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DHD청소년의 치료과정에서의 성장경험에 관한 연구

        김남형 숭실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치료 중인 ADHD 청소년을 대상으로 치료과정에서 어떠한 성장경험을 하는지를 탐색하여 사회복지 서비스 개발을 위한 자료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ADHD 청소년 당사자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에서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질문은 “ADHD 청소년의 치료과정에서의 성장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연구 참여자는 소아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ADHD 진단을 받고 1년이상 ADHD 치료중인 청소년 16명으로 구성되었다. 이 참여자들은 서울과 경기지역의 소아정신과 2곳에서 정신과 전문의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에 의해 추천되었고 심층면접과 관련 기록서류들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이 제시한 근거이론의 방법에 따라 분석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최종적으로 259개의 개념과 42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을 이용한 구조분석 결과 인과적 조건은 ‘문제아로 낙인받음’이었고, 중심현상은 ‘남과 다름을 고민함’으로 발견되었다.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조건은 ‘치료를 받아들임’, ‘더 나은 나를 원함’으로 나타났고, 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전략을 촉진·억제하는 중재조건은 ‘치료에 대한 부모의 태도’, ‘변화가능성 인식’, ‘주변의 지지’, ‘치료에 대한 양가감정’으로 나타났다. 작용 및 상호작용 전략은 ‘의지를 갖고 견뎌나감’, ‘목표를 정해 전진하기’였으며 그 결과 ‘원하는 나로 만들어감’, ‘주도적인 관리자가 되어감’, ‘이타심이 생김’, ‘진로를 준비함’으로 나타났다. ADHD 청소년의 치료과정에서의 성장경험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고립과 혼돈’, ‘변화가능성 인식’, ‘변화노력의 확장’, ‘변화의 안정화’등 4가지 과정으로 나타났다.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남과 다름을 채워가는 성장경험’으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범주간의 관련을 확인한 결과 ‘개척형’, ‘점진형’, ‘고군분투형’, ‘유예형’으로 4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의 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ADHD로 인한 남과 다르다는 고민은 자신의 변화 성장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시도하게 하였고, 치료 초반의 변화 가능성 인식은 잠재되었던 더 나은 나를 기대하는 참여자들의 성장 욕구를 자극하여 성장해 갈 수 있는 희망을 갖게 하였다. 참여자들은 자신의 ADHD 문제를 극복하고 성장을 해나감에 있어 부모의 적극적인 치료태도와 친구와 선생님의 지원이 큰 도움이 되었음을 인식했다. 치료진의 전문적 도움은 참여자들이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얻어가며, 주변의 지지 자원이 부족한 참여자들에게 정서적, 기능적 원조를 수행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ADHD 청소년의 치료과정에서의 성장 경험은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점진적인 변화 성장해 가는 과정이었으며, ADHD 청소년 역시 자신을 성장 변화시키려는 성장욕구를 지닌 주체적인 존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DHD 청소년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에 있어 ADHD 청소년의 변화성장에 초점을 두고 이들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ADHD의 긍정적인 측면에 대한 이해와 함께 ADHD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신을 성찰하고 이해하며, 이들의 성장요소를 촉진 시킬 수 있는 상담,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ADHD 청소년들을 서비스 수요자로 생각하고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치료,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가 지역사회 내에서 제공되야 한다. 더불어 이들이 지지집단 형성이나 인터넷 까페 운영 등을 통해 자신들의 경험을 나누고 성장할 수 있으며 이들의 장점과 특성이 반영된 서비스 제공이 요구된다. 한편 치료과정이 ADHD 청소년들의 변화에 있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 성장하도록 방향제시 역할을 함을 볼 때 이들이 일정기간동안 치료과정에 잘 참여 할 수 있도록 돕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국가와 정신보건기관은 ADHD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사업을 위한 노력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차후 본 연구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치료 과정 속에서 성장경험을 한 연구 참여자와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한 풍부한 경험의 자료수집이 필요하다. 또한 ADHD 치료를 중단했거나, ADHD 진단 후 치료를 아무런 치료받지 않고 있는 청소년과 정신보건 전문가와의 상의하에 치료를 종결한 청소년들의 성장 경험에 관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experience of growth ADHD teenagers in treatment have had and to induce data for social service developments from it.