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중 응급 원격진료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평가

        김도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can adapt emergency telemedicine systems in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ies and increase of network bandwidth. The emergency telemedicine service can be applied to a public health center, a school, a prison and islands in lacks of medical equipments and medical staffs. Also we send the patient's vital sign and video data at the hospital when a emergency patient at the transport using ambulance. Accordingly the emergency telemedicine services which can be provided high quality medical services. However, currently telemedicine systems have offered one(Doctor) to one(Patient) telemedicine service. So, I suggested multi to multi telemedicine service i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s.I designed the multiple control server system consisting 4 sub-function, patients and doctors list, network types, connection states and computer equipments. The emergency telemedicine link configuration was decided as 'Flowing', or 'By-passing' in accordance the network type and bandwidth of patient systems or doctor systems. The multiple control server system was performed the best communication configuration over heterogeneous networks. This system was achieved high quality emergency telemedicine services through dynamic wired and wireless networks at real-time.This study represented a hybrid multimedia telemedicine system over heterogeneous networks in emergency cases. I expected that the designed system could provide not only the high quality services, tele-diagnosis and tele-consultation, but also the effective emergency telemedicine services to multi-patients in the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s. 최근 IT(Information Technology) 및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의료 시스템 분야에 적용하여 응급 원격진료라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응급 원격 진료 서비스는 인력 및 장비가 부족한 보건소, 학교, 도서지역 등에서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때, 2, 3차 의료기관의 전문의와 연결하여 원격 자문과 원격 진단을 할 수 있다. 또한 이송중인 응급환자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응급의 측에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환자가 응급실에 도착하기 전에 치료 준비를 할 수 있다.현재의 응급 원격진료 서비스는 환자와 전문의가 1:1 통신 방식으로 환자의 연결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은 응급환자가 동시에 많이 발생 했을 때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 받지 못하며, 협력진료가 요구되는 응급환자의 경우 여러 전문의와 협력진료를 할 수 없다.원격진료 시스템을 이용하는 환자와 전문의, 응급의는 다양한 통신망을 사용한다. 즉, Wibro, HSDPA와 같은 무선통신망과 VDSL, ADSL과 같은 유선통신망을 사용하여 원격진료 서비스를 이용한다. 서로 다른 통신망은 대역폭의 차이와 공인IP, 사설IP의 특성으로 서로 통신하는데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통신 환경에서도 원활한 원격진료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도록 새로운 시스템 구성이 필요하다.응급 원격진료 서비스를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원활하게 서비스하고 환자와 의사의 연결 리스트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며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다중접속 제어서버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다중접속 제어서버는 응급 원격진료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구성원들의 통신망 상태와 특성을 분석하여 안정적으로 서비스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고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이 심리적 안녕감, 학교적응유연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도윤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martphone use on psychological well-being,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and self-esteem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descriptive survey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a convenience sample of 533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given to the students from June 20 to July 12, 2016. Smart phone addiction scale was develop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2011).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was developed by Ryff(1989) and translated by Cho and Cha(1998) and modified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Kim(2012).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Scale was developed by Hernandez(1993) and modified by Park(1998). And self esteem was developed by Rosenberg(1965) and translated by Chun(197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and Scheffé test for post-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22.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smart phone use level of the subjects, the general user group of 416 students(78.1%), the potential risk user group of 104 students(19.5%) and a high risk user group of 13 students(2.4%) were identified. 2. The mean score of the subjects' smart phone use was 1.75. The mean sco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and self-esteem were 3.06, 3.31 and 3.15 respectively. 3. Difference in smart phone use, psychological well-being,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and self-estee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1) Smart phone us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F=9.82, p<.001), average daily use time(F=48.97, p<.001) and intended use(F=7.79, p<.001). 2)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F=17.28, p<.001), smart phone type(F=3.06, p<.05), average daily use time(F=22.34, p<.001) and intended use(F=3.58, p<.01). 3)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F=11.09, p<.001), average daily use time(F=25.15, p<.001) and intended use(F=3.42, p<.01). 4) Self-esteem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F=7.98, p<.001), average daily use time(F=16.79, p<.001) and intended use(F=2.34, p<.05). 4.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mart phone use and psychological well-being(r=606, p<.001). Negative correlations were noted between smart phone use and school adjustment resilience(r=-.553, p<.001); between smart phone use and self-esteem(r=-.445, p<.001). 5.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virtual world orientation(β=-.268), difficulty of daily living(β=-.170), tolerancevβ=-.169) and withdrawal (β =-.124)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nd explained/accounted for 36% of psychological well-being.; Tolerance(β=-.332) and virtual world orientation(β=-.130)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nd explained/accounted for 27.1% of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Virtual world orientation(β =-.224) and tolerance(β=-.175)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nd explained/accounted for 17.8% of self-esteem.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reducing the desire to use smart phone instead of issuing simple regulations in order to stop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cessive use of smart phone, and practical programs should be activated to prevent them from being addicted to smart phone.

