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은국 문학의 보편성과 대중 재현의 문제 : 한국 여행기 「오 나의 한국」(1966)과 소설 『심판자』(1968)를 중심으로

        김남혁 ( Kim Nam-hyuk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0 한국문학연구 Vol.0 No.64

        재미한인작가 김은국의 문학세계에 접근하는 대표적인 작품과 키워드는 1964년에 발표된 『순교자』와 보편성이었다. 이 둘의 대표성은 지금까지도 강력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고 그에 준한 연구들이 대거 발표되어 왔다. 하지만 이 때문에 김은국의 문학적 실천들과 그 의미들이 많은 부분 이해되지 못한 채 남아 있기도 했다. 본 논문은 이 같은 연구와 관심의 편중을 조정하기 위해 그가 『순교자』로 문명을 얻고 막 남한에 귀국했을 무렵인 1965년 어름의 시기에 주목하여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그의 문학적 실천들을 음미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그가 남긴 한국여행기 「오 나의 한국(O My Korea)」과 귀국 직전에 탈고했던 『심판자(The Innocent)』(1968)를 검토했다. 본 논문은 이 두 작품이 『순교자』와 보편성이라는 관심 때문에 조명받지 못했던 그의 텍스트들이자, 미학적 보편성이라는 개념으로는 해석되기 어려운 당대 남한의 구체적 역사들과 연결되어 있는 텍스트들이라는 점을 번역, 휴머니즘, 군인이라는 세부 관점들을 마련하여 검토해 봤다. 이 무렵 김은국은 휴머니즘을 자신이 지지하는 문학적 이념으로 내세웠는데, 그것은 생의 모순을 인식하고 그것을 살아내는 것을 의미했다. 「오 나의 한국」은 이 같은 휴머니즘의 시좌에서 한국을 바라보는 여행기이다. 본 논문은 이 여행기가 여행자와 현지인이 만나는 접촉지대의 상호적인 특성이 부각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지만, 한국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접촉지대의 활력과 상호성이 사라지게 된다는 점을 살펴봤다. 한편 김은국은 자신이 지지했던 휴머니즘을 소설 『심판자』의 주인공들인 젊은 군인들을 통해서도 드러냈다. 이 소설에서 한국의 군인은 서구의 판단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휴머니즘의 실천적 존재이자, 삶보다 더 큰 대의를 추구하는 순수하면서도 현실적인 존재로 이해됐다. 그런데 「오 나의 한국」과 『심판자』는 1960년대 내내 김은국이 지지했던 휴머니즘을 구현하는 작품들이었지만, 그 휴머니즘 속에서 대중의 민주주의적 역량은 고찰되지 못하는 공통된 한계를 드러낸 텍스트들이기도 했다. Until now, the representative works and keywords that approach the literary world of Korean-American writer Richard E. Kim were The Martyred (1964) and universality. Their representativeness of these two has a strong influence and too many reviews and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However, for this reason, many of Richard E. Kim's literary practices and their meanings still remained ununderstood.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his literary practices that have not been noticed before, paying attention to the period around 1965, when he became famous for the Martyred and just returned to South Korea. In particular, this paper reviewed his travel writing, “O My Korea,” and his novel, The Innocent (1968). This paper analyzed these two texts around three key words : translation, humanism, and Korean soldier. Through this, it was discovered that these two works were his texts that were not illuminated by the interest of The Martyred and the concept of universality, and those that were linked to the specific history of South Korea of the time. At that time, Richard E. Kim supported humanism, which meant recognizing the contradictions of life and bringing it to life. “O My Korea” was a travelogue that understood Korea from this perspective of humanism. This paper has found that although this travelogue wa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action of the contact zone where travelers and locals meet, but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lated into Korean, the vitality and reciprocity of the contact zone disappeared. In addition, Richard E. Kim revealed the humanism he supported through the young soldiers who were the protagonists of the novel The Innocent. In this novel, the Korean soldier was understood as a practical existence of humanism that cannot be understood by Western thought, and as a innocent and realistic being who pursues a greater cause than ordinary life. However, “O My Korea” and The Innocent were works that embodied the humanism that he supported throughout the 1960s, but in that humanism, the democratic capacities of the multitude could not be considered.

