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UV-BㆍSeㆍGe을 이용한 채소류의 기능성 물질 함량 생성 연구

        김나나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1. Effect of UV-B research by hour on raising leef vegetables & creating antioxidizing material Both lettus and spinach decrease their fresh weight and leaf area, but there is no difference of treatment time at 10 AM and 2PM. The cimtent of Ascorbic acid in lettuce is increased by the times of treatment. It is increase about 1.7 time per a treatment at 10 AM, and 2.2 time at 2 PM. Unlikely lettuce, the acid in spinach tends to decreased by treatment time. The content of a-tocopherol in lettuce is increase about 10.3 times in 10 AM treatment, and 8.3 times in 2 PM treatment. The content of α-tocopherol in spinach is increase about 4.7 times in 10 AM treatment, and 4.9 times in 2 PM treatment. The content of ascorbic acid and a-tocopherol after UV-B treatment according to storage period is decreased. The appropriate storage period after UV-B treatment is considered as 3 days. 2. Content of functional material among spring/fall chinese cabbage after Se/Ge treatment. MaeRyuck species among spring chinese cabbages contains G 14times more on outer leaf, 2 times more on inner leaf, while CR Matbaechoo species among fall chinese cabbages contains 40 times more Ge on both outer and inner leaves. The order by section among both spring and fall species is outer leaf>middle leaf>inner leaf, the order among spring species is MaeRyuck>NoRang>ManJeom, and that among fall species is CR Matbaechoo> Garackshin>Satnorang. In case of spring chinese cabbage with Se treatment, MaRyuck species contains Se 34 times more on outer leaf, 14 times more on inner leaf, compare to none-treated species. Se is barely found among fall chinese cabbage none-treated. The Se 1ppm treatment shows order that Se content by 17.4, 14.6, 16.3mg/100g in outer leaf of matbaechoo, garackshin, satnorang and etc. The order by section shows outer>middle>inner, the order among spring species is MaeRyuck=NoRang>ManJeom, and that among fall species is CR Matbaechoo>Satnorang.>Garackshin. The cemntent of vitamine C ranks highest on outer, then midle and inne in both spring and fall species. 3. Contnent of functional material among leek and Korean leek after Se/Ge treatment Fresh weight of leek is no big difference regarding treatment, but that of Korean leek is a bit lower after Se, Ge treatment. Leek contains Se about 520 time more, and Korean leek contains Se about 400 tims more compare to none-treated. Both leek and korean leek is no difference of Ge treatment

      • 과학 정의적 영역 성취도가 높은 대학생들의 초·중·고 시기 과학 경험 분석

        김나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영역 성취도가 높은 대학생들의 과학경험을 알아 본 뒤 이를 과학 수업에 적용하기 위함에 있다. 이를 위해 김효남 등(1998)이 개발한 과학 정의적 영역 성취도 검사를 대학생용으로 수정하여 과학 경험이 풍부한 수도권 대학 및 포항공대, 카이스트, 울산과학기술원 재학생들 127명에게 전자 설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과학 정의적 영역 검사지의 신뢰도는 인식 Cronbach α 0.752, 흥미 Cronbach α 0.91, 태도 Cronbach α .0892 이다. 과학에 대한 인식 12문항, 흥미 15문항, 과학적 태도 21문항으로 총 48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정의적 영역 검사 결과 인식, 흥미, 과학적 태도 범주 중 인식, 과학적 태도, 흥미 순으로 성취도가 높게 나왔다. 소범주 별로 살펴보면 ‘과학에 대한 인식’과 ‘과학 교육에 대한 인식’ 범주의 평균 점수가 각각 4.10점, 4.04 점으로 높다. 반면 ‘창의성’ 소범주의 평균 점수는 3.07점으로 가장 낮다. 