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타민나무잎 식이보충과 당뇨흰쥐 간장의 항산화효소 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명화(Myung-Wha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1

        본 연구는 4주간 비타민나무잎을 식이에 보충하여 streptozotocin 당뇨흰쥐 간장의 cytosol에서 항산화효소 수준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간장의 MDA 수준이 비타민나무잎 10% 첨가군에서는 정상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고, 당뇨실험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OD 수준은 정상실험군에서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비타민나무잎 2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고 당뇨실험군에서는 당뇨대조군보다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은 검증되지 않았다. CAT 수준은 정상실험군에서는 비타민나무잎 첨가 시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이 검증되었고 비타민나무잎 10% 첨가군에서 높은 수준이었다. 당뇨실험군에서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비타민나무잎 1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비타민나무잎 보충정도에 따른 수준 차이를 보였다. GPX 수준은 정상대조군과 당뇨대조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정상실험군에서는 비타민나무잎 첨가 비율이 높은 2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수준이 높았으며 당뇨실험군에서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모든 비타민나무잎 분말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GR의 수준은 각각의 실험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체내 유리기를 제거해주는 효소적 방어계인 GST 수준은 정상실험군에서는 비타민 나무잎 10% 첨가군보다 2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고, 당뇨실험군에서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모든 비타민나무잎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간장의 cytosol에서 생체 내 유리기 생성계의 하나인 XOD 수준은 정상실험군에서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비타민나무잎 20%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고, 당뇨실험군에서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비타민나무잎 첨가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비타민나무잎 분말을 식이로 첨가하였을 때 당뇨흰쥐 간장의 SOD 수준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GPX 수준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XOD 수준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sea buckthorn (SBT) leaves on hepatic antioxidative enzyme levels in diabetic rats. Diabetes mellitus was induced in male Sprague-Dawley rats by an injection of streptozotocin (STZ). Sprague-Dawley rats were then fed for four weeks, with experimental groups receiving a modified diet containing 10% or 20% powder derived from SBT leave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 normal (N)-control group, N-SBT 10% and N-SBT 20% treated groups, STZ-control, STZ-SBT 10% and STZ-SBT 20% treated groups. Malondialdehyde (MDA),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PX), glutathione reductase (GR), glutathione-S-transferase (GST) and xanthine oxidase (XOD) levels were measured in liver cytoso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SO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N-SBT 20% group but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the diabetic group. The level of CA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SBT 20%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level of GPX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N-SBT 20% group and the diabetic supplementary group. In contrast, the level of XO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diabetic group supplemented with SBT leaves.

      • KCI등재

        지역사회 공공운동시설의 주관적, 객관적 접근성(거리 및 수량)과 신체활동 참여 수준간의 관계

        김명화 ( Myung Wha Kim ),이대택 ( Dae Taek Lee ),유지곤 ( Ji Kwon Yu ),이삼준 ( Sam Jun Lee ),이용수 ( Yong Soo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4 체육과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대도시 주거지역 공공운동시설에 대한 접근성을 측정하고, 시민의 신체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19세~70세 미만으로 해당지역 보건소 내 대사증후군관리센터를 자발적으로 방문하여 비만 클리닉 프로그램에 등록한 주민 639명중 신체활동량 질문지를 작성한 92명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신체활동 수준과 공공운동시설 접근성 그리고 접근성 차이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객관적 거리’와 ‘고강도신체활동량(r=.209)’, ‘총신체활동량(r=.206)’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인지거리’와 ‘고강도신체활동량’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r=.23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요시간’과 ‘고강도신체활동참여시간(r=.239)’, ‘고강도신체활동량(r=.306)’, ‘총신체활동량(r=.273)’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객관적 거리와 인지적 거리의 차이인 ‘거리차이’와 중등도 신체활동 참여시간간에는 역상관(r=-.221)이 나타났다. 공공운동시설에 대한 인지수량이 총신체활동참여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2=.153, p=.046). 본 연구 결과 공공운동시설에 대한 객관적 접근성 보다는 주관적 접근성이 신체활동 참여에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추후 다양한 대상자와 환경 변인을 포함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This study measured the accessibility of public exercise facilities within a residental area of a metropolitan community and examined how the accessibility can affect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itially, a total of 639 residents, who were aged between 19-70, visited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Center of the Community Public Health Center, and registered for a Obesity Clinic Program, was listed as potential subjects. And those who responded to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were selected for the analyses (n=92, 14.3% of 639).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activity level and accessibility to public exercise facilities were analyzed. Objective distance to public facility was related to ``volume of participation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r=.209)``, ``total volume of participation to physical activity(r=.206)``. And perceived distance to public facility was related to ``volume of participation to vigorous-intensity physical activity(r=.235)``. perceived transport time to public facility was related to ``duration of participation to vigorous-intensity physical activity(r=.239)``, ``volume of participation to vigorous-intensity physical activity(r=.306)``, and ``volume of participation to total physical activity(r=.273)``. In contrast, the difference between objective distance to public facility and perceived subjective distance to the facil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duration of participation to moderate-intensity physical activity(r=-.221)``. The perceived numbers of public facil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frequency of participation to vigorous-intensity physical activity(r=.237)``, ``frequency of participation to walking(r=.273)``, ``volume of participation to walking(r=.251)`` and ``total volume of participation to physical activity(r=.252)``. The predictor of ``total volume of participation to physical activity was perceived numbers of public facility(R2=.153, p=.046).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ubjective accessibility to public health facilities was more influential to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than the objective accessibility. Further research was warranted while using diverse populations as well as considering a inclusion of environmental factors.

