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압밀과 포화수준에 따른 분쇄 Coir 혼합 펄라이트의 수분보유력과 수리전도도

        김기림(Gi-Rim Kim),우현녕(Hyun-Nyung Woo),김혜진(Hye-Jin Kim),박미숙(Mi-Suk Park),송진아(Jin-A Song),송태용(Tae-Yong Song),장효주(Hyo-Ju Jang),정덕영(Doug-Young Chung)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6

        Thi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hydraulic conductivity coefficient and water holding capacity for a specified compaction forces which are the amount of mechanical energy applied to the porous granule (PG) volume. Most current specifications of minerals and perlite as growth media require to be compacted to a specified density, which in general is equivalent to a certain percentage of laboratory compaction.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the saturated PG was very large at potential above <SUP>-1</SUP> bar compared with perlite, but very little water remained below this value. The water holding capac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characteristics of graded PG amended with the ground coir less than 2 mm in diameter were also determined from pressure outflow data. Th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saturated and compacted PG was slightly lower by more than one tenth order of magnitude at equal matric potentials of perlite, but when expressed on the basis of equal water deficits, the conductivity of PG was higher at all but the smallest deficits than those of perlite.

      • KCI등재

        19세기 혼인 습속에 대한 고찰 -친영례 및 “친영적 의식” 중심으로-

        김기림 ( Gi Rim Ki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6

        조선은 건국초부터 유교 가부장적 질서 수립을 위해 노력했다. 그 방안의 하나로 『가례』에 제시된 ‘친영제’를 도입하여 당시의 혼속이었던 ‘서류부가혼’ 관행을 바꾸려고 했다. 친영제는 ‘男先於女’, ‘女從男’ 원리를 바탕으로 하였는데 신랑이 신부 맞이하기, 신랑집에서 혼례 거행하기, 혼례 다음 날 시부모 뵙기 등의 절차가 포함되었다. 조선 사대부들은 이 절차대로 혼례를 거행함으로써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어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질서를 확립하고자 했던 것이다. 하지만 신부집에서 혼례를 거행하는 관행은 여전하였고 그와 동시에 며느리로서 인정 받는 ‘현구고례’도 제대로 실시되지 않았다. 그리하여 친영제는 종래의 혼속을 일정 부분만 변화시켰다. 이런 변화는 대체로 17세기부터 시작하여 조선말까지 한편 친영에 관한 논의가 꾸준히 진행되면서 친영과 관련한 여러 가지 의미들이 생겨났다. 조선시대 친영은 신랑집에서 혼례 거행하기, 부가(夫家) 중심주의, 결혼한 즉시 시가에서 살기, 시가에 대한 연대의식 내지 귀속의식 갖기 등 매우 다양한 의미들을 환기하는 용어였다. 이는 친영과 관련하여 사람들의 사고 속에 존재했던 내용으로 ‘친영적 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친영적 의식’은 혼례에 관한 한 인식 내용으로서 19세기로 오면서 강화되었고, 결혼한 여성들의 삶에 영향을 끼쳤다. 17세기 이후 가부장적 질서를 바탕으로 사회 전반이 변화를 겪기 시작했지만 여성들은 결혼 후에도 친정과의 연대의식 및 귀속의식을 강하게 갖고 있었다. 그러나 18세기를 거쳐 19세기에 와서는 친정과의 거리가 더 멀어지고 대신 시가와 밀착해가는 현상을 보인다. 남성들은 제사, 재산분배, 묘역 조성, 족보 작성 등의 관행에서 여성들을 배제함으로써 ‘딸’의 정체성을 약화시켰고, 집안으로 들어온 여성을 ‘며느리’로 받아들이는 데에 적극적이었다. 여성들도 자발적으로 친정과 거리를 두거나 친정과 시가 중에서 시가 중심적인 행태를 보임으로써 ‘딸’보다는 ‘며느리’로서의 정체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러한 추세는 ‘친영적 의식’의 영향인 것이다. ‘친영적 의식’은 여성을 ‘딸’보다는 ‘며느리’로서 살기를 강조함으로써 남성 중심, 부가(夫家)중시적 생활 방식을 확산하고 강화하는 데에 밑바탕이 되었다. 이는 19세기에 ‘효열부’에 관한 기록들이 증가하는 현상과도 상관관계가 있다. 기존에는 주로 열행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19세기부터는 서서히 효행도 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열행보다 효행을 더 부각하는 경향도 나타난다. 그리하여 여성들은 아내보다 며느리로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해졌고, 남편이 죽었어도 시부모를 봉양하는 효행 책무를 떠안게 되었던 것이다. 이는 19세기 사회가 이전 시기에 비해 여성들에게 시가 중심의 삶을 더 강하게 기대하고 요구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즉 남편을 위한 열행뿐 아니라 남편의 존속(尊屬)을 위한 효행을 요구하는 현실에 놓이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부가 중심적 삶을 강조하는 일은 20세기에도 여전하여 여성들에게 친가보다는 시가를 중시 하도록 요구하는 현실이 지속되어 온 것이다. 이로써 본다면 조선시대 형성된 ‘친영적 의식’은 여전히 더 강하게 살아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administrators of the Choson dynasty tried to build up a patriachal system. For that goal, they proposed which is Chinese marriage form. But the trial of Chinyong implementation wasn`t realized. Above all the bride`s greeting her parents-in-law which is important ceremony wasn`t enforced. On the other side, Chinyong gave rise to a variety of meaning. The meanings were like this: performing wedding at groom`s house, a general rule which marriaged women must live in her husband`s home, etc. The principles of Chinyong were that a man takes precedence over a woman and a woman should follow her husband. These meanings can be called` sense of Chinyong`. The` sense of Chinyong` were on the increase in the 19th century. So this sense affected married women`s life. Married women were exclusived from a genealogical tree, performing ancestor worship, distributing property, as it were, her position as a daughter has been diminished. While, women`s position was enforced as a daughter-in-law. In the 19th century, enforcing as a daughter-in-law was related to increase in number of life story on daughter-in-law who was dutiful and chaste. This meaned that marride women should support her parents-in-law continuously in spite of death of her husband. It more emphasize women`s role as a daughter-in-law and layed stress on an androcentric idea. There were ``sense of Chinyong`` in this tendency and ``sense of Chinyong`` was powerful in 20th century as ever.

