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중 고전문학에 나타난 장비의 형상적 특징

        김기형(Kim, Kee-Hyung) 돈암어문학회 2011 돈암어문학 Vol.- No.24

        장비 형상의 가장 큰 특징으로 용맹스러우면서도 성질이 불같고 거칠어서 영웅적인 위엄과 더불어 인간적인 결함을 함께 지니고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양면적 특징은 이미 중국문학에 잘 나타나 있는데, 정사(正史) <삼국지>에는 지략을 구사하며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처신하는 장비의 지혜로운 모습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렇지만 장비의 이러한 면모는 소설이나 설화 혹은 속담화 되는 과정에서 점차 약화되고 인간적인 결함을 지닌 ‘맹(猛)’의 이미지로 고착되어 형상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런데 바로 이런 점 때문에 장비는 <삼국연의>에 등장하는 여느 영웅 못지 않게 서민들의 애호를 받아 왔다고 할 수 있다. 한국 고전문학에 나타난 장비의 형상적 특징은 중국문학에서 보이는 이미지와 크게 다르지 않은데, 다음의 경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1) 성격이 급하고 거친 인간형으로 형상화 된 경우 2) 용맹의 표상으로 형상화 된 경우 3) 징치자 혹은 구원자적 인간형의 경우 4) 신격으로 좌정한 경우 흥미로운 현상은 소설이나 시조에서는 관우나 제갈공명을 소재로 한 작품이 많은데, 속담에서는 장비와 관련된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이는 서민들이 다른 인물보다 장비에 대해 더 친근감을 갖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giving various pictures of Jangbi who is a historical character in Samgukji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Jeokbyeokga(The Song of Red Cliff) and so on. One of the most notable shape of Jangbi is not only a rough and hot tempered hero, but also a person with humane flaws. This ambivalence is clearly found in Chinese literature as we can see in official history Samgukji in which wise Jangbi is depicted as a resourceful and extemporaneous person. However, this sort of Jangbis shape is changed to the human with flaws and hot tempered when this character is described in soseol(novel), seulbua(folktale), and sokdm(proverb). This would be the reason Jangbi is beloved by commoner among the heroes in Samgukji yeonui(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The feature of shapes of Jang-bi described in Korean literature seems not very different from the shape in Chinese literature. It can be categorized as you can see below. 1) The shape of Jangbi who is rough and impetuous. 2) The shape of Jangbi who represents the brave. 3) The shape of Jangbi. who is a corrector or saviour. 4) The shape of Jangbi who becomes the deity. The interesting part is that though there are lots of literary pieces like soseol or sijc(short lyric sings) that depict Jegalkongmyeong(제갈공명), in proverb Jangbi is found many times. It means commoners are familiar with Jangbi than any other character.

