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프랑수아 모리악과 욕망의 모방성

        김모세 ( Mo Se Kim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07 世界文學比較硏究 Vol.18 No.-

        Cette etude a pour objet d`analyser, a la lumiere de la theorie de Rene Girard, le probleme du conflit intime et celui de la violence dans les ceuvres de Francois Mauriac. Aux yeux de Mauriac, la souffrance de l`homme vient du ``desert de l`amour`` et du mal. Ces elements, chez notre auteur, prennent souvent la forme de l`isolement et de l`incommunicabilite des personnages. En chacun d`entre eux, l`etre le plus intime est toujours le lieu des multiples conflits. Et nous pouvons voir ce conflit et cette incommunicabilite, enfin, deboucher sur la violence reciproque. On dirait que le desir demesure est a la base des conflits figures dans les ceuvres mauriaciennes. Dans le monde mauriacien, l`homme ne voit pasdirectement l`objet de son desir. Son desir ne va pas directement a son objet. Il est detourne, au passage, donc, mediatise par le desir d`un tiers. Dans ce cas, le desir d`un sujet est renforce par celui des autres. D`ou nait l`indifferenciation entre le sujet et le modele qu`il suit. Car le sujet d`un desir mimetique attache de l`importance au regard d`autrui, au regard de son modele. Il se preoccupe de leur image saisie aux yeux des autres. En imitant le desir des autres, les personnages mauriaciens s`empechent mutuellement de satisfaire leur desir commun. L`objet qu`un sujet desire a l`exemple de son prochain, le prochain, lui aussi, entend le conserver, le reserver a son propre usage. Le desir de ce sujet sera contrecarre mais, au lieu de se resigner et de se deplacer vers un autre objet, il va se renforcer en imitant plus que jamais le desir de son modele. L`opposition exaspere le desir, l`imitation du desir prochain engendre la rivalite. Le surgissement d`un rival semble confirmer le bien-fonde du desir, la valeur immense de l`objet desire. A mesure que leur antagonisme s`aggrave, les antagonistes, paradoxalement, se ressemblent de plus en plus. Ils s`opposent d`autant plusimplacablement que leur opposition efface les differences reelles qui les separaient. Et puis, ils oublient l`objet de leur querelle et se retournent les uns contre les autres. C`est contre son rival mimetique que chacun s`acharne desormais. Selon Mauriac, pour mettre fin au cercle vicieux du conflit et decouvrir la vraie solution, il faut que chacun, emporte par le desir de se voir valorize par les autres, prenne conscience de sa realite, se regarde en face et soit mis a nu devant la grace de Dieu. Mauriac met l`accent sur le fait que la reconciliation et le salut chretien ne peuvent etre possibles qu`avec le repentir individuel. Dans le meme sens, la peinture du conflit, de la violence, donc, du mal est, pour lui, une necessite ineluctable. Elle marquee a la fois la servitude et la grandeur du romancier. Comme Pascal, Mauriac ne renie rien de l`homme. Il traverse tout l`homme pour atteindre Dieu. Car, seules, les ames qui ont connu la tentation sont vraiment vivantes, celles qui l`ont surmontee sont affermies dans la purete et la grandeur. Mauriac affirme dans toutes ses ceuvres que la connaissance de soi-meme peut mener a Dieu.