      • 화교 청소년과 한국 청소년의 학업적 성취동기에 관한 비교 연구

        김도윤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hinese-Korean adolescents' with Korean adolescents's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parental expectation, teacher expectation, self-efficacy. The subjects if this research are 492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2th and high school 2th grade who are from Chinese-Korean school and Korean school in Seoul and Incheon. The data from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program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α, Two-Way ANOVA. The major result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related variable of adolescents besides mastery goal of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such as the cultur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nese-Korean and Korean adolescents in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That is, Chinese-Korean adolescents are more high than ones in Korean adolescents. Besides, at performance goal subfactor of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culture and grade have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related variable of grade and cultur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nese-Korean and Korean adolescents in task-values subfactor of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That is, Chinese-Korean adolescents are more positive on school-learning than ones in Korean adolescents, and juniors in middle school are more positive on school-learning than ones in high school. Second, According to related variable of grad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nese-Korean and Korean adolescents in parent expectation. That is, juniors in middle school are more positive than ones in high school. Third, According to related variable of grade and cultur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nese-Korean and Korean adolescents in teacher expectation. That is, Chinese-Korean adolescents are more positive than ones in Korean adolescents, and juniors in middle school are more positive than ones in high school. Forth, according to related variable of adolescents besides self-regulatory efficacy subfactor of self-efficacy, such as the cultur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nese-Korean and Korean adolescents in self-efficacy. That is, Chinese-Korean adolescents are more high than ones in Korean adolescents. Besides, at task difficulty preference subfactor of self-efficacy among culture and grade have interaction effect. In conclusion,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parent expectation, teacher expectation, self-efficacy are difference between Chinese-Korean and Korean adolescents. Also,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parent expectation, teacher expectation, self-efficacy are difference as adolescents's grade. 본 연구는 화교 청소년과 한국 청소년의 학년에 따른 학업적 성취동기, 부모기대 및 교사기대,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오랜 정착의 역사에 비해 연구가 미흡했던 한국의 화교 청소년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및 인천에 거주하는 화교 중·고등학교 및 한국 중·고등학교 학생 4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성취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문은식(2002)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부모기대는 백영배(1985)가 제작한 기대 척도 중 부모기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교사기대는 백영배(1985)가 제작한 기대 척도 중 교사기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기효능감은 차정은(1997)이 개발하고 김아영(1997)이 수정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고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성취동기 하위요인 중 숙달목표는 문화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화교 청소년은 한국 청소년보다 학교 학습을 자신의 발달이나 자아실현의 기회로 보는 경향이 더 컸다. 학업적 성취동기 하위요인 중 수행목표는 문화와 학년간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분석 결과, 한국 고등학생이 화교 고등학생보다 학교 학습을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는 수단으로서 보는 경향이 더 컸다. 학업적 성취동기 하위요인 중 성취가치는 문화와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화교 청소년이 한국 청소년보다 학교 학습을 더 가치있게 여겼으며,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학교 학습을 더 가치있게 여겼다. 