이를 통해 과학 정의적 영역에서 창의성이 소외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창의성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이 이우러져야 할 것이다. 과학 정의적 영역 검사지에서 고득점을 받은 대학생 30명에게 과학경험 설문지를 전자설문방식으로 배부하였으며 그 중 23명의 답변을 받아 분석하였다. 남자 10명, 여자 13명으로 대부분 고등학교에서 자연 계열 과정을 수료하였다. 또한 현재 재학 중인 대학에서도 이과 계열에 공부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답변을 분석한 결과 개인 활동, 교육과정 내 교과 활동, 학교 내 프로그램, 학교 외 프로그램 범주 중에서 학교 내 프로그램 범주에 대한 경험이 가장 많았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초등학교 재학 시절 기억에 남는 과학 활동은 수업, 사설교육, 방과 후 순이며 중학교 재학시절은 교내 대회, 교외대회, 수업 순이다. 마지막으로 고등학교 재학시절 기억에 남은 과학 활동으로는 동아리, 수업, 교내 대회 순이다. 이를 통해 학교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과학 정의적 영역 성취도 검사에서 고득점을 받게 된 이유로는 평소 과학교과를 선호하고 개인적 성향의 영향이 크다고 답변하였다. 세부적인 답변을 살펴본 결과 이들에게 어린 시절부터 다양한 과학경험이 있었으며 이러한 과학 경험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를 통해 답변자들의 실제 해보는 과학 경험이 과학 정의적 영역 성취도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답변자들은 초·중·고등학생을 위해 학교에서 다양한 실험 수업 및 체험학습을 통해 실제적인 과학탐구를 하는 것이 필요하고 과학과 실생활의 관계를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사들이 과학 수업을 설계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과학 경험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환경 스트레스에 의한 감성돔의 분자 생리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 : Molecular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exposed to environmental stresses

        김나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염분, 수온과 같은 외부 환경 인자의 변화에 따른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분자생리학적 관점에서 환경 스트레스에 의한 반응을 연구하였다. 실험 1: 저염분 환경 변화 시, 감성돔(14.3 ± 0.4 cm, 51.0 ± 6.0 g)의 삼투압 조절 기작과 생리학적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분 이동 통로를 만드는 막 단백질의 그룹인 Aqaporins (AQPs)와 삼투압 조절에 근접한 역할을 하는 조절 메커니즘인 arginine vasotocin receptor (AVT-R) mRNA 발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담수 적응에 따른 AQP1 mRNA의 발현은 대조구(35 psu)와 비교 시, 아가미와 장에서 3.4 배 증가하였으며, 신장에서는 10 psu에서 2 배 증가한 뒤 감소하였다. AVT-R mRNA의 발현은 아가미에서는 10 psu에서만 1.5 배 증가하였으며, 신장에서는 10 psu에서 5 배 증가한 뒤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저염분 환경에서 삼투압 조절 유전자인 AQP1 및 AVT-R가 외부 염분 농도차에 따른 체내 삼투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된다. 혈장 Na+, Cl- 및 삼투압 농도가 각각 171.0 ± 2.9 mEq/L, 138.3 ± 3.9 mEq/L, 329.8 ± 8.4 mOsm/kg로 증가한 결과를 통하여 저 삼투압 환경에서 고 삼투압 조절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 2: 고수온 및 저염분 환경에 노출된 감성돔에서 항산화 효소 유전자인 Cu/Zn-superoxide dismutase (Cu/Zn-SOD)와 catalase (CAT) 및 glutathione peroxidase (GPX) mRNA 발현 및 활성, 그리고 ROS의 일종인 H2O2 농도, 지질 과산화(lipid peroxiation, LPO)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구 (20 °C, 35 psu)와 비교하여 항산화 효소 유전자 mRNA 발현(고수온: 3.8 배, 저염분: 17.5 배) 및 활성(고수온: 1.3 배, 저염분: 2.5 배)이 증가하였으며, H2O2 (고수온: 191.4 ± 8.7 nmole peroxide/mL, 저염분: 210.4 ± 5.8 nmole peroxide/mL)와 LPO 정도(고수온: 131.5 ± 6.2 µM, 저염분: 119.2 ± 5.7 µM)도 증가하였다. 이는 환경 변화에 따라 산화 스트레스가 유도되었고, 이에 대한 항산화 작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혈장 cortisol 농도가 고수온, 저염분 환경에서 각각 47.5 ± 2.3 ng/mL와 32.5 ± 4.7 ng/mL로 증가한 결과를 통해 환경 변화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판단된다. 감성돔은 염분 내성이 강한 광염성 어종임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염분 변화 환경에서는 스트레스를 받으며, 염분과 고수온 환경 및 다른 환경 변화에서도 체내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해 감성돔의 스트레스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생리적 지표로서의 가능성이 기대되며, 항산화 효소 유전자의 스트레스 경감 효과를 이용하여 양식사업의 상업적 이용을 제시할 수 있다.