      • KCI등재

        프랑수아 모리악의 『독사떼』에 나타나는 편지와 글쓰기의 문제

        김모세(KIM, Mo-Se) 프랑스학회 2014 프랑스학연구 Vol.67 No.-

        Dans Candide le 24 mars 1932, Albert Thibaudet a dit : "Il me paraît bien que Mauriac a écrit là son chef- d'oeuvre, et un chef-d'oeuvre." Moins célèbre que Thérèse Desqueyroux ou Le Désert de l'amour, Le Noeud de vipères publié en 1932 est pourtant l'un des grands romans de François Mauriac. Moins préféré que Thérèse, Louis, vieil avocat qui tout en étant riche, est très avare, et qui couve une vengeance de ses familles, est un personnage spécial dans le monde mauriacien. En fait, Le Noeud de vipères, pour notre auteur, se trouve au sommet de sa carrière et constitue un tournant de sa carrière. Tandis que les héros ou les héroïnes dans les romans qui précèdent Le Noeud de vipères sont, dans la plupart, des adolescents attardés ou bien des femmes malheureuses, Mauriac met en scène, pour la première fois, un homme adulte dans ce roman. Le héros n'est pas un inadapté social, mais un père d'une famille, un avocat respectable, un propriétaire. Comme H. Shillony a remarqué, "Le point de vue du maître, du tyran domestique qui fascine et domine les siens remplace celui de l'esclave, toujours à la merci d'autrui. L'oeuvre romanesque se libère de l'ombre tutélaire de la mère qui hante le romancier depuis ses débuts." Mais Louis est aussi un personnage abandonné dans le désert de l'amour. Malgré son pouvoir et sa richesse, il est un malheureux, un pauvre isolé de ses familles, un mal-aimé de sa femme et de ses enfants. Sa femme montre une parfaite indifférence à l'égard de lui, et ses enfants n'attendent de lui que la succession des biens. Louis, à son tour, veut se venger des siens en les déshéritant. Et il commence à écrire une lettre destinée à sa femme pour se justifier et pour attribuer l'incommunicabilité à l'indifférence de ses familles. Sa lettres se transforme avec le temps en mémoire intérieur ou bien en autobiographie. Et puis, ce mémoire intérieur est devenu un lieu où il découvre l'authenticité de sa vie dissimulée sous l'apparence de 'monstre'. L'histoire de cet homme ne progresse pas linéairement. Dans un mouvement perpétuel de va-et-vient entre présent et passé ou bien entre lettre et mémoire, émerge une partie authentique de la vie d'un homme qui ne savait pas ce qu'il voulait. Enfin, ce mouvement parvient au changement décisif de la vie de Louis, qui ne veut plus se venger des siens, mais qui veut se communiquer avec eux. La confession de Louis rejoint une sorte de repentir, et son désir de la communication se conduit vers la lumière, 1'amour de Dieu. Ainsi donc, nous avons voulu analyser dans cet étude le processus du changement ontologique de Louis, héros du Noeu.d de vipères, au point de vue herméneutique. Et L'aspect de ce héros, nous semble-t-il, peut se lier avec les éléments biographiques de Mauriac. Il avait 47ans à ce moment-là, il était un romancier renomé, et lui-même père de famille. Et surtout, Mauriac écrit ce roman à l'issue d'une époque troublée de sa crise spirituelle. Dans ce roman, on peut voir le processus mauriacien de surmonter la crise par l'écriture. À cet égard, l'écriture d'une lettre- mémoire de Louis se compare à celle de l'auteur.

      • KCI등재
      • KCI등재

        「목걸이 (La Parure)」와 모방 욕망 - 르네 지라르의 이론을 중심으로 -

        김모세 ( Kim Mo Se ),서종석 ( Soh Jong-seok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0 No.-

        「목걸이」는 1884년 당시 일간지였던 『르 골루아』지에 실렸던 기 드 모파상의 단편 작품들 중 하나이다. 모파상 특유의 간결한 사실주의적 문체로 그려진 이 작품은 사회 계층들 사이의 거리가 극심해졌던 19세기 후반의 프랑스의 사회상을 담아nt내고 있다. 작품의 여주인공 마틸드 루아젤은 부유하지 못한 환경에서 살아온 전형적인 서민 계층의 평범한 여성이다. 하지만 그녀는 부유한 계층, 특히 사교계를 드나드는 여성들에 대한 선망의 시선 속에서 살아간다. 선망과 비교 의식 가운데 그녀는 스스로를 불행한 여성이라고 생각하며, 현재의 삶에 만족하지 못한다. ‘지금-여기’에 대한 불만족은 ‘미래에 대한 환상’으로 이어진다. ‘목걸이’는 이 두 세계 사이를 연결해 주는 매개체이자, 두 세계 사이의 건널 수 없는 간극과 그로 인한 비극을 나타내는 상징이기도 하다. 「목걸이」에서 이야기되는 주제들은 프랑스의 문학 비평가이자 철학자인 르네 지라르의 ‘모방 욕망’ 이론으로 상당 부분 조명될 수 있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다. 주인공 마틸드의 삶을 비극으로 이끈 ‘목걸이’에 대한 욕망은 자기보다 높은 존재의 위상을 가진 것처럼 보이는 타자를 ‘모방’하고자 하는 욕망이다. 모방 욕망은 결핍과 존재 상승의 의지가 뒤섞인 형이상학적 욕망이다. 그것은 또한 타자의 시선으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망이다. 그것은 평범한 대상을 거의 신화적인 가치를 가진 성스러운 대상으로 바꾸어버리는 욕망이다. 「목걸이」와 지라르의 ‘모방 욕망’ 이론에 대한 분석은 오늘날 우리 사회를 비추는 거울의 의미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다. 모파상이 그려내고자 했던 19세기 후반의 프랑스의 모습,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과 자본주의의 도래가 초래한 사회의 모습은 오늘 우리 사회의 모습과도 많이 닮아 있기 때문이다. The novel The necklace(La Parure)is one of Guy de Maupassant’s the most renowned works which was introduced in the daily magazine Le Gaulois in 1884. The novel portraits France in the late 19<sup>th</sup> century with the author’s unique realistic style of writing, where the gaps between social classes were exacerbating. Mathilde Loisel, the protagonist, is an ordinary and typical working-class woman who has been living without much affluence; however, she admires the rich, especially the women in the high society. As admiring and comparing herself with the rich women, she considers herself unfortunate and is not satisfied with her reality. Her discontent of ‘here-now’ ends up with the ‘fantasizing about the future’ and the ‘necklace’ is the medium that links the two worlds. It is also the symbol of the gaps that cannot be crossed and the consequential tragedy. Most of the subjects addressed within the The Necklace can be lighted with the ‘mimetic desire’ theory of Rene Girard, a French literature critic and a philosopher. Mathilde’s desire for the ‘necklace’ is a desire to ‘imitate’ others who seem to have higher social status. Mimetic desire is a metaphysical desire consists of fundamental deficiency and the will to elevate one’s social position. It is also a desire to be acknowledged by others and a desire that transforms an ordinary being into a sacred one with mythical value. The analysis of The Necklace and Girard’s ‘mimetic desire’ theory can serve as a mirror to our modern society since our society, the result of the capitalism and sensational development of technology due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resembles France in the late 19<sup>th</sup> century which Maupassant depicted in the novel.