반면 학업적 성취동기 하위요인 중 학업효능감은 문화와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기대는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부모의 기대를 더 긍정적으로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기대는 문화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기대는 문화와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화교 청소년이 한국 청소년보다 교사의 기대를 더 긍정적으로 높게 지각하였으며,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교사의 기대를 더 긍정적으로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효능감은 문화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화교 청소년이 한국 청소년보다 어떤 과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자신의 능력을 잘 사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효능기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과제난이도선호에서는 문화와 학년간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추후분석 결과, 화교 고등학생이 한국 고등학생보다 좀 더 도전적이고 어려운 목표의 과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자신감은 문화와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살지만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는 화교 청소년과 한국 청소년의 학업적 성취동기, 부모기대 및 교사기대, 자기효능감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오랜 정착의 역사에 비해 연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던 화교 청소년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여 다문화 사회에서 이들을 이해하고 더불어 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공무원의 비난회피 행태에 관한 연구 : 비난회피의 이론화와 측정도구 개발

        김도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scale and analyze the causes of blame-avoidance behavior in public employee. Public organizations cannot be completely independent of the political sphere and, unlike private organizations, they are in a particular situation of accountability. Therefore, public organizations cannot always be free from the risk of 'blame'.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ians and policy-makers, losses from "blame" outweigh gains from "credit". This is called negativity bias. Consequently, they almost choose a 'blame-avoidance' strategy from the options of 'blame-avoidance' and 'credit-claiming'. This logic can also be applied at the individual level of a public organization. In this research, we view employee of public organizations as individuals who maximize their own interests. And employee of public organizations have an incentive to avoid 'blame' that could negatively affect career development, personnel performance and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face of the danger of "blame", employee have a strategy to cope with it, which is called blame-avoidance strategy. The blame-avoidance behavior by an individual in public organization can also be seen as a sort of organizational politics. While, in existing research, organizational politics can be seen as a deceptive and selfish behavior to actively and directly maximize self-interest, blame-avoidance can be seen as a passive but selfish act to minimize self-loss within the organization. When employee’s blame-avoidance behavior is prevalent within an public organization, there are no individuals who want to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and even pursue the public interest. Therefore, whether there is a blame-avoidance behavior within a public organization, and how it should be addressed, is an important issue in terms of the public interest. Nevertheless, previously, most of the blame-avoidance studies have attempted to explain the behaviors of politicians and policy-makers limitedly. Therefore, studies suggesting prescription have been limited, only explaining the fact that there is a phenomenon of blame-avoidance behavior. In addition, in the study of organizational politics, only aggressive and active organizational politics has been noted, but rather passive forms of organizational politics, which are expected to be more related to employee, have been overlooked.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figures out whether there is a blame-avoidance behavior at the individual level in public organizations. The definition of blame-avoidance behavior in public organization is defined as 'strategic behavior to escape from the blame that is expected or arising from one's decision-making in the course of one's duties. In addition, blame-avoidance behavior is categorized as a ‘blame-shifting’ which means passing the arrow of blame back to oneself to others, such as superiors, colleagues,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in a more active concept and ‘hiding from blame’ which refers to the passive attitude of trying to hide from the public in the course of performing one's duties