      • KCI등재

        손진태 설화 연구의 특징과 의의

        김기형 ( Kee Hyung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손진태(1900~ ?)는 민속학과 역사학 분야에서 상당한 업적을 남긴 일제 강점기의 대표적인 국학 연구자이다. 손진태는 단선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복잡한 의식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는 늘 어떤 경계에 놓여 있는 경계인이 었던것처럼 보인다. 국문과 일본어로 저술 활동을 한 점, 역사학과 민속학을 넘나든 점, 민족의 특수성과 인류의 보편성에 두루 관심을 가지고 그 상관성을 탐구한 점 등에서 그러한 점을 엿볼 수 있다. 손진태는 민족 간 설화 비교 연구를 통해 우리 설화의 ``보편성``과 ``독자성``을 구명하고자 했는데, 이는 곧 조선의 존재 가치를 증명하는 일이기도 했다. 조선이 지니고 있는 독자적 특질과 더불어 여타의 민족과 공유하고 있는 보편적인 문화를 드러내는 것이야말로 일본 제국의 식민지 조선의 가치를 인정받는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해방을 전후하여 그의 의식에 어떠한 질적 변모가 있었는지 검증해 보는 작업은 손진태의 개인사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가 있다. 『신민』에 연재된 글과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해방 후 단행본으로 간행한 『한국민족설화의 연구』의 대조를 통해, 그러한 의식의 변모 양상을 검증해 볼 수 있다. 대비 결과, ``민족``의 정체성과 설화의 자생적 발생 가능성을 강조한 시각이 보다 부각된 측면은 있으나, 그의 연구시각이 본질적인 의미에서 변모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점을 확인했다. 손진태는 식민지 시대에 역사학과 민속학, 일본과 한국의 경계에 위치해 있으면서 근대 학문의 방법론으로서의 역사 민속학을 선구적으로 정립한 연구자였다. 식민지시기에 제국의 수도에서 대학을 다니고 근대 학문의 세례를 받은 손진태가 제국주의적 지배이데올로기에서 전적으로 자유로웠다고 보기는 어려울 듯하다. 그에게서 보이는 진화주의적 관점 또한 당대의 지배적인 학적 풍토의 영향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연구 성과를 꼼꼼히 검토해 보면, 그 엄청난 내공과 문헌 등 자료에 입각하여 논지를 편 나가는 실증적·고증적 태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점 때문에 손진태가 남긴 연구 성과의 가치와 의의 그리고 그의 이념적·정치적 성향을 어느 한 방향으로 단정적으로 규정짓기 어렵다. 그의 설화 연구에서 간취해 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특징이자 의의는 문화의 상호 교섭적 측면과 생성적 속성을 포착했다는 데 있다. Son Jintae(1900~?) is a representative researcher who left a remarkable record of achievements on the area of history and folklore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He shows complicated consciousness which is not able to evaluate an unilinear way. He looks like a person who is on the status of liminality. We can see this tendency among the research activities written in both Korean and Japanese, crossing the border between the research of history and folklore, and seeking correlation with both character of ethnicity and universality of humankind. Son Jintae brought light on a subject about an unique and universality of ethnicity by comparative folktale research, which can prove existence value of Choson. It was an effective way to gain recognition that reveals independent features and cultural universality to prove value of Choson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It is significant to verify Son Jintae`s qualitative change of sense which is related with his individual history before and after the independence from the Japan occupation. It can be verified by comparing his writing which is published in Sinmin(新民) with a book The Research of Ethnic Folktale in Korea(韓國民族說話의硏究). We can make conclusion that the identity of Choson and possibility of autonomous ethnicity development were emphasized but quintessential of point of view was not basically changed. Son Jintae was pioneering researcher with modern research methodology who stood on the liminality between Japan and Chos?n, the study of history and folklor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Son Jintae was totally free from imperialistic ideology because he was educated at the university of Japan. His tendency for evolutionary theory also show us that he was closely connected with comtemporary dominant scholarly atmosphere. Nevertheless, we are not able to ignore the Son Jintae`s attitude that concentrated on an empirical study with constant exertions. Therefore it is not easy to define not only Son Jintae`s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result but also his ideological and political tendency as one-way standard. In fact, the feature and significance of his research is acquiring the aspect of cultural interactional transaction and productive attribute.

      • KCI등재
      • KCI등재

        판소리 명창 박동실의 의식지향과 현대판소리사에 끼친 영향

        김기형 ( Kee Hyung Kim ) 판소리학회 2002 판소리연구 Vol.13 No.-

        N/A Parkdongsil was concerned about creative Pansori and produced a large number of disciples. He was a person of pranscendent greatness in dramatic sense and played an important part in perform of Changguek, He who was a godfather of Kwangusori formed the part of modem pansori transmission and produced a large number of master signers. Generally speaking, he come of the knowledge of Seopyeonje master signer succeeded to the school of Leenalchi - Kimchaiman. But he did not accede to the character of master in the same way. He made a study of Dongpyeoaje and accomplished the original realm. His way of thinking was free from a school and he studied son in various methods. So he was concerned about creative Pansori and in the end went to the north korea. He was a creative and individual performer who did not stay the fixed type.