      • 일시적 단면 : 불분명한 대상에 대한 회화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나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explains the process of recording temporary and unclear objet encountered during a walk as photos and connecting them to paintings. The three paragraphs of the text consist of the birth of an unclear objet, the correlation between paintings and pictures that record scenes formatively interpreted by the effect of light, and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m into paintings by applying framing to the pictures. The scene, which became the motif of the work, is captured during a daily walk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neighborhood where I have lived since childhood. I observe the changing topographic map of the neighborhood by walking from the local alley to the roadside and along the promenade of Hangang Park. The substructure of the World Cup Bridge before its completion, which was seen at Hangang Park,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work. Research on these unfinished, variable conditions leads to anther object witnessed during a walk and expands. The neighborhood gradually changed as the influx of floating population increased. As commercial buildings are built throughout residential areas for the main purpose of housing, the exterior and interior of the building are period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allowing them to face the scene of creation and disappearance at the same time. As the overall exterior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s completed, the wide window located on the first floor of the commercial building is related to the light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forming a morphologically unclear scene. Here, I find a phenomenon in which familiar landscape are converted into unfamiliar scenes. This temporary and fluid state is photographed in seconds using camera. Continuous photographic records are easy to capture even subtle movements that are not recognized. Photography goes through a step-by-step transformation process as a source of work. The process of taking and framing pictures in this way allows the photographic composition to be structured as a pictorial screen composi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discovering unfamiliar scenes in familiar landscapes and translating them into paintings. Discovery through walking is a photographic record, which is transformed through framing and transitioned into painting. Through this process, painting is reinterpret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bility and non-visibility. In this way, I was able to get an oblique glimpse of the current situation leading to infinite competition by using photographs as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cognizing the process of regional change. The work that had been conducted from 2016 to 2021 intuitively reflects reality, but did not express a specific position, but slightly captures uncertain future anxiety. This process does not reveal real problems through painting. However, in the process of framing pictures, only a small part of everyday reality is extracted, so it appears as an non-figurative image on the screen. ‘The non-conceptualization of reality’ enables me to have an attitude to look at the work separately from reality. However, on the contrary, the temporary cross-sectionaliza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texture of light reflected on the window surface seems to imply the possibility of another reality. In the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my own work accumulates geometric color-planes and layers in the shape, and it acts as a source of creation to extract an abstract image from scenes recorded as “non-representational of familiar scenes.” 본 논문은 산책 중에 마주한 일시적이고 불분명한 대상을 사진으로 기록하여 회화로 연결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문의 세 단락은 불분명한 대상에 대한 탄생, 빛의 효과에 의해 조형적으로 해석된 장면을 기록한 사진이 회화와 맺는 상관성, 사진에 프레이밍을 적용하여 회화로 번역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작업의 모티브가 된 장면은 유년기부터 거주해온 동네를 배경으로 일상적인 산책 중에 포착된다. 