      • KCI등재

        「호남의사열전」의 인물형상화 양상과 기우만의 의병 인식에 대한 고찰

        김기림 ( Kim Gi-rim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8 국제어문 Vol.0 No.76

        「호남의사열전」은 기우만이 저술한 의병열전이다. 기우만은 1846년 장성에서 태어나 1916년에 죽었다. 처음으로 호남 의병을 일으켰고 부정척사를 주장하며 항일적 행동을 견지했다. 1896년부터 1909년경까지 호남에서 의병으로 활약했던 12명의 전기를 서술하여 후대에 전하는 일을 자신의 책무로 여겼다. 열전은 3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분은 8명의 행적, 제2부분은 논찬, 제3부분은 4명의 행적이 실렸다. 1부에는 기삼연, 김용구, 김봉규, 박경래, 김준, 전수용, 김영엽, 김익중, 2부에는 논찬, 3부에는 김치곤, 박영건, 정원숙, 성경수 등이 있다. 그는 의병을 민중의 삶을 안정시키고 민중과 결속하는 자, 의병간의 신의를 지키는 자, 조선에 대한 절의 및 항일 의지 실천하는 자, 의병들을 돕는 자 등으로 형상화했다. 이에 그는 의병들은 민중을 보호하고 의병들 간의 결속을 강화하며 본래부터 올바르고 불의에 분노하는 정신을 내면화해야한다는 의병 인식을 드러냈다. 이는 의병인식, 의병 전기 서술, 의병 역사 등을 다룰 때 무력 투쟁, 전투 성과와 연계하는 경향을 재고하게 하는 의의가 있다. 「Honam Ouisa Yeol Jeon」 is a collection of biographies on patriotic soldiers by Ki, Woo-Man(1846-1916). In 1896, he raised an army in the cause of national defense in Jangsung, but it was dismissed. He wrote 「Honam Ouisa Yeol Jeon」 in which achievements of patriotic soldiers in Honam were recorded for future generations. In the 「Honam Ouisa Yeol Jeon」, he characterized the patriotic soldiers as follows: protecting civilians, resisting against Japan based on fidelity to their country, being faithful to other soldiers and protecting each other, and fighting injustices with a righteous spirit. His thoughts had an effect on the awareness of the generations that followed. That is, this study suggests that his consciousness on patriotic soldiers and his narrative style present problems to description of biographies on patriotic soldiers focusing on fighting power and results.