      • KCI등재

        한국문학의 국제화와 TV드라마의 대형화 : 김은국의 소설 『잃어버린 이름』과 각색된 동명의 특집드라마를 중심으로

        김남혁 ( Kim Nam Hyuk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9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4 No.-

        본 논문은 재외한인작가 김은국의 장편소설 『잃어버린 이름』과 그것을 원작으로 하여 각색된 동명의 TV드라마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소설이 지향했던 문학의 국제성이 수용되고 변화되는 맥락과 특성을 검토했다. 1964년에 처녀작 『순교자』를 발표함으로써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던 김은국은 1970년에 그의 세 번째 소설 『잃어버린 이름』을 발표했다. 이 무렵 그의 문학론은 향토성을 버리고 국제성을 획득하는 데 집중되어 있었다. 그는 재외한인작가의 작품들이 한국의 풍속을 구체적으로 재현할 때 오로지 문학의 향토성만 부각되고, 이 때문에 문학 작품이 여행 안내책과 같은 처지에 놓이게 된다고 판단했다. 이를 타개하고 국제성을 획득하기 위해 그는 문학이 시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재현의 문제보다 보편적인 인간 그 자체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여러 강연과 신문 지면에서 그는 현재의 ‘삶보다 큰 것’이라는 표현을 하나의 개념처럼 자주 언급했는데, 국제성을 획득한 문학 속에는 그 개념처럼 구체적인 삶을 승화하고 초월하여 더 큰 것을 추구하는 비극적인 인간이 제시된다고 생각했다. 아울러 그는 이러한 비극적인 인간을 제시함으로써 상대에 대한 증오심과 악몽과도 같은 기억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은국이 주장했던 문학의 국제성이 오롯이 적용되어 있던 『잃어버린 이름』은 1985년에 MBC에서 3.1절 특집 드라마로 방영됐다. 이 시기 방송은 정부의 영향력 아래 놓여 있었으며, 정부는 국가발전과 민족정기 회복이라는 사명을 방송에서 실천해 주기를 요구했다. MBC는 이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작가의 작품을 활용한 대형 특집 드라마를 만들고자 했다. 드라마 <잃어버린 이름>은 기획 단계에서부터 미국 수출을 고려한 대형 특집 드라마로 제작됐다. 그렇게 완성된 드라마는 원작과 다르게 시대에 대한 구체적인 재현의 수준을 높였으며 일제에 대한 증오심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됐다. 그런데 이 같은 변화는 김은국이 문학의 향토성이라며 거부했던 특성이기도 했다. 이처럼 김은국의 문학과 드라마는 동일하게 전 세계의 독자와 시청자를 고려한 예술의 국제성을 추구했지만, 전자의 국제성이 역사와 인간에 대한 보편성과 연결되어 있었다면, 후자의 그것은 향토성과 연결되어 있었다. This paper dealt with Richard E. Kim’s novel Lost Names(1970) and TV drama of the same title(1985). Small aims of this study were to research the context of understanding that novel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in the area of TV drama in Korea in the 1980s. With this investigation, this paper compared aspects of internationality in novel and TV drama. Richard E. Kim sought to exhibit internationality in his novel that could help Korean literature to surpass locality. He thought that literary internationality could make Korean literature something like world literature but literary locality could make it something like traveling guide book. If so, how could korean literature step toward world literature and get that internationality? He answered that when an author made an effort to represent details of subsidiary information in narrative such as location, time, and so forth, his novel would show only provincialism. However, when an author endeavored to refuse literary locality, history, memory, and hatred that originated in them could be transcended. 15 years later, his novel Lost Names was adapted for TV drama on MBC in Korea. Around this time, TV broadcasting including TV drama was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The New Military Forces dominated broadcasting system and used it to propagate an image of the ideal nation. The TV drama < 잃어버린 이름(Lost Names) > was adapted in this harsh atmosphere of the times. However, this drama also pursued internationality like Richard. E Kim’s novel, which did not realized likewise. Japanese cruelty and resentment against it were stood out in the drama by representing past events in great detail. Broadcasting authorities thought these kinds of adaptation could strengthen internationality in TV drama. In other words, Richard E. Kim’s novel and the adopted TV drama sought internationality alike, but these two works understood it differently. This paper discussed this sameness and difference.