in order not to be blamed. Based on this, scale measuring each type of blame-avoidance behavior was developed and validated. The initial items was developed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and fixed the final items through three tim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nomological validity, the relationship between blame-avoidance behavior and the causes was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has sufficiently confirm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ment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In nomological validity test, the cause of the blame-avoidance was established as an organizational, job and personal characteristic and analyzed regressio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cluded authoritarian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justice and LMX, and job characteristics included three factors: task importance, job autonomy and feedback. Finally, the model was constructed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elf-efficacy. For more precise relationship validation, from Model 1 to Model 5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variables and each type of blame-avoidance, and all variables were put into the last Model 6. First of all, in the model with individual variables, authoritarian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justice, LMX, feedback, and self-efficacy have been shown to affect the blame-avoidance. Specifically, authoritarian organizational culture increased blame-avoidance, while the other variables eased blame-avoidance. Howev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ost variables has disappeared due to the strong effect of authoritarian organizational culture in Model 6. And in the Model 6 including all variables, the authoritarian organizational culture has increased both blame-shifting and hiding from blame, while interactive justice has reduced only hiding from blame. The analysis confirmed that authoritarian organizational culture should be preempted in order to ease blame-avoidance behavior. Also, whether feedback, interactive justice or LMX, the fact that appropriat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 and employee can mitigate blame-avoidance was confirmed.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ated scale to identify blame-avoidance behavior in individual levels in public organizations, thus, paving the way for the use of blame-avoidance concepts in future research on organizational behavior. This is expected to break away from indirect or theoretical discussions through case analysis and serve as a foundation for empirical analysis of public organizational employee's blame-avoidance behavior. 이 연구는 공공조직 구성원들에게서 나타나는 비난회피 행태를 규명하기 위하여 측정도구를 개발․타당화 하고, 비난회피의 원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조직은 정치적 영역에서 완전히 독립적일 수 없으며 민간조직과 달리 대중에 대한 책임성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처해 있다. 따라서 공공조직은 항상 ‘비난’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정치인, 정책 결정자의 입장에서 ‘비난’으로 인한 손실은 ‘호평’으로 인한 이익보다 크게 다가온다. 이를 부정성 편향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들은 ‘비난회피’와 ‘호평추구’의 선택지에서 거의 ‘비난회피’ 전략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논리는 마찬가지로 공공조직 구성원 개인 수준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조직 구성원을 자기 이익을 극대화하는 개인이라는 시각에서 바라본다. 그리고 공공조직 구성원들은 경력개발, 인사고과, 성과평가 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비난’으로부터 회피하려는 동기를 가진다. ‘비난’이라는 위험에 직면했을 때, 조직구성원은 이에 대한 대처 전략을 세우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비난회피’ 전략이다. 조직구성원 개인의 비난회피 행위는 일종의 조직정치로도 볼 수 있다. 기존의 조직정치를 적극적이고 직접적으로 자기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만적이거나 이기적인 행위로 볼 수 있다면, 비난회피는 조직 내에서 자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소극적이지만 이기적 행위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조직 내에서 구성원의 비난회피 행위가 만연할 때, 조직 목표의 달성, 나아가 공익을 추구하려는 개인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공공조직 내에서 비난회피 행태가 존재하는지, 그렇다면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지는 공공이 이익이라는 관점에서 중요한 문제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비난회피 연구는 대부분 정치인, 정책결정자의 행위를 설명하려는 시도가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현상적으로 비난회피 행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설명할 뿐, 처방성을 가지는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또한 조직정치 연구에서 역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조직정치만이 주목받아 왔을 뿐, 오히려 더 많은 조직구성원들이 해당될 것이라 예상되는 소극적인 형태의 조직정치는 간과되어왔다. 