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나로 수업 모형 적용을 통한 반응 변화 탐색

        김낭규(Nang Kyu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고등학교 체육수업 내실화를 위해 인문적 체육교육의 실천모형인 하나로 수업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반응 변화를 통해 그 가능성을 찾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하나로 수업연구회의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자문과 협조를 얻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N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1년간 하나로 수업모형을 적용하였다. 그 중 16명(각 반 남녀 2명씩)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심층면담, 수업일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 분석과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주제어를 도출하였으며 전문가협의, 구성원간 검토, 삼각분석법을 이용하여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첫째, 하나로 수업과의 만남에서는 상반된 2가지의 반응이 있었다. 하나는 `이상한 체육`, 또 하나는 `새롭고 특이한 체육`이었다. 둘째, 하나로 수업의 들어서기에서는 몸소 실천을 통해 재미있음을 아는 `괜찮은 체육`으로, 셋째, 활동하기에서는 `생각하는 체육`과 `활력 있는 체육`으로의 반응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고등학교에서 내실있는 체육수업을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하나로 수업모형의 적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mprove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applying the Hanaro Model, a humanistic teaching model, and investigate the model`s potential by observing student reactions. I carried out the study as a member of the Hanaro Teaching community and sought advice and cooperation from other members. The model was applied for one year to first-grade students at N High School located in Ulsan. Data was collected from 16 students (2 male and 2 female students from each class) through surveys, in-depth interviews and class diaries, and used to identify topic words via case studies and inductive categorical analyses. Data validity was established through member checking, peer debriefing and triangu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students initially gave two contrary reactions to the Hanaro Model. One was that lessons were `strange` while the other was that lessons were "new and unique." Secondly, after lessons started,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found it interesting, thought-provoking and excit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anaro Teaching Model has the potential to enhance the quality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쓰기활동의 적용 및 효과 탐색

        김낭규(Kim, Nang Kyu)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5

        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체육에서 간접체험활동으로 분류된 쓰기활동의 유형을 알아보고 쓰기활동을 적용한 체육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나타난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경남소재의 남녀학생 8명을 연구참여자로 한 질적 연구의 한 유형인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 심층면담, 참여관찰 그리고 과제결과물로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사례기록분석과 귀납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쓰기활동의 유형은 학습활동지, 체육일기, 시와 감상문, 모둠노트(모둠기록지)로 크게 4가지로 분류되었다. 쓰기활동의 교육적 효과는 크게 두가지 측면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외연적 측면에서 확장성과 다양성이다. 확장성은 기존의 체육에 대한 인식에서 보다 더 확장된 광의적인 모습을 의미한다. 다양성은 여러 가지 쓰기활동이 있으며, 또 다른 쓰기활동에 대한 기대감을 의미한다. 둘째, 내포적 측면이다. 쓰기활동을 통해 나타난 학생들의 긍정적인 정서적 반응으로, 수행, 반성, 다짐으로 나타났다. 결론: 쓰기는 글을 써 나가는 과정에서의 체험과 상상한 바를 주제에 맞추어 내 생각과 느낌을 논리적 문장으로 표현하는 고등 정신활동이다. 체육에서 쓰기의 다양한 활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체육에 대한 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를 유발하였다. 이처럼 글쓰기는 많은 교육적 효과를 생성해낼 수 있는 무한한 가치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체육적 안목을 키우게 하는 유용한 방안이 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ypes of writing activities classified as indirect experiential activities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educational effects shown to students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which writing activities are applied.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case study method, which is a type of qualitative study in which 8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Gyeongnam were the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questionnaire, in-depth interview,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assignment resul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ase record analysis and inductive analysis methods. Results: The types of writing activities were broadly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 learning activity sheet, a physical education diary, poetry and sentimental text, and a group note (group record sheet). The educational effect of writing activity was largely classified into two aspects. First, in terms of extension, it is expandability and diversity. Extensibility means a broader view that is more expanded than the existing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Diversity includes several writing activities, It means anticipation for another writing activity. Second, it is an connotation aspect. As the positive emotional response of students through writing activity, it was found to be performance, remorse, and pledge. Conclusion: Writing is a higher mental activity in which I express my thoughts and feelings in logical sentences based on my experiences and imaginations in the process of writing. Various activities of writing in PE induced students to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PE. As such, writing has infinite value that can create many educational effects, Through this, it can be a useful way to develop a physical insight.