      • KCI등재

        헬스에이드 운동이 스트레스 물질인 활성산소와 젖산량 축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명화(Myung Wha Kim),변재종(Jae Jong Byun),이규상(Kyu Sang Lee),정일규(Il Gyu Jeong),안수경(Su Kyoung Ahn) 한국사회체육학회 2014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of stress substances in free radical and lactate accumulationby the Healtaid exercise. 36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GroupⅠ(n=12): no-healthaid exercise during warm-up and cool-down, Group Ⅱ(n=12): treadmill running insteadof healthaid exercise during warm-up and cool-down, Group Ⅲ(n=12): healthaid exercise during warmupand cool-down). Treadmill running exercise consisted of 65%HRR, 30minutes running and warm up andcool down running exercise consisted of 45%HRR, 15minutes walking on the treadmill. Blood sample obtainedrest, post-warm up, post-exercise, post-cool down. Collected dat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PC win20.0(USA, IBM, NY) and two-way repeated ANOVA were used to analyze data. Bonferroni``s method was usedto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 as a post-hoca nalysis. Statistical level was set up asα =.05. The result of free radical in Group Ⅲ was less than Group Ⅱ apto st-warm up and post-cool down(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at post-exercise. the result of lactate accumulation inGroup Ⅲ was less than Group Ⅰ at post-warm up and post-cool down(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difference of lactate accumulation between Group Ⅱ and Group Ⅲ at post-cool down. In conclusion,it suggests that healthaid exercise for warm up and cool down would be positive method in order to eliminatefree radical and lactat accumulation.

      • KCI등재후보

        몸과 마음의 이완을 위한 스트레칭

        김명화(Myung-wha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08 스트레스硏究 Vol.16 No.2

        스트레칭은 관절의 움직임을 증진시키며 혈액순환과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켜 자세와 외모를 좋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낮추고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활력을 불어 넣어 자신감을 갖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종목의 스트레칭운동 방법이 있으므로 이를 위해서는 올바른 방법을 이해하고 규칙적인 운동이 요구 된다. 스트레칭 체조 종목에는 정적스트레칭, 동적스트레칭, 수동적 스트레칭, 능동적 스트레칭과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등이 있다. 반동을 이용하여 펴는 동적 스트레칭 체조와 반동을 이용하지 않고 가동영역 내에서 몸을 신전시키는 정적 스트레칭 체조가 대표적인 방법이지만 자신은 능동적이지 않으면서 수동적 으로 관절의 가동영역을 증진 시키는 움직임을 수동적 스트레칭과 자신의 힘만으로 관절의 가동범위를 증진 시키는 능동적 방법이 있다. 또한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은 수축-이완기법과 수축 이완 주동근 수축 기법을 이용하여 관절질환이나 손상으로 인하여 재활에 필요한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스트레칭에 필요한 보조기구 선택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에 따라 몸과 마음의 이완을 위한 방법은 매우 광범위하지만 운동 종목의 하나인 스트레칭에 대하여 생리적 이해와 정확한 운동방법을 논술하여 현대인이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강도 유산소성 운동 전, 후 헬스에이드 운동 간격 차이가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김명화(Kim, Myung-Wha) 한국사회체육학회 2014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Health Aid exercise interval difference before and after moderate aerobic exercise on lactate concentration and free radical. 20 subject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Group I(n=10): healthaid exercise during warm-up and cool-down with 10cm distance. Group II(n=10): healthaid exercise during warm-up and cool-down with 60cm distance. Treadmill running exercise consisted of 65%HRR, 30minutes running. Blood sample obtained rest, post-warm up, post-exercise, post-cool down. Collected date were statically analyzed by SPSS PC win 20.0(USA, IBM, NY) and two-way repeated ANOVA were used to analyze data. Bonferroni’s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 as a post-hoc analysis. Statistical level was set up as α=.05. the result of lactate concentration increased in post-exercise compared to post-warm up(p<.001). However, lactate concentration decreased in post-cool down compared to post-exercise(p<.05). Group I in post-cool down showed less lactate concentration compared to Group II.(p<.05). The result of free radical showed increased in post-exercise in both groups(p<.001). However, free radical decreased in post-cool down compared to post-exercise in both group(p<.05).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healthaid exercise for warm up and cool down especially with 10cn distance would be positive method in order to eliminate free radical and lactat accumulation compared to 60cm distance.

