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IPL 처리를 통한 고분자 나노구조의 기계적 특성 향상 연구

        김도아,김두인,정명영,Kim, D.,Kim, D.I.,Jeong, M.Y.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20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27 No.4

        논문에서는 고분자 나노구조 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광열효과를 이용한 열처리 공정을 응용하여 나노임프린트로 제작된 고분자 나노구조 필름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Hybrid resin과 UV 나노임프린트을 이용하여 저반사 나노구조를 성형하고 IPL (intense pulsed light)를 이용하여 열처리를 수행한 뒤, 제작된 나노구조 필름의 투과율과 내스크래치성을 평가하여 나노구조의 성형성과 기계적 물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나노패턴의 특성에 의해서 나노구조의 투과율은 550 nm 파장에서 97.6%로 고투과율의 기능을 확인하였으며, IPL을 이용한 열처리를 진행한 경우 Hotplate를 이용한 열처리보다 경도는 0.51 GPa로, 0.27 GPa로 열처리한 시편에 비해 1.8배 향상하였으며, 동일 실험 조건에서 탄성율은 Hotplate 이용 시 4 GPa에서 IPL 이용 시 5.9 GPa로 1.4배 증가하였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heat treatment process using photo-thermal effect in order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structure on polymer films made by nanoimprint process with hybrid resin. Nanostructures which have a low refractive characteristic were fabricated by UV nanoimprint and after that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using IPL (intense pulsed light) under process condition of 550 V voltage, pulse width 5 ms, frequency 0.5 Hz. The transmittance and mechanical property of fabricated nanostructure films were evaluated to observe changes in the pattern transfer rat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structures. The transmittance of the nanostructure was measured at 97.6% at 550 nm wavelength. Nanoindentation was performed to identify improved anti-scatch properties. Result was compared by the heat source. In case of post treatment with IPL, hardness was 0.51 GPa and in the case of hotplate was 0.27 GPa, resulting the increase of hardness of 1.8 times. Elastic modulus of IPL treated sample was 5.9GPa and Hotplate treated one was 4GPa, showing the 1.4 time increase.

      • SCOPUSKCI등재
      • KCI등재SCOPUS
      • 충무로 르네상스 프로젝트 -충무로 인쇄골목 활성화를 위한 영상문화시설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도아(주저자) ( Do Ah Kim ),박가현(주저자) ( Ga Hyun Park ),이형은(주저자) ( Hyung Eun Lee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사회적 문제와 공간디자인간의 융합 프로젝트를 통해 한 공간의 리노베이션으로써 현대 사회에서 문제로 인식되어 강조 되고 있는 사회적 이슈를 다루고 그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시도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충무로의 지역과 역사를 중점적으로 분석해 충무로의 대표 산업인 인쇄와 영화 산업이 쇠퇴되어 있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해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본 결과 리노베이션을 적용한 영상문화시설을 도출해 내었다. 충무로라는 지역의 문제점을 사회문화적 측면과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 바라보고 각각의 해결방안을 공간디자인을 적용해 풀어내 지역재생을 도모하고자 한다. 디자인 컨셉은 충무로의 영화산업에서 도출하였으며 공간 계획과 이에 맞는 프로그램은 ‘영상문화시설’이라는 목적에 맞게 구성해보았다. 최종 결과물로는 ‘충무로 르네상스’라는 이름으로 충무로 지역 분석부터 도면, 3D, 모형을 제작하였으며 결과물은 총 A3 20장으로 정리하여 가인 인테리어 공모전에 제본 형태로 제출하였다. Through a convergence project between social problems and space design, the study conducted a project to deal with social issues that loom large in the modern society by renovating a space and solve such social problems. In this project, the study identified the sluggish printing and movie industries, which have been the district’s two most representative industries, as problems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the geographics and history of Chungmuro, and suggested the renovation of visual culture facilities as a viable solution to address the problems. This study strives to revitalize the Chungmuro area by viewing it from viewpoints of social culture and physical environment and applying space design to each solution. The concept of the design was derived from the movie industry of Chungmuro, and the space planning and programs were developed to serve an intrinsic purpose as a ‘visual culture facility.’ As the end results of the project named as ‘Chungmuro Renaissance,’ the analysis of geographics of the area was conducted, and the drawings, 3D layouts and models were produced, 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into 20 A4 pages, which was bound into a book and then submitted to the Gain Interior Competition.