      •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5G 네트워크 연구 동향

        김모세(Kim Mo Se),이동훈(Lee Dong Hoon),기천(Kim Kee Cheon)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현재 5G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SDN/NFV)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논문에서는 가상화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5G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인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기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 별에서 온 그대 >(My Love from the Star)에 나타난 욕망의 형이상학 -르네 지라르(Rene Girard)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김모세 ( Mo-se Kim ),서종석 ( Jong-seok Soh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욕망의 담론을 타자와 공동체의 관계 속에서 분석했던 르네 지라르의 이론을 토대로 드라마 < 별에서 온 그대 >를 분석하는 데 있다. 아울러 우리는 이드라마의 표층적 이야기 이면에 흐르고 있는 메타 담론을 살펴보고, 자본주의적 욕망의 여러 현상과 문제들, 그리고 그 욕망의 장이 되는 공동체의 문제와 그 본질적 해결책도 함께 논의한다. < 별그대 > 속 인물들은 겉으로 보이는 나와 벌거벗은 존재로서의 나 사이에서 갈등한다. 이처럼 이중적이고 서로 만날 수 없을 것 같은 두 가지 지향점이 공존하는 것이 < 별그대 >의 중요한 매력이다. 다시 말해 이 드라마는 현실의 시간(크로노스)과 내면의시간(카이로스)을 적절히 오가며 현대인의 내적갈등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 별그대 >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이 ‘카이로스’의 시간, 사물과 존재의 본질이 드러나는 시간이다. 천송이나 도민준이 서로 다양한 시간을 살아오면서 만들어낸 역사의 조각들이 한 순간 완벽하게 결합되는 시간, 파편화된 현대인의 생활 속에서 삶의 의미가 하나로 조합되는 시간, 그 ‘카이로스’의 시간을 추구하는 것이 < 별그대 >의 중요한 의미작용이다. < 별그대 >에는 욕망의 주체와 대상을 초월하는 차원, 르네 지라르가 말한 ‘모방욕망’을 초월하는 차원의 담론이 존재한다. 겉으로 드러나는 스토리라인 이면에 흐르고 있는 또 하나의 메타스토리가 존재하는 것이다. 초월적 메타스토리가 눈에 보이는 모든관계의 갈등과 존재의 고독을 부드럽게 감싸고 있다. 이 지점에서 드라마는 마치 성서속 이야기와도 같은 아가페적 사랑이라는 주제와 만나며, 이것이 바로 우리가 본 논문의 결론을 대신하여 제시하고자 하는 드라마 속 궁극적인 메타담론의 모습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rama My Love from the Star based on the theory of mimetic desire by Rene Girard. Specifically, the desire of possession within relationships in a socio-philosophical way. In addition, the metadiscourse behind the superficial story of the drama will be considered. The various phenomena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capitalist desire and its problems within a community, the field of this desire and its fundamental solutions will also be discussed. The characters in this drama have a conflict between the self shown to others and the self as a naked existence. This type of coexistence of dual objectives, revolving around the potential that the two could not meet, is the direct appeal. In other words, this drama reveals inner conflict ion of modern people by alternating between the time of reality(Cronus) and that of inner healing(Kairos). The important aspect in the drama is ‘Kairos time’, i.e. the time where the true nature of objects and existence are revealed. An other signification of the drama includes the pursuit of ‘Kairos time’ : the moment where the past lives of Cheon Song-i and Do Min-jun are perfectly combined ; the time where the meaning of life is incorporated within the fragmented daily lives of modern people. My Love from the Star contains a discourse beyond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desire, rising above the level of ‘mimetic desire’ said by Rene Girard. Aside from the obvious storyline, there flows another hidden meta-story. The transcending meta-story tenderly wraps the conflicts of visible and non-visible relationships as well as the loneliness of existence. At this point the drama meets the subject of ‘Agape love’, as in the Bible, the ultimate aspect of metadiscourse in the drama that we intend to propose as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 KCI등재