      • KCI등재

        체질량지수의 차이에 따른 신체활동량, 인터넷이용형태, 스트레스 및 우울정도에 관한 통계분석

        김명화(Myung Wha Kim),이정아(Jung A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6 스트레스硏究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체질량지수의 차이에 따른 미디어 이용 형태, 신체활동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2014년도 한국미디어패널 통계조사 자료(총 6,568명)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비만할수록 격렬한 신체활동의 참여 일수가 높다고 응답하였으며, 슬픔이나 절망감을 더 자주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미디어 이용여부를 살펴볼 때, 정상체중과 비교하여 더 많이 사용한다고 응답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비만은 신체활동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미디어활용의 차이는 건강지표와 같은 추가적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미디어의 활용을 통해 정신건강을 포함한 건강생활습관의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미디어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hysical activity levels, internet use, and stress/depression differ, based on Body Mass Index (BMI). The study assessed the impact that internet use may have on physical activity, fatness, and mental health, using data from the 2014 Korea Media Panel Survey. The 2014 Korea Media Panel Survey collected data from 6,568 Korean participants, who ranged in age from 19 to 60 years. Data collection addressed BMI, numbers of days per week for physical activity, internet use, and the levels of stress and depression. When participant data was grouped by BMI levels, it was found that the overweight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vigorous physical activity, when compared to the normal weight group.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obes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vigorous physical activity, when compared to the underweight and normal weight groups. In looking at mental health issues, when compared to normal weight individuals, the obese individual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depression. Higher BMI levels were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internet use, when compared with lower BMI levels, but the amount of increase was non-significant. The indication is that increased levels of internet use might reduce the amount of time spent on daily physical activities, and that reduction could result in an increased BMI and a decreased mental health statu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better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net use,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 KCI등재