      • 건축물에서의 가연물 화재화중 산출을 위한 국외 가연물 연구사례 분석

        김남혁(Kim, Nam-Hyuk),신이철(Shin, Yi-Chul),권영진(Kwon, Young-Jin)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춘계

        국내의 가연물 조사 연구 사례를 통한 가연물 정보의 수집 방식에 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최근 일본건축학회에서 실시된 가연물 연구 사례를 보면서 건축물 내 공간정보와 가연물정보의 효율적인 조사 기법과 기존 가연물 조사 데이터와의 정보 분석을 통하여 국내에 적합한 용도별 가연물 산출을 위한 방법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 KCI등재

        1950년대 미국의 한국전쟁 재현물에 드러난 개인과 집단의 특성

        김남혁(Kim, Nam Hyuk)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통일인문학 Vol.70 No.-

        제임스 설터의 소설 『사냥꾼들』은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공군을 소재로 삼고 있다. 이 소설은 발표 후 2년이 지난 1958년에 할리우드에서 영화로 만들어졌다. 소설을 발표할 당시 공군 조종사였던 설터는 창작자의 자유를 확보하기 위해 필명을 썼으며, 실제로 발표된 소설 역시 공군이라는 조직에 우호적이지 않은 내용을 담고 있었다. 한편 영화는 미공군의 지원을 받아 만들어졌으며, 할리우드가 미국의 냉전 정책에 긴밀히 동조하던 1950년대의 시대적 분위기에 편승하여 제작됐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 <추격기>는 당대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동조하는 프로파간다라는 지적이 종종 제기됐으며, 이 같은 비판은 원작 소설의 미학적 완성도가 우수하다는 점을 더욱 강조하는 방향으로 진행됐다. 미적 완성도가 상반되듯이, 실제로 두 작품은 서로 반대되는 주제를 드러냈다. 원작이 집단에 동화될 수 없는 독특한 개인의 존재를 옹호하는 반면, 영화는 독특한 개인들이 통합될 수 있는 열린 집단을 강조했다. 하지만 이 같은 상반된 평가와 주제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은 한국전쟁의 역사성을 탈각시켰다는 점에서 공통된 특성을 갖는다. 원작에서 한국전쟁은 고결한 개인의 이상이 시험되는 배경일 뿐이며, 이와 마찬가지로 영화에서도 한국전쟁은 우애로운 공동체가 만들어지는 데 필요한 조건으로 등장한다. 즉 두 작품에서 한국전쟁은 다른 어떤 전쟁으로도 치환될 수 있을 정도로 역사성이 탈각된 상태로 제시된다. James Salter took part in the Korean War as an USAF member and after that he wrote a novel The Hunters(1956) which dealt with his aviation experience and special individual : the fighter pilot. A little later, Hollywood bought copyright of that book from him and made one film, <The Hunters>(1958). Since he was a fighter pilot, he wrote it under the pen name. Getting his own creative freedom, he did not need to glamorize USAF. His novel did not show a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of USAF. However the film <The Hunters> was made with the aid of USAF. Hollywood including 20th Century Fox in the 1950s agreed deeply with the Cold War ideology which the USA government elaborated to fight against communist countries. <The Hunters> could not get out of the atmosphere of the 1950s. So, some people criticized this film as a propaganda and they often admired the original novel of it. These two works―novel and film―dealt with directly-opposed ideas as they received opposing response from people. The novel showed the particular individual who could not be subordinated to any forms of organizations. However the film supported the community which could integrate all kinds of particular individuals.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se two works have a common weak point that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Korean War was omitted from them.

