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승기신론』과 원불교

        김도공(金道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9 No.-

        『대승기신론』은 비록 인도 찬술설과 중국 찬술설로 논란이 많지만, 불교사상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논서이다. 그러나 불교와 원불교의 관계 속에서 볼 때, 『기신론』이 원불교의 교리와 문화 형성과정에는 어떤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관계는 발견할 수 없다. 원불교 교리의 핵심내용인 일원상의 교리구조를 볼 때『기신론』의 핵심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일심사상과 원불교의 일원상진리는 그 구조와 의미에서 서로 상통하고 있다. 이 점을 인정할 때 『기신론』의 이해와 해석을 둘러싼 많은 논쟁점들은 원불교의 일원상진리 해석상의 논점들에 매우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이는 원불교에서 일원상진리를 해석 · 전개시켜 가는데 참고해야 할 부분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국불교 근대화의 아버지로 불리는 양문회의 사상과 그의 문하생들이 중국불교를 실제로 근대화시키는 주역으로 등장하고 있는 시기와 소태산이 근대 조선불교를 새롭게 개혁하기 위해서 『조선불교혁신론』의 저술 속에 새로운 관점들을 전개하여 근대한국의 새로운 개혁불교를 열고 있는 시기와 그 방법론에 있어서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사실 『기신론』과 원불교의 역사적 연결관계는 없다. 그러나 불교사상이나 원불교사상이나 한마음 일심의 세계를 밝혀가고자 하는 같은 맥락의 사상이기 때문에, 이미 불교사상 내에서 충분히 성숙된 『기신론』을 유의 깊게 음미하는 것은 원불교사상의 발전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 분명하다.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though it very controversial for Indian work theory and Chinese work theory, is exquisitely important treatise in history of Buddhist thought. However, in the relation between Buddhism and Won-Buddhism, it is unable to find out the actual factor that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had given direct influence to establishment process of doctrine and culture of Won-Buddhism. Concerning on doctrinal structure of Il-Won-Sang, the core of Won-Buddhist doctrine, one mind thought, the central doctrine of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and the Il-Won-Sang truth are mutually connected in its structure and meaning. Considering on this point, various arguments on comprehension and interpretation on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could provide valuable suggestion for the discussion on the interpretation of Il-Won-Sang truth in Won-Buddhism. It means that the thought in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has many suggestive resources to interpret and develop Il-Won-Sang truth in Won-Buddhism. The time that Sotaesan had opened new reformative Buddhism in modern Korea by developing new view points in his work the Reformation Theory of Choseon Buddhism for change was very similar circumstances and structure to the thought of Yang Wen Hui who called the father of modernization of Chinese Buddhism, and the time that his pupils had appeared as main stream of actual modernization of Chinese Buddhism. As it has already mentioned,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and Won-Buddhism have no historical connection. Close research on the Awakening Faith of Mah?y?na as a matured Buddhist thought is worthful for development of Won-Buddhist thought, since the both thoughts of Buddhism and Won-Buddhism are contextually identical stream of thought to illuminate the world of one mind.