      • KCI등재

        여학생들의 적극적인 체육수업을 위한 참여요인 탐색

        김낭규(Kim Nang K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4

        본 연구는 체육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여학생들의 공통적인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경남 소재의 S초등학교 5, 6학년 각 2명, S중학교 2, 3학년 각 2명, J고등학교 2학년 4명, 총 12명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학년도 1, 2학기를 거쳐 심층면담, 설문지, 참여관찰과 수업결과물인 수업소감문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과 다각도 검증법에 의해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수업내용이다. 여학생들은 즐겁고 의미 있는 수업과 안전한 종목 또는 안전한 수업환경의 종목일 때 체육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둘째, 체육교사의 자질이다. 수업을 운영하는 체육교사의 성향과 가치관,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에 따라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태도가 좌우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 여학생들이 체육수업에서 무엇을 기대하고 있는가를 알고 대처한다면 모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좋은 체육수업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mmon factors of female students actively participating in PE class. In order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we selected 12 researchers, 2 in each of 5th and 6th grades in S elementary school in Gyeongnam, 2 in each of 2nd and 3rd grades in S middle school, and 4 in 2nd grade in J high school.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the 2017 academic year, through in - depth interviews, questionnaires, participation observation, class results. The data were analyzed by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thod and triangul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contents of the lesson. Female students were actively involv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when they were entertaining, meaningful classes, safe sports, or safe classroom environments. Second, the qualitie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ndency and values, And the attitude of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 depends on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Considering these factors, it is expected that a good physical education class, in which all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will be attained if they are aware of what they expect from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 KCI등재

        중학교 스포츠 강사 제도를 통한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방안

        김낭규(Kim, Nang-Kyu),정도상(Jeong, Do-Sang) 한국체육교육학회 2016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의 활성화를 위해 스포츠 강사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해결 방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남 소재 C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스포츠 강사 7명(남 4명, 여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개방형 설문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분석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강사의 채용과 강사 운영방법에 대해 논하였으며, 둘째, 스포츠 강사의 입장에서 본 학교스포츠클럽은 학교체육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학교에서의 생활체육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효율적인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을 위한 방안으로 연계성 및 계열성있는 교육과정과 다양한 종목에 대한 전문가 수준의 스포츠 강사를 확보하기 위한 인적 인프라 구축, 스포츠 강사의 처우와 고용조건에 대한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하는 바를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스포츠 강사라는 직종이 학교조직 구성원으로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학교환경이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스포츠 강사의 전문적인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자격강화 및 이에 준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a problem of the sports instructor system in order to active the middle school sports club, and to find out a method of solving the problem accordingly. Methods: this study was to proceed with the research by selecting 7 sports instructors like 4 male instructors and 3 female instructors who had worked in the area "C" located in Gyeongnam as research participants. As for the data collection, this study was to collect the data through the open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and to analyze the data through the inductive analysis method. Results: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t was to discuss with the operating method of sports instructor and operation adopt of instructors. Second, the school sports club from the viewpoint of sports instructor was recognized as sports for all in the schools as well as a role in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Third, as a countermeasure of operating effective school sports club, the construction of human infrastructure and improvement of labor conditions and employment conditions towards the sports instructor must take precedence to secure the sports instructor at the professional level of curriculum with the connectivity and sequence, and various sports. Conclusion: Base on the suggestions from such research findings, it may be summed up in two ways. First, the environment for the type of occupation like sports instructor should be put first in order that they could have self-esteem as a member of school organization. Second, enhancing professional qualifications for improving the teaching ability of sports instructors and equival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 KCI등재

        중등 체육신규교사가 학교현장에서 느끼는 정서 탐색

        김낭규(Nang Kyu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체육신규교사가 학교현장에서의 생활을 통해 갖게 되는 감정상태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나아가 예비교사교육과 현장연수교육에서 신규교사들을 위한 실질적인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경남 소재의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신규교사 5명(남교사 3명, 여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한 주된 자료수집방법은 개방형설문지와 심층면담, 교사의 반성일지 등이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귀납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 및 해석의 과정에 서 자료의 진실성을 검증하기 위해 삼각검증법, 구성원 간 검토, 전문가 협의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엇인가를 잃어버린 것 같은 상실감, 둘째, 스스로 힘이 없음에서 느끼는 능력부족의 무력감, 셋째, 쉽게 도움을 받거나 요청하지 못하게 되어 외톨이가 된 것 같은 고립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긍정적인 정서로, 열정과 성실성이 바탕이 된 신규교사의 노력이 학생과 동료교사들에게 전달되면서 교사만이 가지는 보람과 성취감을 맛보게 되어 자신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how a new physical education teacher gets his or her various emotions and their change when experiencing school life and also provide some practical curriculum for teachers-to-be in their pre-service teachers and on-the-job training before starting their life as a teacher. For this study, five new teachers (3 males, 2 females) who are teaching at middle or high schools in Gyeongsangnam-do were selected. The methods to collect documents for the study used an open questionnaire, in-depth interviews, and the teachers`` diary record of class. To analyze the documents collected, inductive analysis was used. Triangulation, member check and expert debriefing were adopt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credibility of the documents in the course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m. The results of this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 feel some kind of losses. Secondly they get a feeling of incompetence and helplessness. Thirdly they have a sense of isolation as they can`t get or ask some help from others easily. From the positive aspect,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ir efforts based on their own passion and sincerity have influenced their peers and students. And from it, the new teachers have gained self-confidence along with a sense of achievement which only teachers can have.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대나무 춤의 실천과정과 교육적 효과 탐색

