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총칭적 객관화 원리와 조건에 대한 재고찰

        김명광(Kim, Myoung-Kwang)(金明光) 도서출판 박이정 2011 형태론 Vol.13 No.1

        이 글은 김명광(2004)에서 밝힌 총칭적 객관화 원리와 그 하위 조건들을 수정 보완 한다. 총칭적 객관화 원리는 개별 형식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적용되는 포괄성을 띠고, 어휘 삽입 단계 이전에 발현되어 점검을 받아야 한다는 점에서 상위적 개념임을 논의한다. 더불어 원리와 조건을 기술하는 가운데 필요한 저지 개념은 무인식성을 가지고 있지만, 어휘 삽입 단계에서 요구하는 문법 형식과 기존어 또는 임시어가 가지고 있는 문법 형식이 불합치할 경우 적극적인 인식을 화자가 갖게 됨을 밝힌다. 또한 문말 앞 형태소 출현 제약(조건 1)이 접사 ‘-음, -기’ 이외에 적용될 경우 특칭 성을 가지고 있는 종결 형태소도 제약되지만, 사건의 사태에만 관여하는 연결 어미의 경우는 허용됨을 살펴본다. The Principle of Generic Objectiveness (PGO) is a mechanism where grammatical forms are defined to the word regardless of lexeme listed already in lexicon or temporal lexeme unlisted in that. The PGO, also, is an expression that has themeaning of extensional reference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Specific Subjectiveness (PSS). These concepts already refer to the dissertation of Kim Myoung Kwang (2004) and with the risk that some regard the principleas a rule like W.F.R; nevertheless, this study clarifies the concept. The first, PGO is a general concept beyond a derivative, complex, and single wordwith the regard to inclusive to apply all. The second, PGO, does not excludeto have an experience to other individual rules according to individual features and forms that consist as coinage. The third, PGO occupies a superior hierarchy with regard to the order to appear at the stage beforelexeme insert level and the projection stage to the sentence. The fourth, PGO is, also a superior hierarchy that it should be checked before the lexeme insert level in the case of a temporal word. This study also, the concept of blocking which is expressed in Principle and Conditions overall. The concept of blocking used something deters something from acting an action aggressively in usual. However, the concept of blocking described inmy dissertation (2004), have both faces that need to be unrecognized negatively or manifested positively. This is according to conditions like PFI in the one of the syntax level that is a mechanism that is not recognized when the grammatical form A and one B is merged ordinarily. when the unnecessary features related XP is remained in word level, is positively manifested, in result, are not converged at terminal node which requires X level, and finally recognized features of XP aggressively. This paper extends the concept of the first condition which is the restriction stopping pre-ending suffixes that have projected oriented attributes, in order to generalize conditions beyond restrictions only to apply words included in the grammatical form ‘-(?)m’ and ‘-ki’. In addition to the restriction stopping pre-ending suffixes, terminal suffixes, terminal suffixes, also are blocked such as ‘-ta, -nja, -ra, and -cha’, that are related to the speakers’ intention which make the form oriented to projection. The conjunctive suffixes are blocked such as morpheme ‘-?/a, -ko’ appeared in go-between the verb and auxiliary verb with the reason of the speakers’ intention. However, conjunctive suffixes are permitted, the same morpheme appeared in go-between the verb and the verb unrelated the speakers’intention and the speaker wants to develop them in-to a PGO.

      • KCI등재후보

        다문화 학습자 통사적 복잡성 측정법에 대한 현황과 과제

        김명광(Myoung-Kwang Kim)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6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6 No.2

