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제강점기 향토오락 진흥정책과 민속놀이의 전개 양상

        김난주(Kim Nan-Ju),송재용(Song Jae-Yong)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4

        본고는 193, 40년대 쇠멸해 가던 우리의 민속놀이가 급부상하는 사회 문화적 배경 가운데 특히 향토오락을 둘러싼 일제의 문화정책의 추이를 살펴보고,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민속 놀이가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간행된 제 자료 및 신문 잡지 등과 같은 정기간행물을 통해, 조선 향토오락 진흥책이 1930년대 전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을 확인하고 그 정책 방향과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1937년 조선총독부는 조선 농촌오락의 선택 기준과 지도 방침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실시안에 대한 구체안을 만들어 각 지역 농산어촌에서 실시 하도록 하였는데, 본고에서는 1934년 조선총독부 경기도 지방과에서 발행한 『農村娛樂行事? 附立春書例示』를 통하여 그 일단을 살펴보았다. 관 주도의 선동적인 향토오락 장려운동이 실효를 거두지 못한 가운데, 근대시기 민속놀이는 향토와 세시공간을 떠나 〈대회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씨름, 윷놀이, 그네, 줄다리기 대회는 주로 대형 신문사나 지방 행정관청에서 후원 또는 주최하며 수 천, 수만의 관중을 동원하는 양상을 보였다. 근대시기 성행한 민속놀이 대회는 일제강점기 기획된 향토오락 진흥정책에 의해 묵인되고 양산된 측면이 강하다. 또한 그것은 전승 공간과 놀이 주체자를 더욱 확장하고 도시화했다는 점에서 민속놀이 전승 방식의 근대적 변모 양상이라 할 수 있겠다. This paper traces the changes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s cultural policy amongst the cultural background while Korean folk entertainment was promoted as indigenous entertainment, and also researches how folk entertainment was developed in such historical background. This paper, through various materials and periodical publications such as newpapers and magazines, confirms that the promotion policy for Joseon’s indigenous entertainment begins in earnest in early 1930’s, and studies the direction and progress of the policy. In 1937,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Joseon provided the guideline for selecting Joseon’s rural entertainment and instruction policy. Moreover, the colonial government set the applied the practical methods for the guideline into each agricultural and fishing area. This paper examines a case through “the Reframing of Rural Entertainment Event: Examples for Caligraphy for Beginning of Spring” published by gaming department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Joseon. While those agitative promotional movement for folk entertainment by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could not provided effective results, the modern folk entertainment, separated from rural area and from times and seasons, had tendency to become ‘contest’. Especially, the contests of ssireum(korean style sumo), yut-nori, swing, tug-of-war were hosted or sponsored by newspapers and local governments, and attracted some thousands of audiances. The boom of modern folk entertainment contests could be said to be the phenomenon control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s promotional policy. Also, the fact that the boom expended the transmissional area and subjects joining the events and urbanized the folk entertainments can be understood as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folk entertainment transmission methods.

      • KCI등재

        일본문학에 나타난 일부다처제하 여성상 고찰을 위한 시론(試論) -상대(上代)에서 중세(中世)까지-

        김난주 ( Nan Ju Kim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3 동방학 Vol.28 No.-

        본고에서는 일본 문학에 등장하는 여성들이 일부다처제라는 사회구조 안에서 그들의 삶에 대처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여성에 대한 이해가 각 시대별로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를 특히 상대에서 중세까지를 중심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상대 『古事記』, 『日本書紀』는 일부다처를 둘러싼 사랑과 질투의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고 이를 긍정하였다. 한편 고대 『日本書紀』와 『新猿?記』에는 일부다처제하 남성의 사랑과 관심에 의지해서 살아가는 여성들의 불안이 형상화되었는데 여기에는 일부다처의 남편을 통해서 자신의 인생을 완성할 수도 없고 장래를 보장받을 수 없다는 절망감이 내재되어 있었다. 한편, 중세사회 자신의 실력으로 가정과 세상을 이끌어가는 여성상이 부상하면서 문학에서는 남성의 일방적 性의 자유에 저항하는 여성상이 등장한다. 교겐에서는 그것이 남편과 드잡이하는 아내와 쫓겨 가는 남편으로 형상화되었다. 또한 오토기조시(御伽草子) 「사이키」에는 가족이라는 속박과 불평등한 부부관계를 깨고 가치 있는 삶의 의미를 찾아 떠나는 독립적 여성상이 제시되었다. 특히 여성 주인공들이 처첩 관계 속에서도 서로를 적대시하지 않고 남성과 여성, 사회적 굴레와 자아실현이라는 구도 속에 동지적 결합을 보여주고 있다는 측면에서 앞선 작품들보다 진일보한 면모를 보여 주고 있다. 이상의 고찰에 의해 일부다처제에 대처하는 여성의 자세는 역사의 흐름과 함께 꾸준히 진보하는 방향으로 흘러왔으며 중세 문학은 그러한 여성상을 가장 다이내믹하게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교겐(狂言) 조선(朝鮮) 공연기(公演記) -식민지 조선과 일본전통예능의 조우-