        김낭규(Kim, NangK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본 연구는 체육수업에 뉴스포츠의 일종인 대나무춤을 적용하고 실천한 후 교육적인 효과를 탐색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경남 소재의 D여자중학교 1학년 6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5월 중순에서 6월에 걸친 총 15차시의 기간을 통해 설문지, 심층면담, 참여관찰과 수업결과물인 안무도, 시화 등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과 다각도 검증법에 의해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나 무춤의 수업 실천은 대나무춤의 실천과 구성 그리고 발표와 감상으로 구분하여 이루어졌다. 대나무춤의 실천은 대나무춤의 수업을 위한 모둠 구성을 시작으로 기본스텝 익히기, 기본스텝 평가하기와 다양한 직간접체험활동을 체험하였다. 대나무춤의 구 성은 새로운 동작 창작하기, 음악선정과 종합적으로 창작하기로 이루어졌다. 발표와 감상하기는 창작한 작품을 공식적으로 발표하고 나머지 학생들은 감상을 통해 감상능력을 배양하도록 하였다. 둘째, 대나무춤의 교육적 효과는 ‘공존’, ‘성숙’, ‘창의력과 체력향상’로 나타났다. 수업초반의 어려움과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재미와 흥미를 느끼는 것으로 인식하여 힘듦과 즐거움이 있는 것에서 ‘공존’으로 나타났다. 대나무춤의 특성과 수업운영방법에 의해 수업 초반에는 불화의 모습이, 수업 중후반에는 협동하는 모습으로 나타나 ‘성숙’으로 제시하였다. 학생들의 사고를 요구하는 교수학습방법과 대나무춤의 특성에 따라 창의력이 요구됨과 동시에 체력적인 부분에서도 많은 향상이 되었다. 이를 ‘창의력과 체력향상’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통해 대나무춤 의 수업은 지덕체의 측면에서 충분한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effect after applying bamboo dance as a sort of new sports to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utting into practice accordingly.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was to proceed with the researcher as an object of six first grade female students at D girls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nam. This study was to use the data collection through various methods of questionnaire,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paintings of dancing, and poetry and painting as learning outcomes through periods of total 15 lessons from the middle of May to June, 2016. As for the collected data, the integrity of data was secured by the inductive categorical system and triangulation.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class practice of bamboo dance was conducted by dividing into the practice and composition, and presentation and appreciation of bamboo dance. The practice of bamboo dance was conducted by the learning of basic step, evaluation of basic step, and direct·indirect experience activities, beginning with the group composition for bamboo dance class. The bamboo dance was composed of the creation of new motion, selection of music, and the comprehensive creation. The presentation and appreciation were to present the created works and to cultivate the capacity of appreciation through the appreciation for the rest of students. Second,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educational effect of bamboo dance was coexistence , Maturity , and creativity and physical fitness improvement .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difficulty and pleasure emerged as coexistence by recognizing the feeling of difficulty in early class, and fun and interest as the class was being taught. The Maturity was suggested as aspect of discord in early class and aspect of cooperation in middle and late class by the characteristics of bamboo dance and class operational method. Creativity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amboo dance, and many improvements have been made in the physical part. This study was to consider it as creativity and physical fitness improvement . In this way,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bamboo dance class had sufficient educational effect in terms of knowledge, virtue, and health.