        이 글은 ‘언어 숙달도’의 하나인 ‘통사적 복잡성’을 계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론에 대한 최근의 연구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본다. ‘통사적 복잡성’이란 ‘문장으로 자신의 복잡한 생각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이해할 수 있는 정도’를 뜻하며, 이를 계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최소종결단위 측정법’(T-unit: Minimal terminable unit), ‘의사소통단위 측정법’(C-unit: Communication unit), ‘문장성분단위 측정법’(CS: Constituents of sentence가 있다. 이 세 유형의 측정법에 대한 소개, 연구 성과, 그리고 그 한계점에 대하여 각 절에서 논한다. 2절에서는 T-unit 측정법을 살펴보는 데 T-unit 측정법은 보통 절 이상의 단위를 측정하여 문장의 통사적 복잡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T-unit 당 절 또는 종속절의 수, 그리고 ‘대등 지수’가 있다. 이 측정법은 문어 측정에는 적합하지만 구어에는 적용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음을 논증한다. 3절에서는 C-unit 측정법에 대한 논의를 한다. C-unit 측정법이 T-unit 측정 방법과 유사하지만 구어 처리를 위한 측정 방법이 고안되어 T-unit과 다름을 밝힌다. 일련의 연구 성과들도, 절 처리에 있어서 문제가 있어 향후 보완되어야 할 과제임을 말한다. 4절에서는 CS 측정법에 대한 논의를 한다. 이 측정법은 주로 유형과 길이를 중심으로 통사적 복잡성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해석문법(Analytical Grammar)’에 기반한다. 이 측정 방법을 사용한 일련의 연구들은 기존에 간과하였던 문장 성분의 복잡성을 수치화하였다는 데 큰 의의를 갖는다. 하지만 내포절이나, 이중적 기능을 가지는 절 등을 계산하는데 문제가 있음으로 해서 향후 방법론적인 정교성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is aims at clarifying the current situation problems of measurement of Syntactic Complexity among language proficiency. Syntactic Complexity is a kind of ability who he/his can express or understand his/her intricate thought clearly to others or himself/herself. The measurement of it has three type, Minimal terminable unit(T-unit), Communication unit(C-unit), Constituents unit(CU), In Chapter 2, I discuss T-unit. T-unit calculates the number of the size more thant clause unit which has sub-measurements, of clause or subclause and equal one. It is appropriate for measuring the written materials not spoken ones. In Chapter 3, I discuss C-unit.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C-unit is similar to T-unit. but It has different instruments specific for spoken materials from T-unit. C-unit is appropriate for measuring spoken ones. but the view of clause should be supplemented. In Chapter 4, I discuss CU. CU mainly measures the number and type of constituents of sentence on the base of analytical Grammar. CU has strong point in that it includes constituents to syntactic complexity overlooking past methodological approachs. But it has also problem of connotation structure and double functional clause.

      • KCI등재

        특수 학급 입급의 다문화 아동이 사용하는 한국어의 언어적 간섭 현상에 대한 일고

        김명광 ( Kim Myoung-kwa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3

        이 논문은 다문화 가정 구성원 중 특히 어머니 언어적 특성이 따라 특수 학급 입급의 다문화 아동의 한국어 발화에 간섭하는 유형에 중간 언어적 간섭, 계승어적 간섭, 그리고 제2언어적 간섭이 있음을 밝힌다. 중간 언어적 간섭이란 외국인 어머니가 불완전한 한국어를 구사함으로써 특수 학급의 다문화 아동의 한국어에 영향을 주는 현상이다. 계승어적 간섭이란 계승어적 특성을 가지는 어머니의 한국어가 아동의 한국어에 영향을 주는 현상이다. 제2언어적 간섭이란 부모가 모두 외국인이거나, 한국어를 소극적으로 사용하는 외국인 어머니의 영향으로 한국어를 외국어 습득 차원으로 받아들일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각 절에서 이 세 가지 유형의 간섭 현상을 언어 부문 - 음운, 어휘, 문장, 의미, 담화 차원-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본다.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three types of interference such as the interlanguage, the heritage language, and the second langua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re effected with the various aspects of the status of language by which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y talks to her children. The interlanguage interference appears when the children are affected by the defective korean with which mother communicate with thei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even though mother has mother`s tongue. The heritage language interference appears korean of children in case they had experience of living foreign country, thus the foreign language was mother`s tongue and Korean was heritage language due to what their mother was korean. the second language intereference, in other word, foreign language one appears korean of children who is the member of foreign family in which both of parent speak only foreign language in communicative situation in their family or speak korean passive attitude. This study clarifies each feature of three type in detail with the aspect of five dimensions, that is, phonology, vocabulary, syntactics, semantics and discourse.