이러한 배경 하에 이 연구는 공공조직 구성원 개인 단위에서 비난회피 행태가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직 내 비난회피 행태의 정의를 ‘조직 내 직무 과정에서 자신의 의사결정에 따라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되거나 발생한 비난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전략적 행위’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비난회피 행태를 전가형․은신형 비난회피로 유형화하였다. 전가형 비난회피란, 보다 적극적인 개념으로 본인에게 돌아오는 비난의 화살을 타인, 동료, 외부환경 등 다른 대상에게 전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은신형 비난회피는 애초에 비난의 대상이 되지 않기 위해 직무 수행과정에서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숨으려고 하는 소극적 태도를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각 유형의 비난회피 행태의 측정도구를 개발 및 타당화 하였다. 이론적 논의를 통해 최초의 문항을 개발하고 3번에 걸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문항을 확정하였다. 그리고 측정도구의 이해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공공조직 구성원의 비난회피 행태를 야기하는 원인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통계적 분석 결과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는 충분히 확인되었다. 이해타당도 검증에서, 비난회피 행태의 원인을 조직적․직무적․개인적 특성으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조직적 특성에는 권위주의 조직문화, 조직공정성, LMX를 포함하였으며 직무특성으로는 과업중요성, 직무자율성, 피드백 세 가지 요인을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특성으로는 자기효능감을 포함하여 모형을 구성하였다. 보다 정밀한 관계 검증을 위해 모형1부터 모형5까지는 개별 변수와 각 비난회피 유형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마지막 모형6에서 모든 변수를 투입하였다. 우선 개별 변수들을 투입한 모형에서, 권위주의 조직문화, 조직공정성, LMX, 피드백, 자기효능감이 비난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권위주의 조직문화는 비난회피를 증가시켰고, 나머지는 비난회피를 완화하였다. 그러나 모든 변수들을 투입한 모형에서는 권위주의 조직문화가 강하게 나타나면서 다른 변수들의 통계적 유의미성이 사라졌다. 그리고 모든 변수들을 투입한 모형에서, 권위주의 조직문화가 전가형과 은신형 비난회피를 모두 증가시킨 반면, 상호작용공정성이 은신형 비난회피만을 감소시켰다. 분석결과를 통해 비난회피 행태의 완화를 위해서는 권위주의 조직문화가 선결되어야 할 문제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피드백이든 상호작용공정성이든 LMX든, 상관과 구성원 사이의 적절한 관계가 비난회피 행태를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공공조직 구성원 개인 단위에서 나타나는 비난회피 행태를 규명하기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타당화 하여 향후 조직행태 연구에서 비난회피 개념이 활용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사례분석을 통한 간접적 논의나 이론적 논의에서 탈피하여 공공조직 구성원의 비난회피 행태를 실제로 측정하고 실증 분석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 SHELL 모델과 HFACS를 활용한 영국 민간 무인항공기 사고 요인 특징 분석

        김도윤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민간 무인항공기 산업은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지만, 잠재적인 위험으로 인해 사고 발생 가능성은 증가하고 있다. 유인항공기 분야에서는 인적요인에 의한 사고 비율이 70% 이상을 차지하며, 기술적인 측면 외에도 인간의 행동, 판단, 실수 등이 항공사고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무인항공기 분야에서도 부실한 훈련, 운영자의 규정 미준수, 실수, 판단 오류, 잘못된 프로그래밍 설정, 부적절한 소프트웨어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원인으로 사고가 발생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영국에서 발생한 민간 무인항공기 사고 및 준사고 보고서 40건이 언급한 143건의 사고 원인 SHELL 모델과 HFACS를 기반으로 운용자와 장비 간의 상호작용 실패의 능동적인 원인과 잠재적인 원인으로 분류하여 심층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동화 장치의 부정확한 기능・로직, 무인기 시스템의 부적절한 설계 문제 등이 조종자의 인적요인에 의한 사고를 유발시키는 주요 원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고 장치가 적절한 정보나 경고를 제공하지 않거나 오작동하는 경우에 운용자가 중요한 정보를 놓치고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없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 또한, 장비의 기술적인 문제임을 확인하였다. 기술적 문제 이외에 절차적 문제인 체크리스트의 부적절한 이행과 운영 절차나 규정의 미준수 등도 사고의 기여 원인으로 파악하였다. 아울러 운용자가 무인항공기의 소프트웨어 설정을 잘못하여 원하는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예기치 않은 동작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적절한 판단 및 대응 능력이 부족한 점도 주요사고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이러한 결과, 무인항공기의 사고는 단순히 기술적 결함으로 발생하지 않고, 운용자와 기기 간의 상호작용 실패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e increasing likelihood of accidents in the civil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ndustry due to potential risks associated with pilot error, negligence and mechanical failure. Despite advances in advanced equipment and technology with advanced sensors and communication system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worker limitations and the cause of accidents caused by mechanical problems. This study aims to analyze civilian UAV accidents in the UK by applying the SHELL model and HFACS, and to contribute to the safety and accident prevention of civilian UAVs by identifying the main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accidents.