      • KCI등재

        조선인의 심양 공간 인식 양상

        김기림(Kim, Gi-Rim)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1

        심양은 병자호란 이후 조선인들에게 분명하게 인지된 곳이다. 조선 전기에는 명나라 영토였으므로 조선인에게는 관심 대상이 아니었다.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이 심양으로 끌려가 8년간 볼모살이를 하게 되자 심양은 조선인들의 관심 영역에서 분명하게 인지되었던 것이다. 더구나 청나라가 연행 노정에 심양을 넣었으므로 조선인들은 반드시 심양을 거쳐야 했다. 이러한 심양은 조선인들의 눈과 마음에 다양한 공간으로 다가왔다. 우선 심양은 수치스런 조선 역사를 담고 있는 공간이었다. 소현세자와 봉림대군과 양반 자식들이 심양관에서 억류생활을 했다. 그들은 청의 요구를 수용해야 했고 농사를 지어 자급자족 하여야만 했다. 당시 받았던 모욕과 수치는 없어지지 않았고 이후 조선인들에게 심양은 치욕감과 슬픔을 불러일으키는 공간이 되었다. 청나라는 반청 논의 또는 반청 활동을 하거나 척화를 주장했던 사람들을 감시하기 위해 심양 감옥에 가두었다. 김상헌, 최명길 등이 대표적이다. 그들에게 심양은 고통의 공간이었고 그 후손들에게는 선조의 고난을 기억하게 만드는 공간이었다. 그런데 후손들은 청에 조공하기 위해 심양을 거쳐가야만 했기 때문에 선조에 대한 부끄러움을 느끼는 공간이기도 했다. 그러나 심양은 당시 경제적으로 흥성한 대도시였다. 상업이 융성했고 문물이 화려했고 인구도 많았다. 그러므로 관심을 끌고 찬탄을 자아내어 조선인들에게는 선진적 문물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여겨졌다. 이처럼 병자호란 이후 심양은 조선인들의 치욕감, 부끄러움, 찬탄 등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내는 공간이 되었던 것이다. Shenyang holds a special place in the minds of the Joseon people after the Byongjahoran (Manchu).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Shenyan was the territory of the Ming Dynasty and therefore it did not draw any attention among the Joseon people. When Sohyon the Crown Prince and Prince Bonglim were taken away to Shenyang as pawns, Shenyang became ingrained in their memories. Moreover, as the Qing Dynasty included Shenyhang in an itinerary of tribute, the Joseon people were necessarily compelled to pass through it. In the 18th century, it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four capital areas. There were different perceptions about Shenyang among the Joseon people. First, it was the place of the shameful history of Joseon Sohyon the Crown Prince, Prince Bonglim and his noble children were detained in an official hall inShenyang. They had to obey the Qing government’s orders and were forced to earn their living through farming. Thise insult and shame to the royal family remained as a bitter memory and Shenyang came to be known as the place that brought where shame and sorrow to the Joseon people. The Qing government jailed those who were actively opposed to it or insisted on friendly relations with them to intensively monitor them. Those jailed were Kim, Sang-Hun and Choi, Myong-Gil. Shenyang made their descendants remember the shame and suffering of their ancestors. Moreover, as these descendants were compelled to pass through the place as a tribute to the Qing, they felt ashamed whenever they visited Shenyang. However, Shenyang was a large, economically growing city. Business was prosperous and civilized, and the population was large. Therefore, the city that brought regret to the Joseon people was in reality a place with a flourishing civilization. Shenyang, therefore, inspired diverse feelings such as shame and admiration after the Byongjahoran.

