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 표면에 대한 무결점 코팅 기술 개발 및 이의 화장품 적용

        김나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금속 원자와 배위결합을 이루며 중합이 가능한 유기물 단량체(polymerizable chelating agent)를 사용한 새로운 표면 처리 기술을 개발하여,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 표면에 결함이 없는(indefect) 코팅 박막을 형성시켰다. 이를 통해 분산안정제의 사용 없이 고농도의 균질한 분산을 가능하게 하고, 입자의 재응집을 억제하여 분산안정성을 개선시켰다. 금속 원자와 배위결합을 이루며 중합이 가능한 유기물 단량체(polymerizable chelating agent)인 2-(acetoacetoxy)ethyl methacrylate(AAEMA)를 다양한 반응 비율로 titanium dioxide 나노 분체와 반응시켜, titanium dioxide 입자 표면에 결함이 없는(indefect) p-AAEMA 코팅박막을 형성시켰다. 표면 처리가 된 titanium dioxide 입자의 형태는 TEM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단량체의 양이 증가할수록, 코팅 박막의 평균 두께는 두꺼워졌다. FT-IR 측정을 통해 코팅 박막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AAEMA는 금속원자와 배위 결합하고 중합됨으로써 titanium dioxide 입자 표면에 p-AAEMA 코팅 박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면 처리의 무결성(indefect)은 유기물 색 변화에 의한 광촉매 활성 측정으로 확인하였다. 박막이 형성된 나노 입자는 수상과 유상에 각각 50 wt%의 고농도로 균질한 분산이 가능하였고, 시간 경과에 따른 입자 사이즈 변화가 거의 없었다. 또한 표면 처리가 된 titanium dioxide가 표면 처리가 되지 않은 titanium dioxide보다 표면 전위가 크며, 분산매의 pH가 높을수록, p-AAEMA에 사용된 단량체 양이 많아질수록 입자 표면 전위가 더욱 증가되어 분산 안정도가 더 향상되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박막의 두께에 따라 분체의 색상변화가 나타났으며, 이는 확산반사스펙트럼을 통해 380 ~ 500nm 파장대의 흡수율 증가 때문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특징을 토대로 p-AAEMA가 코팅된 titanium dioxide 분체는,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의 차단 소재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surface modificaton technique using a polymerizable chelating agent. This enables homogeneous dispersion at a high concentration without the use of a dispersion stabilizer, and suppresses re-aggregation of particles to improve dispersion stability. The reaction of 2- (acetoacetoxy) ethyl methacrylate (AAEMA), a polymerizable chealating agent coordinating with metal atoms, with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at various reaction ratios yielded indefect p-AAEMA film. The morphology of modified titanium dioxide particles surface was analyzed by TEM. As the amount of monomer used in the preparation was increased,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was thicker. As a result of FT-I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AEMA was formed as a p-AAEMA coating film on the surface of titanium dioxide particles by coordination bonding with metal atoms and polymerizing. Indefect of surface treatment was confirmed by photocatalytic activity measurement by organic color change. The nanoparticles coated with p-AAEMA were able to homogeneously disperse at a high concentration of 50% in water phase and oil phase, respectively. And there was little change in particle size with time. Also, titanium dioxide coated with p-AAEMA has a higher surface potential value than non coated titanium dioxide. And when the pH of the dispersion medium is high and the amount of the monomer used is large, the surface potential value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dispersion stability will be enhanced. The color change of the powder was shown by the thickness of the film. It was explained by the increase of the absorption ratio of the 380 ~ 500nm wavelength ban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t is considered that the titanium dioxide powder coated with p-AAEMA can be used as a blocking material for ultraviolet light and blue light.

