysing the gait patterns of the normal adult men and the handicapped. The gait motions were taped with 4 video cameras, the cinematographic analyses were performed by the DLT technique of three dimensional image treat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analysis of the variables: 1. The ratio of stance time and swing tim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s of the normal men and the handicapped when both foot of the former and the right feet of the latter were compared. The stride peeriod time of these two groups were 1.12 and 1.11 second, respectively. 2. In the handicapped group, the step width was wider, the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were shorter, and especially, the step length of the right foot was shorter, 3. The small vertical displacement of left toes of the handicapped group showed that the heal contact and the left midstance are almost simultaneous. 4. The two groups have almost the sam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same vertical rate of extension. In view of the velocity of the center of gravity the normal adults showed the constant speed of movement. However, the handicapped adults were reduced from the right midstance to the right toe-off. 5. The handicapped showed prominently low angle on the left toe-off in the ankle joint angle, they also had the tendency to walk in the patterns of extended knee in the knee joint angle. Both the handicapped and the normal had the hyperextension on the toe-off in the hip joint angle. In the back and front angle of body, both showed the slightly back-sided walking positions. 6. Both groups had the abduction of both feet in foot placement angle, but the handicapped did not show serious abduction of left midstance.

      • KCI등재

        한국 스포츠교육모형의 연구 동향

        김무영(Moo Young Kim),이승배(Seung Bae Lee),문호준(Ho Jun Moo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7 No.2

        이 연구는 90년 후반 한국에 소개된 이후 현재까지 연구와 실천영역 모두에서 활발하게 논의가 진행 중에 있는 스포츠교육모형의 연구동향 및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연구 수행의 문제와 향후 발전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회전자도서관의 데이터베이스(DB), 한국학술정보(KISS)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43편의 연구물을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과정에서 스포츠교육학 박사학위 소지자 2명, 스포츠교육학 전공 대학교수 1명, 스포츠교육학 박사과정 2 명, 스포츠교육모형 연구 경험이 있는 현장 교사 1명에 의해 분류된 자료의 적합성을 검토하고 연구 결과의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스포츠교육모형 연구는 초기(1997-2003) 현장 연구가 중심이 되어 양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였으며 주된 연구 테마는 주로 기능주의적 패러다임에 충실한 모형의 심동적,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서의 효과성에 있었으나 2000년 중반(2004-현재)부터는 보다 확장된 연구 패러다임과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기존의 단편적 비교 연구에서 보다 심층적이고 다양한 주제에 관심의 눈을 돌리게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하여 모형이 갖는 특별한 기능에 대한 관심은 스포츠교육모형이라는 화두를 통해 체육 가르치는 일을 보다 의미 있고 잘 하기 위한 보편적 관심의 실천 매개체로 스포츠교육모형을 바라보도록 기여하였음을 기술하고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앞으로 수업모형의 선형적 단순 비교를 지양하고 연구의 실재성을 제고하며 마지막으로 스포츠교육모형의 실천과 참여 주체에 대한 심층적 이해의 문제를 보다 깊이 있게 고민할 필요성을 기술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궁극적으로 스포츠교육모형의 실천이 어떤 측면에서 학교 체육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였으며 실천의 과정에 참여하는 교사와 학생에게는 어떤 의미로 수업 경험이 구성되는지 다양한 관점에서 탐구하려는 연구자들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summarize study trend and achievements for sports education model, actively being discussed in the fields of research and practice ever since the introduction to Korea in late 1990s, and to provide course of future development. Divers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database of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KISS for utilization in analysis of 43 study subjects. In the process, data was classified by two doctors in Sports Education, one university professor in Sport Education, two doctorates studying Sports Education and one teacher with past experience in sports education model. The classified data was reviewed for feasi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study results. As a result, studies on sports education model initially (1997-2003) grew quickly in terms of quantity based on field research that mainly focused on psychomotive, cognitive and definitive efficacies of models that faithfully abide by the functional paradigms. Since mid 2000s (2004-present), studies showed extended research paradigms and different methods to take interest in more in-depth and diverse topics compared to existing simple comparison studie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interest on special functions of sports education model contributed in looking at models as a means to make teaching of sports easier and meaningful. In addition, instead of simple and linear comparison on models, this study reviews the reality of studies to present the necessity to consider deep understanding on practice and participating bodies as important. Practice of sports education model ultimately increased the quality of physical education at schools. The authors of this study argue that researchers must put interest and effort in exploring educational experiences by teachers and students who participate in practice of model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 KCI등재