      • KCI등재

        크리놀린의 조형성을 응용한 장신구디자인 연구

        김도아(Kim Do a)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1

        장신구와 의복은 인체의 아름다움을 드러나게 해주고, 시대가 느끼는 미적 기준에 도달하게끔 만들어 준다. 인간은 서로 의식하고 주목받길 원하며 존경받고 싶어 하는 욕구를 자신의 신체를 치장함으로서 들어내며 이는 장신구와 복식을 통해 표현하여 왔다고 할 수 있다. 때로는 신체적 고통이나 불편을 감수하면서까지 과장된 장신구나 의복을 착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신분이나 정체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인간의 욕망을 표출하고 과시하여왔다. 그 중 복식은 인체의 형태를 보완하여 또 다른 아름다움을 재창조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스커트를 부풀리기 위해 입는 속옷의 일종인 '크리놀린(Crinoline)'은 19세기에 유행했던 양식으로 약 1850년부터 1870년까지 20년 동안의 짧은 기간이지만 산업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굉장히 확산적으로 유행되어진 복식이다. 혼자서는 거동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불편함을 주는 옷이었지만 귀족 뿐 아니라 모든 계층이 입었던 옷이다. 이는 여성이 얼마나 아름답고 싶은가에 대한 열망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부분이다. 본 연구자는 과장된 외형적 선의 실루엣으로 자신을 과시하고픈 욕망의 대표적 표현수단으로 크리놀린이라는 주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크리놀린이 가진 조형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역사적 내용을 살펴보고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한 이들의 형태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과장, 과시하고픈 욕망의 수단인 이 주제가 가지고 있는 선의 교차반복, 원의 방사배열, 면의 분할 등의 조형성에 대해서 분석하고, 이런 조형요소들을 응용하여 현대 장신구에서는 어떻게 활용하고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단순히 복식의 외형적인 실루엣만을 디자인 요소로 이용한 장신구 디자인이 아니라 복식을 통해 자신의 욕망을 드러내고자 했던 인간의 심리를 이해하고 조형적인 요소를 분석하여 장신구를 제작함에 있어 보다 깊이 있는 디자인이 제시할 수 있는 연구의 발단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Jewellery and clothes make us expose beauty of human body and reach aesthetic criteria felt by the times. Humans are conscious of each other, want to receive attention, expose their desire of receiving attention by decorating their body and express this through accessories and clothes. Sometimes humans wear exaggerated accessories or clothes, enduring physical pain or inconvenience, and express their identity or position through this while showing off their desire. Among them, clothes can be regarded to play a role of recreating another beauty by complementing the shape of human body. Crinoline is a type of underwear to spread skirts and was in at the 19th century. While it was a short period of 20 years from around 1850 to 1870, this costume was extremely popular due to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While this costume was too uncomfortable for the wearer to move easily by herself, it was enjoyed by all classes including aristocrat. It fragmentarily shows desire of women for beauty. I selected "Crinoline' as the main form of expression of desire to show off with exaggerated silhouette of appearance. I examined the historical contents and their forms of changes according to flow of the times, in order to draw the formativeness of Crinoline. Through this, I analyzed the formativeness such as split of face, radial arrangement of circle, cross repetition of line that this subject has, the means of desire to show off and exaggeration, and presented the design regarding how to utilize and express such formative element in modern accessories. I hope this study may serve as the starting point for study that can present more in-depth design in production of jewellery by understanding psychology of humans to express our desire through costume, not just as jewellery design, using only external silhouette of costume, and analyzing formative elements.

      • KCI등재

        대화형 에이전트의 선제적 발화에서 호출 유형에 따른 사용자 경험과 인식

        김도아 ( Kim Doa ),( Liz L. Chung ),이지은 ( Lee Jieun ),이혜인 ( Lee Hyein ),김아영 ( Kim Ahyo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4 No.-

        오늘날 대화형 에이전트는 우리의 삶에서 많은 역할로서 수행하고 있으나, 사람의 호출로 이루어지는 후행 발화 방식은 반복적인 호출 경험에 의해 사용성을 저하할 수 있으며 대화의 방식과 흐름에 있어서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다. 이에 최근 대화형 에이전트와 사용자 간의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에이전트의 선제적 발화가 연구되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이전트의 선제적 발화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호출하는 방식에 대해 주변, 간접, 직접적으로 정의를 하였으며, 세 가지 발화 방식에 기반한 선제적 발화 모델을 제안하였다. 16명의 피실험자와 Wizard of Oz 실험 방식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의 6가지 시나리오 상황에서 에이전트의 세 가지 선제적 발화 방식이 사용자의 인식과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는 실제 사람 간 상호작용하는 상황과 관계를 연상하여 에이전트의 선제적 발화 방식에 반응하며, 이러한 반응은 개인의 상황과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화형 에이전트와 사람 간의 능동적인 소통을 위한 대화 방식 연구의 발전 가능성에 주요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Conversational agents, commonly known as voice assistants, play a variety of roles in our everyday lives. Their passive nature, limited to responding to user queries based on pre-programmed scripts, however, often leads to user dissatisfaction, and hinders the possibility of natural conversation.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recent research has focused on developing proactive conversational agents capable of initiating conversations with users. In this study, we delved into the various prompts that conversational agents can employ to initiate conversations and proposed an initial prompt model based on three main categories: ambient initiation, indirect initiation, and direct initiation. We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involving 16 participants using the Wizard of Oz method, exploring the effects of the three types of initial prompts on user experience across six connected daily life scenarios. The results reveal that users respond differently to the three types of initial prompts, not only based on the level of disruption caused but also due to their association with real-life situations and the implicit meaning inherent in human-human interactions.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guidelin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proactive conversational agents.

