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골어류 황어아과 버들치의 정자형성과정

        김동희,장병수,김완종,이명선,등영건,김석,이규재,Kim, Dong-Heui,Chang, Byung-Soo,Kim, Wan-Jong,Lee, Myeong-Seon,Teng, Yung-Chien,Kim, Seok,Lee, Kyu-Jae 한국현미경학회 2010 Applied microscopy Vol.40 No.1

        경골어류 잉어과(Cyprinidae), 황어아과(Leuciscinae)에 속하는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의 정자형성과정과 정자의 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버들치의 정소는 부레와 창자사이에 위치하고 있었고 장축 약 2.3 cm, 단축 약 6 mm 정도로 팽창된 긴방추형이었고 흰색을 띠고 있었다. 정자형성과정은 정소낭(testicular cyst)에서 이루어졌으며, 각 정소낭 내에서 다양한 분화시기의 생식세포가 분포하고 있었다. 정원세포는 전자밀도가 매우 낮고 미토콘드리아의 발달이 현저하였다. 제1정모세포는 원형으로 정원세포보다 크기가 작았고 제2정모세포는 제1정모세포보다 더 작아졌고 핵의 전자 밀도는 더 높았다. 정세포의 초기발달시기에는 세포의 크기가 정모세포보다 작아졌고 두부의 전자밀도가 높아졌으며 편모가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미토콘드리아는 핵 주변에 분포하였다. 정자 완성과정 말기에는 핵의 염색질 응축이 뚜렷하였으며 핵은 세포질 한쪽에 치우쳐 있었고, 미토콘드리아는 편모 주변에 집중되었다. 완전히 성숙한 정자의 경우 두부형태는 구형이었고 두부에서 첨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편모의 미세소관 배열은 9+2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편모 양쪽으로 lateral fin은 관찰되지 않았다. The ultrastructure of spermatogenesis and sperm in Chinese minnow, Rhynchocypris oxycephalus belonging to Leuciscinae was investigat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whitish testis was located between intestine and air bladder. The size of testis was major axis 2.3 cm, minor axis 6 mm. The testis contained numerous testicular cysts, and spermatogenesis was non-synchronized in these testicular cysts. In the case of spermatogonium, the nucleus was comparatively large ellipsoidal, and mitochondria showed a marked development. The size of primary spermatocyte was smaller than that of spermatogonia, and secondary spermatocyte was smaller than primary spermatocyte. The chromatin of spermatocyte was highly condensed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 The nucleus with electron-dense was round shape. In spermiogenesis, flagella started to be formed and chromatin was more condensed. The mitochondria were rearranged in a middle piece. The sperm was formed by loss of cytoplasm. The head of mature sperm was a spherical shape and have not acrosome. The microtubules of flagella were arranged 9+2 structure. Also, the tail of sperm have not lateral fins.

      • KCI등재

        정지용의 일본어 시 개작과 『聲』에 실린 종교시

        김동희(Kim, Dong-hee) 한국근대문학회 2016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7 No.1