      • KCI등재

        통합체(統合體) ‘XV이’ 구조 분석의 다단계성(多段階性)

        김명광 ( Kim Myoung-kwa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1 No.1

        어떤 언어 형식의 구조를 판별하는 데 最小의 判別法으로 最大의 現象을 담을 수 있다면 그만큼 좋은 기제는 없다. 이러한 점을 볼 때, ‘XV이’(X(名詞)+V(動詞)+이(接辭)) 구조를 파악하는 데, ‘자립성’ 기준은 매우 유용하고 객관적인 판별법이다. 그러나 어휘부는 共時的通時的 規則이 혼재되어 있어서 이 기준만으로는 어휘부의 본질을 제대로 구명할 수 없다. Ⅱ장에서 ‘-앓이’와 ‘구이’류를 중심으로, 이 이외의 검증법들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1단계 어휘들을 살펴보았다. 이 단계는 ‘-이’가 動名詞的 機能이 우세하지만, ‘X’와 ‘V이’ 사이에 문법적 표지가 나타나지 않아서, ‘XV이’가 臨時的 對象化를 경험하는 단계이다. Ⅳ장에서는 2단계 구조체를 살펴보았다. 특히 행위 접사 ‘-이’ 결합 구조체는 輕動詞 ‘하다’와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전체 구조는 敍述名詞的 機能과 동질의 것이다. If we explained the largest phenomena of language with the least methods, nothing could be so good as these. With respect to these circumstances, the free form condition is the valuable and objective device. As the lexicon contains the information of diachronic and synchronic rules, however, we can not explain such various phenomena with this single standard criterion. This paper examines this validity through data of ‘Xalhi’(X(Noun base)+al(Vstem[illh])+i(suffix)) and ‘Xkui’(X(Noun base)+Vstem[broil]+i(suffix)) with the probes. These are conditions of ‘ita'[be], ‘hata'(light verb), variable R, and selectional restriction on argument, etc.This report concludes that those data can not fix the boundary between the compound structure and derivative one with the free form condition (Ⅱ). Chapter Ⅲ investigates the associative concatenations(the rigid syntactic phrase). In this period, the gerund function of ‘i' predominates the suffixational one. There is no grammatical mark, moreover, between X and ‘Vi’. With this situation,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the associative concatenations in this stage is the rigid syntactic one with ad hoc objectivity. The chapter Ⅳ investigates the derivative combination with suffix ‘-i’(the meaning of this is ‘act'). ‘Vi' is syntactically related with ‘hata'(light verb). The ‘Vi' has the function of predicate.

      • KCI등재

        형태론적 핵방향 매개변수에 대한 일고

        김명광(Myoung-Kwang Kim)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4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4 No.1

