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 성찰을 위한 설화교육의 가능성 탐색 : 분석심리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김라연 ( Kim Rayeon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3

        청소년 시기에 자신이 누구인가를 깊이 고민하고 성찰하는 것은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존감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본 연구는 국어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이 자기성찰을 할 수 있는 교육적 가능성을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의 설화교육에서 찾고자 한다. 초, 중등학교의 설화교육은 서사문학의 기초개념을 지도하거나, 이야기의 구조를 학습시키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고등학교에서는 구비문학으로서의 문학사적 측면의 접근을 많이 하고 있으나 진정 설화 텍스트가 가진 진정한 의미를 교육시킨다고 보기 어렵다.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설화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의 마음에 무의식이라는 영역이 있으며, 인간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위해서는 무의식을 알아야 함을 전제로 한다. 설화는 보편적인 인간성을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와 관련된 이야기이기 때문에 우리가 이러한 설화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누구인지,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분석심리학적 접근을 위한 전제로, 인간정신과 무의식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무의식의 세계를 탐험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한 설화 작품 해석을 국어교육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이론적 탐색을 시도하였으며, 국어교육의 분야에서 이러한 접근을 수용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consider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possibly lead juveniles to their self-reflection, by utilizing narrativ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 psychology. Narrative education for elementary and/or middle school students mainly includes learning of basic concepts of narrative literature and structures of stories while that for high school students chiefly includes an oral literature approach to the history of literature. Yet, it is hard to say that these educations can teach the true meaning of real narrative texts. In order for us to interpret narr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 psychology, first of all, we should be aware that there is unconsciousness in our mind and that we must know the unconsciousness before truly understanding humans. Since narratives are connected to how we can realize the universality of haman nature, we can reflect who we are and what our life is during the process of our interpretation of the narratives.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mind and unconsciousness before an analytic psychology approach was employed. In addition, an theoretical exploration was attempted while folk-tale interpretation might be approached from viewpoi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way to know the world of unconsciousness.

      • KCI등재

        북클럽(Book Club) 활동에 적합한 텍스트 요건 분석-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김라연 ( Ra Yeon Kim ) 한국독서학회 2005 독서연구 Vol.0 No.13

        북 클럽 활동은 읽기, 쓰기, 이야기하기의 포괄적인 개념으로서의 읽기를 지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삶에 대한 방식, 의미, 가치 등 여러 문제들을 이해하고 해석, 비판하고 내면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그런 점에서 우리의 국어과 수업 현장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읽기 활동 모형이 될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북 클럽 활동에는 어떠한 텍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가? 또, 교과서에 제시된 문학 텍스트는 북 클럽 활동을 하기에 적합한가?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논의를 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소설 텍스트를 가지고 북 클럽 활동을 수행하게 한 다음, 학생들이 텍스트에 반응하는 양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북 클럽 활동에 적합한 텍스트가 갖추어야 할 요건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텍스트는 학생들이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자신과 비슷한 나이의 주인공이 등장하는 것이 좋다. 셋째, 작품의 배경은 독자 자신, 가족, 이웃이나 학교와 관련된 친숙하고 일반적인 것이 좋다. 넷째, 텍스트의 구조는 비교적 단순한 것이 좋다. Book club activity can guide reading as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reading, writing, telling, and make us understand various problems such as attitude, meaning and value to our lives. Therefore, it may be a good reading activity model that can be used actively in our korean classrooms. However, “which texts will be useful for Book Club activity?” And, “Are literature texts in our textbooks suitable for Book Club activity?” I mad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perform Book Club activity with novel texts in their textbook, and then observed the aspects of reacting to the texts. As a result, I could summarize that some elements should be satisfied in texts for Book Club activity of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irst, students should be interested in the texts. Second, it is good a hero of students` age is appeared in texts. Third, the work`s background should be the general and familiar one which is related to readers, their family, neighbor and their school. Finally, as for the structure, the shorter the better.