        이 논문은 정지용이 일본 유학 중 창작한 일본어 시의 의미를 되짚어 보고 새로 발굴된 자료인 일본 종교잡지 『聲』에 실린 지용의 일본어 작품을 검토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재 확인되는 지용의 일본어 작품은 총 65편, 중복되는 작품을 제외하면 47편, 이 중 국문 시와 관련 있는 작품은 20편이다. 본문에서는 국문시와 관련성이 있는 20편의 일본어 작품들을 발표년도에 따라 정리해보고 지용의 일본어 시에 대해 검토해보았으며 『聲』에 실린 지용의 종교시편을 살펴보았다. 지용은 초기 동요와 민요풍의 시를 창작하다가 근대시로 작품 변환을 시도하였다. 지용에게 일본 유학은 근대시를 쓰는 과정에서 중요한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지용은 일본어를 빌려 창작활동을 하였는데 그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 한 바는 조선어로 근대시를 창작하는 것이었다. 지용이 다수의 작품을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목과 내용으로 국문과 일본어로 발표한 것은 조선어로 근대시를 창작하기 위한 과도기적 과정이었다고 추측된다. 지용은 국문으로 창작한 시를 일본어로, 일본어로 창작한 시를 국문으로 바꾸는 과정을 통해 조선어로 근대시를 구현해 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나간 것이다. 지용은 일본 유학을 마친 이후로는 일본어로 시를 발표한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최근 일본의 종교잡지 『聲』(1942.9)에 지용의 일본어 시 「勝利者金アンドレア」(勝利者金안드레아), 「不死鳥」, 「臨終」 3편이 게재된 것을 확인하였다. 『聲』에 실린 종교시 3편은 지용의 개작작품이라는 큰 범주에는 포섭되나, 일본 유학시기 발표한 다른 일본어 작품들과는 구별해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일본 유학시기 발표한 일본어 시들은 지용의 자발적인 내적 욕구에 의해 탄생한 것이라면, 『聲』에 실린 일본어 시는 종교적 특수성 때문에 외부로부터 호출되어 활용된 것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newly found Japanese works of Jeong Ji-yong, published in the Japanese religious magazine 『Voice』(『聲』, 1942.9). These works ruminate on the significance of Japanese poetry during Jeong Ji-yong’s staying in Japan as a student. There are currently 65 works attributed to Jeong Ji-yong; after removing duplicates, 47 works remain with 20 being closely related to his Korean work and including similar titles and content. This study organizes these 20 works chronologically to review the significance of Jeong Ji-yong’s Japanese poetry and examine his religious poetry published in 『Voice』. In his early years, Jeong Ji-yong created poems similar to children’s songs and folk songs. He gradually attempted to transition to modern style poetry, and his studying in Japan w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his style. Jeong Ji-yong deliberately used Japanese when creating his modern Korean poems. It is speculated that publishing similar works both in Korean and Japanese was his transitional attempt to create Korean modern poetry. He tried to realize a complete form for Korean modern poetry using an iterative process of transforming Japanese works into Korean and vice versa. Jeong Ji-yong stopped publishing any Japanese poems after returning from Japan. However, it has recently been identified that three of his works 「Winner Andrew Kim」 (「勝利者金アンドレア」), 「Phoenix」 (「不死鳥」), and 「Death」 (「臨終」), which were written in Japanese, were published in the Japanese magazine 『Voice』. Even though these three works are included in the 20 works published in both Japanese and Korean, they must be studied separately from the rest of his Japanese poems, which were published during his stay in Japan and based on his own desires. In contrast, the three works in 『Voice』 were based on external requests and used for religious purposes.

      • KCI등재

        경골어류 잉어과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의 난자형성과정

        김동희,김완종,등영건,김석,이규재,Kim, Dong-Heui,Kim, Wan-Jong,Teng, Yung-Chien,Kim, Seok,Lee, Kyu-Jae 한국현미경학회 2010 Applied microscopy Vol.40 No.1

        경골어류, 잉어과, 모래무지아과에 속하는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의 난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쉬리의 난소는 한 쌍으로 부레와 창자사이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회색을 띠었다. 난소의 형태는 장타원형(장축 20 mm, 단축 5 mm)이었다. 난원세포는 다각형으로 세포질은 호염기성이었고 핵 안에 여러 개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초기시기의 제1난모세포(primary oocyte)는 난원세포에 비하여 크기가 커졌으며 난황포(yolk vesicle)들은 핵 주변부에는 관찰되지 않았고 세포질의 가장자리에만 국한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1난모세포가 발달함에 따라서 난황포는 바깥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증식되어 핵 쪽으로 이동되었으며 난막 바깥쪽은 짙은 푸른색의 여포상피(follicular epithelium)로 싸여 있었다. 그러나 핵의 주변부는 아직 푸른색을 띠고 있었다. 제2난모세포는 세포질이 전체적으로 호산성이었으며 난황포가 세포질 전체에 분포하였다. 성숙한 난자는 난자의 크기가 상당히 커졌으며 난막이 두꺼워졌다. 또한 난황포는 난황괴(yolk mass)로 전환되었다. 이상과 같이 쉬리의 난자형성과정은 난세포의 크기 증가, 난황낭의 축적, 세포질 내 염기성 물질이 산성으로 전환 및 난막의 발달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다른 과의 담수경골어류와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어종의 종특이성을 찾기 위해서 난막의 미세구조적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oreoleuciscus splendidus is a teleost belonging to Gobioninae, Cyprinidae. The oogenesis was investigated by light microscope. The ovary was located between intestine and air bladder, a grayish and ellipsoidal shape with the major axis 20 mm and the minor axis 5 mm. Cytoplasm of oogonia was basophilic and many nucleoli were located at inside of nuclear membrane. In primary oocytes, yolk vesicles were distributed only in the marginal area and egg envelope was not formed on the outside of an egg. In secondary oocytes, the egg envelope was formed and yolk vesicles in the cytoplasm were increased than the earlier stage. The basophilic substance of cytoplasm was changed to acidic. In case of matured egg, thickness of egg envelope and size of egg were increased. The yolk vesicles were changed to yolk mass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oogenesis of C. splendidus was characterized by the increase in cell size, the formation and accumulation of yolk, and the decrease of basophilic substance in the cytoplasm. The oogenesis of C. splendidus is similar with other Cyprinidae fishes. But further study on ultrastructural study of fertilized egg envelope will be necessary to get the species specificity.