        이 글은 보편 문법을 개별 문법화하는 장치인 매개변수가 형태론적 차원의 다양한 언어 현상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또한 통사부와 마찬가지로 그것이 이항적으로 작동하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타갈로그어, 영어 그리고 한국어를 중심으로 밝힌다. 언듯 보기에 핵 방향과 관련하여 매우 무질서해보여서 매개 변수가 이항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다양한 언어 자료를 살펴본다. 하지만 이는 통사론적 매개 변수와 형태론적 매개 변수가 원칙적으로 상호 독립적인과 명백히 극성을 가지는(핵 초냐 핵 말이냐) 언어는 이 두 부문의 매개 변수가 상호 암시적이지만, 그렇지 않은 언어는 상호 독립적이라는 점, 그리고 매개 변수가 개별 문법으로 진행되게 하는 작용점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이지 특정 개별 문법 항목을 만들어 주는 개별 규칙을 만들지 않는 점을 볼 때 형태론 핵 방향 매개 변수도 역시 이항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논증한다. 아울러 핵 순서 매개 변수 해당 언어에서 원리적 차원에서 투사되는 것일 뿐 예외적인 언어 현상 자체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점, 형태론적 핵 방향의 매개 변수 작동 이후에 그 방향성에 따라 어기 범주의 선택 경향이 달라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적어도 이 세 언어에서 매개 변수의 이항성 개념은 다양한 언어 현상에 전반적으로 적용되는 유용한 가지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the operational process of Binary Morphologic Head Order Parameter(BMHOP) which projects to phenomena of words with materials of languages of Korean, English, Tagalog. The BMHOP which is binary and complementary system is a kind of device to converse Universal Grammar(UG) to individual Grammar. This study also clarifies whether the attributes are the same of one Syntactic Parameter(SP) or not. In order to reach this aims, firstly, I look into the various language materials which seem to be disorder with related to head order, thus BMHOP can not to be projected banarily to the component of morphological level. This study suggest that BMHOP is still valid to morphological level with the modification of The BMHOP concept. The first modificaltion one is that BMHOP is independent on Syntactic Parameters in principle. The second one is that the SP gives relational hint to BMHOP only if the language have head polarity, but can not if the language is neutral. The third one is that parameter takes only a role of “starting point of operation”, but can not take a role of making individual rules. The fourth one is that BMHOP generally projects the morphological component as a principle not to related with exceptional language phenomena. The fifth one is that have the constraint of word base criteria(XP or X) after one unit of set of BMHOP generally projects the morphological component. If the one unit of set of BMHOP is Pre Head language, the base is XP. If the one is Post Head, the base is X mainly.

      • 노암 촘스키의 언어와 정치

        김명광(Kim, Myoung Kwang)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科學硏究 Vol.37 No.-

        Chomsky is known as a linguist and a political philosopher not as linguist or political philosopher because these two fields which he pursues are not separated according the scope. But, these two fields are co-related with each other. The standpoint of language of him is based on rationalism, deductions, and cognitive-ness. He also pursuits acquisition, creationism, and generative-ness in which transcendental innate thought and trait are already established in nature of children mind, can make possible the infinit phenomena. This concepts are also applied in his political view, as it is, such as the pursuit on the truth in rationalism, the cognitive attitude, that is, what he traces the sources which are hided in the inside of surface phenomena. the his creationism emphasized on practice. he argued that the nature of human has the free will and they also, must struggle for recovering free will if someone suppresses against that. and these aspects are his ideological and generative practice. His age is 83. He won"t nevertheless hesitate controversial conversation and he struggles continuously against hypocritical truth.