      • KCI등재

        학생체육일기를 통한 반성적 교수의 실천적 의미 탐색

        김낭규(Kim, Nang-Kyu) 한국체육교육학회 2017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학생들이 수업 후 체육일기를 작성함으로써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결과가 가지고 있는 교육적 의미와 역할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체육일기를 수집하여 영역분석과 분류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체육일기를 통해 교사들이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상황을 파악하여 학습자 관리를 할 수 있었다. 교사의 적극적인 감독과 체육수업이 어떻게 수행되어 학생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수업에 참여하는지에 대한 활동 상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교수학습방법의 기능으로서 역할이 가능하였다. 체육수업의 변화에 대한 시점과 과제의 종류, 적절성에 대한 판단자료의 가치와 단순히 일기장의 기능뿐만 아니라 학습장의 역할로서 학생들이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체육일기는 교사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교사가 학생들의 일기장에 남긴 댓글의 효과와 체육일기를 통해 학생들의 의견과 감정 상태를 표현함에 따라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체육일기가 단순한 글쓰기가 아니라 교사와 학생 모두에 있어 좋은 체육수업이 될 수 있는 수업활동의 한 가지 방법으로써 가치가 있음을 밝히고 싶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results the students could get by writing physical education diary after school, and what the educational meaning and role such results had. Methods: This study was to execute the domain analysis and analysis of classification system by collecting the physical education diary written by the students. Result: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learners could be managed by understanding the situation that the teachers could not observe it directly through the physical education diary. This researcher could understand the activity condition how the teacher"s active supervision and physical education performed, and how the students would participate in their classes. Second, the role was available as fun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the students used it as role of workbook as well as point about the change of physical education, sort of subject, value of decision data about the relevance, and function of simple diary. Third, the physical education diary could make it possible to interact between the teachers and learner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was realized as the teachers expressed the students" opinion and emotional state through the effect of comments in the students" diaries and physical education diary. Conclusion: This researcher considers it as making it clear that the physical education diary, not simple writing, has its value as one of methods for class activity which can become good physical education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 KCI등재

        중학생들의 시화를 통한 체육수업의 교육적 의미 탐색

        김낭규(Nang Kyu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5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의 간접체험활동을 통해 작성한 학생들의 시화를 통해 체육수업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 이를 통해 시화라는 간접체험활동이 체육교육의 방법적 차원이나 교육과정의 방법으로써 자리매김하는 기회로 삼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체육활동 결과물인 시화를 수집하여 분류체계분석을 하였다. 분석을 위한 대체 틀(substitution frame)을 파악한 후 시의 모든 용어를 집어넣어 적절한 관계가 성립하는지 검토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잠정적인 분류체계를 구성해 분류체계관계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인 주제어를 생성하였다. 시화의 구조는 시의 내용과는 다른 과제의 내용이나 특징을 묘사하거나 단순 꾸밈 형태의 ‘단순화’ 그리고 시의 내용을 의미화하여 그림으로 표현한 ‘은유화’로 이루어져 있었다. 시의 내용구조는 3가지의 내용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첫째, 체육활동의 과정을 묘사하여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정서를 경험 또는 극복하는 ‘과정적 측면’, 둘째, 체육활동을 통해 개인이나 모둠에 대한 반성, 비판, 성찰, 보람과 같은 ‘결과적 측면’, 셋째, 단순한 과제의 내용이나 규칙의 특성의 에피소드를 통해 표현한 ‘과제의 특성’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교과 간 통합적 체육수업을 위한 단위학교의 교육풍토 조성과 한번쯤 시행하는 일회용 교육과정으로 적용되어서는 안되며, 끝으로 수업을 운영하는 체육교사의 강한 신념형성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educational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through students`` the poetry and painting written by the indirect experience activity of physical education. In this way, the indirect experience activity of poetry and painting can act as a methodological dimens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method of curriculum. To achieve this,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collecting the poetry and painting as result of the students`` physical activities. After grasping the substitution frame to analyze, this study was to go through the review process by inserting all the terms of poetry whether the relationship could be performed properly.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compose the tentative classification system, and create the final key words through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relations of classification system. The structure of poetry and painting was composed of ``metaphor`` expressed by painting with the description of task contents or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e contents of poetry or ``simplification`` in simple decorative type, and signification of poetry contents. The content structure of poetry could be categorized and suggested in three contents. First is ``process aspect`` which experiences and overcomes various emotions composed in a process by describing the process of physical activities. Second is ``result aspect`` like reflection, criticism, introspection, and fruitfulness against the individual or group through the physical activities. Third is ``task characteristic`` which was expressed by the contents of simple topic or the episode of characteristics of rules. Accordingly, it requires the cre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unit school for the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among the subjects, and it should not apply it to the one-time curriculum which is executed at least once. To conclude,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forming the strong belief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operate their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