      • 염기서열 특이적 전사종결에 영향을 주는 T7 파아지 lysozyme의 역할

        김동희,이상수,Kim, Dong-Hee,Lee, Sang-Soo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4 自然科學論文集 Vol.14 No.1

        박테리오 파아지 T7 RNA 중합효소는 어떤 전사인자도 관여하지 않는 간단한 시스템으로 파아지 RNA 중합효소와 전사촉진제만의 단백질-DNA 상호작용에 의해 전사가 진행된다. T7 파아지의 숙주 세포의 파괴에 관여하는 T7 파아지 lysozyme은 전사를 억제하고, 전사종결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T7 파아지 lysozyme 유전자를 대장균 발현 벡터에 삽입하여 pT7lys를 얻었고, 발현시켜 Ni-NTA column chromatography로 순수 분리하였다. T7 파아지 lysozyme은 SDS-gel에서 단일 밴드로 확인하였으며, amidase 활성 역시 확인하였다. 염기서열 특이적 전사 종결에 미치는 T7 파아지 lysozyme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rrnB T1 전사종결 인자 부근에서의 전사연장 복합체 제조에 미치는 T7 파아지 lysozyme의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 T7 파아지 lysozyme 존재 하에 형성되는 전사연장 복합체는 불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T7 RNA polymerase is a single subunit RNA polymerase able to accomplish whole transcription process without auxiliary factors. T7 phage lysozyme involcing in destruction of host cell wall repress T7 transcription and affects transcription termination process. Therefore expression vector pT7lys containing T7 phage lysozyme gene was constructed and expressed. T7 phage lysozyme protein was purified to homogeneity by Ni-NTA column chromatography. Also amidase activity of the purified lysozyme was identif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lysozyme on the sequence specific transcription termination. T7 transcription elongation complexes at the site rrnB T1 transcription termination signal were made in the presence the lysozyme. The results shows that the transcription elongation complexes are unstable in the presence of T7 phage lysozyme.

      • KCI등재

        C57BL/6 생쥐에서 전해알칼리환원수가 호르텐스극구흡충 감염과 면역에 미치는 영향

        김동희,등영건,김단,황학수,최주봉,김광용,이규재,Kim, Dong-Heui,Deung, Young-Kun,Jin, Dan,Huang, Xue Zhu,Qi, Xu Feng,Kim, Kwang-Yong,Lee, Kyu-Jae 한국현미경학회 2008 Applied microscopy Vol.38 No.1