      • KCI등재

        융합독서를 위한 워크북 개발 사례 분석 연구

        김라연 ( Ra Yeon Kim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5

        독서토론은 국어교육에서 담당할 수 있는 융합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이다. 특히, 주제 중심 독서지도는 화제나 주제와 관련된 제재를 가지고 간학문적 통합이 가능하다. 그러나 실제, 이러한 독서모형이 융합독서의 과정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연구들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이다. 연구자는 중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소설 <모모>를 바탕으로 융합독서를 할 수 있는 워크북을 개발하는 과제를 국어교육, 수학교육, 영어교육과 2학년 예비교사들에게 제시하였다. 그리고 여러 교과전공 학생들이 참여한 모둠과 국어교육과 학생들로만 구성된 모둠을 대상으로 학습 자료 제작과정을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초기의 아이디어 수준의 자료는 지속적인 점검과 조정의 과정을 거쳐 학습 자료로 재탄생하게 되었는데, 이 과정을 학습목표의 선정 및 개별 학습활동의 구안 및 조직의 측면에서 그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융합독서를 위한 워크북을 개발해나가는 실제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융합독서를 위한 독서토론이 갖추어야 할 조건 등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융합독서를 준비하고 지도하는 과정(팀티칭)에서의 각교과 교사들이 담당해야 할 역할 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 reading debate is an effective way for fusion education, which is to be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a theme-contented reading approach can integrate materials related to a subject or topic in an interdisciplinary manner. The present researcher suggested a project to would-be teachers for 2nd grader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epartment, mathematics education department, and English education department of middle school. The project is to develop learning materials to conduct fusion reading to 1st graders, with a focus on a novel entitled “Mo-mo.” And the researcher analyzed a learning materials production process by employ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a focus on a group composed of students majoring in multiple subjects and a group composed onl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department students. Initial and idea-level materials were turned into learning materials via a process of continued checks and coordinations, and the patterns of the proces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selection of learning subjects, the formation of individual learning activities, and the organization. This research has investigated into a practical process to develop workbook for fusion reading and examined the requirements of a reading debate for fusion reading. Moreover, it has derived specific suggestions for roles to be played by teachers of each department in a (team teaching) process to prepare and lead fusion reading.

      • KCI등재

        학습 전략으로서의 KWLA 사용 양상 분석 연구

        김라연(Kim Ra-yeon) 우리말글학회 2008 우리말 글 Vol.44 No.-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KWLA Strategy as a writing technique for learning. KWLA Strategy is an effective writing technique designed to help to learn more information on texts and to facilitate individual reac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described previously, the present author asked two lower ranking first year undergraduates to use KWLA Strategy over sixteen weeks, and closely observed and analyzed the progress of them based on qualitative approach. This study describes intensive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students in using the strategy, in the aspect of individual activities. And, it also discusses why lower ranking students fail to use efficiently the said strategy.

      • KCI등재

        설득적 텍스트의 읽기 전략 활용 분석 연구

        김라연(Kim, Ra-yeon) 우리말글학회 2012 우리말 글 Vol.54 No.-

        본 연구는 ‘김구의 〈나의 소원〉’을 자료로 삼아, 고등학교 3학년 참여자들이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를 내용 이해 전략과 내용 평가 전략의 측면에서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전략 사용의 빈도를 기준으로 두 개의 집단을 나누고 전략의 활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두 집단 모두 국어 과목에서 상위권의 성적을 받는 학생들이었지만 독해 전략의 선택과 활용 방법에서도 개인차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학생들의 전략활용에 대한 실상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개별적인 전략 활용의 구체적인 모습 속에서 효과적인 전략의 사용 모델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실제적인 전략 사용의 분석은 학생들의 전략 지도 방안을 모색할 때 의미 있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observe and analyze what strategies were adopted by senior students in high school during reading of persuasive texts. As for “My Wish” written by Kim Gu and contain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investigations were made into what strategies the participants used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writing and what strategies used to evaluate the contents. Depending up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trategy,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into two, and analysis was conducted of patterns in which the strategy was used; as a result, it was recogniz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the strategy between the two groups. Although all the participants were best students in terms of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the individuals concerning how they selected and utilized reading strategies. This study could take a real picture of the utilization of reading strategies adopted by the students and derive models using effective strategies in consideration for detailed aspects for utilizing individual strategies. In addition, it could be concretely known that the students would encounter difficulties while critically reading books. Such an analysis of practical use of strategies will be utilized as a meaningful material for hammering out schemes to teach students what strategy they shall adopt for read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독자가 인식하는 좋은 글과 나쁜 글의 기준에 대한 연구 ―의학 전공생의 의학 칼럼 읽기를 중심으로