      •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

        김나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 김나리 평생교육·HRD전공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를 연구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원 학습경험 과정이 경력전환에 미치는 의미는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기술하고 분석하였고 연구참여자는 의도적 표집 방법과 눈덩이 표집 방법으로 8명을 선정하였으며, 대면·비대면 인터뷰를 2회 실시하였다. 인터뷰 전에 연구목적, 연구주제를 참여자들에게 설명하였으며 참여와 인터뷰 녹음에 대한 동의를 받고 녹음을 진행하였다. 녹취록 작성 후 개방 코딩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코딩을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는 첫째, 업무와 자신의 변화 필요성을 느낌, 둘째, 새로운 커리어를 추구함, 셋째, 현재 업무의 전문성을 키우기 바람, 넷째, 현재 업무에 도움을 얻고싶음 이렇게 네 가지로 나타났다. 중년여성들은 엄마이자 아내이고 딸이며 며느리 역할을 하는 가정과 현재의 업무와 관련된 사회적 위치에서의 역할, 그리고 학업의 병행에 어려움을 겪었다. 신체적 노화에 따른 체력의 한계와 시간의 제약도 힘든 점이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비대면 수업 등으로 참여자들은 대학원 적응이 힘들었지만 동기들, 교수와의 새로운 관계 맺음 속에서 학습 외적으로도 도움을 주고받으며 변화하는 자신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가족과 지인들의 지지 속에서 학업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다. 중년여성들이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 가족의 지지와 학교의 교수자, 동기들과의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중년여성들에게 대학원 과제와 발표를 준비하는 과정은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이었고 업무와 실생활에 적용하면서 그 힘듦이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 참여자들은 대학원 졸업 후 석사학위라는 타이틀과 전공 관련 자격증 취득으로 외부로부터의 인정, 본인의 높은 자신감 등을 기대한다. 강의 속 이론적으로 깊이 있는 내용뿐만 아니라 학습 준비과정에서의 역량 강화는 현실 지향적인 중년여성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참여자들은 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졸업 후 경력전환을 고려하거나 현 업무를 유지함을 고려하고 있다. 여기에서 초기의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가 바뀌어지기도 했다. 참여자들은 전문성을 더 키우고 깊이 있는 배움을 위해 박사과정 진학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또한 현재 업무를 유지하면서 분야와 대상의 확장을 계획하기도 하며, 취득한 자격증으로 새로운 곳으로 취업도 준비중이다. ABSTRACT The Meaning of Middle-aged Women’s Graduate school Learning Experience on Career Transition Process Kim, Na Ri Major of Lifelong Education & H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in the career transformation proces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what are the motives for participating in graduate courses? Second, how is the learning experience in graduate school? Third, what is the meaning of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process on career transformation? Qualitative research was implemented for this study and the 8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contact & non-contact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twice.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purpose and subjects of the study to the participants before the interview, and the participants agreed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study and record of the interview. The data were analyzed by open coding after the recorded tape is made,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rawn from the coding. First of all, the motives of middle-aged women were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related to the current career, necessity of current work's expansion, and seeking for a stable career. Middle-age women have been struggling with the gap between the family role as a mother, wife, daughter, and daughter-in-law and their role in the social position related to their current careers. They have had to take these roles while pursuing their studies. physical limits and restricted time became another difficulty.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revealed that they felt difficulty to adapting to the non-contact lectures in the exceptional situation called 'pandemic'. However, they answered that they felt a change from the new relationship with the class of the same semester and professors as well as their help. The support from family also helped them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he answers of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support from family and relationships between friends and professors help middle-aged women to carry on the course. For them, the preparation for assignments and presentations is the process of improvement of their abilities and they applied the results of the preparation to their work and real life. The difficulties they felt made a positive change in their lives. The participants expect high self-esteem and acknowledgment from outside with their master's degree and licenses related to their majors. Not only the thoughtful theoretical contents of the lectures but also the ability improvement from the prepar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eality-oriented middle-aged female learners. The participants have considered both career transformation and retainment of their careers from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Sometimes their early motives of participation in the graduate course have been changed. The participants showed themselves preparing to enter a doctoral program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ty and learn more thoughtful content. Moreover, they planned the expansion of the area and target of their current work or prepared for the new employment with the licenses they acquired.