본인은 동네 골목길에서 도로변으로, 그리고 한강시민공원의 산책로를 따라 걸으며 변화되어 가는 동네의 지형도를 관찰한다. 한강시민공원에서 본 완공되기 전 월드컵대교의 하부구조는 작업의 시작점이 되었다. 이러한 완결되지 않은, 가변적인 상태에 대한 연구는 산책 중에 목격한 또 다른 대상으로 이어져 확장된다. 동네는 유동인구의 유입이 늘어나면서 점차 변모되어갔다. 주거를 주된 목적으로 한 주택 밀집지역 곳곳에 상가 건물이 들어서면서 건물의 외형과 내부 인테리어는 용도에 맞춰 주기적으로 모습을 바꾸기 때문에 생성됨과 동시에 소멸되어 가는 현장을 마주하게 한다. 사진은 작업의 원천으로써 단계적인 변형과정을 거친다. 이처럼 사진을 찍고 프레이밍 하는 과정은 사진적 구도를 회화적 화면구성으로써 짜임새를 갖출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익숙한 풍경에서 낯선 장면을 발견하고 이를 회화로 번역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산책을 통한 발견은 사진 기록으로써 그것은 프레이밍을 통해 변형되어 회화로 이행된다. 이 과정을 통해 회화는 가시성과 비가시성의 관계를 고찰하며 재해석된다. 이와 같이 연구자는 사진을 기록의 장치로 사용하여 지역의 변화 과정을 인식함으로써 무한경쟁으로 치닫는 현시대의 상황을 비스듬히 엿볼 수 있었다. 2016년에서 2021년까지 진행된 작업은 직관적으로 현실을 반영하되 구체적인 입장을 피력하지는 않지만, 불확실한 미래의 불안을 미세하게나마 담아낸다. 이러한 과정이 회화를 통하여 현실의 문제를 드러내는 것은 아니다. 다만 사진을 프레이밍 하는 과정에서 일상의 리얼리티 중 극히 일부분만을 발췌함으로써 화면에는 비구상적 이미지로 나타날 뿐이다. ‘리얼리티의 비구상화’는 작업을 현실과 분리하여 바라보려는 태도로 나타난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창 표면에 반사된 빛의 질감 차이로 인해 발생한 일시적인 단면화는 또 다른 리얼리티의 가능성을 내포하는 듯하다. 즉 본인의 작업은 형상 안에서 기하학적인 색면과 그것의 겹(레이어)을 쌓아 가는데, 이렇듯 ‘익숙한 장면의 비구상화’란 사진으로 기록된 장면에서 추상적인 이미지를 추출하는 창작의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살펴보고 있다.

      •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단위검사 구성 검사점수의 신뢰도 추정 방법 비교

        김나나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학에서 대부분의 표준화 검사들은 하나 이상의 문항이 동일한 자료를 공유하는 형태의 단위검사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검사의 문항들은 상호 의존성을 지니기 때문에 자료의 구조를 고려하지 않은 채 신뢰도를 추정할 경우 과대 또는 과소 추정된 결과를 산출할 위험이 있고, 잘못된 신뢰도의 사용은 검사점수 해석과 사용의 오류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항반응이론의 접근을 중심으로 단위검사 구성 검사점수의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항반응이론 모형을 적용하여 단위검사 구성 검사점수의 신뢰도를 추정할 때, 단위검사의 측정 구조에 접근하는 방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그 차이가 단위검사의 특성 변수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문항반응이론과 일반화가능도이론을 적용하여 추정한 신뢰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두 측정 이론의 신뢰도 간 차이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검사에 대해 서로 다른 가정을 갖는 세 가지 문항반응이론 모형(일차원 이분문항반응이론 모형, 일차원 다분문항반응이론 모형, bifactor 다차원 문항반응이론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추정된 신뢰도는 단위검사의 두 가지 특성(단위검사 효과의 크기, 단위검사의 불균형 수준)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단위검사에 대해 서로 다른 가정을 갖는 세 가지 문항반응이론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추정된 신뢰도는 단위검사의 두 가지 특성에 따라 각각 어느 정도의 오차를 보이는가? 셋째, 단위검사에 대해 서로 다른 가정을 갖는 세 가지 문항반응이론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추정된 신뢰도는 일반화가능도이론을 적용하여 추정한 신뢰도를 기준으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에 응답하기 위하여 bifactor 모형을 통해 모의 자료를 연구 조건별로 반복 생성하였고, 이분문항반응이론 모형(2모수 로지스틱 모형), 다분문항반응이론 모형(등급반응모형), bifactor 모형을 적용하여 신뢰도를 추정한 뒤, 그 값을 단위검사의 특성에 따라 비교하였다. 또한 준거 신뢰도(true reliability)를 기준으로 산출한 모형별 신뢰도 추정치의 평균 절대 오차(mean absolute error)를 단위검사의 특성에 따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모형을 적용하여 추정한 신뢰도를 단위검사의 특성에 따라 산출한 일반화가능도계수와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도 추정치가 이분문항반응이론 모형, bifactor 모형, 다분문항반응이론 모형의 순으로 크게 나타났고 이분문항반응이론 모형과 나머지 두 모형의 신뢰도 추정치 간 차이는 단위검사 효과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커졌다. 단위검사의 불균형 수준은 신뢰도 추정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신뢰도 추정치의 오차는 bifactor 모형, 다분문항반응이론 모형, 이분문항반응이론 모형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 그중 이분문항반응이론 모형의 오차는 단위검사 효과의 크기가 커질수록 커졌고 단위검사의 불균형 수준이 심해질수록 조금씩 커졌다. 마지막으로 세 모형의 신뢰도 추정치와 일반화가능도이론의 신뢰도를 비교한 결과, 다분문항반응이론 모형이 일반화가능도계수와 가장 근접한 값을 보였고 bifactor 모형이 일반화가능도계수보다 약 0.01정도 더 큰 값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분문항반응이론 모형과 다분문항반응이론 모형이 단위검사 구성 검사점수의 신뢰도를 과대·과소 추정하고, bifactor 모형이 가장 정확하게 추정한다. 