        김난주 ( Nan Ju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7 No.-

        본고는 근대 노가쿠사(能樂史)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해외 식민지 공연사 중에서도, 특히 이제까지 연구의 대상에서 도외시되었던 교겐(狂言)의 조선 공연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 그것이 일본의 근대 노가쿠계 혹은 한국 근대 연극사와 어떻게 연동하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교겐의 조선 공연에 대해서는 그 규모와 이슈 면에서 주목할 만한 1910년의 시게야마 센고로(茂山千五郞) 공연, 1917년 노무라 교겐회(野村狂言會) 공연, 1923년 이즈미류(和泉流) 타타라 교겐회(多□良狂言會) 공연, 1935년의 滿鮮 순회공연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1910년에 열린 고쿠후(國諷)의 노가쿠 공연에서는 센고로의 교겐이 특히 많은 인기를 끌었다. 센고로의 성공적 무대는 1910년대 본격화된 노(能)에 대한 교겐의 분리 독립 움직임과 함께 조선에서의 공연을 촉진하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1910년대 중반부터 노를 동반하지 않는 교겐의 단독 공연이 성사되었는데 본고에서는 이들 공연의 실태와 그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식민지 조선에서 교겐의 단독 공연이 이어진 배경에는 새로운 무대를 찾고자 하는 일본 교겐계의 열망과 함께, 식민지 거류 일본인 관객들의 수요가 노에 비해 감상이 용이한 교겐에 경도되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1935년 호쇼류(寶生流)의 이에모토(家元)와 시게야마 추자부로의 공연을 경계로 급변하는데 이는 이후 전개된 전시체제의 험악한 분위기 속에서 전통예술의 해외 공연이 여의치 않았기 때문이다. 한일 합방을 전후하여 일본에서는 노가쿠가 국악의 백미, 민족문화의 정수로 추앙받으며 국가 차원의 지원이 적극 모색되었다. 이러한 분위기에 편승하여 재조선 일본인들 역시 노가쿠를 고상한 취미활동 내지 일본인의 정체성을 고취시키는 방편으로 적극 활용하였다. 이에 반해 일제 강점기 조선의 전통 연희는 일제로부터 淫風敗俗의 연극으로 몰리며 상연 금지와 규제 대상으로 전락했다. 재조선 일본인 사회에서 40여 년 가까이 성행한 노가쿠는 조선 사회와 아무런 접촉을 가지지 못했고 또 조선 문화계의 반응 역시 전무했다. 이 점, 20세기 초반에 국내에 소개된 중국의 창극과 일본 가부키가 판소리의 창극화 등 전통극의 근대화에 영향을 미친 것과 대비되는 부분이다. This paper has made considerations focused on Choseon performance of Kyogen that has been excluded from subjects of study till now among the oversea colony performance history that had decorated on page of the modern Nohgaku history. Out of Choseon performance records of Kyogen, this paper has looked into a commemorative performance of Gyeongbu Railroad Opening in 1905, Shigeyama Sengoro performance in 1910, Nomura-family performance in 1917, Izumiryu Tatara Kyogen performance in 1923, and Iemoto of HosyouryuㆍIII Shigeyama Chuzaburo performance in 1935 that were remarkable in their scale and issues. In Nohgaku performance of the Kokuhu in 19010, Kyogen of Sengoro especially attracted a lot of popularity. It is assumed that successful stage of Sengoro played a role to promote Kyogen performance in Choseon together with separate independence movement of Kyogen against Noh regularized in 1910s. In addition, exclusive performance of Kyogen without Noh accompanied was accomplished from the middle of 1910s, of which actual conditions and background have been discussed on this paper. As like that, it is assumed that exclusive performance of Kyogen was achieved since demand of colony audiences was inclined to enjoy compared to Noh together with Kyogen that was easy to urgency of Japanese Kyogen society to find out new stages. However, these situations were rapidly changed around performances of Iemoto of Hosyouryu and Shigeyama Chuzaburo in 1935, as it was not easy to have oversea performance of the traditional performance arts among hash atmosphere of the Sino-Japanese War afterwards. It is assessed that traditional Chinese opera and Japanese kabuki that were introduced in Korea around the early 21th century had a lot of effect on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plays including transition from Pansori to traditional opera, etc. By comparison, Nohgaku that had been prevalent in the Japanese society for about 40 years in Choseon could not have any contact with Choseon society and there was no response in Choseon culture society. On the other hand, as Nohgaku was held in high esteem as the best of national music and essence of the national cultures in Japan around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was actively sought. Along with this atmosphere, Japanese people in Choseon also recognized Nohgaku as a noble hobby activity and actively utilized it as a measure to inspire their identity. However, traditional play of Choseon was oppressed by the Japanese police as a lascivious stream ruining custom as a ban on performance and a subject of enforcement at the same period of time. At this point, we are required to think destiny of our colonized homeland and the traditional play.