      • 체험활동 중심의 수학 학습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나리 광주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학은 21세기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토대가 되었으며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창의적 문제 해결력 등을 신장시켜주는 핵심 교과이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에게 수학은 단순히 공식을 외워서 문제를 푸는 과목, 또는 재미없고 어려우며 일상생활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불필요한 과목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교육과학기술부(2012)는 수학교육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고자 ‘수학교육선진화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쉽게 배우고 재미있게 익히는 수학’, ‘더불어 함께하는 수학’,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수학’을 시행함으로써 자신감과 수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기르기 위해 학교 수학교육의 변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제 2차 수학교육종합계획’(2015)은 ‘배움을 즐기는 수학교육’을 목표로 세워 발표하였다. 학생들이 수학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체험‧탐구 중심의 수학교육’을 강조했다. ‘체험과 탐구 중심의 수학교육’이란 다양한 수학체험활동이다. 탐구‧체험 중심의 수학체험활동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학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21세기를 살아갈 우리 초등학생들에게 수학은 타교과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이해시켜야 한다. 실생활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학은 반드시 필요로 한다는 것을 깨닫도록 해야 한다. 지식과 이해만을 강조하는 수업은 지루하고 발전적이지 않다. 하지만 자신이 직접 체험하며 이해한 지식은 오래 기억된다. 논리적이며 추상적인 수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경험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체험학습의 수학을 교수·학습에 적용, 그 결과를 분석하여 수학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초등학교 2학년 수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수학적 체험활동에 적용할만한 학습요소를 선정하고 체험학습 중심의 수학학습을 구안하였다. 체험활동 중심의 수학학습을 교수·학습에 적용하고 결과를 분석하고자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소재의 S초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사전 수학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본 연구자가 지도한 실험반 25명과 동질집단인 비교반 1개 학급 25명을 선정하였다. 수학과 수업에 있어 체험활동 중심의 수학학습을 적용한 실험반과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수학학습을 적용한 비교반 간의 학업성취도 검사는 단원평가지를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1992)에서 개발한 검사지를 이용해 수학적 태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2학년 수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체험활동 중심의 수학학습을 통한 교수·학습 방법의 적용은 수학학업성취도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체험활동 중심의 수학학습은 생활 속에서 직접 탐구하고, 수학적 원리를 발견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었다. 이외에 체험활동 중심의 수학학습은 실생활 속에서의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학생들이 생각한 것을 이야기 해보는 일련의 과정은 수학적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체험활동 중심의 수학 교수·학습은 수학적 학업성취도에 효과가 있었다. 수학적 태도와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앞으로 체험활동 중심의 수학학습에 다양한 수업 자료가 개발되어 수업에 활용되었으면 한다.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유형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검증

        김나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격한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문제는 노인들의 삶의 질을 저해하고 있다. 이에 2004년부터 시행된 노인일자리사업은 생애기간동안 축적된 지식과 경험으로 사회에 공헌하기 원하는 노인에게 사회참여 기회까지 제공하는 정책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으나 노인일자리사업을 통해 소득의 보충적 의미에서는 양적으로 성장하고 질적인 측면에서의 의미는 외면당하고 있다. 이에 질적인 측면에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유형에 따른 참여노인의 삶의 질에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거주지역, 성별,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를 통제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유형 중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형은 교육형을 제외한 공익형, 복지형, 시장형, 인력파견형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질에 미치는 유형도 자아존중감과 동일하게 교육형을 제외한 공익형, 복지형, 시장형, 인력파견형으로 나타났다.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유형과 삶의 질 간에 분석결과는 참여동기, 가구형태, 경제상태, 참여만족도가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노인일자리 참여유형들을 각각 분석하여 참여유형과 삶의 질 간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유형 중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는 사업 유형은 공익형으로 나타났다. 공익형사업을 제외한 교육형, 복지형, 시장형, 인력파견형과 삶의 질 간에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공익형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노인의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으며 공익형을 제외한 다른 사업참여 유형의 경우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를 통해 고령화 사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로 인해 노인들의 삶의 질이 저해되나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를 통해 공익형 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를 미쳐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나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to deal with stressful situations that upper elementary school were actually experiencing through a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and give them a chance to do an actual movement so 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dance movement therapy on stress reduction and on adapting to school. It also tried to identify the contribution of a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adapting to school and suggested basic materials of the program more suitable for children while providing a systematic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5th graders of two classes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Ansan-si, Gyeonggi-do, Korea. The author conducted a pre-test to examine the subjects ‘stress and their level of adapting to school and homogeneity test. The author also identified sex ratio and composed 25 subjects from the first class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subjects of the second class as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for 10 times (twice a week, 50 minutes for each program) from March 16, 2016 to April 20, 2016, and the control group had physical education classes on training courses. After conducting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s, the differences were verified through pre and post tests of stress level and the level of adapting to school between the groups and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depending on sex.