      • KCI등재

        조선시대 여성묘지명에 나타난 서술 원리와 그 양상

        김기림 ( Gi Rim Ki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4

        본 논문은 여성 묘지명 서술 원리와 서술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여성 묘지명은 남성 문인들이 썼다. 남성 서술자들은 여성 생애를 재구성하고 서술하는 데에 남성 묘지명 쓸 때와는 다른 원리를 적용하였다. 그것은 不出-숨김, 드러내지 않기와 종인 원리, 의가 원리이다. 불출-숨김 원리는 여성에 관한 것들을 드러내어 서술하지 않거나 남성에 속하는 것으로 만들기, 뒤로 숨겨 서술하는 방식이다. 이에 남성 서술자들은 여성의 이름, 자호를 언급하지 않았다. 또한 자손을 서술하는 데에 있어서도 남성 묘지명에 있다고 하는 언급으로써 여성 묘지명에서는 자손을 기재하지 않았다. 남성 서술자들은 종인 원리에 의해 여성 행위를 능동적 형태로 표현하지 않는다. 여성을 둘러싸고 있는 남성 인물들의 행동, 상황에 따라 여성이 대응하는 방식으로 서술한다. 여성 행위에 앞서 반드시 남성 인물들(남성의 가족 범위에 속하는 인물들)을 먼저 거론한다. 특히 남편에 대한 ``따름의 행위``는 상대적으로 부각한다. 이에 남편이 죽은 후의 행실을 집중적으로 서술하기도 한다. 묘지명 서술자들은 의가 원리에 의해 남편 집안, 곧 시가에서의 행위를 집중적으로 서술한다. 이 가운데서 특히 부각되어 서술되는 것은 가세의 부흥, 시가 남성들의 존속, 가문의 경제적 위세를 드러내는 것과 관련된 일들이다. 이 세 가지 원리는 여성 묘지명 서술자들이 내용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서술 방식도 남성 묘지명 서술 방식과 다르게 한다. 이는 곧 여성 묘지명 글쓰기의 원리이기도 하며 이로써 볼 때 여성 묘지명은 또 하나의 사회 문화 담론의 성격을 지닌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description principal and the description aspect which it follows in woman inscription on a tomb. Woman inscription on a tomb had been wirrten by male author in Chosun Danysty. The male author re-compounded woman life with differant principles and methods from with male inscription on a tomb. There was the principle of hiding, the principle of following anather people and the principle of family prosperity The principal which it hides distinguishes the fact that regarding the woman and it does not describe, it hides after the thing which belongs in the male. The male author don`n say woman name. It does not refer the descendants from woman inscription on a tomb. It refers the descendants from substitution male inscription on a tomb. The male author does not describe the conduct of the woman with the spontaneous. The woman confront in the males and it acts. Specially, the male author describe woman actions when her husband had died. The male author describe the devotion of woman to the family of husband. For example a family reconstruction, arranging the cemetery again and expanding house. The three principles regarded as a standard which male author described womna inscription on tomb. From like this viewpoint the woman inscription on a tomb also keeps the character of one social culture discussion.

      • KCI등재

        대책문 쓰기 전략과 글쓰기 수업에의 활용 방안 모색

        김기림(Kim, Gi-Rim) 한국어문학회 2018 語文學 Vol.0 No.139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ekmun’s writing strategies and search for was to implement them in a writing class.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necessary as it develops students’ competence. A writing course should allow students to improve the thinking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and expressive skills for problem-solving through the writing process, and ultimately reinforc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In particular, if writing is a method of communica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ntents in their context, and describe exactly what they are based on. Daechaekmun is an appropriate text for such needs. Careful reading and analysis should be carried out in advance, and answers should be given in accordance to the intention of the question. Therefore, the reading and writing strategies of Daechaekmun are suitable for the interconnecting clas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Daechaekmun should understand the exam writers’ intentions and give answers to those in need of them. A writing strategy for Daechaekmun is as follows: setting the proper status of Chaekmunja as a reader and Daechaekja as a writer, writing in deductive reasoning and first-to-end connecting (having a theme repeated at the beginning and ending) styles, building a main idea through constructive responses, answering to each question, inferring through a metaphor, and following the conventions of writing genres. These strategies are applied to the reading and writing steps. The reading step includes reading Chaekmun and Daechaeck, and inferring the intention of the questions and answers demanded by the exam writers. The writing step applied to the real class consists of identifying the given questions-the question intention, propos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selecting the strategies matched with the exam writer’s intention. By engaging in these multiple steps,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own writing strategies for future logical and persuasive writing after they have learnt the writing strategy of Daechaekmu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소통의 관점에서 보는 『대백록』 서술 전략 고찰