        짐멜의 문화이론을 통해 본 생텍쥐페리와 소외의 문제

        김모세(Kim Mo s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60

        본 논문은 프랑스의 작가 생텍쥐페리의 작품과 독일 사회학자였던 게오르그짐멜의 이론을 접목시켜서 현대 사회에서의 인간 ‘소외’ 문제와 그 극복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생텍쥐페리는 여러 작품에서 ‘관계’와 ‘책임’을 ‘인간성’의 핵심적인 키워드로 제시한 바 있다. 반대로, 인간이 인간답게 살지 못하는 상황은 항상 책임의 관계가 단절된 것에서 비롯되며, 여기에서 인간의 소외가 생겨난다. 결국 생텍쥐페리의 세계에서 인간성의 회복과 진정한 인간애로 가득한 공동체의 건설은 소외를 어떻게 극복하느냐의 문제로 귀결된다. 짐멜에 따르면, 인간의 영혼이 자신에게 이르는 길이 곧 문화이다. 다시 말해 문화라고 일컬어지는 과정은 자기 고양의 과정, 즉 인간이 인간답게 존재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이 과정은 항상 영혼과 대상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 즉 짐멜이 말하는 인간의 고양 역시 생텍쥐페리가 말하는 ‘관계맺기’의 변증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짐멜은 사물들로 이루어진 대상과의 관계 속에서 영혼의 고양을 설명하는데, 이는 생텍쥐페리의 작품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그의 작품을 자세히 읽어보면, 타인과의 관계 이전에 환경으로서의 세계, 도구로서의 사물들과의 관계에 대한 언급을 자주 만나게 된다. 작가 자신뿐만 아니라, 작품의 등장인물들도 비행기와 같은 물질적 도구를 통해 세계와의 만남을 먼저 경험하기 때문이다. 인간 소외 역시 대상들과의 관계에서 먼저 생겨난다. 짐멜은 인간과 대상세계 사이의 관계 단절을 ‘문화적 비극’이라고 부르는데, 특히 현대 사회에서 이 비극은 사물(대상)의 세계가 너무 비대해져서, 인간이 그 사물(대상)의 법칙에 순응하며 살아가야 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다시 말해 수단이 목적이 되는 현상이 곧 비극인 것이다. 『어린왕자』 속 지리학자와 같은 인물들, 사물의 본질을 보지 못하는 어른들의 세계가 그 예를 보여준다. 이처럼 도구(대상)으로부터 소외당한 인간은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소외를 경험할 수밖에 없으며, 이 소외의 극복 가능성, 수단과 목적의 재배치 가능성이 인간성 회복의 가능성과 연결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reate a linkage between the works of the French author, Antoine de Saint-Exupéry, and the theory of German sociologist, Georg Simmel, in an effort to examine the problem of alienation in human beings and to search for possibilities to overcome it. In Saint-Exupéry’s works, restoration of human nature and establishment of a community full of true human love has led to the problem of how to overcome alienation. According to Simmel, ‘culture’ is that of self exaltation, a process man has to endure to exist as man should. In addition, this process is always form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spirit and object. The self exaltation that Simmel talks about is also formed by Saint-Exupéry’s ‘building relationship’ dialectic. In particular, Simmel explains the enhancement of spirit in relation to targets consisting of objects, which can be directly applied to Saint-Exupéry’s works. Human isolation or alienation also appears in the relationship with objects. Simmel calls the disconnect in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the world, ‘The Tragedy of Culture’. Especially in modern society, this tragedy reflects the situation where man must adapt himself to the principles of objects, because of the abundant world of objects. Therefore, the phenomena where tools become subjects and means become objects are the tragedy. We can find examples through the characters in The Little Prince(Le Petit Prince) such as the geographers, the world of adults incapable of seeing the essence of objects. In this way, man alienated from objects is to be inevitably isolated from other people as well, and the possibilities to overcome this alienation, to restore the means and purposes of these relationships are linked to the restoration of human nature.