하지만 다분문항반응이론 모형을 사용하여도, 신뢰도 과소 추정의 정도가 작기 때문에 단위검사 구성 검사점수의 신뢰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둘째, 단위검사의 효과가 클수록 이분문항반응이론 모형을 적용하여 검사점수의 신뢰도를 추정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단위검사의 불균형 수준은 신뢰도 추정 방법을 결정할 때 단위검사 효과의 크기만큼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셋째, 문항반응이론이 일반화가능도이론보다 높은 신뢰도 추정치를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두 측정 이론이 사용하는 정보의 양과 동형검사에 대한 가정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Most standardized tests in education or psychology are composed of item bundles called testlets. A testlet is often used not only because it is useful when measuring problem-solving or integrated skills but also time and cost efficient in test construc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tem response theory (IRT) approaches to estimating the reliability of testlet composed test scores by applying three IRT models: the two parameter logistic (2PL) model, the graded response model (GRM), and the bifactor model. As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at the testlet effect size and the degree of imbalance in testlet lengths may influence the estimation of reliability, their effects on the reliability estimates and corresponding errors derived from each of the three IRT models were also examined. Moreover, the reliabilities estimated using the three IRT models were compared with the ones estimated via the generalizability theory approach. Using simulated data, the reliability estimates and corresponding mean absolute errors (MAEs) were obtained from the three IRT models. Then respective estimates and errors from each IRT model were compared along the conditions of five different testlet effect sizes and three varying degrees of imbalance in testlet lengths. Furthermore, the reliabilities estimated using the three IRT models and the estimated generalizability coefficients were compared in each con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Comparing the reliability estimates and corresponding MAEs derived from the three IRT models, the 2PL model overestimated while the GRM underestimated the reliability of testlet composed test scores. However, the magnitudes of underestimation in the GRM were very small; it produced almost the same MAEs as the bifactor model. Hence, though the bifactor model appea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IRT model to be applied when estimating the reliability of testlet composed test scores, the GRM can also be used as a quite appropriate model. Regarding the effects of the testlet effect size and the degree of imbalance in testlet lengths on estimating the reliability of testlet composed test scores,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testlet effect increased, the MAEs of the reliability estimates from the GRM and the bifactor model did not change while the ones from the 2PL model increased.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the increase of dependencies between items causing a severe violation of the local independence assumption in IRT, and it consequently increasing the magnitude of overestimation in the 2PL model. Therefore, researchers should take heed of using the 2PL model for estimating the reliability of testlet composed test scores, especially when the testlet effects are large. The degree of imbalance in testlet lengths also influenced the MAEs of reliability estimates derived from the 2PL model, but the effects were relatively small. This implied that the degree of imbalance in testlet lengths is not as important as the testlet effect size when estimating the reliability of testlet composed test scores using IRT models. Lastly, comparison of the reliabilities estimated from the IRT models to the generalizability coefficients revealed that the GRM produced the closest estimates to the generalizability coefficients while the estimates from the bifactor model were about 0.001 higher than the generalizability coefficients. This indicated that the IRT approach produces slightly higher reliability estimates compared to the generalizability approach, presumably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ories such as their different parallelism assumptions on a test.