      • KCI등재

        새로운 소설의 성공과 풍자 형식의 실패 –이인직의 『혈의 루』와 『은세계』를 중심으로-

        김남혁 ( Kim Nam-hyuk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1 No.-

        이 논문은 이인직의 대표적인 소설인 『혈의 루』와 『은세계』를 각각 연재소설이라는 형식과 풍자 기법에 주목해서 읽어보았다. 『혈의 루』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대개 이 소설이 장편 소설이기 이전에 신문 연재소설이었다는 당연한 사실을 주목하지 않았다. 당시 이인직 소설을 대면한 독자들에게 새로운 것은 『혈의 루』에 내장되어 있는 신문명에 대한 견해나 이것을 표현하는 부속국문체만이 아니었다. 매일매일 발표된 이야기들이 연결되어 장편 분량의 소설로 완성되는 과정 그 자체가 당시 독자들에게는 새로운 형식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새로운 특성은 연재소설의 작가가 이율배반적으로 보이는 이중의 제약을 무사히 완수할 때 비로소 성공적으로 드러날 수 있다. 일차적으로 연재소설의 작가는 매일 비슷한 분량의 서사를 발표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단지 분량의 제약에 있지 않다. 일 회 서사 분량 안에서 하나의 이야기를 완결시키면서 동시에 다음 회 이야기에 대한 독자의 기대를 이끌어내야 하는 이율배반적인 특성에 바로 연재소설만이 지닌 새로움이 담겨 있다. 이른바 ‘연관 속 단절’의 실현 여부가 연재소설의 성공과 실패를 가름하는 기준이 된다. 이인직의 『혈의 루』는 독자와 등장인물 간의 정보량을 조절함으로써 연재소설의 ‘연관 속 단절’의 특징을 비교적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심지어 이인직은 연재소설을 단행본으로 묶는 과정에서 많은 부분을 수정하고 있는데, 이는 이인직이 연재소설과 장편 소설의 미학적 특성을 다르게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그러나 소설의 새로운 기법과 장르에 대한 뚜렷한 미적 자의식을 지니고 있었던 이인직이지만 현실 세계에 대한 그의 인식은 문명과 야만의 이분법적 구도에서 벗어나지 못한 한계를 지닌다. 이는 이인직이 풍자라는 형식을 소설에 도입하여 사유를 전개시키는 『은세계』를 통해 증명된다. 풍자는 풍자 주체와 풍자 대상 사이에서 교묘한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심지어 완벽한 균형을 이룬 작품이라 하더라도 의도와 다르게 독자에게는 지적 쾌감만을 전달해 줄 수 있기에 문학적으로 실현하기 어려운 기법이다. 이인직의 『은세계』는 풍자 주체가 풍자 대상에서 벗어나 있다는 착각을 불러오게 하여 문학 비판의 복합적 시선을 잃고 있다. 한편 이러한 풍자 기법은 흥미롭게도 소설의 문장 차원에서도 시도되는데, 이인직 소설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대칭 구조의 복문은 아쉽게도 오로지 이분법적 판단을 실현하도록 만든 데 조력한다. 이처럼 『혈의 루』와 『은세계』를 꼼꼼히 읽는 과정을 통해 이인직 소설의 미적 새로움과 그 한계를 살펴보는 게 이 논문의 목표이다. This article is a trial for understanding serial novel and satirical novel in Lee In-Jik's literary works. Especially, this article analyzes his two novels 「Tears of Blood」 and 「the World of Silver」. There are two reasons why this article covers these texts. First of all, this writing departs from the simple fact that 「Tears of Blood」 is a serial story in newspaper. It is a well-known fact to every researcher of the korean literature, but this common sense makes everyone overlook this fact. Advanced researches usually analyzed 「Tears of Blood」 not as a serial novel but as a novel. Such researches knew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two novels but they did not investigate the aesthetic value of that difference. The serial novel has a special function as compared with a novel. When novelist writes a serial story in newspaper, he finds himself in an antinomic situation. The story should be expressed each day in the limited section of newspaper but that finished story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next story which will be published tomorrow. So serial novel has a lot of partial stories and each part has not only the self-sufficiency but also the connectivity. In other words, the success of serial novel while each story of the day is being published serially in a daily newspaper depends on its antinomic feature. Lee In-Jik excellently actualized these aesthetic antinomy by adjusting amount of information which lies between readers and characters. For example, readers well know all the situation more than characters can recognize in the uncivilized city(Pyongyang-story). On the contrary, readers and protagonist do not well know circumstances more than civilized people in the story can recognize in the civilized city(Japan-story, USA-story). Thus, controlling the amount of information gives the daily published story both completeness and expectation. Second reason for researching Lee In-Jik's literary works is in the fact that his aesthetic interest leads to a satirical attitude. However his satire did not keep the balance between the blamer and the blamed. It is the very weak point of satire that man who blames others easily misunderstands himself as innocent person. 「the World of Silver」 is the typical satirical novel of all Lee In-Jik's literary works, but it does not overcome the satirical defect. Such a weakness results from his dichotomous way of thinking. He looks upon the world as a dichotomy between civilized country and savage country. In 「the World of Silver」, he combines dichotomy with satire. Subject of satire is always on the side of the civilized country but object of satire is on the opposites side. This rule remains unchanged throughout the novel 「the World of Silver」. This study is written for such two reasons, and following conclusion can be accepted : Lee In-Jik succeeded in creating a new novel, but failed to find the balance point of satire. Hidden behind the success of 'New-style roman' is the failure of satirical novel.