        한국 여성 연극의 프랑스 현대 작품 수용 연구 - 산울림소극장의 활동을 중심으로

        김명화 ( Kim Myung Wha ) 한국연극학회 2016 한국연극학 Vol.1 No.60

        외국 작품의 국내 수용 연구는 외국 작품이 국내에 끼친 일방향성의 영향관계를 연구하는 데 멈추어서는 안 된다. 국내 제작환경과 관객의 동향을 포함한 시대적 상황 또 미학적 흐름에 이르기까지 제반 여건의 작동과 관계 속에서 그 작품의 작용을 살펴보는 복합적인 시선이 요청된 다. 이런 역동성을 인정할 때 문화의 침투와 융합의 과정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그것이 보다 성숙한 수용 연구의 독법이 될 것이다. 이 논문은 산울림소극장을 중심으로 한국 여성 연극의 흐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프랑스 현대극의 수용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프랑스극은 한국의 근대극에서 초기 단계의 고전 소개, 한국 전쟁 후 실존주의나 부조리 연극처럼 새로운 사상적 미학적 흐름의 유입, 대중연극이라는 세 가지 경향으로 수용되었다. 그런데 1980년대에 들어서면 경제적 풍요와 개방의 물결 속에서 문화적 패러다임이 거대담론으로부터 다원주의로 변모하며 중산층 문화를 의식하게 된다. 이런 흐름 속에 여성 중심의 연극도 부각되며 여기에 프랑스 현대극의 수용이 결정적인 변수로 작용하였다. 특히 산울림소극장의 활약이 이런 수용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미 <고도를 기다리며>를 연출하며 프랑스 부조리극의 한국 수용에 한 역할을 담당했던 연출가 임영웅과 극단 산울림은 1985년에 같은 이름의 소극장을 개관한 뒤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을 예민하게 포착하였고 여성 중심의 레퍼토리를 적극적으로 소개하였다. 그 과정에서 시몬느드 보봐르의 <위기의 여자>, 장 콕토의 <목소리>, 드니즈 살렘의 <엄마는 오십에 바다를 발견했다>와 같은 프랑스 현대극을 제작하였고, 그 성공은 한국 연극의 흐름에서 유사한 작품군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낼 정도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엄밀한 의미에서 앞에서 언급한 세 편의 작품은 본격적인 페미니즘연극으로 분류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작품이다. 그럼에도 이들 연극은 여성 희곡은 존재해도 부차적인 작품으로 폄하되거나 공연은 불가능했던 한국 근대극의 흐름에서 여성이 중심이 된 연극 공연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이로써 한국 연극은 여성의 정체성이나 정서 또 욕망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미시적 일상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으며, 경제적 풍요 속에서 급부상한 중산층 관객들은 이런 달라진 패러다임에 적극적으로 호응했다. 이 논문은 상술한 세 작품의 공연사를 시대적/연극적 흐름과의 관계 속에서 연구하였고, 한국연극에 끼친 영향력을 총체적으로 조망하였다. 그 동안의 연구 경향은 이들 작품을 여성 연극이나 중산층 대중연극의 관점에서 전반적으로 조망해온 경향이 있다. 반면 이 논문은 한국 여성연극의 흐름에서 중요한 촉매역할을 담당한 세 편의 프랑스 현대극을 분리하여 조명하면서 프랑스 현대극의 한국 수용이 1980년대 이후 어떤 경로를 거쳤는지 조명할 수 있었고, 가치관의 개입을 절제하면서 보다 객관적인 공연사 검토를 통해 각 작품들의 시대적, 미학적 의의와 연극사에 끼친 영향력을 복합적으로 조망하였다.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Theatre Company Sanwoollim, this paper mainly analyzes the reception of works of contemporary French drama, which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stream of Korean female theater. Generally, in Korean modern theatre, French drama has been divided largely into three: introduction of classics at an early stage, inflow of new ideas and aesthetics such as Existentialism and Absurd Plays after Korean War, and popular entertainment. In 1980s, as Korean society starts to experience economic prosperity and open doors, cultural paradigm shifted from metadiscourse to pluralism, becoming conscious of the middle-class culture. Under these circumstances, female-centered drama has gained greater significance and the reception of contemporary French drama had acted as a decisive variable. Especially, the Theatre Company Sanwoollim and director Young-woong Lim played a remarkable part in the history of the reception, established the Theatre Sanwoolim in 1985, sensitively captured the periodical changes and actively introduced female-centered repertories. In the process, they produced contemporary French pieces such as A Woman on the Verge (La Femme rompue) by Simone de Beauvoir, The Human Voice (La Voix humaine) by Jean Cocteau, and At Fifty, She Discovered the Sea by Denise Chalem. Strictly speaking, the three pieces mentioned above have limitations to be categorized as feminism drama. Nonetheless, these works indicated the possibility of the successful theatre performances that feature female as a main character; until then, in the atmosphere of Korean drama society, works with female protagonists had been disparaged as secondary works or performances of them had been even impossible. Accordingly, with the help of these works, Korean theater bega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women`s identity, emotion, and desire, showing concern not only to metadiscourse, but also to microscopic everyday life. This paper examines the performance history of the three works mentioned above in the relations with theatrical flow and periodical flow, and takes an overall view of their effects on Korean theater.

      • KCI등재

        Impact of Depression, Comorbid Chronic Diseases, and ADL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in Korea

        Myung-Wha Kim(김명화)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을 측정하여 평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지역사회 거주노인 총 314명(연령평균:75.8세(5.64))이며 무질병 대상자가 81명, 만성질환자가 233명이며, 2개월 동안 삶의 질에 관한 설문지를 활용하여 상담을 실시하였다. 일상생활활동은 Barthel Index(BI)와 Frenchay Activities Index(FAI)로 평가하였으며 심리상태는 노인우울척도, 건강관련 삶의 질은 한국판 SF-36으로 평가하였다. 조사결과 중복 만성질환 노인은 일상생활동작이 떨어지며, 우울하고, 인지기능의 저하와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증, 중복 만성질환 및 일상생활활동이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복 만성질환과 낮은 일상생활활동이 우울증과 결합되어 건강관련 삶의 질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was evaluated associations among risk factors to have influence on HRQOL of community dwelling Elderly People. Total 314 community dwelling elderly persons(age:75.80±5.64[mean±SD]) who had no disease(n=81) and more than two chronic diseases (n=233) were interviewed based on the QOL questionnaires. During two months.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evaluated using BI and FAI. Neuropsychological status was evaluated using GDS. Health related QOL was evaluated using the SF-36. Th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eventing and controlling depression, chronic diseases, and low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order to reduce their impact on HRQOL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people.