      •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지수 개발 : 시설 이용자에 따른 건강영향 기반

        김도윤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규칙과 학교보건법 시행규칙이 개정 및 신설되는 등 실내공기질 관리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한국인들의 일일 평균 실내 거주시간은 20.66시간으로 하루 중 대부분을 실내공간에서 활동한다. 다중이용시설의 시설 수 증가와 시설 이용 증가에 따라 다중이용시설의 안전한 실내공기질 관리 및 조성이 필요하다. 특히, 어린이와 노인, 학생 등 민감계층은 동일한 공기질 오염수준에서 일반인보다 치명적인 건강영향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민감계층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공기질은 더욱 엄격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의 주 이용자층에 따른 건강영향을 기반으로 시설별 실내공기질지수 (IAQI)를 개발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수집된 시설별 농도자료에 적용하여 개발된 지수와 기존지수를 비교 평가하였다. 학교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전국 46개교를 대상으로 광산란 방식의 측정기를 통해 교실 내 실시간 PM10, PM2.5, CO2 농도자료를 수집하였고, 어린이집과 노인요양시설은 각각 경기도 내 78개소와 9개소를 대상으로 IoT 측정센서를 통해 실내 PM10, PM2.5, CO2 농도자료를 수집하였다. 상대적인 비교를 위한 기존지수는 대기오염물질의 오염도를 나타내는 통합대기환경지수 (CAI)와 2008년 대만에서 제시한 실내공기질지수 (T-IAQI)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내공기질지수는 시설에 따른 주 이용자층의 연령별 위험성 지수 (Hazard Quotient)를 고려하여 0-500의 지수값을 총 6개 등급 (좋음, 보통, 주의, 나쁨, 매우 나쁨, 위험)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등급별 기준농도와 건강영향은 위험성 지수 계산을 바탕으로 위해성 기반 기준들을 고려하여 설정 및 정의하였다. 또한, CAI의 통합지수 (Comprehensive Index)를 참고하여 오염물질들의 개별 등급을 보지 않더라도 현재의 공기질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PM10과 PM2.5, CO2를 통합하여 1개의 지수점수로 나타내는 종합지수 (Composite Index)를 설정하였으며, 개발된 지수는 시설에 따라 학교는「IAQI-S」, 어린이집은「IAQI-C」, 노인요양시설은「IAQI-E」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IAQI-S와 CAI를 학교에서 측정한 오염물질별 농도에 적용하여 비교한 결과, IAQI-S의 종합지수는 전체 데이터 중 ‘좋음 (Good)’ 27.6%; ‘보통 (Moderate)’ 47.8%; ‘주의 (Caution)’ 21.5%; ‘나쁨 (Unhealthy)’ 2.8%; ‘매우 나쁨 (Very Unhealthy)’ 0.3%, ‘위험 (Hazardous)’ 0.0%의 분포가 나타났으며, 비교 평가한 CAI의 통합지수는 ‘좋음 (Good)’ 40.3%; ‘보통 (Moderate)’ 35.2%; ‘나쁨 (Unhealthy)’ 22.6%; ‘매우 나쁨 (Very Unhealthy)’ 1.8%로 분포되었다. 즉, CAI는 ‘좋음 (Good)’ 등급의 분포가 CAI 대비 감소하고, ‘보통 (Moderate)’ 이상 등급의 분포가 증가하여 IAQI-S보다 건강영향이 적은 방향으로 표현하였다. IAQI-C와 IAQI-E를 각각 어린이집과 노인요양시설에서 측정한 농도자료에 적용한 결과, IAQI-C의 종합지수는 ‘좋음 (Good)’ 4.0%; ‘보통 (Moderate)’ 67.2%; ‘주의 (Caution)’ 15.7%; ‘나쁨 (Unhealthy)’ 12.3%; ‘매우 나쁨 (Very Unhealthy)’ 0.8%, ‘위험 (Hazardous)’ 0.0%의 분포가 나타났으며, IAQI-E의 종합지수는 ‘좋음 (Good)’ %; ‘보통 (Moderate)’ 67.2%; ‘주의 (Caution)’ 15.7%; ‘나쁨 (Unhealthy)’ 12.3%; ‘매우 나쁨 (Very Unhealthy)’ 0.8%, ‘위험 (Hazardous)’ 0.0%의 분포가 나타났다. IAQI-C와 IAQI-E를 CAI와 비교한 결과, CAI가 IAQI-C와 IAQI-E보다 건강영향을 적은 방향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통해 CAI는 학교,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 내 공기질을 표현하기에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결정적으로 CAI는 실내공기질의 지표물질로 알려진 CO2 지수가 없으므로 실내공기질을 재실자 및 관리자에게 전달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개발지수 (IAQI-S, IAQI-C, IAQI-E)를 대만에서 제시한 실내공기질지수 (T-IAQI)와 비교한 결과, PM10과 PM2.5는 T-IAQI가 개발지수보다 건강영향이 적은 방향으로 표현하였으며, CO2는 T-IAQI가 개발지수보다 건강영향이 큰 방향으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학교와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 현장조사 데이터에 T-IAQI를 적용하였을 때, ‘Good’ 등급에 포함된 CO2 데이터가 전체 CO2 데이터 중 각각 7.3%, 0.0%, 0.4% 포함되었으며, 상위 2개 등급인 ‘Very Unhealthy’와 ‘Hazardous’ 등급에는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아 중간 등급에 데이터가 밀집되어 CO2 배경농도를 고려한 CO2 지수의 기준농도를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T-IAQI는 학교,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 내 공기질을 표현하기에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발지수와 기존지수 (CAI, T-IAQI)의 기준농도에 따른 위험성지수를 비교한 결과, 기존지수는 동일한 등급에서 다른 건강영향을 나타냈다. 즉, PM10과 PM2.5가 동일한 지수값을 갖더라도 건강영향은 PM2.5가 더 많은 건강영향을 나타냈다. 반면, 개발지수는 동일한 등급에서 동일한 건강영향을 나타냄으로써 재실자들이 정확한 등급별 건강영향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개발지수는 기존지수보다 대상 시설들의 공기질을 나타내는데 적합하였고, 종합지수의 개발로 재실자들이 쉽게 현재 공기질을 인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상황판단검사의 지시문 유형과 구조화된 면접의 질문 유형 간 관련성 분석