      • KCI등재

        제임스 미치너 관련 할리우드 한국전쟁 영화의 이데올로기 -<항공모함의 영웅들>과 <원한의 도곡리 철교>를 중심으로

        김남혁 ( Nam Hyuk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0 No.-

        제임스 미치너는 비교적 늦은 나이에 소설가로 데뷔했지만 1950년 무렵이 되면 아시아에 대한 소식을 미국 대중들에게 전달하는 교양지식인으로서 확고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소설을 포함하여 그는 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에 대한 글들을 상당수 발표했고, 그것들 가운데 일부는 영화로 각색되었다. 본 논문은 미치너의 에세이와 소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두 편의 영화 <항공모함의 영웅들(Men of the Fighting Lady)>(1954)과 <원한의 도곡리 철교(The Bridges at Toko-ri)>(1955)를 분석한다. 두 작품은 1951-52년 동안 동해에 파견되었던 에섹스 항공모함과 벨리포지 항공모함의 비행사들이 겪은 실제 경험들을 소재로 한다. 인물, 배경, 사건 등 여러 가지 면에서 사실적인 재현을 이루고 있으며, 미국방부의 도움을 얻어 사실적 재현의 수준은 더욱 높아질 수 있었다. 하지만 재현과 관련해서 두 편의 영화에서 특징적인 점은 재현의 사실성 정도는 매우 높지만 재현의 관점이 복합적이지 않다는 데 있다. 두 편의 영화에서 한국전쟁은 미국 중심의 일방향적인 관점에서만 재현된다. 더불어 이들 영화는 단순히 한국전쟁에 참여한 미군 비행사들의 경험을 재현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들로부터 실천되는 호혜성의 경험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미치너는 자신이 옹호했던 휴머니즘을 강조할 수 있었다. 하지만 미치너가 강조했던 사실성과 호혜성은 역설적이게도 한국전쟁의 역사적 맥락과 그 속에 폭력적으로 포섭될 수밖에 없었던 남·북한 사람들의 삶을 은폐하게 만들었다. 즉 미치너는 망각된 전쟁과 영웅들을 증언과 휴머니즘을 옹호하는 문학적 실천들을 통해 대중들에게 알리고자 했지만, 그것은 역설적이게도 한국전쟁과 관련된 여러 가지 역사적 맥락들을 다시 망각하게 만들었다. James A. Michener(1907-1997) worked as the most famous middlebrow in the 1950s, who conveyed useful information on Asia to the public, although he had become a novelist in his later years. Around this time he wrote many kinds of texts including fictions and they were adapted for movies. This paper focuses on two movies dealing with the Korean War: < Men of The Fighting Lady >(1954), < The Bridges at Toko-ri >(1955). These two films were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 of naval aviators who were on board USS Carrier Essex CV-9 and Valley Forge CV-45. The Department of Defense provided help to film producers and they could make their works more realistic. However these films did not simply represent real events, aviators, and so forth. Their final goal was to depict the reciprocity among American soldiers or between America and South Korea(or Asia). Michener wanted to achieve the high level of reality and reciprocity through his texts. Two movies which were based on his narratives and essays also followed his intention like this. So two movies and his texts seemed to offer others hospitality. However, they actually concealed many historical aspects on the Korean War. In other words, though he wrote many texts for the purpose of informing many American on the forgotten war, he suppressed again it paradoxically. This paper will examine the ideology of Michener`s text and two movies by reading many kinds of para-texts including his novels, essays, newspaper articles about these texts, and so on.