      • 성소수자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미치는 종교의 영향에 관한 생애사 연구

        김나나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30대의 성소수자를 대상으로 정체성 형성과정에 미치는 종교의 영향에 관해 분석한 생애사 연구이다. Troiden의 성소수자 정체성 형성 과정의 네 단계 모델을 토대로 참여자의 생의 이야기를 분석하였다. 또한 Lartey의 해방신학 방법론을 통해 성소수자를 둘러싼 사회와 성경을 재분석하여 목회상담자로서의 실천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참여자들에게 연구 참여 계기, 정체성 형성 과정, 종교 및 신앙의 역할, 종교 내에서 정체성, 성소수자에 대한 종교의 태도, 종교에 바라는 것, 현재 상담 주제, 기독(목회)상담자에 대한 조언의 대표질문을 통해 생의 이야기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생애사 분석의 여섯 가지 과정을 통해 연대기적, 인간관계 양상 및 상호작용, 공간 및 소속집단, 가치관과 비전, 삶에 대한 적응 방식과 유사성의 변화 양상과 원인, 사회적 맥락과 역사적 맥락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성소수자의 정체성 형성과정은 4개의 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로 분석되었다. 이는 ‘성소수성에 대한 인식 – 나를 확인하는 과정 - 종교와의 소통 - 삶의 핵심 요소로 전환’의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둘째, 삶의 전반에 종교가 영향을 미치나 특히 Troiden이 제시한 ‘정체성 혼란기’에 결정적인 작용을 한다. 셋째,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의 부자연적, 비도덕적, 부정적이라는 인식 속에서 낙인을 경험하지만, 수용적 관계를 통해 다른 소수자를 위한 헌신을 지향한다. 넷째, 성소수자에 대한 성경의 재해석에 의하면 성소수성 자체에 대한 금기가 아닌 당시 남성 우월적이고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민족을 보존하기 위한 방식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섯째, 목회상담자로서 성소수자들의 관점을 통해 사회와 성경을 해석하고, 성소수자들의 안에 계시된 하나님의 창조성을 이해하며, 이들을 위해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을 공식적으로 외쳐야 한다. 이를 토대로 목회상담자의 해방적 실천에 대해 논하였다. This research is the life history research which analyses the influence of relig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ntity for the LGBT in their 20s and 30s. The life history of the participant is analysed based on the model of Troiden which divided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ntity for the LGBT into four steps. Also, I tried to reanalyse the society surrounded the LGBT and the Bible through the Lartey’s methodology of liberation theology and to propose the actions as the pastoral counselor. The life history of participants is analysed by using the representative inquiries which are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ntity, the role of religion and faith, the identity inside of the religion, the attitude of religion to the LGBT, the something what they want to the religion, recent topic of the counseling, the advice into the pastoral counselor. Through the six steps of the life history analysis, the materials are analysed concentrating upon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the method to adapt to life, the aspect of change in the similarity and the reason for it, the place and an affiliated group, the aspect of a human relationship and the interaction. First,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ntity of the LGBT is analysed as 4 categories and 9 subcategories.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ntity consists of the follows. ‘The cognizance of the character of LGBT - The process of confirming myself - Communication with the religion - The change into the key components in life’ Second, The religion has influenced on whole life but it influences on life crucially in ‘Identity Confusion’ which is suggested by Troiden especially. Third, LGBT have experiences in social stigma in the negative, immoral, artificial cognizance from the society toward them but they try to dedicate themselves for the other LGBT through the receptive relationship. Fourth, Based on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ere are two point of view into the character of sexual minority. Two point of view are that It is not following the order of creation of the GOD and it is not allowed by words of GOD. However,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I could figure out it is not applied only for forbidden of the character of sexual minority, it is the method to preserve the nationality in the society which has the character of the male superiority and patriarchal property. Fifth, we need to interpret the society and the Bible through the LGBT’s point of view as the pastoral counselor and for them, we need to insist on liberation from the suppression. Joretta Marchall suggested that the pastoral counselor who take care the LGBT need to understand the creativity of GOD in their mind and to have the unceasing process of self-awareness into the gender identity and sex orientation. Based on the his suggestion, I treat the actions can be emancipated for the pastoral counselor.