        김기림(Kim, Gi-rim) 한국고전연구학회 2021 한국고전연구 Vol.- No.53

        이 글은 『대백록』이 소통적 텍스트라는 관점에서 『대백록』에서 활용된 소통을 위한 전략과 의미를 고찰하려 했다. 홍중인은 시배-노론-이 만든 ‘공안’이 왜곡되었다고 인식하고 이에 대응, 소통하기 위해 『대백록』을 썼다. 홍중인(1677-1752)의 호는 화은(花隱),자는 양경(亮卿)이다. 이익, 신광수, 권상일, 신정모 등 주로 천안 부근의 남인들과 교유했다. 『대백록』은 1750년 전후에 저술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정릉변고 사건, 기축옥사 및 그와 관련한 인물들-정철, 성혼, 최영경, 정개청-과 이이, 김장생, 송시열, 윤선거, 윤증 등 서인의 논의를 거론하면서 그에 대해 논박했다. 논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서술 전략을 보면, 논거 자료를 병치하여 객관성을 확보하기, 서인들의 논의를 역이용하여 편당성 배제하기, 자신의 당파-남인-를 비판하여 공정성 높이기 등이다. 이 전략들은 남인에 대해 긍정적으로 서술한 『동소만록』, 서인 논의가 옳다고 생각하도록 유도하는 질문과 답변 방식을 썼던 『아아록』과는 대비된다. 그리하여 공적 소통의 장에서 인정을 끌어내 공안(公案)이 될 가능성을 높이려했다. 이런 점에서 홍중인의 『대백록』은 서인과 남인, 노론과 남인이 대립하며 자기편 당의 논의에 갇혀 있는 데서 벗어나 상호 소통함으로써 세간의 편파적 인식에 균열을 내고 균형감 있는 인식을 재구축하려는 시도를 담아냈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ategies and meanings for communication used in Daebaekrok from the perspective of Daebaeknok as a communicative text. Hong Joong-in recognized that the “public opinion” formed by Noron was distorted and wrote Daebaeknok to respond and communicate. This book is likely to have been written around 1750. The contents dealt with the Jeongneung-byeongo incident(정릉변고사건), Gichukoksa(기축옥사) and related figures such as Jeong Cheol, Seong Hon, Choi Young-gyeong, and Jeong Gae-cheong. In addition, Ii, Kim Jang-saeng, Song Si-yeol, Yoon Seon-geo, and Yoon Jeung were also covered. Hong Joong-in refuted the discussions of the Norons, which were considered public opinion at the time. To this end, he arranged the arguments side by side to secure objectivity. He ruled out partiality by using the Nargument and secured fairness as a way to criticize his party. Thus, it sought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public security by drawing recognition from the arena of public communication. In this regard, Hong Joong-in’s Daebaeknok is an attempt to break the prejudice of the world and rebuild a balanced perception by mutual communication, free from confrontation between Noron(노론) and Namin(남인).

      • KCI등재

        개화기 호남 유림의 여성 인식

        김기림(Kim Gi rim)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한국고전연구 Vol.0 No.30