      • KCI등재

        노(能)에 나타난 신(神)과 유녀와 부처의 전생담(轉生談) - <무로기미(室君)>를 중심으로 -

        김난주 ( Kim Nan Ju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6 禪文化硏究 Vol.20 No.-

        본고는 <무로기미(室君)>를 중심으로 일본 중세극 노(能)에 나타난 신과 유녀와 부처의 전생담(轉生談)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일본 신불세계의 역동성을 탐구해 보고자 한 것이다.노 <무로기미>는 토착 농경신에서 왕권 수호신으로 재편된 가모신(賀茂神)이 유녀들의 가무 봉헌을 받아 불교의 위제희부인(韋提希夫人)으로 화현(化現)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고대와 중세를 통해 신기신앙(神祇信仰) 세계의 정점에 있던 가모신의 본지불(本地佛)로 위제희부인이 등장하는 것은 일본 문예사에서 전례를 찾을수 없는 이례적인 현상이다. 또한 신불(神佛)이 습합하고 통합되는 과정에 유녀가 기능하고 있다는 사실도 흥미롭다. 본고에서는 가모신앙을 배경으로 한 일련의 노 작품에 유녀가 집중적으로 등장하며, 이들 유녀가 특히 무녀적 속성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무로기미>에서 유녀가 신을 권청하는 사제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은 무로기미의 이러한 무녀적 속성에 기인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가모신앙을 배경으로 한노에 유녀들이 집중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왕권 수호신에서 사랑의 수호신으로 변모된 가모신의 성격과 관계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한편, <무로기미>에서 가모신이 불교의 위제희부인으로 등장한 것에 대해 이제까지 선행연구에서는 위제희부인이 여인 왕생자(往生者)의 효시로 클로즈업되기 시작한 중세 불교의 동향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본고에서는 이에 더하여 고통에 절규하며 아미타불의 구원을 갈망하는 여성으로서의 공통성과 함께 유녀와 위제희부인이 공유하고 있는 에로티시즘의 세계를 언급하였다. 즉, 에로티시즘의 세계에 살면서도 언제나 사랑과 구원을 갈망해 온 유녀들에게 사랑과 배신과 구원의 드라마를 보여준 위제희부인이야말로 가장 적합한 구제불(救濟佛)이었음을 지적하였다. In this study, considering transmigration tale of God, young girl and Buddha represented in Noh that is early modern drama of Japan based on <Murogimi>,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Japanese Shinbul Seuphap(convergence of Japanese Buddhism) were intended to be explored. Noh <Murogimi> contains contents that Kamoshin being transformed from farming god to royal authority advocating god is transmigrated as vaidehi of Buddhism by receiving singing, dancing dedication of prostitutes. Through ancient times and early modern times, emergence of vaidehi as original Vaidehi of Kamo god being reigned as the world strongest power in divine religion is an extraordinary phenomenon that is hard to find its precedent in th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In addition, it is also interesting to note that in a process of convergence of god and Vaidehi, prostitutes played a role. In this study, in a series of Noh works with Kamo religion as background, prostitutes appeared extensively and it was particularly considered that they strongly revealed female exorcist style attribute. Through this, it was indicated that in <Murogimi>, prostitutes undertook a function of priest preaching god was attributable to shamanistic attribute of Murogimi and additionally, extensive appearance of prostitutes in Noh with Kamo religion as background has relation with the nature of Kamo god that was transformed from royal authority advocating god to cupid.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ransmigration of Kamo god as a body of vaidehi of Buddhism in <Murogimi>, in preceding study so far, it was inferred that it may have a relation with trend of early modern Buddhism in which vaidehi was started to be closed up as first case of lady Wangsaengja. In this study, the world of eroticism being shared by prostitutes and vaidehi was mentioned. In other words, vaidehi who showed drama of love, betrayal and redemption to prostitutes who always yearned for love and redemption while living in a world of eroticism might have been the most suitable redemptive Buddha indeed.

