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의 맥락에서 탐색한 3차원 타이포그래피의 시공간적 활용에 관한 연구: 3차원 타이포그래피 프로젝트 연작 <수사적 공간>을 중심으로

        김나무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practical investigation, which blends symbolism on spatio-temporal level-especially typography in three-dimensional environment-and the symbolism of written language in the context of visual communication. Up until now, typography research and education have mainly been centered on two-dimensional environment and printing technology, such as the paper. However, this study 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er's direc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ojects on typography aside from paper.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aise the level of reason and expression used in visual communication to a new level and to expand its scope. To ensure the efficient progress of the project,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e, system, and process of communication first. Furthermo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typography as the backbone of visual communication. In addition, several representative 3D typography works are analyzed in context and used a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project conducted for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verifie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practically and objectively by creating the project series entitled Rhetorical Space in 3D typography. In addition, this research gives an opportunity to visualize ideas aimed at the development of character-based visual language and visual communication design in the realm of the more spatial, physical, and three-dimensional public environment. 본 연구는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의 맥락에서 타이포그래피―특히 3차원 환경의 타이포그래피―와 글말의 기호성(記號性)을 시공간의 차원에서 융합하는 실천적 탐구를 다룬다. 지금까지의 타이포그래피 연구와 교육은 주로 지면(紙面)과 같은 2차원 환경과 인쇄 기술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면을 벗어난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프로젝트를 연구자가 직접 설계하고 수행한 결과로써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에 쓰이는 사유와 표현의 수준을 한 차원 높이고 그 범위를 확장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프로젝트의 효율적인 진행을 위해 먼저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와 체계, 프로세스를 파악하고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의 중추로서 2차원과 3차원 타이포그래피에 대해 고찰한다. 더불어 대표적인 3차원 타이포그래피 작품을 맥락적으로 분석하여 본 연구를 위해 진행한 프로젝트의 개념적 뼈대로 삼는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3차원 타이포그래피 프로젝트 연작 〈수사적 공간〉을 창작하여 그 가능성을 실제적이고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제안한다. 나아가 문자 기반의 시각 언어와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발전을 목표로 하는 아이디어의 시각화를 보다 공간적, 물리적, 그리고 입체적인 공적 환경의 영역에서 발현할 수 있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

        비주얼 내러티브 창작을 위한 그래픽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비주얼 내러티브 프로젝트 <Visible Voice>를 중심으로 -

        김나무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비주얼 내러티브를 보다 체계적으로 수월하게 창작하기 위한 그래픽 디자인 프로세스를 실제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탐구한다. 연구의 출발점을 명확히 하고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미국 로드 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그래픽 디자인학과의 대학원 과정 프로젝트인 ‘그래픽으로 응답하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내러티브까지(Graphic Response: From Database To Narrative)’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그래픽 디자인 프로세스나 방법론에 대한 기존 연구가 갖는 한계, 즉 직관과 감각에 의존하여 이론과 논리가 취약하고 특정 사례 위주로 연구가 이루어진다는 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섯 단계—리서치, 아카이브, 시스템, 네트워크, 내러티브—로 구성된 프로세스의 단계별 정의, 활동요소, 정성요소를 세부적으로 탐색하였다. 최종적으로 해당 그래픽 디자인 프로세스를 실제 적용하여 <Visible Voice>라는 비주얼 내러티브를 창작함으로써 프로세스의 실효성과 활용 가능성도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비주얼 내러티브의 특성을 보여주는 디자인 프로세스의 기본형을 창조하고자 시도하고, 지속적인 적용과 비평, 그에 따른 수정과 보완으로 본질적이고 실용적인 그래픽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바탕을 마련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본 연구의 프로세스가 디자인 교육에서 활발히 쓰일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inquiry explores the graphic design process through the performance of actual project in order to create a visual narrative more systematically and easily. To clarify the starting point of research and obtain objectivit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t based on the design process of ‘Graphic Response: From Database To Narrative’ as a project of graduate course in the Department of Graphic Design at the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in the U.S. Depending on the limit which the earlier study on the graphic design process or methodology had, so-called intuition and sense,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definition by stage, activity components, and quantitative components of five stages like research, archive, system, network, and narrative in detail in order to overcome weak theory and logic, and the fact that the research has examined mainly with the specific case. To conclude,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availability of process by this researcher’s creating the visual narrative like Visible Voice finally with the actual application of relevant graphic design process. In this way, this study was to try to create a basic pattern of design process which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narrative, and to prepare for foundation to develop the essential and practical graphic design process model as revision and complement as well as consistent application and criticism. Most of all, I hope that this process is able to be used in design education actively.

      • KCI등재

        스크립토그래퍼를 활용한 표현적 실험 타이포그래피 및 활자체의 창작

        김나무(Namo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6

        디지털 시대 이전, 글자를 표현하기 위해 주로 사용했던 도구는 붓과 펜이었다. 따라서 그 시대를 투영하는 조형언어 역시 붓과 펜이 그려내는 형식과 양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디지털 시대에 등장한 새로운 도구와 기술은 타이포그래피의 표현에 있어 그 한계를 무색하게 했다. 즉, 사용자가 새로운 도구를 습득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하기만 하면 표현적이고 실험적인 타이포그래피와 활자체를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게 된 것이다. 본 연구는 그 사례에 대한 탐구로써, 표현적 실험 타이포그래피의 특징과 의의를 역사적 맥락에서 파악하고,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용 오픈 소스 스크립팅 플러그인으로 개발된 ‘스크립토그래퍼(Scriptographer)라는 새로운 도구를 소개, 그 장단점과 활용 가능성을 조사한다. 더 나아가, 성공적인 선행 연구의 사례 분석을 통해 실천적 토대를 마련하고, 스크립토그래퍼를 이용하여 창작한 실험 타이포그래피 연작?<질주하는 활자>와 <천상의 활자>?으로 본 연구의 실효성을 가늠하고자 한다. Before the digital age, the main tools used for printing out letters were pen and brush. Therefore, forms and styles of the languages modelled out during the age also revolved around the pen and brush. However, new tools and techniques introduced in the digital age to express typography put this limit in the shade. In other words, the user can make expressive and experimental typography and typefaces quickly and easily, by learning and utilizing new tools efficiently. As such, this study is to explore those cases, to understand characters and meanings of expressive and experimental typography within the context of typography history, to introduce a new tool, ‘Scriptographer’ developed by means of the open-source scripting plug-in for Adobe Illustrator, and to discuss the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applicability of this tool. Further on, through case analysis of successful preceding projects, the researcher arranges a practical foundation, and estimates the practicality of this research through experimental typography series, Rush Type and Celestial Type, created by using Scriptograp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