        전해알칼리환원수가 동물의 면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장에서 기생하는 호르텐스극구흡충(Echinostoma hortense)을 이용하여 C57BL/6 생쥐 소장과 혈액에서의 면역반응을 관찰하였다. C57BL/6 생쥐에 호르텐스극구흡충 피낭유충을 마리 당 15개 경구감염 시킨 후 2주 경과하여 충체를 회수하였고 소장 점막의 배상세포와 비만세포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protein chip을 이용하여 혈청 내 cytokine의 변화를 비교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호르텐스극구흡충을 감염시킨 군에서는 평균 8.3마리, 알칼리환원 수를 급이한 군에서는 평균 10마리의 충체를 회수하였다. 배상 세포 변화의 관찰에서는 호르텐스극구흡충을 감염시키고 전해알칼리환원수를 급이한 실험군이 융모 당 평균 4.3개 관찰되어 배상세포의 발현이 적은 것으로(p<0.001) 나타났다. 비만세포 변화의 관찰에서도 호르텐스극구흡충을 감염시키고 전해알칼리환원수를 급이한 실험군에서 응모 당 평균 11개 관찰되었고 정수물을 급이한 호르텐스 감염 대조군에 비해 적게 나타났다(p<0.001). 마우스 혈청 내에서의 cytokine 발현에서 호르텐스극구흡충에 감염된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에서 Th1 cytokine인 IL-6, IL-$1{\beta}$, IFN-${\gamma}$, TNF-${\alpha}$, Il-2 등과 Th2 cytokine인 IL-4, IL-5, IL-10, IL-13 등의 발현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전기분해 알칼리환원수가 호르텐스극구흡충의 감염에 있어 C57BL/6 마우스에서 장점막조직의 배상세포 수 및 mucin terminal sugar의 변화를 억제하고 아울러 이로 인해 충체배출이 지연되며, 알칼리환원수가 호르텐스극구흡충에 감염된 C57BL/6 마우스에서 혈청 내 cytokine의 변화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었다.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lectrolyzed alkaline reduced water (ERW) on animal immunity, by employing Echinostoma hortense that is a parasite in the small intestine, the immune response of C57BL/6 was examined. To C57BL/6 mice, Echinostoma hortense metacercaria 15 per animal was in oculate dorsally, the worm was collected after 2 weeks, and the change of goblet cells and mast cells in the mucosa of small intestine was examined, and by using a protein chip, the change of cytokines in the serum was compared and observed. As a result, average 8.3 worms were collected from the C57BL/6 mice infected with E. hortense, and in the group fed with the ERW, average 10 worms were collected. In regard to the examination of the change of goblet cell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fected with E. hortense and fed with the ERW, average 4.3 worms per villus were detected, hence, it was found that the expression of goblet cells was low (p<0.001). Regarding the examination of the change of mast cells, similarly, in the group infected with E. hortense and fed with the ERW, average 11 worms per villus were detected, and it appears to be less than control group (p<0.001). Regarding the expression of cytokines in mouse serum, in comparison of the experiment group infected with E. hortense and control group, in the expression of the Th1 cytokines IL-6, IL-$1{\beta}$, IFN-${\gamma}$, TNF-${\alpha}$, and IL-2, and the Th2 cytokines IL-4, IL-5, IL-10, and IL-13,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detected. In our study, it was found that in the infection of E. hortense, the ERW mediates its effect on the number of goblet cells and mast cells in the intestinal mucosa, and simultaneously, the worm expulsion was delayed, and thus the conclusion that the ERW mediated its effect on the intestinal immunity of mice was obtained.

      • KCI등재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발된 생쥐의 간독성에 생식이 미치는 영향

        김동희,등영건,이영미,윤양숙,이규재,Kim, Dong-Heui,Deung, Young-Kun,Lee, Young-Mi,Yoon, Yang-Suk,Lee, Kyu-Jae 한국현미경학회 2007 Applied microscopy Vol.37 No.1