      • KCI등재

        대산종사의 견성론 고찰

        김도공(金道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1 No.-

        원불교 100년의 역사 속에서 성리공부와 견성공부가 실질적으로 가장 강조된 시기는 대산으로 부터이다. 원불교의 3대 종법사를 역임한 대산은 교단 창립 2대 말 총회를 마치고 ‘대적공실(大積功室)’ 법문을 발표한다. 이 대적공실 법문 내용은 단순한 의두 성리의 요목만이 아니라 원불교인이 앞으로 나가야 할 공부의 내용과 방향 그리고 실천의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이 같은 대적공실 법문에 대한 연마 이전에 대산의 다양한 법문 속에 담겨있는 견성에 대한 관점들을 정리해 보는 것이 선결사항이다. 대산은 20세 경 초견성을 바탕으로 보다 깊은 공부의 경지로 나아갔으며, 그의 실질적인 견성체험과 수증과정이 그의 견성론 전반에 그대로 나타나 있다. 대산은 견성에 있어서 보고 아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아는 것을 현실 생활 속에서 살활자재(殺活自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큰 틀에서 대산의 견성론은 소태산과 정산의 관점과 큰 다름이 없다. 다만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설명은 후대인으로 하여금 견성의 문제를 견성삼단계라는 틀 속에서 쉽게 이해하고 그 과정을 밟아갈 수 있게 밝혀주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원불교의 고유한 교리용어인 대소유무와 시비이해의 개념을 중심으로 견성의 과정을 설명하고 있어서 원불교인에게는 보다 의미 있고 실제적인 견성론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In the 100 years Wonbuddhism history, Daesan’s period had reached its peak of the emphasis on the study of human nature and seeing nature, Daesan, who served as the position of the third Jongbubsa in Wonbuddhism, presented ‘Daejuckgongsil’ after the second general meeting of Wonbuddhism foundation. The main contents of ‘Daejuckgongsil’ had its practical implication in that it suggested what and how Wonbuddhists develop and practice. Prior to directly understanding ‘Daejuckgongsil’, it is necessary to review Daesan’s various view points on seeing nature. Daesan advanced forward to much deeper stage of practice, based on his super seeing nature in his twenties. And then, his practical experiences of seeing nature and acceptance processes were strongly exemplified in his logic of seeing nature. Daesan’ seeing nature emphasized the ability of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our usual life rather than just seeing and understanding nature. Roughly, his logic of seeing nature is not much different from Sotaesan and Jungsan’s view points. However, Daesan’s practical explanation with the three stages of seeing nature made the future generations easier understand and practice. Especially, with explaining the processes of seeing nature focusing on Wonbuddhist terms such as Daesonyumu(大小有無) and Sibeeehae(是非利害), Daesan suggested the more useful and practical logic of seeing nature for Wonbuddhists.

      • KCI등재

        현공 묵암선사의 『般若心經 講義』와 반야심경관

        김도공(金道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4 No.-

        불교의 가르침은 인간의 괴로움에 대한 해결책으로 나왔기 때문에 괴로움(苦)에 대한 해결내용을 많이 밝히고 있다. 불교에 많은 경전들이 있지만, 그 가운데 『반야심경』은 불경의 핵심 내용을 간략한 내용 속에 담고 있는 매우 의미있는 경전이다. 『반야심경』의 주된 목적은 공의 이치를 관조함으로써 지혜를 얻고, 그 지혜로써 인간의 실존적 문제인 고통을 해결함에 있다. 고통의 문제 해결은 공사상에 바탕한 철저한 수행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많은 경전 가운데 가장 짧은 내용인 『반야심경』은 그 내용과 분량에서 불교의 대중화에 가장 적합한 경전이다. 현공은 불교의 대중화를 목표로 하고 있었다. 때문에 번다한 내용 보다는 간략하면서도 그 안에 불교 사상의 요체를 대부분 담고 있는 『반야심경』이 그 채택한 것이다. 현공은 이 경전을 『반야경』의 골자요 팔만대장경의 골수법문으로 보고 있다. 현공은 『반야심경』에는 사승의 교리와 사종법문의 진리가 전부 포함되어 있으며, 범부나 부처나 누구라도 몸과 마음이 텅 비어있다는 원리를 통해서 반야의 참다운 지혜를 수행하고 체득하면 바로 부처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현공은 『반야심경』을 종교적 의미를 담아 해석하여 불교사상 전체를 담아내는 핵심의 경전으로 보고 있는 독특한 관점을 가지고 있다. 현공은 이러한 『반야심경』에 대한 관점을 바탕으로 모든 이들에게 불지를 향한 수행을 독려하고 있으며 그 방법의 중심에는 바로 『반야심경』이 자리 잡고 있다. 현공의 『반야심경』에 대한 관점을 통해서 불교의 대중화에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As Buddhism’s teaching came on as solutions against the pains of human life, it has included many solutions against those. Among many Buddhist scriptures, Prajnaparamita-hridaya Sutra is one of the most meaningful scriptures, which briefly explains the key points of many Buddhist scriptures. The main purpose of Prajnaparamita-hridaya Sutra is to gain wisdoms of life with contemplating the logics of Sunya(空) and is to resolve the pains of human on the basis of the wisdoms. The solution against the pains may be attained by thorough asceticism based on the Sunya(空) thought. Prajnaparamita-hridaya Sutra is the most appropriate scripture for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on the view of its quantity and contents. Hyeongong expended effort for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In this point, Prajnaparamita-hridaya Sutra, which briefly includes the key points of Buddhism rather than multitudinous contents, had been selected for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Hyeongong explained it as the core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criptures including the all four types of Buddhist dogma and teaching. Also, he suggested that everyone regardless of a common mortal or Buddha could become a Buddha through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Sunya thought and the wistoms of Prajnaparamita on the basis of Prajnaparamita-hridaya Sutra. Hyeongong’s view point of Prajnaparamita-hridaya Sutra was unusual in that he considered it as the core of all Buddhist thoughts on the interpretation of religious meanings and encouraged Buddhists to do practice on the view of Prajnaparamita-hridaya Sutra. In this point, Hyeongong’s view point of Prajnaparamita-hridaya Sutra can provide the meaningful implications on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 KCI등재