      • KCI등재

        또랑광대의 성격과 현대적 변모

        김기형 ( Kee Hyung Kim ) 판소리학회 2004 판소리연구 Vol.18 No.-

        또랑광대는 명칭들 사이에서 학습이 시원치 않은 소리꾼을 지칭할 때 쓰는 말이다. 고흥지역 이종석씨의 사례를 통해 전통사회에서의 또랑광대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소리꾼의 역량에 따라 명창, 한량, 방안퉁소로 구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가운데 방안퉁소에 해당하는 소리꾼이 바로 또랑광대이다. 이들 또랑광대는 기본적으로 음악에 대한 재능이 뛰어나서 상여소리나 노동요 등과 같은 소리를 잘하였으며, 노동현장이나 마을의 경조사가 있을 때 중요한 몫을 수행하였다. 판소리에 대한 애정이 대단하여 소리를 배우기는 하였으나 체계적인 학습을 거쳐 소리의 중심을 잡아나가지는 못했기 때문에 무대에서 소리를 할 수가 없었고 마을 단위에서만 활동하였다. 또랑광대는 명창의 소리를 접할 기회가 별로 없던 일반 서민들과 판소리를 공유함으로써 판소리 문화의 저변을 넓히고 향유층을 확대해 나가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오늘날 또랑광대를 자처하여 활동하는 일군의 소리꾼들이 있다. 이들은 전통사회의 또랑광대가 지녔을 민중성, 현장성에 주목하여 또랑광대의 의미를 재규정·재해석 하고 자신들의 이름으로 삼고 있다. 오늘날 판소리전승에 있어서 가장 심각하게 노정되고 있는 문제는 역동성과 현장성이 약화되면서 갈수록 `판`이 정형화되어 가고 있다는 점이다. 또랑광대 그룹은 이러한 문제적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고 대중성을 회복하기 위해 새로운 판소리, 창작판소리의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clear the conception and the special quality of `ddorang kwangdae`, and then to show the contemporary transformation of `ddorang kwangdae`. In goheung, `ddorangkwangdae` was called to `bangan tungso`. None of `ddorang kwangdae` claimed to to be a `ddorang kwangdae`. `ddorang kwangdae` means inexperienced singer. But `ddorang kwangdae` had a talent for music. So they sang well a kind of a pallbearers` dirge or labor song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labor field or the occasion of the town. Because they loved pansori, they learned pansori. Because they did not have a systemic learning, they could not circles in the metropolice. So they play an active part in town, their activity proved to enrarge the boundary of singing. There are singer that profess to be a `ddorang kwangdae` today. They give attention to the popularity and fieldness of `ddorang kwangdae`, call themselves `ddorang kwangdae`.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허규 연출 "완판 창극"의 특징과 의의

        김기형 ( Kee Hyung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0 공연문화연구 Vol.0 No.20