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the level of adapting to school was identifi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WIN 21.0 statistic package program and the author carried out Chi-Square Test, t-test, paired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that had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s showed reduced stress level,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al problems and social problem factors among sub-factors, suggesting that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stress of elementary schoolchild. Second, the group that had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s had improved results in terms of the level of adapting to school,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y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riendship factor among sub factors, suggesting that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child to school. Third, when it comes to differences of the group that had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s depending on sex, the overall stress level of male studen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ough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 problems and family problem factors, which were sub factors. The overall stress level of female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al problems, a sub factor. The overall adaptation of male studen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ough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er relationships and school classes, sub factors. The overall adaptation of female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factor, sub factors. The effects of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s on the reduction of stress and the improvement of adaptation to school had a more positive impact on female students. Fourth, there has been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stress, and adaptation to school. Among sub factors of stress, personal proble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o peer-relationship, school class, and school life, which were sub factors of adaptation to school. Through the results above, it was discovered that the dance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reducing stress of and improving adaptation to school for fifth graders. These results had meanings as a basis for stress reduction and enhanced adaptation of school children. Therefore, if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was further studied for various ages and regions, it could contribute to healthy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이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이 학교적응향상에 기여하는 바를 파악하고, 아동에게 보다 적합한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여, 체계적인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S초등학교 5학년 두 학급 총 50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및 학교적응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동질성 검증과 성비를 살펴보았으며 1반 25명을 실험집단으로, 2반 25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2016년 3월 16일부터 4월 20일까지 주 2회 50분씩 총 10회에 걸쳐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교육과정상의 체육수업이 이루어졌다.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 실시한 후 집단 간 스트레스와 학교적응 사전-사후 검사와 실험집단의 성별에 따른 사전-사후 검사결과를 통해 차이를 검증하였고, 스트레스와 학교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카이스케어 검정과 t-test, paired t-test,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전체 스트레스 점수가 감소되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하위요인 중 개인문제와 사회문제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므로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전체 학교적응 점수가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하위요인 중 교우관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므로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셋째,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학생의 전체 스트레스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인 개인문제와 가정문제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의 전체 스트레스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개인문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남학생의 전체 학교적응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인 교우관계와 학교수업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의 전체 학교적응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교사-학생관계와 교우관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무용동작프로그램을 통한 스트레스 감소와 학교적응 향상 효과는 실질적으로 여학생이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 수업이 스트레스와 학교적응간의 부적상관 결과가 나타났다.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개인문제가 학교적응의 하위요인 중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생활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이 본 연구의 대상인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트레스 감소와 학교적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들의 스트레스 감소와 학교적응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앞으로 다양한 연령과 지역을 대상으로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활용한다면 아동들의 건강한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 삼각함수 단원의 효율적인 교수법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나리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삼각함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삼각함수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대표적인 단원이자, 교사 역시 가장 가르치기 어려운 단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삼각함수 단원의 효율적인 교수법에 관한 연구를 위해 삼각함수의 학습부진의 원인과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지도법을 통하여 새로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지도법을 살펴보려한다. High school trigonometry is hand subject for most student. Also it is very difficult to teach properly in low lever of calculus.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al with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his subject.