      • 자연의 맥(脈) 이미지를 형상화 한 도자화분연구 : 잎과 날개의 맥을 중심으로

        김나나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연의 생명력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는 맥(脈)의 유기적(有機的)인 흐름 속에 내재된 생명력(生命力)에 주목하여 부드럽고 자유로운 곡선의 형태로 형상화 한 도자화분에 자연의 맥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자연의 생명현상을 예술작품에 반영시키고 또 하나의 창조된 자연을 표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사용 장면에 따른 한국어 불안 양상 연구

        김나나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불안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국내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실 안과 밖에서의 한국어 불안 정도를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선행연구 고찰에 의해 도출된 연구 문제를 기술하였다. 연구 문제 1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교실 안과 밖에서 한국어를 사용 시 느끼는 불안이 학습자 변인(거주기간, 학습기간, 숙달도)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하는 것으로 분석 방법으로는 기술통계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이 실시되었다. 또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교실 안과 밖에서 느끼는 불안 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t-검증이 실시되었다. 연구 문제 2에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교실 안과 밖에서 한국어를 사용 시 느끼는 불안이 문항별로 차이를 보이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한국어 불안의 문항별 응답률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먼저 불안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후 언어불안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언어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불안 측정 도구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먼저 연구 절차를 소개한 후 본 연구에서 실험 대상이 된 연구 참여자에 대해 기술 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도구를 밝히고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본 실험의 실험 절차를 밝히었다. Ⅳ장에서는 연구결과 및 그에 따른 해석을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교실 안과 밖에서 한국어 사용 시 느끼는 불안이 학습자 변인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거주기간, 학습기간,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불안 양상을 살펴본 결과, 거주기간의 경우 교실 안에 있어서는 거주기간이 길어질수록 불안 정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교실 밖에 있어서는 거주기간이 6개월 미만인 학습자보다 거주기간 6개월 ~ 1년 미만의 학습자가 더 높은 정도의 불안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주기간이 1년 이상이 되면서부터 다시 불안 정도가 다시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졌다. 학습기간의 경우, 교실 안에서는 학습기간 3년 미만까지는 학습기간이 길어질수록 불안 정도가 계속 낮아졌으며 학습기간이 3년 이상이 되면서 다시 가장 높은 정도의 불안이 보여졌다. 교실 밖에서의 경우, 학습기간 6개월 미만의 학습자보다 학습기간 6개월 ~ 1년 미만의 학습자가 조금 더 높은 불안 정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학습기간 1년 이상이 되면서부터 3년 미만이 될 때까지는 학습기간이 길어질수록 불안 정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역시 학습기간이 제일 긴 3년 이상이 되어서 가장 높은 불안 정도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숙달도의 경우, 교실 안과 밖에서 모두 초급 학습자보다는 중급 학습자의 불안 정도가 높았으며 가장 낮은 불안 정도를 나타내는 것은 고급 학습자이었다. 다음으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안과 밖에서의 불안 정도의 차이가 거주기간, 학습기간, 숙달도의 각 변인별로 어떠한지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학습자가 교실 안에서보다 교실 밖에서 높은 불안 정도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구 문제 2에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교실 안과 밖에서의 한국어 불안의 문항별 응답률을 살펴보아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사용 장면별 한국어 불안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Ⅴ장은 결론 및 논의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를 통해 얻게 된 결론과 본 연구의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한국어교육에의 시사점을 밝히었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한국어교육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은 학습자의 언어 학습과 사용에 있어서의 한국어 불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교실 안에서의 불안뿐만 아니라 이제껏 연구가 전무하였던 교실 밖에서의 불안 양상을 밝히었으며 국내 한국어 학습자의 불안을 측정하기 위한 한국어 불안 척도를 개발한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the anxiety felt by Japanese speakers of Korean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classroom.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level of Japanese Korean learners’ anxiety based on certain variables. This thes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an introduction to the research conducted in the study and a survey of past research;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was used to construct and implement the research; a summary of the methodology and an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and an overview of the importance of and the limitations inherent in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implemented in this study were described through a survey of related past research including the questions already answered by the work that has been done and further questions raised by previously conducted research. The first research question regarded the differing levels of anxiety experienced b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inside and outside of the classroom. To verify intergroup differences,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null hypothesis being true, a t-test was also conducted.