        허규는 80~90년대 창극 연출을 담당하며 왕성한 활동을 전개한 바 있다. 그는 전승 5가 뿐만 아니라 실전 판소리를 창극화 하였으며, 창작 창극 작품도 다수 무대에 선보였다. 특히 `완판 창극`이라는 이름으로 1982년 <흥보전>을 무대에 올린 후 1985년 <적벽가>를 공연함으로써 전승 5가의 창극화 작업을 완결지은 것은 그가 남긴 큰 업적 가운데 하나이다. 허규는 주체적 민족문화의 정립과 한국 전통연희의 창조적 계승 문제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던 실천적인 연극인이다. 그는 창극을 한국의 대표적인 공연예술로 정립하고자 노력했다. 창극 작품은 그 연원에 따라, ①전승 5가의 창극화 ②실전 7가의 창극화 ③창작 창극으로 세분해 볼 수 있다. 허규가 연출한 작품에는 이 3가지 유형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그 가운데 전승 5가를 창극화한 작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허규가 시도한 `완판창극`은 한국의 전통유산 가운데 빼어난 예술적 성과를 거둔 요소들을 집대성하여 무대에 올림으로써, 창극을 한국의 대표적인 공연예술로 정립해 보고자 한 것이다. `완판창극`에 나타난 특징은 다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전통을 중시하는 연출 태도, (2) 전통연희 요소의 적극적 수용, (3) 격조와 윤리의식의 중시, (4) 해학의 강조와 보조인물의 적극적 활용이 그것이다. 허규가 시도한 `완판창극`은 창극이 성취할 수 있는 예술적 수준의 한 정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판소리 유산을 망라하고 나아가 전통연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창극을 한국의 대표적인 공연예술로 정립해 보고자 했던 것이다. 허규는 `완판창극`에서 판소리의 진정성을 그대로 살리려고 노력했으며, 처음부터 끝까지 한 대목도 빠뜨리지 않고 장면화 하려고 했다. `완판창극`의 공연 시간이 4~5시간이나 소요되었다는 것이 그 점을 잘 보여준다. 허규가 완판창극에서 거둔 성과는 이후 창극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1990년대에 시도된 `완판장막창극`도 그 모태는 허규의 `완판창극`에 두고 있다. 창본을 종합해 내고 판소리의 좋은 점을 모두 보여주고자 하는 의도가 일치한다는 점에서 특히 그러하다. 그렇지만 90년대 `완판장막창극`은 대형 무대화를 지향했으며 화려한 무대장치와 의상 그리고 버라이어티한 요소를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완판창극`과 대비된다. 허규의 완판창극이 끼친 중요한 영향 가운데 하나는 판소리의 `열린 형식`을 창극의 공연 문법으로 적극 활용했다는 점이다. 허규는 극의 전개 과정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전통연희의 요소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극적 표현 영역을 확장하고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했다. 이러한 그의 시도는 창극 극작술의 한 방식으로 인식되어, 이후 창극 연출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요즘 창극은 어떻게 하면 청중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을까에 관심을 집중하기 때문에, `감동받는 창극` 보다는 `재미있는 창극`을 만드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듯하다. 공연 시간도 최대 2시간을 넘지 않으려고 하며, 관현악 반주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런 관점에서는 허규가 `완판창극`을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창극의 지향점은 극복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It has been diversified and serious attempt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Changgeuk, but it is still independent dramaturgy or the current unformed progressive art. In this situation, exploring works of the identity of changgeuk that is base on the performed individual and specific works in the title of Changgeuk is needed. The 80s and 90s Heo, Gyu was leading an active life as a director who was responsible for directing of Changgeuk. He dramatized Siljeon Pansori-which is a group of Pansori missing text-as well as 5-remained Songs in Pansori and he presented a number of creative Changgeuk works on stage. Especially, the completion of dramatizing 5-remained Songs in Pansori under the name of `Wanpan Changgeuk-which means full version performance without omit-` is the one of his big achievement by performing "Heungbojeon" on the stage 1982 and "Jeokbyeokga" 1985.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confirmation of Heo`s direction of the formulation and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 significance through `Wanpan Changgeuk` which written by Heo. Heo was a practical play who was interested in the subjective formulation of national culture and creative transmission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He tried to formulate Changgeuk to a representative performance of Korea. In the process he pointed out those problems, ① interpretation of a work problem, ② actor`s creative problems, ③ structure problem of theater for Changgeuk. He indicated that the other challenges are to use of the stage & device, to overcome sentimentalism, to stylize acting, to improve own quality, to control the speed and length of the song, to choose the suitable musical accompaniment, to create new repertories problems, and etc. Changgeuk is classified in 3 group by origin, ①dramatizing of 5-remained Songs, ②dramatizing of 7-missing Songs, ③creative dramatizing. It contains all of 3 types that Heo`s work. The dramatizing of remained 5 Songs are the great importance among those works. Heo hoped that Chaggeuk has become the most representative art work of Korea by performing `Wanpan Changgeuk` compiled heritage of Korea`s outstanding artistic achievement. The characteristics of `Wanpan Changgeuk` can be summarized following four. (1) Directing attitudes that emphasizes tradition, (2) Accepting the elements of traditional performance actively, (3) Valuing the classy and ethic, (4) Emphasizing humor and active utilizing of the secondary characters. Heo`s `Wanpan Changgeuk` shows a peak of the artistic level which Changgeuk can be reached. He want to make Changgeuk a Korean representative artistic performance by compiling Pansori heritage and accommodating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Heo continued his effort to present Pansori`s authenticity and to dramatize from beginning to end without missing. It shows very well that `Wanpan Changgeuk` takes 4-5 hours for playing. It looks Heo`s achievement in the `Wanpan Changgeuk` influenced Changgeuk significantly since then. Heo`s `Wanpan Changgeuk` is matrix of `Wanpan JangMak Changgeuk` attempted in the 1990s. Especially, their intent is consistent to synthesize texts and to show all the virtue of Pansori. But 90`s `Wanpan JangMak Changgeuk` aim for large stage, fancy device & costume and variety contents compared with `Wanpan Changgeuk`. Recently, producers have tried not to make a impressive Changgeuk but to make a interesting one. They usually organize performance within 2 hours and prefer orchestral music to its unique sound. In those point of view, it seems that Heo`s idle in `Wanpan Changgeuk` has become one of target to conquer in these days.