      • KCI등재

        일본 문학상 <서점대상(本屋大償)> - 성공과 한계, 그리고 서점에서 책을 파는 즐거움 -

        김난주 ( Kim Nan-ju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1

        2004년 전국 책방의 서점원들이 모여 만든 <서점대상>은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현재 일본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문학상으로 자리매김했다. 본고에서는 <서점대상>의 성공사례와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문학상은 범람하지만 정작 문학이 설 자리를 잃어 가는 이 시대, 문학상의 의미와 나아갈 길에 대해 재고해 보고자 하였다. 한국의 경우, 문학상과 관련해 자주 언급되는 것은 수상작 선정을 둘러싼 공정성 문제이다. 하지만 전문 위원회의 심사가 아닌 오로지 서점원들의 자발적인 투표와 봉사로 운영되는 이 문학상에 공정성을 제기하는 목소리는 없다. 한편, 다른 많은 문학상들이 문학적 가치와 작품성이 중요하다고 말할 때, <서점대상>은 책의 판매라는 상업적 목표를 천명했다. 본고에서는 출판사와 배본사, 서점의 공조를 이끌어내는 <서점대상> 실행위원회의 전략과, 출판사의 치열한 판촉 활동을 통해 <서점대상>의 성공 요인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고에서는 역대 수상작 분석을 통해 <서점대상>의 취향과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서점대상>이 대중 문학상으로 최고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나오키상에 비해 여성작가 선호도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 <서점대상>과 중복도가 높은 키노베스(キノベス)와 요시카와에지문학신인상(吉川英治文学新人賞)에 대해 알아보고 이 두 상과의 영향관계를 점검해 보았다. 아울러 최근 4년 동안의 선정작들이 모두 가정과 사회에서 학대받고 방기되는 아이들, 나약하고 상처받은 사람들끼리의 연대와 치유를 다루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끝으로 <서점대상>의 본질은 기존 문학상과 다른 반엄숙주의와 탈권위, 발랄함에 있으며, 독서계 최전선에서 일하는 서점원들이 <서점대상>이라는 이벤트를 통해 독서의 즐거움을 독자와 공유하는 것에 이 상의 진정한 의미가 있음을 피력하였다. The < Booksellers' Award >, created by bookseller's clerks from all over the country in 2004, has established itself as the most influential literary award in Japan despite the short period of time. In this paper, the success 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 Booksellers' Award > were examined with a view to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the literary awards and the way forward in this era when literary awards overflow but literature loses its footing. In the case of South Korea, what is often mentioned in relation to literary awards is the issue of fairness surrounding the selection of winning works. However, there is no voice to raise the issue of fairness of this literary award, which is operated solely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service of bookseller's clerks, not by screening by an expert committee. Meanwhile, while many other literary awards said that literary value and quality of work were important, < Booksellers' Award > declared its commercial goal of selling books. In this paper, the success factors of the < Booksellers' Award > were examined through the strategy of the < Booksellers' Award > executive committee that leads to collaboration between publishers, distributors, and booksellers, and the publisher's intense promotional activities. In addition, this paper considered the taste and characteristics of the < Booksellers' Award > through analysis of past award-winning works.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 Booksellers' Award > had a remarkably higher preference for female writers than the < Naoki Award >, which is recognized for its highest authority as a popular literary award. In addition, the < Kinobes(キノベス) > and the < Eiji Yoshikawa Literature Newcomer Award(吉川英治文学新人賞) >, which overlap a lot with the < Booksellers' Award >, were examined and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 Booksellers' Award > and these two awards were checked. In addition, it was considered that all the selected works for the last four years deal with the solidarity and healing between children who are abused and neglected at home and society and the weak and wounded. Lastly, it was expressed that the essence of the < Booksellers' Award > lies in its anti-rigorism, de-authority, and vividness unlike existing literary awards and that the true meaning of this award lies in sharing the pleasure of reading of bookseller’s clerks working at the front line of the reading world with readers through the event termed < Booksellers’ Award >.