      • KCI등재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의 작품을 통해 본 관계와 책임의 윤리학

        김모세(Kim Mo s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6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는 여러 작품을 통해 “인간을 인간되게 하는 것”의 비밀을 탐색하며, 그 해답을 ‘관계’와 ‘책임’이라는 개념 속에서 찾는 것으로 보인다. 전쟁과 폭력, 물질주의의 범람과 같은 시대적 아픔을 진단하는 수단이 ‘관계’라면, 그 아픔을 치유하기 위해 작가가 제시하는 약이 곧 ‘책임’인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생텍쥐페리의 소설 -특히 『어린왕자』와 『인간의 대지』- 에 나타난 ‘관계’와 ‘책임’의 문제를 상세하게 분석하고, 그 내용을 마르틴 부버, 엠마누엘 레비나스의 철학적 사유와 연결하여 새로운 해석의 영역을 모색해 보았다. 생텍쥐페리의 작품에서 제시되는 관계 맺기의 유형으로는 먼저 진정한 소통이 단절된 ‘사막’과 같은 관계, 즉 계열체적 관계 relation sérielle를 들 수 있다. 이것은 곧 타자를 측면적으로 대하는 방식으로, 단순히 옆에 있을 뿐, 서로 진심어린 소통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이다. 다음으로, 생텍쥐페리가 사막의 고독 속에서 인간을 치유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는 ‘나와 너의 관계 relation entre Je et Tu’가 있다. 이 관계는 『어린왕자』 속 여우가 이야기하는 ‘길들이기 apprivoiser’의 관계이다. 상대방을 위해 눈물 흘리고 아픔을 느낄 수 있는 관계, 철학자 마르틴 부버의 주장처럼 깨어지고 상처받은 세계 속에서 소외된 인간을 회복시킬 수 있는 ‘나와 너’의 관계, 내가 ‘책임’을 져야하는 관계, 특별한 ‘너’를 특별히 ‘보살펴야’ 하는 관계이다. 마지막으로 ‘책임’에 기초한 ‘그들’과의 관계가 있다. 『인간의 대지』에서 생텍쥐페리는 ‘나와 너’ 사이의 관계가 ‘그들’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진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이름조차 알지 못하는 동료들과의 연대성, 나아가 세계의 모든 고통받는 사람들과의 관계가 그것이다. 2인칭의 관계가 3인칭 관계로 확장된다. 하지만 이 때의 3인칭 관계는 계열체적 관계, 즉 소통이 단절된 관계로의 회귀가 아니라, ‘나와 너’ 사이의 ‘책임’에 기초한 3인칭 관계이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 우리는 ‘나와 너’가 ‘우리’를 형성하고 그 과정에서 또 다른 ‘타자’를 만들어낼 수 있는 위험을 극복하고 보편적 연대성을 확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다. In many of Antoine de Saint-Exupéry’s works, the author poses persistently this question : ‘What makes us human?’ In our point of view, for Saint-Exupéry, the nature of things and the question of ‘what makes us human’ are linked to the concepts of ‘relationship’ and ‘responsibility’. The way of establishing relationships proposed in Saint-Exupéry’s works can be characterized in several forms. The first type is a ‘desert-like’ relationship where real communications are not established, namely a serial relationship (relation sérielle).It is about people simply being next to each other without having any real, meaningful communication. The second typ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Thou’, proposed by Saint-Exupéry as a way of saving people from their loneliness in the desert. This type is the ‘taming’ relationship (apprivoser) recounted by the fox in The Little Prince. As in the statement of the philosopher Martin Buber, i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Thou’, which can enable an isolated person to find connection in a heartless world. The last type is the relationship with ‘them’, based on ‘responsibility’. Saint-Exupéry seems to be seeking to extend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Thou’ in Wind, Sand and Stars. In other words, it is the solidarity felt with others even without knowing each other’s names, or more broadly, the relationship among all the anguished individuals in the world. A relationship with a second person broadens into a relationship with the third person. This relationship with the third person is, however, not one where communication is non-existent, but one based on the ‘responsibility’ between ‘I and Thou’. In this relationship, we can find possibilities to overcome the risk of making others into ‘third parties’ and establish a universal solidarity between people.