      • 自然과의 感性的 體驗을 主題로 한 陶磁 造形 硏究

        김나리 서울산업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의 물질 문명과 정신 문화의 토대는 인류의 장고한 생명력과 적응력의 역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인간은 긴 역사를 통하여 자연의 섭리를 체득하였고, 순환과 혼돈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가치를 학습하고, 나아가 모방하고 분석하며 활용할 줄 알게 되었다. 이 모든 인간의 역사는 자연의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임은 자명한 일이다. 이러한 인류의 문화 양식은 시대를 거쳐 다양하게 변모되어 왔으나, 그 맥은 자연에 뿌리를 둔 인간의 삶과 죽음의 문제에 화두를 두고 있었다고 본다. 종교와 과학, 문화와 예술 등 가치 추구의 내면에는 ‘우리는 어디에서 왔으며 어디로 가는가?’ 에 대한 질문과 그에 대한 모색들이 끊임없이 바탕에 흐르고 있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정작 이 흐름과 의문들을 명쾌히 풀어내며, 인류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예견할 수 있는 것은 아직 없었을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 인간의 지성과 이성은 역사상 유래 없는 진보의 정점을 향해 가고 있는 듯이 보인다. ‘정보’와 ‘과학’은 이제 전통적 가치와 시간과 공간, 생명의 개념마저도 바꾸어 놓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상 공간’과‘사이버 시대’에 기계화와 정보 문화가 발달할수록, 인간의 감성을 중시하고 자연과의 관계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과 가치를 되묻는 흐름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며, 한편으로는 그러한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인은 현대 사회의 부정적 가치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관과 자연관의 확립과 자연과의 공존과 상생을 위한 노력들을 기대하며, 서정성의 회복으로의 인간과 자연의 감응과 표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흙을 매체로 한 조형 작업을 통하여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재정립하고자한 것이, 자연을 체감하고 사색하며 자연과 인간의 삶을 일체화하려는 노력의 하나로 이어지고,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의 가치를 공존과 합일의 개념으로 이끌게 되는 인식의 환기 (換氣)로 이어지게 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본 연구의 서론에서는 인간의 삶과 자연에 대한 근원적인 의문에 대해 답을 찾고자 하는 연구 목적과 그 범위를 밝히고 있다. 또한 감성적 체험을 바탕으로 한 자연과 인간의 교감이라는 주제의 전개 방식과 방법에 대하여 거론하였다. 본론에서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대립 구도가 아닌 상생과 공존의 개념으로 바라보며, 현대 사회의 부정적 가치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의 창조와 재발견은 자연과의 공존과 조화를 위한 사상이라고 보았다. 이를 위하여 자연에 대한 동서양의 사상적 차이를 짚어 보고, 동양의 자연관을 중심으로 한 자연관에 대하여 논하였다. 또한 본인의 연구 방법으로 대별될 수 있는 자연의 상징적 표현과 인간의 내면적 표현에 대하여 논하고, 주제와 관련하는 작품에 대한 본인의 해설을 덧붙였다. 작품 전개 중 제작 의도에서는 자연과 인간의 감성적 교감에서 오는 합일을 주로 새와 꽃의 형상을 인체와 결합하여 표현한 점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제작 과정에서는 소지, 성형 기법, 소성 과정과 주의점 등을 다루었다. 결론에서는 연구 과정이 얼마나 합목적적이었는지에 대하여와 그 결과에 대하여 기술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정리하였다. The foundation of modern material civilization and spiritual culture have been based on long and old power of life of human and the history of power of adaptation. Human experienced the providence of nature through long history, studied the value by experiencing many trials and errors in circulation and chaos and understood how to use how by analyzing and imitating. All these human histories have been formed in nature and it will be the same in the future clearly. Though such styles of human culture have been changed diversely through ages, and the vein of it, I think, must have been based on the problem of the life and death of human. We see that the Questions and the answers on "where we are from and where we are going?" inside the pursuit of value such as religion, science, culture and art has been flowing at the bottom endlessly. But nothing but the honesty could clearly solve the flow and questions and examine the present and predict the future of human. Today it seems that human intelligence and reason are going for the summit of progress that we have never seen in human history. "Information" and "Science" have been changing the traditional value, time and space, and even the concept of life. But the more the "fictional space" or the mechanization and information culture in "the age of cybernetics" get developed, the more we put importance on human sensitivity and the trend of asking the original relation with nature and the value of it would be really requested, and in addition to it is the fact that such activities have been vitalizing. On these I tried to study on human as the restoration