        가열공정이 없는 생식은 화식과 달리 대사효소가 보존되어 있어 체내에서 유익한 작용을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생식 시장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생식의 효과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컷 ICR 생쥐를 일반사료 섭취 후 올리브오일을 투여한 대조군, 사염화탄소$(CCl_4)$를 투여한 실험군 1 (Exp 1), 생식을 급이한 후 사염화탄소를 처리한 실험군 2 (Exp 2)로 나누어 간내 효소, 단백질 및 조직학적 분석을 통하여 생식의 간보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혈청 AST 수치는 대조군에서 $135.50{\pm}121.84\;IU/L$, 실험군 1에서 $4808.07{\pm}1492.94\;IU/L$, 실험군 2에서 $1799.20{\pm}1182.27\;IU/L$로 나타났으며, ALT 수치는 대조군에서 $27.60{\pm}15.04\;IU/L$, 실험군 1에서 $7317.60{\pm}2137.51\;IU/L$, 실험군 2에서 $2902.20{\pm}2302.71\;IU/L$로 나타났다(p<0.01). ALP는 대조군에서 $279.90{\pm}38.32\;IU/L$, 실험군 1에서 $329.7{\pm}50.65\;IU/L$, 실험군 2에서 $427.80{\pm}85.36\;IU/L$로 나타났다. 이는 실험군 2와 실험군 1, 실험군 2와 대조군 사이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또한 조직학적인 관찰에서도 실험군 1과 실험군 2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사염화탄소를 처리한 실험군 1은 육안관찰과 광학현미경 관찰에서 심한 조직괴사가 관찰되었지만 실험군 2에서는 육안검사 상 정상조직과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광학현미경 관찰에서는 중심정맥 주위로 약간의 괴사와 심한 호중구 침윤현상을 보여주었다. 생식에 함유된 저분자량의 생리활성 물질은 다양한 페놀 화합물(phenolic compounds)로 구성되어 있으며, 항산화작용으로 대표되는 수많은 생리활성기능을 가지고 있다. 곡류 원료의 대표적인 식물성 생리활성물질(phytonutrients)로서 곡류에는 phytoesterogen, lignan, phytic acid, 콩에는 phytoesterogen (isoflavon), phytosterol, saponiu, 과채류에는 carotenoid, flavonoid, 유기황 복합체 (organosulfur compounds), 버섯류에는 alkaloid, polypeptide, nucleoside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모든 곡류에는 arabinoxylan과 ferulic acid와 같은 식물성 생리활성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생식은 곡류의 phytochemical의 활성을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섭취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식이 직접적인 간보호 효과를 보임으로써 건강기능성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생식의 효과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Saengshik which is food not to apply heat is expected to have good effect on the body because metabolic enzymes are preserved in it. In fact, despite of enlargement of saengshik market, the researches on the effect of saengshik are insufficient. So,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saengshik against $CCl_4-inducing$ hepatotoxicity in ICR mice. As the result of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AST (SGOT) and ALT (SGP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saengshik and $CCl_4$ as compared with experimental group 1 treated with $CCl_4$ only (p<0.01). ALP was significantly higher at experimental group 2 compared wi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1 (p<0.01). In histological study, experimental group 1 treated with $CCl_4$ only showed severe necrosis all over the liver at the gross observation, and showed severe perivenular necrosis and individual hepatocytic degeneration. However experimental group 2 was not near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 in appearance and showed mild perivenular necrosis and dominant sever neutrophil infiltration surrounding central vein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CCl_4-inducing$ hepatotoxicity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functional health food. However, further studies about the effect of saengshik may be needed.

      • KCI등재

        사염화탄소를 처리한 생쥐에서 석류종자기름의 간보호 효과

        김동희,등영건,이영미,윤양숙,권기록,박대복,박승규,이규재,Kim, Dong-Heui,Deung, Young-Kun,Lee, Young-Mi,Yoon, Yang-Suk,Kwon, Ki-Rok,Park, Dae-Bok,Park, Seung-Kyu,Lee, Kyu-Jae 한국현미경학회 2006 Applied microscopy Vol.36 No.3