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 the grounded theory in the qualitative study was used. The central question of this study is “what experience of growth ADHD teenagers have had during their treatment proces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6 teens who were diagnosed with ADHD by child psychiatrists and have been treated for over 1 year. They were recommended by psychiatrists and social specialists of two psychiatric hospitals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relevant documents and then was analyzed by the grounded theory method presented by Strauss and Corbin. As the result of the data analysis, 259 concepts, 42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ere eventually induced. The structural analysis using paradigm found that the causal condition was “labeling as a troublemaker’ and the central condition ‘concerns about being different from others’. The contextual conditions affecting the present situation were ‘acceptance of treatments’ and ‘desire for becoming the better person’. The intervening conditions to promote or restrain actions/interactions were ‘parents’ attitudes towards treatments’, ‘recognition of the possibility of changes’, ‘supports from people around ADHD teens’ and ‘ambivalence about treatments’. Actions/interactions strategy was ‘endurance with a will’ and ‘goal-setting and going forward’. The results were shown as ‘making myself what I want to be’, ‘playing a leading role’, ‘altruism’ and ‘mapping out one’s own career path’. In the course of treatments for ADHD teenagers, the growth experience showed four processes as time passed; ‘isolation and confusion’, ‘recognition of possibility on changes’, ‘expansion of efforts for changes’ and ‘stability of changes’. The selective coding in core categories was seen as ‘growth experience with recognition of difference from other people and efforts to catch up with them”. After verify relations of categories which consistently appeared around the core category, four types were emerged; ‘pioneer type’, ‘steadiness type’, ‘struggle type’ and ‘slump type’. As participants worried during treatments that they were different from other people, it made them to keep trying to grow up. In the early stage of treatments, their recognition of possibility on changes stimulated their desire for growth and encouraged them to get hope. Participants became aware that parents’ active attitudes and support from friends and teachers were a great help for them. Professional assistance from medical experts not only offered participants solutions to various problems, but also gave emotional and functional support to teens, especially who had lack of support from people around them. Based on these results, the growth experience of ADHD teenagers during treatments was progress of gradual change and growth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themselves and people around them. In addition, ADHD teens were independent persons with desire of growth. Therefore, the intervention in terms of social welfare is needed to focus on changes on growth of ADHD teenagers and find ways to support them. Together with understanding the positive side of ADHD,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unseling and programs that help ADHD teenagers to self-examine, understand themselves and accelerate their growth elements. Furthermore, ADHD teenagers should be recognized as customers and various services and treatments to give them lot of choice should be provided in local communities. Teens can share their experience and grow through organizing support groups or managing Internet cafes. Services reflecting their strong points and characters should be offered as well. Meanwhile, making efforts to help them to participate in care process for a certain period is required because the process is guidelines for teens to solve their own problems and grow up. The government and mental health organizations should try to improve social awareness and extend mental health busines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o overcome the limit of this study afterwards, a plenty of data from both ADHD teens experiencing growth in various treatments and their parents should be collected. Also, further researches on teenagers who stopped ADHD treatment with/without expert’s advice or got no treatment after diagnosis are necessary.