      • KCI등재

        노근리 사건의 문학적 형상화와 그 한계

        김남혁 ( Nam Hyuk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7 No.-

        한국전쟁은 한국인의 삶과 구조를 근본에서부터 변화시킨 전쟁일 뿐만아니라 기억의 전쟁이기도 하다. 1950년 7월 26일부터 나흘 간 영동 지역노근리 일대에서 무고한 파난민들이 미군에 의해 살해된 이른바 노근리사건은 고 정은용 위원장이 소설을 발표하기 이전까지 세상에 알려질 수 없었다. 전쟁 이후 들어선 군사정권이 표방한 반공주의는 노근리 사건 자체를 발설할 수 없게 억압했으며, 군사정권이 물러난 90년대 이후에는 전세계적으로 유포된 탈이념의 이데올로기 때문에 노근리 사건은 대중들로부터 큰 관심을 얻을 수 없었다. 하지만 정은용의 소설에서부터 촉발된 AP통신의 신문 기사는 이 사건을 전 세계적으로 공론화시켰으며 한·미양국이 노근리 사건의 진상을 조사하도록 여론을 자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근리 사건의 진상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후속 조치 역시 성실히 이행되지 못했다. 정은용의 소설 이후 노근리 대책위원회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작가들이 이 사건을 다루고자 했던 이유도 아직까지 노근리 사건은 남한의 사회 문화적 조건들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건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노근리 사건을 다루는 영화, 만화, 소설, 시 등의 여러 문화 활동들 가운데 한국 소설들에 주목하여 그것들의 성과와 한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금까지 발표된 노근리 관련 한국소설들은 피해자의 입장에 서서 사건에 다가서는 공통점을 지닌다. 이들 소설의 의의는 피해자 중심의 서사를 전개시키면서도 가해자에 대한 증오심이나 복수심을 억제하고, 더 나아가 전쟁 자체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는 보편성을 성취한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소설들에서는 법 질서를 넘어서는 보편적 정의(정은용, 김정희)와 사랑의 후사건적 실천(이동희)이 요청되거나 가해자와 피해자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윤리적인 의식모험(이현수)이 시도된다. 하지만 이 소설들은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 이전까지 전개된 영동 지역의 역사를 생략하거나, 가해자에 대한 탐구를 밀도 있게 전개시키지 못한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한계들은 노근리 사건을 통해 한국전쟁 이전과 이후에 걸쳐 남한 사회에 개입한 미국의 영향력을 검토할수 없게 만들기에 재고의 여지가 있다. The Korean war is not only the war destroying the life and social construction in Korea fundamentally, but also the war of memories. USA and US Army took part in the Korean war, justifying their decision as a sacred actions blocking communism and preserving Korean civilians. However, in an early stage of war, US Army had been defeated repeatedly, and these defeats produced an atmosphere of fear of guerrillas. The fear was one of the main factors which restrained US Army from defending their cause of the Korean war. No Gun Ri incident was occurred in this context. However the anti-communism made and encouraged by the military dictatorship in Korea suppressed for innocent victims of No Gun Ri incident to expose their experience. In addition, a so-called hearsay of the Post-ideological era in 1990’s made the public indifferent to historical problems including No Gun Ri incident. Therefore literatures handling No Gun Ri incident and published in 1990s and 2000s were brilliant fruits resisting both official memories of Korean war relating with an anti-communism and public indifference made by the ideology of post-ideology. It is a common feature that all these Korean novels access to the incident from a victim’s perspective. As everyone knows, victims’ standpoint may have some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historical events. However, in spite of their perspective, these literatures overcome limitations through suggesting universal justice and love and ethics. However These novels also have weakness in grasping the complicated historical context woven between Korea and USA. This article reads Korean novels dealling with No Gun Ri incident and criticizes widely their performance and limit.