      • KCI등재
      • KCI등재

        비가비 광대의 존재 양상과 판소리사적 의의

        김기형(Kim Kee-Hyung) 한국민속학회 2001 韓國民俗學 Vol.33 No.1

        ‘Bi-ga-bi’ clowns were from common people not shamans. This article aims to illuminate what is a background of Bi-ga-bi clowns’ appearance and what is their activity aspect and what is significance in Pan-so-ri history. Pan-so-ri singers have many different names according to their competence or origin. For instance, ‘Ddo-rang’ clown, ‘Hwa-cbo’ clown, ‘Jae-dam’ clown, ‘A-ni-ri’ clown, ‘expert singer’ clown, expert singer clown who performed in front of king, etc. This state that all kinds of clowns were not called simply ‘singer’ clowns but their names were divided variously, was derived from a process that established and subdivided the aesthetic eyes on Pan-so-ri. Someone who didn’t join in perform but they appreciated plays with a critical eyes and indulged in romantic pursuits was called ‘Han-Ryang’. Among them, some people took part in perform and then they became Bi-ga-bi clowns. It was true that their artistic abilities were lacked rather than Jae-dam clowns’ came from shamans.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ir activities and deal with their gravity in Pan-so-ri history. Today, the fundamental problem on Pan-so-ri is how it could be established as live art has an autogenous basement, without protection of institutional device. There is reason to be asked for new Pan-so-ri’s appearance. New Pan-so-ri might encounter reality and evoke public response. Therefore, Bi-ga-bi clown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solving this problem The time that Pan-so-ri resurge as live art will come when consciousness of Bi-ga-bi clowns meets singer clowns’s professional capacities. Bi-ga-bi clowns contributed to compose Sasul lyrics or established it’s theories and it has great significances in Pan-so-ri history.