        김도윤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se instructions of situational judgement test and the structured interview types, (2)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two situational judgement tests on contexture performance and task performance, and (3) incremental validities of the two situational judgement tests combined with personality test and structured interviews. A total of 177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2 x 2 between subject factorial design with interview types(behavior description interview, situational interview) and response instructions of situational judgement test(knowledge response instruction, behavioral tendency response instruction) was used. The Big 5 personality test and contextual performance questionnaire was also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ituational judgement tes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ituational interview, and the situational test of behavioral tendency response instruction showed relatively higher correlation with situational interview than the situational test of knowledge response instruction. The results also demonstrated that the situational judgement test of behavioral tendency response instruction had higher correlation with the criterion of contextual performance, while the situational judgement test of knowledge response instruction showed stronger relationship with the criterion of task performance. In addition, the incremental validity of the situational test of knowledge response instruction over both personality test and behavioral description interview on contextual performance was supported. Used with personality test and behavioral description interview, the situational test of behavioral tendency response instruction had incremental validity in predicting contextual performance. Finally,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지역사회 정신보건 프로그램 환경이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도윤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Community mental health settings include a macroscopic environment comprising policies or delivery systems and a microscopic environment like programs of the organizations providing mental health servic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s on the recovery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PPD)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which is a core element of recovery. After preceding researches have been examined, a research model is set up, whose potential variables are community-oriented program environment (COPE), self-efficacy, and recovery of PPD and then the direct effects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re verified. And an multi-group analysis is made of a difference betwee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community mental rehabilitation centers providing local mental health services. In other words, an investigation is made into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ograms and rehabilitation paths of two organizations such as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community mental rehabilitation centers 지역사회 정신보건 환경은 정책이나 전달체계와 같은 거시적인 환경과 정신보건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프로그램 환경과 같은 미시적 환경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는 정신보건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프로그램 환경에 초점을 두고 프로그램 환경이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회복의 핵심요인인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도 함께 검증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지역사회 프로그램 환경, 자기효능감,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잠재변인으로 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자기효능감의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지역정신보건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신보건센터와 사회복귀시설의 차이에 따른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정신보건센터와 사회복귀시설의 프로그램 환경과 회복 사이의 경로에서 두 기관 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해 보았다.