        최근 석류씨 기름은 항암효과를 포함하여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는 BALB/c 생쥐에 석류씨 기름을 처리한 후 사염화탄소를 주사하여 석류씨 기름이 간 독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올리브 기름만을 처리한 대조군, 사염화탄소만을 처리한 실험군1, 및 사염화탄소를 처리한 후 석류씨 기름을 구강투여한 실험군2로 나누어 24시간 후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내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SGOT),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SGPT), total protein, albumin, total bilirubin, direct bilirubin 및 alkaline phosphatase의 함량을 측정하였고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AST와 ALT는 대조군에서 각각 $88.70{\pm}14.90$ 및 $22.00{\pm}3.12IU/L$, 실험군 1에서 $1963.70{\pm}1212.90$ 및 $4495.40{\pm}2803.60IU/L$ 그리고 실험군2에서 $432.20{\pm}260.10$ 및 $692.30{\pm}433.10IU/L$이었으며 실험군2에서의 측정값은 실험군 1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5). 간조직을 관찰한 결과 사염화탄소를 처리한 실험군1에서는 문맥을 제외한 중심정맥 주위에서 간조직의 심한 응고성 괴사가 관찰되었고, 괴사조직 가장자리 주위로 지방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하여 석류씨 기름을 처리한 군에서 중심정맥 주위의 간실질 조직의 괴사가 실험군1에 비하여 현저히 줄어들었고, 간세포의 지방변성은 계속 관찰되었으나 용해소체의 감소와 미토콘드리아가 실험군1에 비해서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석류씨 기름이 간보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the pomegranate seed oil (PSO) has been reported to have various efforts including anti-cancer effec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liver-protecting effect of the PSO on the hepatotoxicity induced by $CCl_4$ using the BALB/c mice. The PSO was made from dried seeds of black pomegranate (Punica grantum) by heating and squeezing. The expre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3 groups; control group treated with olive oil only, experimental group 1 treated with $CCl_4$ only, and experimental group 2 treated with PSO and $CCl_4$. 24 hours after injection of $CCl_4$ into the peritoneal cavity, we collected the blood samples to measure the level of serological factors;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total protein, albumin, total bilirubin, direct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Simultaneously we observed the histological change of liver under th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 As the result, AST and ALT showed $88.7{\pm}14.9IU/L\;and\;22.0{\pm}3.12IU/L$ in the control group, $1963.7{\pm}1212.9IU/L\;and\;4495.4{\pm}2803.6IU/L$ in the experimental group 1, and $432.2{\pm}260.1IU/L\;and\;692.3{\pm}433.1IU/L$ in the experimental group 2. The experimental group 2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compared with experimental group 1 (P<0.005). In histological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2 was recovered than experimental group 1 which had abnormal mitochondria, increase of lysosomes, and severe necrosis at the central vein zon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SO had the liver protecting effect. However, The further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gredients of pomegranate seed and liver protecting effect is in need.

      • KCI등재

        경골어류 시클리드과 크리벤시스(Pelvicachromis pulcher)의 난자형성과정

        김동희,장병수,등영건,권중균,이명선,이귀영,이규재,Kim, Dong-Heui,Chang, Byung-Soo,Teng, Yung-Chien,Kwon, Jung-Kyun,Lee, Myeong-Seon,Lee, Gui-Young,Lee, Kyu-Jae 한국현미경학회 2010 Applied microscopy Vol.40 No.2

        경골어류, 시클리드과(Cichlidae)에 속하는 크리벤시스(Pelvicachromis pulcher)의 난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크리벤시스의 난소는 한 쌍으로 부레와 창자사이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황색을 띠었다. 난소의 형태는 장타원형(장축 20 mm, 단축 5 mm)이었다. 초기난원세포는 진한 파란색으로 염색되었으며 발달함에 따라서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hematoxylin으로 초기의 난원세포에 비하여 파란색으로 낮게 염색되었으며 핵 안에 여러 개의 인들이 초기시기의 난원세포와 같이 핵막 안쪽에만 배열하는 특징을 보였다 발달함에 따라서 제1난모세포(primary oocyte)는 커졌으며 초기 난원세포에 비하여 색상은 좀 흐려져 보라색에 가깝게 관찰되었고 난막은 관찰되지 않았다. 난황포(yolk vesicle)들은 핵 주변부에는 관찰되지 않았고 세포질의 가장자리에만 국한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1난모세포가 발달함에 따라서 난황포는 바깥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증식되어 핵 쪽으로 이동되었으며 제2난모세포는 세포질이 전체적으로 호산성이었으며 난황포가 세포질 전체에 분포하였다. 일부 난황포는 작은 난황괴를 형성하기 시작하였으나 핵 주변부에서는 난황괴 형성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성숙한 난자는 난자의 크기가 상당히 커졌으며 난황포는 더욱 발달하여 난황괴(yolk mass)를 이루고 있었고 성숙난의 난황괴를 확대한 결과 난황괴속에 염색밀도가 낮은 다각형 또는 타원형의 결정구조물들이 채워져 있었다. 이상과 같이 크리벤시스의 난자형성과정은 난세포의 크기증가, 난황낭의 축적, 세포질 내 염기성 물질이 산성으로 전환 및 난막의 발달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다른 과의 담수경골어류와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난황포의 배열방식과 난황괴의 형태는 다른 종과 구별되는 종특이성이다. Kribensis, Pelvicachromis pulcher is a teleost belonging to Cichlidae. The oogenesis was investigated by light microscope. The ovary was located between intestine and air bladder, a yellowish and ellipsoidal shape with the major axis 20mm and the minor axis 5 mm. Cytoplasm of oogonia in early stage was basophilic and many nucleoli were located at inside of nuclear membrane. In primary oocytes, yolk vesicles were distributed only in the marginal area and egg envelope was not formed on the outside of an egg. In secondary oocytes, the egg envelope was formed and yolk vesicles in the cytoplasm were increased than the earlier stage. The basophilic substance of cytoplasm was changed to acidic. Some yolk vesicles started forming small yolk mass except the surrounding nucleus. In case of matured egg, size of egg were increased. The yolk vesicles were changed to yolk mass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The yolk mass contained crystal-like structures. In conclusion, the oogenesis of Pelvicachromis pulcher was summarized by the increase in cell size, the formation and the accumulation of yolk, and the decrease of basophilic substance in the cytoplasm. The oogenesis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is similar with other teleost.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yolk vesicle and yolk mass containing cristal-like structures.