      • KCI등재

        판소리 〈적벽가〉 조조의 형상적 특징과 의미

        김기형(Kim, Kee Hyung)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7

        이 논문은 판소리 〈적벽가〉에 등장하는 조조의 형상적 특징을 살펴보고, 판소리 공연문법의 측면에서 그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그리고 조조의 영웅적 면모에 주목하여 이를 재해석하려고 한 보성소리 〈적벽가〉와 몇몇 창극 작품에 대해서도 고찰했다. 〈삼국연의〉에 기반을 두었으면서도 자국화 과정에서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한 판소리 〈적벽가〉에서, 조조는 〈삼국연의〉에서의 그것과는 다른 형상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동편제 바디를 비롯한 대부분의 〈적벽가〉에서 조조는 악인형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판소리에서 악인형 인물은 공분을 불러일으키는 존재로 그려지는 데서 끝나지 않고, 어느 정도의 리얼리티를 지니고 있으면서 골계미를 창출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적벽가〉의 조조도 예외는 아니다. 높은 지위에 있으면서도 경박하고 패악스러운 성품의 소유자인 조조는, 전장에서 패한 후 일개 범부로 전락하고 만다. 적벽화전 이후 화용도로 패주하는 과정에서 조조는 철저히 골계화 된다. 〈적벽가〉에서 보이는 조조의 이러한 형상적 특징은 〈흥보가〉나 〈심청가〉 등에서도 보이는 판소리의 공연문법과 맞닿아 있다. 작품의 전반부와 후반부가 ‘비장-골계’의 구조로 짜여져 있는바, 〈적벽가〉 또한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중심에 조조가 있다. 조조는 악인형 인물로서 철저히 희화화 되고 골계화 되지만, 한편으로는 군사들의 원한을 보듬는 인간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조조가 악인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그의 행동 양태에서 비롯된 골계는 해학적 웃음의 성격이 강하다. 보성소리 〈적벽가〉에서는 조조의 영웅성을 어느 정도 존중하여 이를 작품에 반영하고자 했다. 근래에 국립창극단에서 공연한 창극 〈적벽가〉에서도 보성소리 〈적벽가〉의 그러한 관점을 수용하여 조조를 당당하게 형상화 하는 연출력을 보여준 바 있다. 보성소리가 추구하는 판소리 미학은 20세기 이후에 정립된 것으로, 보성소리 〈적벽가〉에서 보이는 조조에 대한 해석 시각은 전통 판소리에서 보이는 세계관이나 미학의 관점과는 거리가 있다. 창극 〈적벽가〉와 창작 작품 〈난세 영웅 조조〉에서 조조를 영웅적으로 형상화 한 시도도 있었던바, 조조가 지니고 있는 다면적 이미지에 비추어 볼 때 충분히 근거 있는 해석 시각이다. 다만 판소리 〈적벽가〉가 보여준 미학적 성취와 비교해 볼 때, 이들 작품의 의의를 어느 정도 인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있다. 결국 이는 작품의 완성도 면에서 판단할 문제라고 보며, 그런 점에서 조조는 다양한 해석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열려 있는 존재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Jojo imagery shaped in pansori “Jeokbyeokga”, and examines their meaning in terms of the typical traditions of pansori performance. This paper also studies Bosung style pansori “Jeokbyeokga” and a few newly created works of changgeuk opera in which the heroic image of Jojo is displayed. Based on the Chinese classical novel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Jeokbyeokga” successfully constructed its own unique style through the process of Korean localization. In “Jeokbyeokga”, Jojo shows his distinctive characteristic, different from that depicted in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Most of the different versions of “Jeokbyeokga”, including Dongpyeonje style badi(바디), usually portray him as a cruel villain Villains in pansori not only arouse indignation, but create satire and humor, or Golgyemi(골계미 comic beauty) while delivering reality to some degree. This typical characteristic of villains also applies to Jojo represented in “Jeokbyeokga”. Although he is in a high position, Jojo is frivolous and wicked, and finally reduced to a common mortal after being defeated in the Battle of Red Cliff. Through his retreat to Hwayondo Island after the Jeokbyeok fire fight, the image of Jojo is completely fooledand ridiculed. Such image expressed in “Jeokbyeokga” shares common ground with other pansori including “Heungboga” and “Simcheongga”. The basic story line is commonly structured as ‘grim tragedy for the first half and humorous satire for the second half’. “Jeokbyeokga” also features the similar structure, with the character, Jojo, being placed in the center of the story. The warlord is often portrayed as a merciless villain, being subject to ridicule and mockery. He, however, is also shaped as a merciful ruler who embraces wounds and resentment of his subordinates. There is no doubt that Jojo is a villain, but his behavior draws out humor inside. In a similar vein, the Bosung style pansori of “Jeokbyeokga” attempts to express the heroic image of Jojo to some degree. In addition, changgeuk “Jeokbyeokga”, recently performed by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has successfully depicted Jojo in a grand and sublime manner, reflecting the image shown in the Bosung sori “Jeokbyeokga”. The aesthetics of Bosung sori was established after the 20thcentury, which stands in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traditional pansori. Given that changgeuk “Jeokbyeokga” and creative pansori opera “Jojo, A Hero amid Strife” bring out the heroic side of the character, Jojo, there’s good reason to portray him as a hero since Jojo has various images. However, compared to the aesthetic value achieved in the original pansori “Jeokbyeokga”, there remains much to be debated about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newly created works. At any rate, the value of works should be appreciated in terms of quality, and certainly, Jojo is a character whose characteristics can be interpreted in wide different ang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