        본 논문은 개화기에 생존했던 기우만의 여성 인식을 살피는 데에 목적이 있다. 기우만(1846-1916)은 한말 및 개화기에 호남을 대표하는 유림이다. 1846년 장성 탁곡(卓谷)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노사 기정진, 아버지는 기만연(奇晩衍), 어머니는 이기성(李耆成) 딸이다. 기정진 죽은 후 호남 유림들의 종장(宗長)으로 추대되었고 호남 의병활동의 중심 인물이었다. 개화와 조선 멸망이라는 격변기를 살았던 기우만은 기정진의 위정척사 정신을 그대로 수용했다. 명성황후 시해 소식을 듣고 사람들에게 규탄하기를 격려했고 51세의 나이로 장성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아관파천 사건이 일어나자 외세에 의탁하는 일이 위험하다고 경고했고 을사늑약 체결 소식을 듣고 을사오적의 처단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다. 이 때 을사오적 암살 시도 사건과 관련되었다는 의심을 받아 광주, 서울의 감옥에 갇히기도 했다. 1910년 한일합방 소식을 듣고는 나라가 망한 신하로 자처하면서 칩거했다. 문화적으로는 소중화 의식을 토대로 당시 개화파의 의식과 개혁에 철저하게 반대하였다. 기우만은 여성이 하종하는 열행을 강조하지 않았다. 대신 죽은 남편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삼는 이른 바 '심종(心從)'하는 열행을 강조했다. 그리하여 남편의 마음처럼 남편 집안을 흥성시키는 여성을 부각했다. 또 이를 위해 아들 교육에 적극적으로 헌신하는 여성의 모습을 강조하였다. 한편으로는 여성의 구활행위에 주목하여 향당에서의 여성 역할을 부각하기도 했다. 이러한 기우만의 여성인식은 당시 개화 사상의 영향으로 위협받던 가부장적 가족 체제를 지키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었다. 그리하여 여성의 위상을 가문적 차원으로 확대하기도 했지만 그만큼 여성의 책무를 더 무겁게 하기도 하였다. 한편 기우만은 여성의 열행 정신을 충 윤리와 연계하면서 당시 위정자들의 비겁함과 배신 행위를 질타하기도 하였다. Ki Woo-man(奇宇萬) was Confucian scholar who had lived in Jang sung and in early modern period. He was grandson of Ki Jung-jin(奇正鎭) who was the great Neo-Confucianist philosopher. He cherished the thought of his grandfather -the thought of Wijung Chuksa(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衛正斥邪). He raised 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in 1896 in Jang-sung. He sent up a memorial to the Throne which demanded to punish five persons who played a leading role fo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Ulsaneukyak:乙巳勒約) in 1910. Ki Woo-man took a serious view of Yeolhaeng(烈行). He emphasized on that women who her husband died had to survive, serve her parents-in-law faithfully and bring up her son. It was that her mind was with the husband's mind(心從). This assertion based on the Way of Three Obediences(三從之道). They were the womem who perpetuating the family of her husband and continuing a ceremony for the repose of her husband's ancestors. So he acclaimed for women who brought honor to her husband's family. And Ki Woo-man emphasized on that woman dedicated to educate her son. So he had praise the mathers who moved to ideal educational environments, set up room where her son studied with his teachers and friends, work hard to make tuition fees. On the other hand, Ki Woo-man interested in women who gave relief to the people. He highlighted womne who extended a helping hand to relative and neighbors who was poor or starved during the drought. Ki Woo-man intended to consolidate the patriarchal social order becouse he thought the patriarchal social order has been shaken It increased the burden laid on the woman in early modern period. Ki Woo-man, besides, Yeol(烈) connected with royalty. So he cried out against the immoral and corrupt politicians and demanded that they should imitate Hyo Yol Bu Jon(孝烈婦)'s virtues.