      • KCI등재

        경골어류 카라신과 Hyphessobrycon serpae의 수정란 난막 미세구조

        김동희,등영건,이규재,Kim, Dong-Heui,Deung, Young-Kun,Lee, Kyu-Jae 한국현미경학회 2005 Applied microscopy Vol.35 No.2

        카라신과(Characidae)에 속하는 Hemigrammus ocellifer, Gymnocorymbus ternetzi 및 Hemigrammus caudovittatus 의 경우 동물극 쪽에 정자의 통로인 난문 (micropyle)이 있으며, 3종 모두 난문 주위에 난막의 융기선이 방사형으로 위치하여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지만 난막의 단면구조는 종에 따라서 서로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난문의 구조가 카라신과 어류의 공통적인 과의 특성인지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카라신과 어류에서 난문의 구조가 과의 공통적인 특징인지 아니면 종만이 가지는 종특성인지를 확인하고 계통분류학적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Hyphessobrycon serpae의 수정란과 난막의 외부 및 내부형태를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하였다. Hyphessobrycon serpae의 수정란은 구형의 무색투명한 부착성 및 침성란으로 유적 (oil droplet)과 부속사는 관찰되지 않았다. 동물극 쪽에 수정을 위한 정자의 통로인 한 개의 난문 (micropyle)이 관찰되었고, 난문 주위에는 난막의 융기선이 방사형으로 배열하고 있었으며 난막의 융기선은 $13{\sim}15$개로 수정란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난막의 표면은 산란상에 부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망상형의 섬유상 구조물들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이 망상구조물 내부에 pore canal이 산재하고 있었다. 수정란 난막의 두께는 $0.9{\sim}1.0{\mu}m$였으며 3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외층은 부착기능을 하는 전자밀도가 가장 높은 섬유상층이었고, 중층은 표면에서 관찰되었던 pore canal들이 중층이 끊어진 형태로 완전히 관통되어 있었으며 내층은 전자밀도가 서로 다른 $6{\sim}7$층의 다층구조를 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Hyphessobrycon serpae의 수정란 난막의 미세구조적 특징은 이 종만이 가지는 독특한 형태학적 형질로서 종을 분류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난문 주위에 난막의 융기선이 방사형으로 배열하고 있는 것은 카라신과 어류의 공통적인 과 (Family)의 특성으로 생각된다. The ultrastructures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 from Hyphessobrycon serpae belonging to Characidae was studied using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s to get systematic fundamental data for classification of species and to confirm whether micropyle is a common trait of Characidae or not. The fertilized egg was of colorless, transparent, spherical, adhesive and demersal type. There were not oil droplets in vitelline membrane and attached structures in the outside of fertilize egg envelope. The egg envelope had a single micropyle resembling the pathway of sperm in the area of the animal pole. The micropyle was surrounded by 13 to 15 protruded lines of the egg envelope in a radiated form. The outer surface of fertilized egg envelope was covered by reticular adhesive fibrous structures and irregularly arranged by pore canals. The fertilized egg envelope consisted of three distinct layers an outer adhesive fibrous layer with high electron density, a middle layer with pore canals, and an inner layer consisting of 6 to 7 lamellae alternating layers with interlamellae of lower electron density. These ultrastructural characters of fertilized egg envelope form Hyphessobrycon serpae can be utilized in taxonomy of teleost, and as fundamental data for study on early development of fertilized egg. It seems that the morphology of micropyle is a common trait of Characidae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