      • KCI등재

        공군 관련 영화의 한국전쟁 재현 양상에 대한 고찰

        김남혁(Kim, Nam-Hyuk)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55 No.-

        한·미 양국 공군에게 한국전쟁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한국전쟁은 두 나라 공군이 육군의 예하 부대가 아니라 독립 부대로 작전을 수행한 최초의 전쟁이며, 부산 부근까지 밀려났던 육군과 다르게 공군은 전쟁 개시부터 휴전에 이르기까지 한반도의 제공권을 완벽히 통제했다. 비행기가 발명되었을 무렵 인류가 품었던 자유와 진보에 대한 낭만적 환상들은 한국전쟁에서 공군이 보여준 압도적인 승리를 통해 입증되는 듯 보였다. 이 때문에 한국전쟁으로부터 참전의 의미와 새로운 소재를 찾고자 했던 양국 정부와 영화 제작자들에게 공군의 활약은 매력적인 소재로 인식됐다. 1957년에 개봉된 <전송가>와 1964년에 개봉된 <빨간 마후라>는 모두 정부와 공군 관계자들로부터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만들어졌으며 한국전쟁에서 공군이 보여준 활약상을 재현한다. <전송가>는 군인이자 목사였던 딘 헤스 대령의 삶을 소재로 삼고 있으며, 이러한 헤스의 이중적인 삶은 1950년대 냉전적 세계 질서를 구축하고자 미국이 유포했던 크리스티안 아메리카니즘과 완벽히 공명한다. 이 영화에서 한국은 미국이 재편한 자유 진영의 일부로 포섭되지만, 이때 한국의 위상은 마치 고아처럼 보살핌을 받아야 하는 수동적 존재로 재현된다. <전송가>는 근대와 성장을 향한 남한 사람들의 욕망에 하나의 전범을 제시했지만, 반대로 자주와 민족을 향한 욕망을 억압했다. 억압된 욕망은 <빨간 마후라>를 통해 해소된다. 이를 위해 이 영화에서 한국공군은 미공군이자 고아의 ‘아버지’였던 딘 헤스를 부정하면서도 그를 모방함으로써 그의 자리에 올라서게 된다. <빨간 마후라>에서 한국 공군은 실제 한국전쟁기에는 운용하지 못했던 F-86 제트기를 타고 공중전을 펼치거나 미공군보다 우수한 작전 수행 능력을 과시하는 등 매우 강력한 남성성을 드러내며, 더불어 딘 헤스만큼이나 약자에게 자애로운 모습을 드러낸다. 이를 통해 <빨간 마후라>는 근대, 성장, 자주, 민족을 향한 대중들의 열망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두 영화는 한국전쟁의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지 못하게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전송가>의 크리스티안 아메리카니즘으로부터 억압된 한국의 남성적 주체성은 <빨간 마후라>를 통해 복권되지만, 그 같은 복권은 <전송가>와 마찬가지로 한국전쟁을 이해하는 역사적인 접근 방식을 억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It has been generally known that South Korean soldiers and the UN troops involving US army struggled from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r. Before Operation Chromite, almost all of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actually occupied by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However this kind of statement is correct only from the standpoint of ground force. If you switch the viewpoint from ground to sky, the Korean War will be progressed differently. Both ROK Air Force and US Air Force never once lost their air supremacy throughout the Korean War. Their remarkable activities were so extraordinary that many moviemakers in USA and South Korea thought them as new subject for their films dealing with the Korean War. Furthermore, romantic image such as liberty, progress, modernity, and so forth made by the aviation would be connect with great triumph of Air Force in the Korean War. Both Hollywood movie <Battle Hymn>(1957) and Korean movie <Red Muffler>(1964) has been made in this context of the aviation and the Korean War. The narrative of <Battle Hymn> is based on Colonel Dean Hess’ autobiography that is the book about his own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and Operation Kiddy Car. In this movie, Hess is depicted as a brave aviator as well as benevolent parson. He not only fights bravely with enemy but also takes care of many Korean orphans. However, his attitude was an echo of the Christian Americanism that had been spread by USA during the Cold War era. South Korea could be embraced in this global order made by Christian Americanism, but it could not have its own national power and subjectivity. Emasculation of the national power of South Korea in <Battle Hymn> is regained in <Red Muffler>. There is no US Air Force in <Red Muffler>. In this film, ROK Air Force carries out their operation more bravely and builds a relationship with the weak more benevolently than Hess and US Air Force. This cinematic setting gave South Korean public great satisfaction of nationalistic desires that could not been gratified with <Battle Hymn>. However both films shared common limitation: they all erase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Korean War through highlighting the male subjectivity.