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regarded the percentage rate on how Japanese learners of Korean responded to their anxiety. The second chapter serves as an introduction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research conducted in this study. Firstly, a close look was taken at anxiety and its manifestations. Secondly, language anxiety was specifically examined. Finally, the anxiety scales that are used to measure language anxiety were examined. In the third chapter,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described. The procedures used to conduct the research and certain information about selected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dditionall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used to quantify anxiety were examined. In the fourth chapte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d its interpretation were summarized; a brief synopsis follows. Firstly, the effects of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length of residence, length of study, and proficiency on the amount of anxiety reported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were discussed. In the case of inside-the-classroom anxiety, the longer a student lived in Korea, the lower the anxiety level appeared to be. In the case of outside-the-classroom anxiety, students who had lived in Korea more than six months had higher levels of anxiety than those who had lived in Korea for less than six months. Moreover, after a student had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one year, anxiety levels started to decrease. Inside-the-classroom anxiety showed a similar trend: in general, the students’ level of anxiety fell the longer they studied – but there were some important exceptions. Surprisingly, when the time period reached three years, the level of anxiety again returned to high levels. And in the case of outside-the-classroom anxiety, a student who had studied six months to one year had higher anxiety than a student who had studied less than six months, but after one year the level of anxiety again decreased. The highest anxiety levels were again found when a student had studied Korean for three years. In the case of proficiency,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intermediate students had the highest levels of anxiety while advanced students had the lowest anxiety levels. Nex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anxiety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according to the each of subject groups – length of residence, length of study, and proficiency – was examined. It was found that all the students had higher anxiety levels outside of the classroom than inside, although some of the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each of the questions addressed by the survey was closely examined to more strictly quantify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xiety in using Korean according to the situation under which the language was used. In the final chapter,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also described. Despite some limit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n anxiety scale to reflect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experience in Korea speaking the language.

      • 챈트를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듣기에 미치는 영향

        김나나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Effects of Teaching Chan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Kim, Nana Major in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ing chan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and student's English acquisition attitude and interest. For this purpose, there are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depending on the chant teaching,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improved scores of listening comprehension. Second, teaching chant with interactive processing, does it have an effect on students's attitude and interest? The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for four months on 107 thi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dividing into them four groups: two of them were set to experimental groups and, the other, control groups. The control groups were taught by regular classroom methods.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taught teaching chants through pre-listening stage which included presentation of pictures and background of topics. In the pre-listening stage, understanding pictures is an interactive process between pictures and intrinsic background knowledge. In the while-listening stage students listen to the chant and sing chants together. In the post-listening stage students put together their ideas and extended their thinking into different learning activities that knowledge can be transferred to writing activities. 107 students' took four listening comprehension tests. Learners' attitude and interests on the survey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improved in their listening test and average score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s' average. Students' general learning attitudes toward chants improved their motivation. They gradually improved concentrating on singing chants and stimulate students curiosity. In conclusion, pre-listening activities used prior knowledge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ontent in chants, while and post activities to effectively improve their listening proficiency. In addition, chants also helped to motivate the students to learn English. Further studies about various and interesting methods and procedures of chant lessons are desir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