      • 초등 국어과 교육에서의 한국신화의 위상과 의미 : 단군신화, 주몽신화, 원천강본풀이, 바리공주를 중심으로

        김도윤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 국어과 교육에서 한국신화의 위상과 의의를 논의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한국신화는 한국 사람들의 총제적인 삶의 모습이 담겨 있다. 한국신화에는 민족의 얼과 정체성, 자긍심이 녹아들어 있으며 초등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할 만한 내용과 교훈적이며 인생의 나침반이 될 내용이 들어 있고, 그 외에도 문학적인 면에서 탄탄한 서사구조와 함께 다양한 모티프를 활용한 문학 텍스트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은 신화를 단순한 신의 이야기나 허무맹랑한 옛날이야기라고 생각하며, 이를 반영하듯 학교 현장에서는 신화교육이 국어교육이나 문학교육의 일부로서 활발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우리 주변의 생활을 살펴보면 한국신화가 우리 생활에 얼마나 가까이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온라인, 오프라인 서점에 가보면 학생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신화 관련 서적들이 계속 출판중이며, 지금까지 출판된 서적도 상당히 많다. 신화의 내용을 주제로 한 드라마나 영화, 연극, 에니메이션도 나오고 있으며, 학교 교육의 이념인 홍익인간 사상 또한 신화에서 출발한다. 이렇게 우리들은 알게 모르게 신화를 접하고 있으며 생활 깊숙이 한국신화가 들어와 있지만, 실제 초등 국어교육과정에서는 그 중요성만큼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등 국어과 교육에서 한국신화의 위상과 의미를 논의하는데 필요성을 느끼고 연구를 하게 되었다. 먼저 초등 국어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초등 국어교육과정의 목표를 알아보고 한국신화의 의의와 비교하여 보았다. 비교 결과 초등 국어교육과정의 목표와 한국신화의 의의가 일치한다는 것을 알고 문헌신화 2편과 구전신화 2편을 구조주의 방법으로 분석하여 교육적 가치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신화의 위상과 의미를 재정립하였다. 이를 위해서 각 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 내용과 방법을 설정하였다. Ⅱ장에서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초등 국어교육과정의 목표를 알아보았다. 초등 국어교육과정의 목표는 국어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국어능력 신장과 함께 새로운 국어문화를 창조하고 문학적 상상력을 높이며 한국인으로서 문화를 향유하는 부분에서 한국신화의 의의와 일치하였다. 한국신화 또한 한국인의 세계관을 내재하고 있으며 인간의 내부 및 외부를 망라하여 총제적으로 이해하고자 함에서 초등 국어교육과정과 한국신화의 교육적 상관성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문헌신화의 대표작품으로 <단군신화>와 <주몽신화>를 구조주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단군신화>와 <주몽신화>를 각각 서사구조, 공간, 인물, 영웅의 일생구조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문헌신화에 내재된 교육적 가치를 추출하였다. <단군신화>와 <주몽신화>는 학생들에게 문학적 상상력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모티프들이 등장하며 이는 후대 서사문학의 원형이 되었음을 알려준다. <주몽신화>는 영웅의 일대기 서사구조를 따르고 있으며, <단군신화>와 <주몽신화>를 통해 우리 민족의 정체성 확립과 함께 인내심과 노력 등 도덕적인 가치도 추출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구비신화인 <원천강본풀이>와 <바리공주>를 각각 서사구조, 공간, 인물, 영웅의 일생구조로 분석하였다. 특히 <원천강본풀이>와 <바리공주>는 남성위주의 한국사회에서 여성의 주체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한국의 전통사상인 효 사상을 추출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문학교육적 측면과 도덕․윤리적인 측면에서도 교육적 가치를 추출할 수 있었다. 그동안 문헌신화 위주로 학교 현장에서 신화 교육이 되었던 점에서 구비신화는 신화교육의 또 다른 길을 열어줄 것으로 본 연구자는 기대한다. Ⅴ장에서는 초등 국어과 교육에서 한국신화의 위상과 의미를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신화는 교육법에 제시된 홍익인간 이념 등을 통해 학교 교육에서 매우 큰 위상을 차지한다. 둘째, 한국신화는 국어교육과 문학교육 측면에서도 큰 위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문학적 상상력과 국어능력의 발달, 새로운 국어문화 창조에 이바지한다. 또한 한국신화는 영화나, 드라마, 게임,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매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셋째, 한국신화는 우리 민족의 정체성 확립과 자긍심을 느낄 수 있게 하며 민족의 얼, 고유한 문화, 가치관 등을 담고 있어서 한국신화가 갖는 교육적 의미는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한국신화는 도덕적․윤리적인 내용이 많아 학생들에게 매우 교육적인 의미가 크다. 인간존중 사상이나 효 사상, 어려운 환경 속에서 포기하지 않는 정신, 도전과 인내심, 가족 간의 사랑, 다양한 삶의 모습 등은 학생들에게 꼭 가르쳐야 할 교육적인 가치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신화가 초등 국어과 교육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의미를 재정립하여 학교 교육에서 초등 국어과 교육의 일부로서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그 중요성과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는다면 이 연구의 목적은 충분히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