        원불교 四恩의 『周易』 연원에 관한 고찰

        김도공(金道公),임병학(林炳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7 No.-

        본 논문은 원불교 사은의 유교적 연원, 특히 『주역』적 연원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원불교 교리에서는 신앙과 수행의 대상인 법신불 일원상에 대한 신앙의 방법으로 사은을 제시하고 있다. 원불교에서 사은은 주로 그 연원과 내용을 주로 불교적 입장에서 연구하였다. 원불교 교리가 지향하고 있는 목표가 유불도 삼교를 회통하는 사상이기 때문에 사은의 해석 방향도 유교적 사유의 도입이 필요하다. 일부 선행연구에서 지적하고 있지만 『주역』을 중심으로 한 내용은 보다 많은 보강이 필요하기에 본 연구의 의의는 『주역』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제2장에서는 사은의 내용과 기존의 불교적 연원설에 대한 검토를 통해 원불교 사은의 의미가 제대로 드러나기 위해서는 『주역』적 연원이 필요하다는 논의를 하였다. 제3장에서는 원불교 교리에 들어 있는 『주역』사상을 고찰하였다. 소태산의 대각에 관한 기록에서 직접 『주역』의 문장이 등장하고 있으며,『대종경』에서는 『주역』의 근본 개념인 태극·음양·인의(仁義)·천지인 삼재지도(三才之道) 등을 통해 교리를 설명하고 있다. 특히 일원상의 진리는 도의 본체로 허무적멸이라 하고, 사은은 도의 작용으로 인의예지(仁義禮智)와 직접 연결시키고 있다. 제4장에서는 『주역』의 인예의지 사덕(四德)의 내용을 고찰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원불교 사은과 연결시켰다. 즉, 인(仁)은 부모은·예(禮)는 동포은·의(義)는 법률은·지(智)는 천지은과 내용상 일치하고 있으며, 천지은과 부모은을 하감(下鑑)으로, 동포은과 법률은을 응감(應感)으로 밝힌 것도 인과 지를 성(性)으로, 예와 의를 명(命)으로 논한 것과 동일한 구조이다. 또 소태산의 대각에 언급된 중천건괘(重天乾卦) 문언의 문장도 인의예지로 해석되어, 사덕과 사은이 연결되고 있다. This paper is considered that Won -Buddhism’s The Fourfold Grace put origin on Zhouyi. In the Won- Buddhism doctrine, The Dharmakāya Buddha the Il-Won-Sang(一圓相) are presented The Fourfold Grace in the way of faith.The Fourfold Grace was mainly studied the origin and contents primarily from the Buddhism perspective. The aim of Won- Buddhism doctrine is to run through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one.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e Fourfold Grace interpretation also requires the introduction of Confucian thought. Moreover, it needs more reinforcement in a content area around the Zhouyi.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ntent discussed the relevance of Zhouyi. Chapter 2, It was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Fourfold Grace and traditional Buddhist origins theory and suggested the need for origin of Zhouyi. In Chapter 3, investigated Won-Buddhism doctrine and Zhouyi thought. Among them, the sentences included Zhouyi emerged directly from the records about the great awakening of Sotaesan. In The Scripture of the Founding Master, The doctrine is explained through Taiji(太極), Yinyang(陰陽), Inui(仁義) and Heaven-Earth-Human Sancaizhidao(三才之道) that is a funder mental concept of Zhouyi. In particular, the truth of The Il-Won-Sang that is body of morality means Xuwujimie(虛無寂滅) and is connecting. The Fourfold Grace that is action of morality to In-ui-ye-ji(仁義禮智) directly. In chapter 4, this researcher connected the contents of Side(四德) to The Fourfold Grace. In(仁) is identical to The Grace of Parents(父母恩), Ye(禮) is correspond to The Grace of Fellow Beings(同胞恩), Ui(義) is identical to The Grace of Laws(法律恩) and Ji(智) concurs with The Grace of Heaven and Earth(天地恩) in terms of contents. And the sentence of Chongtianqian(重天乾) Wenyan(文言) that Sotaesan said after realized largely is interpreted as In-ui-ye-j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