      • 남·북한 통화통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최적통화지역이론(OCA)을 중심으로

        김남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공적분 검정(cointegration test)과 VAR 모형을 이용하여 남·북한의 통화통합 가능성을 최적통화지역이론(OCA)에 비추어 분석하고, 독일 통일 후의 사례를 통해 남·북한 경제통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유엔통계국(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의 1990년부터 2008년까지 남·북한 국민계정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독일의 경우 연방통계청의 주별 데이터를 통해 추세분석을 하였다. 남·북한의 경우, 2000년 이전에는 거시지표가 동조성이 없었지만, 2000년 이후부터는 국민소득, 1인당 소득, GDP디플레이터, 경제성장률 등의 거시지표가 높은 상관관계를 띠고 있었으며, 공적분 검정(cointegration test) 및 VAR 분석 결과도 양(+)의 장기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북한의 거시지표의 동조성을 의미하며, 나아가 남·북한 통화통합으로 얻는 이득이 비용보다 클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하지만, 분석에 사용된 북한의 각 거시지표가 얼마나 신뢰성있는 자료인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며, 데이터의 개수도 충분하지 않다는 점에서 이후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경제의 OCA 조건을 간단한 계량분석과 경제학적 접근방법으로 논의해 봄으로써, 남·북한의 통화통합 및 경제통합 가능성에 대해서 긍정적인 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고쳐 말하기가 한국어 학습자의 정확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남형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recasts on Korean language learner's linguistic accuracy that arose incidentally in response to during oral interaction between a Korean Language Teacher and a Korean language learner. To this end, the current study adopted quasi-experiment design with 38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completed 800 hours Korean lessons were divided into 2 experiment groups and control group. All the participants had writing task and subsequent dyadic interaction with Korean language instructor on the their writing. Under the notion that recasts can be provided in an explicit or implicit manner, this study operationalized recasts as explicit type with prosodic emphasis and partial reformulation on learner's nontargetlike L2 production and implicit type with monotonous tone and full reformulation. The data collection procedures for three testing components are as follows: Before the dyadic interaction, learners were asked to perform writing task which is sharing personal experiences type. When they complete their writing task, learners then participated in oral interaction on their composition. Immediately after interaction, each leaner was given back to the copy of their original composition and asked to identify errors and the correct them if possible. 4 week after immediate testing, they were asked to review their composition again and make any changes if they felt it is not correct. The data analyses involved examining the immediate and delayed error identification/correction tasks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leaners were able to identify and correct the errors that were in common between their written and oral performance and that were targeted by recasts during interaction. All errors were categorized into morphological and grammatical, the frequency of error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non-parametric statistics. The study finding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n error identification/correction of immediate post-interaction test between experiments and control group. Second, explicit recasts group significantly outperform implicit recast group on immediate test. Third, on delayed test,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was measured in grammatical errors, whereas in vocabulary errors, there was no such difference. Forth, as mentioned alread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by error type. Fifth, individual factor such as leaner's development level did not affect the group performance on post tests. However there was tendency that the difference between more advanced group and less advanced group were increased after interaction. Sixth, there are strong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ners' uptake and grammar error correction. These findings show that recasts were effective corrective feedback and adding the element of perceptual saliency such as stress and partial reformulation to the construct of recasts increased the frequency of errors identification and grammar errors correction, while perceptually non saliency such as monotonous narration less effective. These findings show that recasts were effective corrective feedback and adding the element of perceptual saliency such as stress and partial reformulation to the construct of recast increased the frequency of errors identification and grammar errors correction, while perceptually non saliency such as monotonous and whole reformulation was less effective. Regarding the attrition of explicit knowledge on their own errors, however, implicit type of recasts were more effective than explicit one. In other word, it was effective on memory attrition. Based on this result, there is potential that implicit recasts might be helpful for long-term basis.