      • KCI등재

        한·일 고전문학 속 기녀와 유녀 - 여성영웅과 여신의 환상 사이 -

        김난주 ( Kim Nan-ju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0 日語日文學硏究 Vol.114 No.-

        This paper analyzed the image of 'gisaeng' as a national hero and the image of ‘yujo’ as the goddess of sex or the spirit of Buddha shown in Korean and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In addition, this paper considere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perceptions of women and women's sexuality shown in the classical literature.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gisaengs were in charge of various roles ranging from the most beautiful partner of noblemen to the heroines of heroic narratives responsible for the fate of the nation. This paper discussed the fact that the heroic narratives of gisaengs are on the extension of the tradition of ‘the female hero novels’ that were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furthermore, they are based on the veneration of chivalry that was popular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nd the consequent emergence of chivalrous gisaengs. On the other hand, the pinnacle of the images of yujo fantasized by the world of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can be said to be the deification of the poorest and most sinful yujo when seen from the Buddhist human view. Yujo in the medieval tales and the medieval and modern fairy tales(御伽草子) appeared as the incarnations of Bodhisattva. And such narratives led to the modern-day illusion that the more men a yujo has sex with, the more Buddhist merits are accumulated. To these special women who were selling sex and laughter,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mposed Confucian trust, righteousness, chivalry, and patriotic ideology so that they were born as female hero. The fantasy of a Korean 'gisaeng' hero is a matter of humanism as to what a beautiful human being is, which eventually converges into a form of Confucian human with the virtues of good faith and righteousness. In contrast, the fantasy of yujo resulted in the issue of perception of female sexuality, and bottom of the perception are imprinted with religious memories of sacred sex. Based on this perceptio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has built up a yujo fantasy as a goddess of sex.

      • KCI등재

        <문화, 문학> : 한일(韓日) 산육신(産育神) 비교 연구

        김난주 ( Nan Ju Kim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39 No.-

        This thesis comparatively looks into folklore faiths, expecially child-birth gods related to child-birth customs and aims to find out both nations’ faith in child-birth gods and their features. It looks into birth gods protecting delivering mothers and babies by appearing at the delivery sites at time of delivery and child-rearing gods intervening in growth of babies after they are born. In both nations, many gods are believed in for selection of babies, safe delivery and their healthy growth but those appearing at delivery sites are only birth goddesses called Samsinhalmony and Obugami. What make this phenomenon appear in both nations’ folklore faiths? Seeing the reason in the fact that common negative concept regarding childbirth exists in both nations’ established faiths, the writer comparatively analyzed various cases of delivery-related defilement in both nations’ delivery customs. Its result showed that Japan is stronger in delivery-related defilement concept than Korea is. For instance, Japan regard child birth-related defilement more horrible than that related to funeral. Pursuantly, in Japan stricter regulations on childbirth rooms and stricter taboos for babies have been passed down. Besides, in the process of its comparative study on both nations’ divine images and appearances, the write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unlike Japan’s mountain gods and restroom goddesses appearing at delivery sites, they don’t get involved in childbirth in Korea and discussed Japan’s theory of reincarnation and its mountain goddess’ marginal nature working behind the curtain. I also discussed the phenomenon that both nations’ childbirth gods are passed down as Three gods, which means that their faith in childbirth gods has to be seen as a result of the faith in childbirth gods interacting with the faith in Three gods or the Three-gods theory, accordingly I indicated that it is worth re-consideration to see the Three-God Theory as the core of the faith in Samsinhalmoni. Lastly, though in both nations’ childbirth faith underlies their fear for divine beings, the faith in childbirth gods, strongly coupled with death heritages,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nation, which is because Japan’s childbirth gods intervening in birth and growth of a new life also actually involve themselves deeply in the sphere of death as well.