      • KCI등재

        유영선의 『규범요감』에 대한 고찰

        김기림 ( Kim Gi Ri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8

        본 논문은 현곡 유영선이 엮은『규범요감』의 내용을 살피고『규범요감』의 시대적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현곡 유영선은 1893년에 태어났다. 17살 되던 해인 1910년 한일 합방을 맞이했다. 이 때 스승인 전우가 계화도로 들어가자 따라 들어가 성리학 공부를 계속하였다. 25세 때 고향인 고창으로 돌아와 현곡정사를 열고 성리학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이후 서양에서 들어온 학문이 융성하였으나 유영선은 성리학을 지속적으로 연구하면서 스승 전우의 성리설을 정리, 계승하여 전우의 학통을 확립하는 데에 일생을 바쳤다. 그의 문집은 본집 16권, 속집 6권으로 총 22권으로 구성되었다. 대표적인 저작을 보면, 전우의 <태극도설>, <기질명덕설(氣質明德說)>과 관련하여 왕래한 편지를 분류하여 『성리유선(性理類選)』을 지었고, 『담화연원록(潭華淵源錄)』을 지어 전우의 도통을 정하기도 하였다. 집안 자손을 가르치기 위한 『훈자편』, 『규범요감』 등을 편찬하기도 했다. 그 중 『규범요감』은 1925년에 엮은 것으로 집안의 여성들을 교육하기 위한 교재였다. 여성은 집안에서 자식을 양육하고 교육하여 성장 후 사회에서 큰일을 이루어내는 기초를 다져야 하며, 또한 남편을 보좌하여 공업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여성에 대한 교육이 절실하다고 하면서『규범요감』의 편찬 의도로 삼았다. 『규범요감』 상권, 하권으로 구성되었다. 상권에는 효애(孝愛-34장), 경순(敬順-52장), 친목(親睦-25장), 교육(敎育-40장), 체하(逮下-14장), 봉제(奉祭-18장), 대빈(大賓-9장) 등 7항목이 있다. 하권에는 성행(性行-62장), 언어(18장), 복식(服食-34장), 근검(勤儉-23장), 정렬(貞烈-50장) 등 5항목이 있다. 상권 항목을 보면 부모, 시부모, 남편, 친척, 자식, 하인과 첩, 손님 등 다양한 인적 관계 속에서 여성이 행해야 할 행동지침을 제시했고 하권에는 여성의 성품이나 여성이 일상에서 행할 생활규범을 제시했다. 유영선은 『예기』, 『여사서』, 한원진의 『한씨부훈』, 이덕무의 『사소절』 등에서 여성 교육에 필요한 내용을 대다수 뽑았고 그 외 송시열, 전우, 임헌회 등의 글에서도 골라 보충하였다. 『규범요감』의 내용상 특성을 보면 우선 여성을 교육 주체자로 부각하였다. 그리하여 태교뿐 아니라 집안에서 자녀들의 인성 형성을 위한 교육을 행해야한다고 했으며 특히 의리정신 교육을 강조하였다. 여성을 교육주체자로 보는 인식은 당시 여성 교육 내지 여성 교육서의 의도와 상통하기도 하지만 의리 정신 교육을 강조한 점은『규범요감』의 다른 면이기도 하다. 『규범요감』은 또 정(貞)과 열(烈)을 세분화하여 ‘한결같으며 신의를 지키는 것’을 정(貞)으로, ‘변고를 만났을 때 절개를 온전히 하는 것’을 열(烈)이라고도 하였다. 그리하여 남편이 죽었지만 순절하지 않고 집안 흥성과 시부모 봉양을 위한 효행을 다하고 그 과정에서 고난스런 삶을 산 여성들을 ‘열녀’로 인정하였다. 이로써 죽어야 열녀로 추앙하는 조선후기 및 조선말의 열녀 개념에서 벗어났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남편을 대신한 효행을 강조함으로써 효열부의 모범을 제시하여 효열개념을 교육하고자 하는 의도도 보였다. 특히,『규범요감』은 충의를 부각하였다. 여성들이 나라를 위해 순절하는 일화, 여성들이 남성들에게 충의를 실행하도록 돕거나 격려하는 일화를 보여준다. 이로써 여성들도 나라를 위해 충정을 다하기를 요구한다. 유영선은 국권을 상실하고 일본의 통치 아래에 놓이게 된 과정을 겪었다. 이 경험은 충의 정신이 절실하다는 사실을 알게 해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집안에서 자녀 및 남편으로 하여금 충의 정신을 격려하도록 하기 위해 여성들에게도 충의 정신을 교육하고자 했던 것이다. 충의 정신 부각은 1920년대 여성 교육서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부분이기도 하다. 한편, 대가족 공동체주의적 의식을 지향하는 내용도 있다. 이는 친족 간의 화목을 강조하는 부분인데 그 범위를 여러 세대의 혈족으로 확대한다. 혈족간의 화목에는 재물을 공유 정신이 중요하다고 보고 그 본보기를 보여주기도 한다. 『규범요감』이 효열을 강조하고 대가족 공동체주의적 의식을 지향하는 점 등은 유교적 영향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1920년대 경향에서 보면 보수주의적 특성을 지닌다. 그러나 한편으로 그 시대가 일본의 통치에 항거하고자 했던 시기라는 점에서 보면 충의 정신 강조, 의리 교육을 여성에게 부여한 점 등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contens of Gyubeomyogam(閨範要監) and clarify the meaning of female education book in 1920``s in Korea. Gyubeomyogam is compiled by Yu Young-seon. He was born in 1893, died in 1920. He had compiled Gyubeomyogam in 1925. The purpose was to teach women in home. The contens of Gyubeomyogam are hyoae(孝愛), gyeongsun(敬順), chinmok(親睦), gyoyuk(敎育), cheha(逮下), bongje(奉祭), daebin(大賓), seonghaeng(性行), eoneo(言語), boksik(服食), guenreom(勤儉), jeongryeol(貞烈). Yu Young-seon had spined woman as a teacher and accentuated her to teach spirit of loyalty to children. This is similar to female education books in 1920``sAnd he had forced woman to remain faithful to her deceased husband and to devoted to her parents-in-low. This is different form female education books in 1920``s. The loyalty had became highlighted in Gyubeomyogam . Gyubeomyogam contains the stores which woman encouraged her son and her husband to devote to his lord, and woman died when her nation destructed. On the other hand, Yu Young-seon oriented to consciousness of big family community. Gyubeomyogam is conservative because of the confucian ethics-filial piety, fidelity, the big family-oriented consciousness-. But on the otner hand, the loyalty and the point which spined wonan as a teacher and accentuated her to teach spirit of loyalty to chidren in Gyubeomyogam are timely. Because it was period when Korea was ruled by Japan, so korean had to get patriot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