        학생들이 인식하는 체육수업 분위기와 교과 흥미도와의 관계

        김무영(Moo Young Kim),유상석(Sang Suk Yoo),조홍식(Hong Sik Ch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분위기와 교과 흥미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차이를 알아보고, 체육수업 분위기가 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학교에 재학 중인 중·고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표집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으로 415명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Ver 18.0을 이용하여, t-test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첫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체육수업 분위기와 교과 흥미도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성적이 낮은 학생보다는 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체육수업 분위기와 교과 흥미도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체육수업 분위기의 하위요인 중 창의성은 성적이 높은 학생이나 중간인 학생, 그리고 낮은 학생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체육수업 분위기가 교과 흥미도(교과유능감, 가치 및 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체육수업 분위기의 하위요인 중 계획성과 창의성은 교과흥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체육수업 분위기는 교과 흥미도(교사선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교과 흥미도(교과내용)에는 부분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difference in the atmospher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interest in the subject perceived by the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impacts of the former on the latter.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define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as the population and sample 432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Collected data were put to T-test analysis, One-way ANOVA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PASW Ver. 18.0.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boys had a higher perception of the atmospher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interest in the subject than the girl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Secondly, those who had higher grades showed a higher perception of the atmospher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interest in the subject than those who had lower grad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vity, one of the subfactors of atmospher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mong those who recorded higher grade, those did middle grades, and those did lower grades. Finally, the atmospher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students` interest(subject efficacy, value and effort) in the subject. However, planning and creativity of the subfactors of atmospher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d no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interest in the subject. In addition, the atmospher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interest in the subject(teacher preference) and partial effects on their interest in the subject(content of the subject).

      • SCOPUSKCI등재

        총수담관 결석에 동반된 담즙종

        김무영(Moo Young Kim),최성호(Seong Ho Choi),김영수(Young Soo Kim),이수걸(Soo Keol Lee),송근암(Geun Am Song),조몽(Mong Cho),양웅석(Ung Suk Yang),문한규(Han Kiu Moon) 대한소화기학회 199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26 No.1

        Biloma, a newly described entity, was first introduced in 1979 by Gould and Patel to de- scribe extrahepatic loculated collection of bile due to traumatic bile duct rupture. Subsequently, the definition was expanded to include intrahepatic bile collections located outside the bile ducts. Bilomas are caused by iatrogenic, traumatic, or spontaneous rupture of biliary tree. Prior reports have documented an association of biloma with abdominal trauma and abdominal surgery, but spontaneous bile leakage associated with other primary causes has been reported rarely. A 67-year old man was admitted to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complaint of fever, chills, vague epigastric discomforts and yellowish discoloration of the sclerae. Huge cystic mass was detected by ultrasonography and CT scan and choledocholi- thiasis was detected by ERCP. Biloma was confirmed by sonographic guided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and drained successfully with pig tail catheter(8.5 French). W e present a case of bilorna associated with choledocholithiasis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s. (Korean J Gastroenterol 1994; 26: 206 209)

      • KCI등재

        고등학교 비우수 학생선수의 고민 탐색

        김무영(Moo Young Kim),조미혜(Mi Hye Ch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고등학교 비우수 학생선수의 학교생활 및 운동부 활동에 따른 고민을 탐색하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인천 C고등학교 야구부 학생선수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면담과 중요사건 기륵법을 사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귀납적 자료 분석 및 동료협의, 연구 참여자 검토, 다각도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의 객관도과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학교생활 고민으로는 운동능력 부족과 학생으로서의 학업능력 부족 등이 주 원인이 되는 정체성 혼란의 고민과 이에 따른 교실에서의 소외감 고민이 있었다. 운동부 활동에 따른 고민으로는 지도자와의 갈등 및 불신으로 인한 고민, 진로 및 대처방안 부재로 인한 고민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운동능력 부족이 주된 원인이 되는 열등감으로 고민하고 있었으며 이른 불합리한 제도와 대항할 수 없는 외부적 요인의 탓으로 돌림으로써 어느 정도 자신의 열등감을 회피하려 하려하고 있었다. This cast,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dilemmas of low achievement athletes at a urban high school. The three student-baseball players of C high school in Incheon were selected. In-depth interviews and critical incidents were employed. Inductiv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Discussions with colleagues, member checks, and triangulation were used to enhance trustworthiness and objectivity of the study. The research results were: the dilemmas hi school life of the participants were confusion about their ego-identity and isolation from the Classroom caused by their poor achievement both in sport and learning. The dilemmas in the sport team of participants are in conflict with and distrust in the coach and leader and absence of alternative plans for their future. All of the participants had a sense of inferiority by poor achievement in sport and they tried to keep away from the sense of inferiority through thinking themselves as victims of the illogical system and the exterior factors which they couldn`t control.