      • KCI등재

        출가한 아버지와 남겨진 가족의 서사-노(能) <가루카야>, <다메요>, <흙수레>-

        김난주 ( Kim Nan-ju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7 No.-

        노(能) <가루카야(苅萱)>, <다메요(為世)>, <흙수레(土車)>는 아버지의 출가ㆍ둔세를 둘러싼 가족애와 구도(求道) 사이의 갈등을 다룬 작품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버지의 출가 후 남겨진 아내와 자식들의 이야기, 아버지의 선택과 가족들의 운명을 통해 노가 종교, 가족, 아버지의 의미를 어떻게 조형하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이들 곡과 내용상, 계통상 연관 관계가 있다고 판명된 중세 문예 텍스트와 비교함으로써 노가 종교와 가족의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에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를 함께 보고자 하였다. 가장의 출가를 다룬 이들 작품에서 모든 여성 배우자들은 죽는다. 노 <가루카야>, <흙수레>, <다메요> 역시 중세 둔세담의 이러한 관습을 답습하고 있다. 하지만 노 <가루카야>와 <다메요>의 여성들은 죽음을 통해 끊어진 부자의 인연을 다시 잇고 스스로도 구원받는다. 중세 문예의 둔세담이 여성, 아내, 어머니를 속절없이 희생 제물로 삼은 것에 비하면 노는 여성들의 희생을 가족의 복원과 종교적 성숙을 위한 동력으로 조형해 내고 있는 것이다. 한편, 노 <가루카야>, <다메요>, <흙수레>의 아버지들은 가족과 구도 사이에서 치열하게 갈등하지만 결국 아버지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부모 자식의 인연을 다시 잇는 길을 선택한다. 이는 노 이외의 모든 작품에서 부자 결합을 이루지 못하는 점, 특히 한 남성이 구도의 길을 관철하는 과정에 자식의 죽음이라는 비극적 장치를 넣은 <다메요노소시(為世の草子)>와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출가한 아버지와 가족을 둘러싼 비극, 종교적 신념과 가족애 사이의 갈등이라는 공통의 이야기를 다루면서도 노의 마지막 선택은 ‘종교’보다는 ‘가족’에 기울었다. Noh < Karukaya(苅萱) >, < Tameyo(為世) >, and < Tsuchiguruma(土車) > are works that deal with the conflict between family love and religious belief over the father’s seclusion. In this paper, I examined how Noh expressed the meaning of religion, family, and father by looking at the stories of the wife and children left behind after the father’s seclusion, as well as the stories of the father’s choices and the fate of his family. In addition,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pective of Noh looking at religious and family issues, by comparing these Noh texts with medieval literary texts that were similar in content. In these medieval literary texts, which tell the story of a father who leaves the house and becomes a monk, all female spouses die. Noh < Karukaya(苅萱) >, < Tameyo(為世) >, and < Tsuchiguruma(土車) > also follow this custom. However, with their death, the Noh’s women restore the broken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children. And they themselves can be helped. Compared to the reclusive stories of medieval literatures that used women, wives, and mothers only as sacrifices, Noh depicts women’s sacrifices as a motive power for family restoration and religious maturity. On the other hand, the fathers who appear in Noh < Karukaya(苅萱) >, < Tameyo(為世) >, and < Tsuchiguruma(土車) > are fiercely in conflict between the family love and seeking for Buddhism truth, but eventually choose to restore their identity as fathers and reconnec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other works except for Noh,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son is not connected again. In particular, Noh contrasts obviously with < Tameyonososhi > that puts a tragic scene where a son dies while a father seeks the truth of Buddhism. After all, dealing with the same theme of the conflict between religion and family love over the priesthood father, but the Noh’s final choice was family rather than reli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