      • KCI등재

        A study on the Numeration - A focus on functional categories

        김명광(Kim, Myoung-kwa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4 No.1

        이 글은 최소주의 이론에서 가정하는 배번 집합의 기능과 역할과 그리고 이 집합의 원소에는 어떤 범주가 들어가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기능 범주의 경우 무형의 형태를 띠기 때문에 가시적인 형태만을 다루는 최소주의에서 어떻게 처리되는 것이 합리적인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우선 배번집합은 통사부 운용에 필요한 것들만 선택되는 작업용 어휘소 집합으로, 때로는 어휘적 형태로 때로는 자질로서 통사 운용에 참여함을 말하였다. 배번 집합의 어휘소들은 때로는 어휘 항목으로 때로는 어휘 항목이 가지고 있는 자질들의 점검 관계를 통해 통사부에서 운용된다. 통사부 운용의 예에는 선택(Select), 병합(Merge), 이동(Move), 일치(Agree) 등이 있다. 다음에 기능 범주의 경우 배번 집합의 어휘소보다는 담화 차원의 정보 구조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담화 선택 집합(Discourse Numeration)이라는 별도의 공간 속의 원소로 두어야 함을 논증하였다. 예컨대, 한국어의 경우 ‘화제(topic)’와 ‘초점(focus)’과 같은 정보 구조 차원의 기능 범주 ‘Top, Foc’는 정보 구조 차원에서 점검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C, T, I와 같은 기능 범주들도 문장 차원을 넘어선 국면에서 점검 관계를 갖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 범주들도 정보 구조 차원에서 점검되어야 함을 논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 범주를 위한 작업용 공간인 담화 선택 집합(Discourse Numeration)의 설정이 필요함을 밝혔다. 이러한 가정을 하면 담화 선택 집합은 배번 집합이 구성되기 이전에 구성되어야 한다의 맥을 같이 한다. This paper clarifies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Numeration assumed in Minimalism and what categories are included in the elements of the Numeration. A numeration is a set of LIs’ as an array at worktable for CHL in which only thos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syntax to derive a correct structure are selected. It participates in CHL sometimes with an integration of features, sometimes with separated features. This operation is ultimately intended to act as a suitable interpretation that converges in the PF and LF. An element of (N) consists of a pair of (LI, i) in which LI refers to a lexeme and i refers to the index of how many times the LI is used to participate in CHL. The process of operation generating a syntactic object at each level of CHL will not stop until the index becomes zero. The (N) provides the LIs’ for a deriving structure determining the reference set, and the cause of the features’ check. This paper explained it with some examples of Korean that the (N) also work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ich was the correct or not among competitive derivations. This set of (N) is used as materials for the minimal computation of derivation and prepares the basis for a very limited basic operation in the external and internal movements of the syntax. Examples The operation of the (N) include Select, Merge, Move, and Agree. Next, it was argued that the functional category should be arrayed in a separate space called discourse numeration((DN)) because it serves as a discourse-level information structure rather than as the (N) for syntactic CHL. For example, in Korean, the functional categories ‘Top, Foc’ in the information structure level such as ‘topic’ and ‘focus’ should be checked at the information structure level. These categories correspond to the phases of “discourse model, situational knowledge, encyclopedia knowledge, etc.” This can be seen as similar to the (N), which is the space of an operating system for the working LIs’ selected from the lexicon before a syntactic object enters the computational process. Since functional categories, such as C, T, and I, have a check relationship in a phase beyond the sentence dimension,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se functional categories to elements of the discourse selection set was also carefully presented. With this assumption, the discourse selection set should be constructed before (N) is constructed. Functional categories such as C, T, and I have a checking chain in the phase beyond the syntactic level.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se functional categories should also be incorporated as elements of the (DN). With this assumption, the (DN) must exist independently before the (N) is constructed.

      • KCI등재후보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과정의 항목에 대한 일고

        김명광(Myoung Kwang Kim)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7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7 No.1

        한국어 교육과정은 일반적인 교육과정의 하위 분야에 해당하므로 한국어 교육과정도 일반적인 교육과정의 큰 틀에서 정의되어야 한다. 한국어 교육과정이 구축되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 사회의 사회적 공감이 형성되어야만 하고 그 설계에 대한 압력이 존재해야 하는데, 국내외 외국인 학습자가 그 규모를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그 학습자들의 배우려는 목적도 매우 다양해짐으로 인해 각각의 목적에 맞는 한국어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압력이 이미 형성되었다. 사회적 공감과 압력을 통하여 그 설계가 필요한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는 이러한 다양한 목적에 적합하게 하위 교육 과정 항목이 구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학문 목적의 교육목표는 일상생활의 한국어 이외에도, ‘범전공’ 영역, ‘전공 기초’ 영역, 그리고 세부적인 전공과목에서 사용되는 ‘전공’ 영역, 그리고 범학문적 수학 기능 등을 반영하는 교육 목표가 세분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 목표는 영역별로 세분화되어야 하며[‘발음, 어휘, 문장, 담화 차원’의 문법 영역이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와 같은 기술 영역(Skill)] 등급(초급-고급)별로 단계적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 내용도 교육 목표에 따라 명세화되어야 하는데, 예컨대 범학문적 수학 기능 신장을 목표로 하는 경우 대학 강의 듣기, 전공 등에 필요한 담화 표지나 ‘세미나 토론, 실험 실습, 문헌 연구’등과 관련된 표현과 절차에 대한 교육 내용이 기술되어야 한다. 역시 ‘교육 방법, 교육 순서, 교육 시수, 교육량, 교육 평가’도 학문 목적이라는 큰 틀 아래에서 명세적으로 진술되어야 한다. As the Curriculum of Korean For Foreign Learners is included in under the general Curriculum, it should be defined in a large frame of education. Social consensus must first be formed. The pressure for the design shall exist in order to establish a Korean language course. Not only has foreign learners increased the extent to which they are not expected, but the goal of the learner is very diverse. Social pressure has already been formed for the needs of the Korean language courses for each purpose. If the situation is such,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should be constructed of sub-curriculum’s items for these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Academic objectives should be subdivided into classes in addition to the Korean language of everyday life, and the educational objectives that reflect the fields of ‘cross-major areas, basic major areas and major subjects, and cross-learnig functions, which are used in detail in the detailed subjects. These objectives should be subdivided into areas of interest as grammatical domains such as pronunciation, vocabulary, sentence, and skills of speaking dimensions, speaking, speaking, and writing according to levels of learners. Training content should also be documente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objectives. For example, the objectives to developing learning skills for cross-academical domains should be reinstructed in the contents specific to study expressions and procedures for listening university’s lecture, major, etc. or seminar, experimental Lab and literature, etc. Educational methods, education routines, education hours, education assessment, and educational assessment should also be explicitly stated under the large framework of academic objectives.