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there is need to make further investigation for the role of implicit recasts through longitudinal study. 본 연구는 교사와 한국어 학습자 사이의 대화를 통한 일대일 상호작용 중에 우연히 발생하는 교사의 고쳐 말하기가 학습자의 정확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사전 평가, 즉각적 사후 평가, 지연된 사후 평가가 있는 유사 실험 설계를 채택하였다. 800시간의 한국어 학습을 마친 38명의 학습자들은 2개의 실험 집단과 1개의 통제 집단으로 나뉘어져 쓰기 과제를 시행한 후에 자신의 작문에 대해서 교사와 일대일 상호작용을 하였다. 그리고 고쳐 말하기가 학습자들에게 암시적 혹은 명시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전제 하에서 교사의 고쳐 말하기를 학습자의 오류 발화를 부분적으로 재구조화한 부분에 화용적인 강조를 더한 명시적인 유형의 고쳐 말하기와 화용적인 강조를 더하지 않고 절 또는 문장 전체로 고쳐 말하는 암시적인 유형의 고쳐 말하기로 조작화하였다. 세 번의 평가와 관련된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일대일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 전에 학습자들은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을 나누는 작문 과제를 수행하였다. 작문이 끝난 후에 학습자들은 자신의 작문 내용에 대해 교사와 대화를 통한 상호작용을 하였다. 그리고 상호작용 직후에 학습자들에게 작문의 복사본을 나누어 주고 자신의 오류를 찾아 수정하도록 하였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4주 후에 학습자들에게 다시 작문을 나누어 주고 오류 부분을 고치도록 하였다. 실험 자료의 분석은 쓰기(작문)와 말하기(상호작용)에서 동일하게 발생한 동일 오류 항목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학습자들이 동일 오류 항목을 인지하고 수정했는지 검증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그리고 두 번의 사후 평가에서 학습자의 오류 인지와 오류 수정을 분석하였다. 오류는 어휘 오류와 문법 오류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오류의 발생 빈도는 기술적 통계와 비모수 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즉각적인 사후 평가 결과, 교사에게 고쳐 말하기를 제공받은 실험 집단들과 통제 집단이 오류 인지 및 오류 수정 빈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명시적인 유형의 고쳐 말하기를 제공받은 실험 집단1이 암시적인 유형의 고쳐 말하기를 제공받은 실험 집단2보다 즉각적인 사후 평가에서 더 좋은 수행 결과를 보였다. 셋째, 지연된 사후 평가 결과, 어휘 오류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문법 오류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넷째, 오류 유형에 따른 집단 간 정확성 향상의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실험 처치 후에 오류 인지 및 오류 수정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향은 확인되었다. 여섯째, 학습자 수용과 오류 인지 및 오류 수정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고쳐 말하기가 효과적인 수정적 피드백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특히 강세와 부분적 재구조화가 더해진 명시적인 유형의 고쳐 말하기는 문법 항목에 대한 오류 인지 및 오류 수정에 효율적이면서 동시에 효과적이었다. 반면에 암시적인 유형의 고쳐 말하기는 오류 인지 및 오류 수정에서 명시적인 유형의 고쳐 말하기보다 효과가 낮았다. 그러나 오류 항목의 수정 비율의 감소에 있어서는 명시적인 유형의 고쳐 말하기보다 훨씬 효과적이었다. 이는 기억의 소거가 상대적으로 적게 일어났음을 보여 준다. 따라서 암시적인 유형의 고쳐 말하기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효과가 높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암시적 유형의 고쳐 말하기의 역할에 대한 종단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 알루미늄합금 용접부의 피도강도특성에 관한 연구

        김남형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GMA welding was carried out by varying ratio of mixture gas in order to prove and verify the relationship of mixture ratio and effectiveness of shield gas of Al5083-O which is aluminum alloy used frequently for low temperature containers. Tensile test and fatigue test were carried out at the various temperature ranges from high to extremely lower temperature. The summarized results from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 1) Fatigue limit of the material Al5083-O at room temperature was appeared approximately 80.3MPa and fatigue limit of weld rigions were appeared increased higher order of Heat Affected Zone, fusion line and weld metal. 2) Mechanical properties of GMA weld according to mixture ratio of protection gas were appeared the best results the best with the ratio of Ar33%+He67%. 3) Fatigue life of weld metal was decreaced with increase of Helium in protection gas mixture ratio, while fusion line and heat Affected Zone were increased. 4) Initial fatigue crack propagation of weld metal was appeared lower rate in low Helium ratio(0∼33%), fusion line and H.A.Z were appeared lower rate in High(50∼67%) Helium ratio. 5) The fatigue life increased at lower temperatures, particularly at -196℃, However different gas ratio and welding zone had little effect upon the fatigue life.