      • KCI등재

        스포츠교육학에서 반성적 체육전문인 관련 연구의 동향과 과제

        김무영(Moo Young Kim),조남용(Nam Yong Ch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스포츠교육학 분야에서 현재까지 진행되어 왔던 반성적 체육전문인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여 그 성과와 한계, 그리고 발전적 방향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주제어 ``반성``을 포함한 42편의최종 연구물을 바탕으로 4가지 순차적 준거에 따른 메타 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지금까지 스포츠교육학에서의 반성적 체육전문인 관련 연구가 ‘반성’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양하여 반성이라는 동일 개념을 서로상이하게 수용할 수 밖에 없었던 특징을 띄는 이유를 여러 관련 이론들을 통해 설명할 수 있었다. 논의에서는반성을 바라보는 대표적인 세 가지 관점을 통합하여 보다 실용적인 반성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또한 앞으로 지향해야 할 과제로서 첫째, ‘한국의 반성적 체육전문인’에 대한 이론정립, 둘째, ‘반성적 체육전문인 교육’을 위한 범교과적 수업방법과 인접 학문과의 융합연구 및 융합연구 시도의 병행, 셋째, 질적 연구 중심에서 양적연구의 병행 및 새로운 연구 방법에 대한 수용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synthesizes 42 academic articles related to reflection, which have been progressed in the field of domestic sport pedagogy until now, and describes the outcomes and meaning constructively. Also, based on them, We have discussed the aspects that reflective researches couldn`t help having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to form developmental discourse in the future. Especially, this research points out the aspect that various standpoints reflective researches of sport pedagogy consider the concept of reflection have been misunderstood or mixed until now and explains the reasons through the various theories related. The discussion of this research combines three main standpoints which consider reflection and mentions the possibility to design more practical program of reflective education. And, for what we must aim in the future, we insists that the first is establishment of theoretical definition for ‘Korean reflective expert of physical education’, the second is practice of cross-curricula teaching method for ‘reflective education of physical education expert’ and effort of related research and the third is expansion to reflected research focusing on from qualitative research paradigm to combine with quantitative research and to accept the new research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의 상황적 속성에 대한 민속방법론적 함의

        김무영(Moo Young Kim),안용덕(Yong Duk An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5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J중학교 체육수업을 대상으로 체육수업이 갖는 상황적 속성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기술하고자 현상학적 사회학의 한 가지 접근방법으로서 민속방법론적 관점을 차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체육수업이 상황을 구성하고 유지해 나가는 속성으로서 체육수업 참여자들은 해당 맥락에서 국지적으로 통용되는 암묵적인 규칙을 만들고 참여하는 방식으로 체육수업 상황을 만들고 있다. 또한 체육수업참여자들은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맥락 지시적 표현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실천공동체의 구성원임을 확인하고 있다. 체육수업에서의 문제는 외재적으로 발생된다기 보다는 상황 안에서 상황에 기대어 발생되고 해결되기 때문에 경계를 구분하기 어려울 만큼 상황 안에 편재되어 있다. 이는 이론에서 전제하는 것처럼 어떠한 사건이 순차적으로 일어나고 해결된다는 일반의 인식과는 다른 양상으로서 상황은 한 순간도 멈추지 않고 예측 불가능한 방향으로 끊임없이 흐르는 유동적 속성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체육수업 참여자들은 상호간 화용론적 관점에서 의미를 주고받으며 문제해결을 위한 대화를 이어간다. 이는 상호간의 대화가 상황안에서 문제해결에 대한 배경적 기대감을 가지고 진행되는 속성 때문이다. 이 연구는 체육수업의 미시적생활 세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체육교사의 문제해결능력 개발을 통한 전문성 신장, 반성적 체육교사교육, 상황학습, 문제기반학습 등 구성주의에 기반한 다양한 논의로 확대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This study, using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of J Middle School as the object, closely observed, collected and analyzed data on situational attribut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this, adapting en ethnomethodological perspective depend on the phenomenological sociology. This study shows that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made physical education situation with a way of creating implicit rules which are passed limitedly in related context as attributes of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situations. In addition,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affirmed that they were members of a community of practice having the method of sharing context-indicative expressions about concrete accidents. Since problems in physical education take place within situations and depend on those situations, rather than from external causes, they are ubiquitous in situations to the extent that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between problems and situations. It is because of the fact that, unlike common perception that an accident does not happen step by step, and can be solved as such, situation does not stop at any time, and incessantly flows to unpredictable directions. Finall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exchanged the meanings of dialogue and to solve problems with the pragmatic viewpoi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expanded, through understanding of micro aspect daily life of physical education, to various areas such as improvement of speciality and the development of problem-solving capacity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flect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ituation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 KCI등재