      • KCI등재후보

        다문화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의 법적 근거에 대한 일고

        김명광(Kim, Myoung Kwang)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7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7 No.2

        이 글은 다문화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현행 법적 근거를 살펴보고, 다문화 한국어 교육과정 구축을 위한 국가 차원의 제도적 보완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을 한다. 이에 제2절에서는 ‘초·중등교육법’과 ‘재외동포법’을 살펴보고 제 3절에서는 여러 부처에 산발적으로 존재하는 다문화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과 관련된 법률을 검토해 본다. 검토해 본 결과 ‘문화체육관광부의 국어기본법, 노동부의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여성가족부의 다문화가족지원법’이 관련 법률임을 밝혔다. 제4절에서는 다문화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이 안정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비판적 고찰과 함께 몇가지 제안을 하였다. 밝힌 내용을 보면 첫째, 다문화 대상들이 부처 간 중복되어 ‘교재, 교육과정, 교육 내용과 프로그램 운영, 예산’ 등의 중복과 같은 위험을 발생시킬 수 있기때문에 그 대상을 조정할 수 있는 별도의 상위적 차원의 협의회가 필요함을 말하였다. 둘째, 교육과정에 대한 법적 근거가 ‘노동부나 여성가족부’ 입안 법률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외국인근로자, 외국인 결혼이민자 부모’에 대한 교육과정이 마련될 법적 근거가 없음을 밝히고 이에 대한 교육과정 설치에 대한 법률 구안이 필요함을 말하였다. 셋째, ‘국어기본법’의 경우 교육과정과 관련된 기술이 이는 ‘세종학당재단’의 사업으로만 규정되어 있고 실제적으로는 그 대상이 세종학당 학생(또는 교사)일 수 밖에 없어, 법률적 정비가 필요하다는 점을 말하였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과정의 대상이 되는 외국인 학습자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포괄적 법률 조항이 별도로 마련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legal basis for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learners, and makes some suggestions for systemic complementation at the national level for the establishment of multicultur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Section 2 examines the provisions of Law o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the Law on Overseas Koreans, and Section 3 analyses laws related to multicultur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at are sporadic in various ministries. As a result, There are Basic Act on the Korean Language draf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ct on the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by the Ministry of Labor, and Act on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Section 4, we made some suggestions with a critical review to ensure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multi-culturalism is stable and systematic overlap between governments. First, there is a need for a separate, higher-level council to coordinate not to reduplicate the type of the multi-cultural learners since they can be overlapped between ministries, they can cause risks such as duplication of textbooks, curriculum, contents of education, program operation, and budget, etc. Second, it is clear that there is no legal basis for the education process for the foreign worker and foreign marriage immigrant parents because the legal basis for the curriculum does not exist in the legislation of the Ministry of Labor or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t, therefore, is necessary to make a legal proposal. Third, Legal maintenance is required in the case of ‘Basic Act of the Korean Language’, the legal description related to the curriculum is defined only as the business of the King Sejong Institute, and as a matter of fact, the subject is the King Sejong Institute student (or teacher). Comprehensive legal provisions covering all foreign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should be prepared separa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