      • 생쥐 胚의 核置換에 關한 基礎硏究

        김남형 建國大學校 大學院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obtain basic information and technigues necessary for the efficient production of clone animal by nuclear transplantation. Three prelimina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ICM cells isolated from blastocyst were dissociated. Polyploid embryos were produced by treating cytochalasin B(CB) and in vitro culture. Male or female pronucleas was removed by microsurgery and cultured in vitro. In nuclear transplantation, Pronuclei of mouse embryo in pronuclear stage were removed, and nucleus of ICM cell was transplantated to the pronuclear free embryo by micromanipul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se experimen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umber of ICM cells isolated from blastocyst collected on day 4 and 4(1)/(2) after mating are 13 to 16 and 9 to 15, respectively. 2. Of the total 141 2-cell embryos treated to CB, 84(59.6%) were polyploid embryos apparently; And of 84 polyploid embryos subjected to in vitro culture, 71(84.5%) were develope to morula and 62(73.6%) to blastocyst. 3. Of 515 embryos, male or female pronucleus of 250 embryos (48.5%) were removed without any significant damage. Uniparental nucleus-removed embryos were cultured in medium containing CB, and 130(52.0%) of 250 embryos survived more than 10 hours, but failed to reach to cleavage stage. 4. Total 772 embryos were subjected to nuclear transplantation and 212(27.5%) embryos of them were successfully transplantated. Embryos nuclear-transplantated were cultured in vitro, 140(66.0%) embryos of them survied more than 12 hours, and 16(7.5%) embryos of them reached to 2-cell stage. However, they showed morphologically abnormal characteristics.

      • 랜덤 알고리즘을 이용한 인터랙션 디자인의 무작위적 표현유형에 대한 연구 : flash 액션스크립트의 사용자 정의 랜덤 함수를 중심으로

        김남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컴퓨터는 예술문화와 과학문화를 이어줄 다리로서 이용 될 수 있다는 주제가 내포되어 있다. 컴퓨터는 예술과 과학을 가르던 턱을 조금씩 없앰으로써 둘 모두를 이롭게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디자인의 형태는 이제 변하고 있다. 길이, 높이, 깊이에 새로운 세 개의 차원을 더하는 것도 디자이너들에게는 익숙해졌다. 우리는 3차원 또는 2차원의 조작을 통해 디자인 솔루션에 형태를 주도록 훈련받았다. 이제 우리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인터랙션 디자인(Interaction Design)을 위해 우리의 전통적인 디자인 요소나 방법, 소재 등에 모션, 사운드 그리고 인터랙티비티라는 새로운 차원을 접목시켜야 한다. 전통적인 방식의 모션그래픽의 표현에 비해 인터랙션 디자인에 있어서의 프로그래밍 접근방법에 의한 표현은 컴퓨터와 사람과의 인터랙션으로 좀더 다양하고 창조적인 표현을 할 수 있게 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디자이너에게 있어서 컴퓨터의 물리적인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표현하려는 것은 마치 과거 화가가 물감 등의 재료의 특성을 알고 다루는 능력과 많은 공통점이 있다. 최근에 이러한 컴퓨터의 물리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스크린 상에 표현하려는 시도는 최근에 들어 몇몇 선각자에 의해 행해지고 있고 앞으로는 많은 디자이너들이 그렇게 하리라 본다. 논자는 랜덤 알고리즘의 접근방법으로 객체 지향적인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플래시 액션스크립트(Flash Actionscript)의 랜덤 메소드(random method)를 이용한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웹사이트 상의 플래시(Flash)로 만들어진 인터랙션 디자인의 다양한 표현 유형을 고찰하고 그 관계성을 이용하여 새로운 시각적인 표현방법을 찾고자 한다. 유형 분석 결과를 토대로 논자의 실험적인 작업 결과물을 작품과 소스 코드를 본 논고에 게재하였다. 작업 결과물(artwork)을 랜덤 알고리즘(random algorithm)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자 정의 랜덤 함수(user defined random function)와 프로토타입 랜덤 메소드(prototype random methode)를 사용하였고 필요에 따라서 프로토타입 랜덤 속성(prototype random property)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이 논문은 인터랙션 디자인에 대한 연구의 가장 근본이 되는 상호작용의 이해에서 시작하여 공학과 수학의 연관된 연구 속에서 사용자 정의의 랜덤화 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전에 흔치 않았던 모션을 발견하는 좋은 수단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의미의 정확한 전달보다 진보를 향한 창의로운 사고의 원동력을 무엇보다 실험성에 두고 이를 시각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랜덤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랜덤 알고리즘을 이용한 연구의 디자인 적인 측면에서 보면 아직 보편적으로 접근되고 있지 않은 표현 방식의 하나인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해하고 이를 다루려는 끊임없는 실험적인 태도가 시각적인 표현을 풍요롭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 todays society, the computer has become engraved in our heads as a connecting tool between the cultures of art and science. The separation between the two cultures is diminishing slowly, and now, we utilize the two in the fields of design. The types of designs are undergoing changes with designers adding the new three dimensions to the length, height and depth. We have been trained to give the form to the design solution, through the two or three dimension manipulations. Now with our multi-media environment, to achieve the Interaction