        DEA기법을 활용한 특성화 고등학교의 효율성 분석

        김무영(Kim, Moo-young),서화정(Seo, Hwa-joung),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0 No.4

        이 연구는 DEA(자료포락분석)를 활용하여 전문계 고등학교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총 5개의 투입변수와 3개의 산출변수가 사용되었다. 투입변수는 학생 100명당 교원수, 1급 정교사 비율, 장학금 수혜율, 학생당 방과후 학교 지원금액, 학생당 교육비이며, 산출변수는 국어, 영어, 수학의 학업성취도 수준이다. 특히 방과후 학교의 투입 정도가 중요한 투입변수의 하나로 설정된 것은 선행연구와의 중요한 차이점이다. 분석대상은 종합고등학교를 제외한 전국의 472개 전문계 고등학교로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에듀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효율성을 100% 달성한 학교는 10% 내외에 불과하였다. 둘째, 수도권 학교와 광역시 지역의 학교가 비수도권과 도지역의 학교에 비하여효 율성이 높았다. 셋째, 규모가 클수록 효율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설립별로는 사립학교가 공립학교보다 효율성이 높았다. 다섯째, 단성 학교의 효율성이 남녀공학보다 높았다. 여섯째, 수준별 이동수업과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운영하지 않는 경우가 효율성이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몇가지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효율적인 특성화 고등학교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학생의 학업성취 증진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적절한 투입 및 산출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학교의 투입변인을 다양하게 분석하고 평가하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학교의 효율성 분석에만 근거하기 보다는 질적인 접근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향후 자료가 축적되면서 종단적인 분석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교교육의 효율성에 대한 엄격한 판단은 다른 효율성 측정방법에 의한 결과와 함께 보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mparative efficiency of Korean vocational high schools by us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techniqu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oretical review on precedent studies about DEA and analysis of efficiency was conducted. Based on theoretical review, totally five input variables and three output variable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Number of teachers per one hundred students, ratio of senior teachers. ratio of scholarship recipients, amount of grant for after-school program per student, and educational expenditure per student were included to input variables, and result of school achievement test of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were included to output variables. Inclusion of amount of grant for after-school program per student as an input variables in the analysis is the main difference of this study from other preceding studie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2 vocational high schools in Korea. Edu-data offered by KERIS(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were used for the analysis. Efficiency of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analyzed by DEA techniqu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chools that achieved 100% efficiency were just 10 percent of total schools. Secondly, school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 were more efficient than schools located in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Thirdly, efficiency of schools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udents of them. Fourthly, private schools were more efficient than public schools. Fifthly, girl’s or boy’s(one sex) schools were more efficient than coeducational schools. Sixthly, schools those did not operate special programs such as differentiating teaching classes by level of achievement and English program were more efficient than schools those did them.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re than half of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inefficient comparatively. In terms of student achievement, reasonable input and output adjustment is required. Secondly, more analysis on economy of scale in vocational schools is needed. Thirdly, schools should not be evaluated by just efficiency. More careful approach is needed in analyzing efficiency of schools. Fourthly, longitudinal analysis is needed when longitudinal data are accumulated. Fifthly, comparative efficiency analyzed by DEA should be complemented by other various methods of analyzing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