      • KCI등재후보

        1990년대 이후 한국의 아브젝트 아트(Abject Art)에 나타난 타자성

        김도아(Kim, Do-A),김진아(Kim, Jin-A) 숙명인문학연구소 2021 횡단인문학 Vol.9 No.1

        본 연구는 크리스테바의 아브젝트 이론을 근간으로 하여 1990년대 이후 한국 미술계에 나타난 아브젝트 아트 작품들을 파악하고 고찰한다. 크리스테바는 아브젝트를 더럽고 불결하며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것, 그리고 주체가 주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억압하고 쫓아내야 하는 존재로 논한다. 그러나 쫓겨난 존재는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우리 주변에 머물며 주체에 대립하는 타자가 된다. 아브젝트 아트는 주체에 의해 터부시되고 내던져진 이러한 타자들, 흔히 파편화된 신체, 시체, 피, 정액, 오줌, 침, 똥 등 우리가 혐오하고 불결하게 여기는 것들을 작품의 소재로 사용하면서, 전통적인 ‘미’와 ‘미술’ 관념에 도전하며 주체가 타자를 어떻게 구분 짓고 몰아내는지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의 한국 아브젝트 아트에 나타나는 타자(성)을 크게 세 가지유형―비천한 존재와 주체의 양가성, 길들여진/저항하는 여성, 포스트휴먼 주체의 탄생―으로 분류하고, 각 양상을 잘 보여주는 작품들을 선별해 그 주제적, 형식적 특징과 의의를 고찰한다. 한국 아브젝트 아트가 기존의 미술 장르나 재료 등을 어떻게 해체하고있는지, 그리고 타자가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추적함으로써, 아브젝트와 그에 대한 아브젝시옹 즉 한국 사회의 타자 혐오와 배척 현상을 들추어낸다. 이는 전통적으로 비정상또는 더럽고 비천한 것으로 치부되었던 것들에 대한 재해석이자 주체/타자라는 이분법적 구분에서 벗어나는 사유의 점화점이 될 것이다. Based on Kristeva s theory of the abject, this study identifies and examines the works of Abject art that have emerged in Korean art since the 1990s. Kristeva discusses the abject as dirty, filthy, and unclear, and as an object that must be suppressed and driven out in order for the subject to form an identity. However, the expelled existence does not disappear completely, but rather becomes a batter who stays around us and “is being opposed to I”. Abject art often uses materials such as fragmented bodies, dead bodies, blood, semen, urine, saliva, and excreta, challenging traditional concepts of ‘beauty’ and ‘art’ and revealing how the subject distinguishes and drives out the other. We first classify Korean Abject art into three aspects: the ambivalence of the subject, tamed/resistant women, the birth of the posthuman. And we examine the way “Otherness” is dealt with in each case work that gives us access to the abject and abjection. Thi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reinterpret what has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abject, abnormal, dirty or vulgar, and to overcome the dichotomies of subject and object.

      • 미학적 개념을 적용한 전시 디스플레이의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작품 "take out your garden"을 중심으로-

        김도아(주저자) ( Do Ah Kim ),김수연(주저자) ( Su Yeon Kim ),박가현(주저자) ( Ga Heon Park ),윤희수(주저자) ( Hee Su Yun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2015년 9월~12월까지 S여대 환경디자인학과 ‘전시디스플레이’ 교과목에서 도출된 결과물인 전시디스플레이 기획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전시디스플레이 기획 프로세스는 사회적 문제와 이를 미학과전시로 연계하여 코딩하는 과정들을 밝힘으로써 향후관련분야에 있어서 창의적인 방법들로 전시기획을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방법은 미학적 개념과 전시디스플레이에 대한 이론적고찰을 통해, 브랜드 전시디스플레이의 프로세스를 전시개요, 전기기본계획, 전시세부계획, 전시연출계획으로 구성하여 그 과정들을 밝힌다. 본 연구는 기존의 획일화된 전시디자인 프로세스 과정에 ‘미학적 개념’을 도입하여 ‘브랜드+미학+전시디자인’과 ‘사회적문제발견+미학으로의 코딩’ 이라는 새로운 창의적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하여 전시디스플레이디자인에서 새로운 방향성과 아이디어를 제시하여 활발한 융합연구하는데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ystematically summarize the exhibition display planning process or the output from the ``Exhibition display`` subject of the Environment Design Department of S University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5. The exhibition display planning process or the study subject discovered the coding process by linking social issues to the aesthetics and exhibition and is meaningful in providing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exhibition planning with creative methods in the related fields in the future. The research method forms the brand exhibition display process with the exhibition overview, basic exhibition plan, specific exhibition plan and display direction plan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exhibition display and aesthetic concept to discover the process. The study introduces the ``aesthetic concept`` to the standardized exhibition design process, proposes new and creative design methodology called ``Brand, aesthetics and exhibition design`` and ``Social discovery and aesthetic coding`` to set up the foundation for the robust convergence research by proposing new direction and idea in the exhibition display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