of sensitivity and the response and expression of nature expecting the establishment of new view of value and nature which can conquer the negative value of modem society and the effort of living together and the co-existence with nature. Through the moulding work with the soil as the medium, I tried to re-establish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which is connected with the effort of uniting the life of human and nature by feeling, sensing and meditating nature, and also I wish it to be connected with ventilation of understanding which leads all values of life including human as the concept of co-existence and unity. In the introduction of this study there explains the purpose and the scope of the study aiming to find the answer on the original questions on the life and human and nature. Also it mentions on the ways of developing the subject concerns between nature and human based on sensible experience. In the main discourse there we read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as the concept of living together or co-existence not the opposing structure, and this study asw the creation and re-discovery of new value which can conquer the negative view of value of modern society as the thought for co-existence and harmony. For these this study has looked into the difference of the thought between orient and west on nature and discussed on the view of nature centered on the oriental view of nature. Symbolic expression of nature and the internal expression of human which represent my methods of study have been discussed by adding my interpretation on the works related with subject. The idea of produc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works shows the description centered on the expression by uniting the forms of birds and flowers with human body mainly on the unity that comes from the concerns of sensitive mutual response of human. The foundation, technical method of plastering, the course of plasticity and the cautions are dealt in the course of production. In conclusion I arranged the subject of the future by describing on the result of the course of study on its suitability to the purpose of th study.

      • 우리나라 U-헬스케어 시스템의 운영실태 및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김나리 순천향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u-Health 시장은 2014년 3조 원 규모에서 2020년까지 14조 원으로 연평균 12.5%의 성장세를 지속할 전망이다. 한국은 우수한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고 IT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u-Health 구현의 가장 좋은 환경을 갖고 있다. 광대역 인터넷, 모바일 단말기, 전자태그(RFID)나 센서 네트워크 등의 IT가 의료 분야에 융합되면서 보건 의료의 유비쿼터스화를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복지수요가 확대되고 국민 개인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치료위주의 서비스에서 예방적 건강관리인 웰니스(Wellness) 서비스로 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u-Health 서비스 도입은 많은 기대에도 불구하고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의료행위에 대한 제한으로 의사와 환자 간의 원격진료가 한정되고, 개인건강/의료 정보보호, 건강관리 기기의 제약 등 법적으로 규제가 되어있다. 또, 홍보와 교육의 부족으로 사용자 뿐 아니라 공급자마저도 유헬스 인지도가 낮은 상태이다. 장기적 전략과 인프라 구축의 미비, 시범사업의 부족도 시장창출 어려움의 요인이 되겠다. 이러하여 본 연구는 국내·외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u-Health 활성화의 전략과 발전방안을 제시한다. 1. 우리나라 유헬스가 고성장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선 전 정부적인 R&B,D 지원과 새로운 영역에 대한 법적인 근거 제공이 필요하므로 정부가 적극적으로 제도적 인프라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2.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많은 서비스 제공자, 수요자들의 인지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기기 및 시스템 업무, 융합기술, 표준화 방법에 대한 교육을 활성화 시켜야 하고 그와 동시에 보건의료인력의 충원과 이들에 대한 관리도 충분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3. 수요타킷의 변화가 필요하다.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자의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시장 성장 측면이 아닌 실 사용자를 위한 상용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 무의식의 이중 구조를 통합한 표현방법 연구