Design, we must combine our traditional elements of methods and materials of designs; in motion, sound and inter-activity, Compared to the presentations of traditional motion graphic method, the presentations of the programming approach method in the Interaction Design, are far more beneficial to depicting various and creative in terms of interaction between computer and mankind. There are familiarity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designers of today who tries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 accurat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mputer, then to the past or traditional painters who tri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materials of paint. Recently, some pioneers have performed to depict on screen using thes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mputer, and well see many more in the future. I have made an analysis of focusing the web site using the random method of Flash Action Script, which uses the method of Object-Oriented Programming as an approach method of random algorithm. Considering all the various expression types of Interaction Design made by the Flashes on the web site, I searched to find a new method of visual expression. To achieve the artwork of random algorithm, I incorporated the user defined random function and the prototype random methods, Of course, the prototype random property was incorporated as well This thesis starts with the understanding of interactions, which are the basics to the researches for the Interaction Design and will become a good tool to find motions, which were not universal using random algorithm in the related researches between engineering and mathematics. Because of these reasons, the experimental attitude to understand programming language, which is one of the expression methods, which were not approached universally, and to manage this continually will be beneficial to make visual exoression productive,

      • Three Essays on Local Volatility Models : 국소 변동성 모형에 대한 연구

        김남형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financial engineering, the Black-Scholes model is the most popular and basic model for pricing derivatives. A lot of research papers, however, show that the Black-Scholes model fails to explain features of the implied volatility surface such as volatility smile and the volatility skew. Local volatility models, introduced in 1994 by Dupire and Derman and Kani, treat volatility of underlying asset as a deterministic function of asset level and time. Implied volatility represents the market's expectation while local volatility represents average over all possible smile-consistent instantaneous volatilities in a stochastic volatility world. The advantages of using local volatility model are that they are smile-consistent one factor markovian model and they make possible to price exotic options consistently with the known market prices. They are also relatively easy to estimate compare to stochastic volatility models. We can recover local volatility surface from implied volatility surface using Dupire formula. There are some challenges in modelling the implied volatility surfaces: They must be arbitrage free. And they must have functional flexibility but not over-fitting. In addition, it can be helpful, if confidence interval information on the estimated volatility surfaces is provided. For these purposes, local smoothing method manipulating the bandwidth for estimating implied volatility surfaces is proposed in this thesis. Also, estimation method for local volatility model with jumps is provided. Additional jump term makes calibration difficult. Calibrating with reasonable starting points can solve this problem at least in some part.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s, we conduct simulations on both model-generated option prices data and real market option prices data. Using local smoothing with no-arbitrage constraints, we estimate implied volatility and local volatility. Then we value the KOSPI 200 index options, ELW, and barrier options. The estimation and prediction results show that local volatility function recovered from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pricing performance compared with volatility surfaces from other existing estimation methods. Also we show that proposed calibration method for local volatility jump diffusion model works well in estimation and pre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