      • KCI등재

        성과 젠더의 관점에서 바라본 1990년대 엄인희의 작품세계

        김명화 ( Kim Myung-wha ) 한국연극학회 2018 한국연극학 Vol.1 No.68

        1990년대는 한국 사회에서 여성문화가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던 시기다. 베를린 장벽붕괴와 소연방 해체 등 동구몰락에 따른 냉전 구도의 와해, 뒤이은 민주화와 경제적 풍요 속에서 그동안 배제되었던 다양한 입장들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런 다원적 흐름 속에서 여성주의도 본격적으로 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고, 전통적 입장과 다른 시각에서 성과 젠더를 바라보는 입장들이 대두되었다. 연극계에서도 이런 변화가 나타나는데, 이 논문은 그중 가장 일관성 있게 여성에 대한 작품을 발표했던 엄인희의 극작술을 연구하였다. 이 글이 선택한 작품은 공연되었던 당대에 비교적 반향을 불러일으켰던 <그 여자의 소설(1995)>과 <생과부 위자료 청구소송(1997)>이다. 두 편 다 여성의 몸과 성 그리고 젠더를 논쟁적으로 고찰하고 있으며, 이 논문은 그러한 관점에서 엄인희의 극작술을 조명하였다. <그 여자의 소설>은 식민지 시대에서 출발하여 전통적 젠더의 지배를 받는 윗대 여성의 삶을 연대기 형식으로 다룬 작품이다. 반면 <생과부위자료 청구소송>은 성과 욕망에 능동적인 1990년대 동시대 여성을 재판극의 구조 속에서 원색적 논쟁과 코미디의 형식으로 교직하였다. 과거와 동시대를 다룬 두 편을 함께 연구함으로써, 여성과 젠더를 역사적 흐름과 연결 지어 통시적으로 조망하고, 가부장적 젠더 또 고정된 성의 통념에서 벗어나려는 작가 엄인희의 노력을 극작술의 관점에서 포착할 수 있었다. In the 1990s, women’s culture started to develop in full swing in Korean society. With the collapse of Soviet Union followed by the end of the Cold War, democratization, and material affluence, diverse opinions that had been disregarded up to that time started to articulate themselves. In doing so, stances that view sex and gender from different angles began to emerge. These changes were seen in the theater as well. This paper is about the art of playwriting of Um In-Hee, one of the Korean playwrights who had most consistently written plays on women in the 1990s. The paper focuses particularly on That Woman’s Novel (1995) and Bedroom and Courtroom (1997) that had been sensational those days. From the viewpoint of art of playwriting, the paper sheds light on how women’s body, sex and gender were perceived based on these works. That Woman’s Novel explores the lives of women of older generation that were governed by the traditional gender in chronological order, starting from the colonial period. Bedroom and Courtroom is a combination of explicit disputes and comedy, which portrays women of the 1990s as more active toward sex and desire, through the structure of trial play. By examining the work on the past and the work on contemporary society together, the paper provides a diachronic study of women and sex by linking them with historical flow. It also analyzes Um In-Hee’s various strategies to break from patriarchal gender and sex from the viewpoint of playwriting.

      • KCI등재

        16주간 복합 트레이닝이 신경성 대식증 환자의 신체구성 및 건강관련체력, 기술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김명화(Kim, Myung-Wha),안수경(Ahn, Su-Kyoung) 한국사회체육학회 2015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6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n bulimia nervosa’s body composition, health related fitness and skill related fitness. We recruited bulimia nervosa patients by internet and black board. 8 subject were recruited and they performed combined exercise which consisted moderated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exercise for 16 weeks. Moderate exercise intensity was 60%VO2max, moderate resistance exercise intensity was 60%1RM for respectively 30min. We measured body composition and healthy related fitness components, skill related fitness components at pre and post. Collected date were statically analyzed by SPSS PC win 21.0(USA, IBM, NY) and paired t-test was used to analysis the change of pre and post of variables. Statistical level was set up as α=.05. Of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and percent body fat decreased at post than pre(p<.001), although lean body mass increased at post than pre(p<.001). Of health related fitness, 1RM, VO2max and flexibility increased at post than pre(p<.001). Of skill related fitness, agility, dynamic balance, and power increased at post than pre(p<.001).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16 weeks combined exercise could be an effective treatment to improve for Bulimia nervo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