        김나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한 사람으로서 연구자의 작품들이 어떻게 무의식의 이중구조를 통합하고 표현하고 있는가에 관한 시각적 표현에 관련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융(Carl Gustav Jung, 1875~1961), 라캉(Jacques Marie Émile Lacan, 1901~1981) 등에 의해 설명되어 온 무의식(unconscious)과, 페르소나(persona) 의 개념으로 현대 사회에서의 주체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의 연구를 토대로 페르소나로 설명될 수 있는 사회화된 주체와 라캉의 개념에 따른 거울단계 이전 주체와의 자기 자신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해 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사회화된 인격과 내면에 존재하는 인격 간의 차이를 구조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주체의 두 가지 구조 양상에 대한 연구는 결국 이 둘 간의 통합의 시도, 다시 말해, 새로운 ‘자기(self)’라는 통합된 주체 가능성을 작품을 통해 시각적으로 구현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연구자는 사회적 자아와 내면의 자아 사이의 통합을 구현하기 위한 소재로써 인물의 변형태인 인형을 사용한다. 인형은 그 형태가 그로테스크(grotesque)와 아브젝시옹(abjection)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는 제작 과정을 거친다. 인형이 갖는 이중적 의미와 왜곡과 변형의 방법에 대한 미술사적 근거는 인체형의 과장된 변형을 주로 사용하는 작가들인 한스 벨머(Hans Bellmer, 1902~1975), 채프만(Dinos Chapman, 1962~, Jake Chapman, 1966~)을 선행 연구 작가로 살펴보았다. 작품의 소재인 인형들은 표정을 통해 의도나 성격을 드러내는 캐릭터화된 인물들이다. 이들은 오브제로써의 인형(doll)과 변형된 인물인 인형화(humanlike)의 두 가지 양태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들에 대한 비유의 대상으로 영화 주인공 마틸다(Matilda)라는 인물을 가져왔다. 마틸다 연작은 드로잉과 판화기법을 응용한 회화, 오브제를 이용한 설치물 등 다양한 기법을 통해 표현되었다. 회화와 오브제, 설치 작품에서 사용하는 왜곡과 변형의 방법으로는 디폼(deform), 인폼(inform), 리폼(reform)의 세 가지 개념을 통해 특성이 설명된다. 본 논문은 본인을 포함한 현대인의 주체 구조를 논리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이중 구조로 파악한 후, 인형이라는 시각적 대리물을 통해 이 둘 간의 통합을 시도한다. 이러한 행위를 통해 보다 명료한 자기 인식과 시각예술 표현에 있어서 새로운 영역과 방법을 모색한다. This study is on the author's integration and expression of the dual structure of unconsciousness, in visual format, as a person living in modern society. The author examined how a human being is defined in the modern society through the concept of "unconsciousness "or "persona" which is explained by Carl Gustave Jung (1875~1961) and Jacques-Marie-Émile Lacan (1901~1981). Based on thei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ized being that can be explained by persona and the "self" - the state before Lacan's so-called "mirror stage" - was analyzed. Such analysis enables the systematic recognition of differences between socialized and inner character. The study of the dual structural aspects of a human being is ultimately an attempt to integrate the two, in other words, an attempt to visually implement a new integrated identity called "self" in artworks. The material used to embody such synthesis between the social self and the inner self are dolls; the small-scale figure of a human being. The dolls go through the production process that can be described in the concept of "grotesque" and "abjection". For the research on the dual meaning of dolls and their historical basis on the method of distortion and deformation, Hans Bellmer (1902~1975), and the Chapman brothers - Dinos Chapman (1962~) and Jake Chapman (1966~) - were chosen as the leading artists to be considered. The dolls, consumed as the material for the author's artworks, are characterized figures that show intent or personality through facial expressions. They appear in two forms; doll as an object, and as the deformed figure in human-like appearance. Also, as a metaphorical subject to all this, brought in was the character "Matilda" from Luc Besson's film, <Léon: The Professional> (1994). The Matilda series was created through various techniques such as drawing, printing, installations, etc. For the methods of distortion and deformation used in painting, object, and installation works, the three concepts of deformation, reformation and information explains the process. This paper logically recognizes the identity of a modern citizen including the author, understands the identity in double structure, and attempts to integrate the dual structure using the visual surrogate of the doll. Through such effort, clearer self-awareness is sought after, along with new areas and ways of expressing visual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