      • KCI등재

        프랑수아 모리악의 작품에 나타난 경계 이미지와 시선, 그리고 타자

        김모세(Kim Mo s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2

        본 연구는 프랑수아 모리악 François Mauriac 의 작품에 자주 나타나는 이미지들, 특히 ‘창문’과 같이 ‘열림’과 ‘닫힘’의 경계에 위치한 이미지들을 ‘시선’과‘타자’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새롭게 조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리악의 작품은 이른바 ‘사랑받지 못한 자들’로 가득하다. 모리악의 인물들이 겪는 고통은 ‘사막’과도 같은 세계 속에 고립되어 타자와 ‘소통’할 수 없는 상황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소통 불가능성’에는 항상 ‘경계성’의 문제가 따라다닌다. 자기 자신과의 관계에 있어서건, 타자와의 관계에 있어서건 모리악의 인물들은 항상 ‘경계’를 형성하는 이미지와 마주하게 된다. 모리악의 작품 속 수많은 경계이미지들은 인물들이 본질적인 자기 자신과, 그리고 타자와 진정한 소통을 이루고자 하는 간절한 바람의 상징으로 나타나기도하지만, 자유와 소통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장벽이기도 하다. 나아가 타자의 적대적인 시선으로부터의 은신처, ‘자신의 모습은 타자의 시선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타자를 엿볼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된다. 경계 이미지들은 또한 인물들이 ‘비반성적 의식’을 벗어나 ‘반성적 의식’으로의 존재변화를 맞이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모리악의 작품에서는 이처럼 반성적 의식이 싹트는 순간 이 모든 과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제3의 시선이 존재한다. 적대적인 타자의 시선에 압도되어 왔던 인물들의 존재 전체를 감싸는 시선, 창문으로 숨어서 엿보는 자기 모습을 바라보는 인물들의 시선에 겹쳐져 인물들의 반성적 의식을 이끌어내고 존재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시선은 곧 모리악의 작품 세계에서 ‘은총’으로 표현되는 하나님의 시선이다. 은총의 개입과 함께 존재 변화를 경험한 인물들에게 있어서 경계이미지는 타자를 위한 존재로서의 구체적인 실천의 통로가 된다. 그것은 더 이상 타자와의 관계를 가로막는 폐쇄적 공간의 경계도, 자신을 숨겨주는 보호막도, 숨어서 남을 엿볼 수 있는 이기적 욕망의 통로도 아니다. 그것은 이제 고통받는 타자의 ‘얼굴’을 볼 수 있는 공간, 그 타자를 위해 스스로를 던질 수 있는 통로로 변화한다.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images frequently appearing in the novels of François Mauriac, especially the images located on the border of ‘openness’ and ‘closedness’, represented by 'Window', on the subject of 'gaze' and 'others'. For this matter, we studied the 'ambivalence' and 'polyphony' of the meaning of boundary images, and compared the polyphony with the form of life of the characters in his novels. The agony of the characters in the novels of Mauriac, especially of those named 'monsters', who are 'unloved', fundamentally due to a disconnect from the world, i.e. others. The characters suffering in the world of tragedy discover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through boundary images. In particular, these boundary images are considerably helpful in moving forward into a space of reflective consciousness and breaking free from the shelter of their irreflexive consciousness. For example, the 'window', which is used as a tool to 'peep' for those who feel afraid of others' hostile gazes. Whom usually avoid direct confrontation with others, in which the mirror reflects ‘peeping at oneself '. In this window-mirror, the characters face their authentic selves in the raw, completely rid of all existential accessories. The boundary images in the novels of Mauriac are also used as a pathway through which the 'grace' is intervened to characters who have recovered their reflective consciousness. For Mauriac, a prestigious Christian writer, intervention of grace is a factor playing a decisive role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characters' existence. Furthermore, the boundary images carry meaning for establishing new relationships and ways of 'service' and ‘sacrifice’ and for those who have transformed from 'egocentric existence' into 'existence for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