        김라연 ( Kim Ra-yeon ),최건아 ( Choi Geon-ah ) 국어교육학회 2017 國語敎育學硏究 Vol.52 No.4

        본 연구는 독자가 좋은 글과 나쁜 글 각각에서 적용하는 기준을 분석함으로써 읽기 교육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에는 51명의 의학 전공생이 참여해 좋은 의학 칼럼 2편, 나쁜 의학 칼럼 2편을 각각 선정하고 선정한 근거를 기술하는 글을 작성하였다. 두 연구자는 참여자들이 작성한 글을 분석함으로써 의학 칼럼에 대한 평가기준들을 도출하였다. 참여자들이 비중 있게 꼽은 기준들을 살펴본 결과, 좋은 의학 칼럼을 선정할 때에는 독자의 흥미, 적절한 예시, 가치에 집중한 반면, 나쁜 의학 칼럼 선정 시에는 주제와의 연관성, 조직, 독자의 배경지식에 초점을 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저 수준을 충족하였는지 여부로 글을 1차 평가하고, 더욱 질 높은 글이 갖출 추가적 요건을 상위 수준에 두고 적용하는 독자의 특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duct implications for reading education investigating readers’ standards for good texts and bad texts. 51 medical students as participants selected 2 good medical column texts and 2 bad medical column texts individually and composed texts describing the reasons for selection. 2 researchers analyzed participants’ texts and identified various standards for evaluating medical column texts. The findings showed that when asked to select general examples of good texts, the participants focused on “readers’ interest,” “proper examples,” and “value,” but they emphasized “interrelationship of thesis,” “organization,” and “readers’ background knowledge” while selecting high quality reading material for themselves. This results means readers tend to focus minimum standards when they face texts first, and they applicate high-level standards for distinguish more high quality texts.

      • KCI등재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교육적 적용 사례 분석 연구

        김라연(Kim Ra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개편을 통한 국어 교과의 두드러진 변화 중 하나는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신설이다. 이는 독서 및 독후 활동 시간을 확보하여 한 권의 책으로 깊이 있는 성찰적 독서하게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효과가 크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한 학기 한 권 읽기’가 실제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실행되는가의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경남 창원 소재 남자 중학교 6학급을 대상으로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운영하는 과정을 교사 중심의 교수 설계 과정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활동 과정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양상을 분석하였다. ‘읽기-토론하기-글쓰기’ 활동이 중심이 된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평생 독자가 되기 위한 교육 내용이라 할 수 있으며, 실제 학생들에게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핵 심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적 활동으로 평가될 수 있음을 증명할 수 있었다. One of the most prominent change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the establishment of a Reading one book a semester . This is an educational effect in that it secures time for reading and reading activities and allows them to read deeply introspectively with one boo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how Reading one book a semester is implemented in the actual school field. The process of running one semester reading for 6 classes of male middle school in Changwon, Gyeongsangnam-do was divided into teacher-centered teaching design course and activity course for students. The Reading one book a semester centered on ‘reading-discussing-writing’ activities was an educational content for lifelong readers, and it was able to prove to students that they could be evaluated as educational activities that could enhance the higher thinking skills required by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