      • KCI등재

        이청준 문학에 드러난 "정치적인 것"에 대한 연구 -「수상한 해협(海峽)」, 「제 3의 신(神)」, 「그림자」를 중심으로

        김남혁 ( Nam Hyuk Kim )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1 No.3

        이 논문은 2003년에 완간된 열림원판 이청준 소설 전집에 수록되지 않은 단편과 희곡을 통해서 그동안 선행 연구에서 이루어진 이청준 소설에 대한 상찬(賞讚)과 비판의 시각을 조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청준 소설에서 자유만을 읽어내는 선행연구들과 평등만을 강조하는 기존의 연구들은 이청준 소설을 상반되게 해석하고 있지만 사실상 ‘정치적인 것’의 의미에 대한 사유를 축소시킬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공통된 한계를 지닌다. 실제로 이청준 소설에서 자유와 평등의 문제는 이분법적으로 양분되지 않는다. 이청준 소설에서 정치적인 것은 자유에 대한 옹호가 무한 상대주의로 변질되는 경우와 평등에 대한 옹호가 집단에 내재한 구성적 타자를 은폐하게 되는 경우 모두를 경계하게 한다. 이청준 소설은 제도 정치를 초과하는 정치적인 것이 어떤 방식으로 출현하는지 말해주고, 지배 메커니즘이 정치적인 것을 어떤 방식으로 관리하는지 폭로한다. 정치적인 것들을 출현하지 못하게 하는 것에는 지배자들의 물리적인 폭력, 폭력을 숨긴 관용, 의사(擬似) 정치 체제가 있다. 정치적인 것들의 출현을 봉쇄하는 지배 메커니즘은 2장에서 살펴볼 것이고, 권력자의 지배 메커니즘이 체제 정치로 발전될 경우 출현하는 의사정치 체제의 문제는 3장에서 살펴볼 것이며, 지배 메커니즘과 의사 정치 안에서는 절대로 말해질 수 없는 정치적인 것들이 어떤 방식으로 말해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4장에서 살펴볼 것이다. 더불어 세 작품에서 중요하게 언급되는 ‘개작’, ‘연극’, ‘우화’가 단순히 미학적 새로움만을 위한 기법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political elements in Lee Cheong-jun`s short stories and plays which are not included in his complete works published in 2003. The preceding studies focusing on either liberty or equality have common limitations, for they tend to reduce the thoughts on meaning of “political things.” In fact, the issues of liberty and equality cannot be divided dichotomically in his works. His works warn against both cases that the advocation of liberty turns into infinite relativism and that the advocation of equality into concealment of constitutive “others” in the group. His novels reveal that how the “political things” exceeding a political system appear. Further they betray how the “political things” can be controlled by such ruling mechanism as physical violences, quasi-political system, false tolerance hiding viol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