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버마스 비판이론의 사회복지 실천에의

        김기덕(Kim Gi-Duk) 한국사회복지학회 2006 한국사회복지학 Vol.5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이 사회복지 실천에 대하여 가지는 함의를 탐색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하버마스의 이론은 사회복지실천에 만연하고 있는 관료화와 효율화를 도구적 이성의 팽배로 적절히 해명하고 그 대안으로 의사소통이론을 제시함으로써 규범적 비판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복지를 조망할 수 있는 패러다임으로서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이론을 보다 자세히 검토하여 보면 바람직한 사회복지의 분석틀이 되기에는 일정정도의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우선 개념적인 측면에서 사회복지 실천 활동을 단순히 의사소통행위만으로 파악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하버마스의 이론에 의하면 전문직 관계와 판단이 단순한 이해와 합의의 과정으로 축소되고 만다. 하버마스의 비판이론은 사회복지 실천전략적인 측면에서도 충분한 지침이 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의사소통행위의 동기와 도구적 이성의 배제, 의사소통의 일치와 합의를 판단하는 데 있어 명확한 근거와 기준을 제시하지 못한다. 결론적으로 하버마스의 비판이론이 단순히 이상적인 목표나 하나의 지향에 그치지 않고 사회복지 실천전략으로서 기능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이론과는 별개의 추가적인 조건들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는 것이다. 특히 전통적인 사회복지의 주제인 상호이해에 대한 인지적 관심과 간주관성에 대한 실천적 관심을 어떻게 의사소통이론과 결합할 것인지가 주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Habermas's Critical Theory,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modern descendant of enlightenment thought, on the social work profession. The focus of this paper is a critical examination on expected perceptual and practical gain provided by communicative theory for the professional relations between social workers and clients. This paper proves that Habermas's theory has failed to sufficiently grasp the scope and functions of social work practice. First, in regard to perceptual gains, Habermas's theory commits some kind of reductionism which considers communicative behaviors as only and original one. It is likely to limit the scope and extent of the function and mission of social work into a kind of communication performed by humans with communicative ability. Second, in regard of practical gains, Habermas's theory does not provide detail procedure of power-free communication nor critical criteria to evaluate the degree of ideal speech situation. Without these ones, Habermas's critical theory might play a role of liberal conservatism, which is trying to replace the substantial contents with procedural formality. In sum, to be a adequate theoretical and practical framework for social work, Habermas's theory needs to combine additional humanitarian considerations into communicative paradigm with more detail requirements and preconditions for ideal speech situations between professional and clients.

      • 한국의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교과서 분석

        김기덕(Kim Gi-du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4 비판사회정책 Vol.- No.17

        이 글의 목적은 현재 한국 사회복지학 관련 대학에서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Social Work Practice Ethics) 과목의 교과서 로 사용될 목적으로 출간된 저서 및 번역서의 검토를 통하여 한국 사회복지윤리학의 연구경향을 평가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당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분석대상이 되는저서들 을크게 교과목의 개념정의, 포괄하는 윤리학 이론의 범위, 철학적 지향의 3가지 기준을가지고 분석하여 보았다. 분석의 결과 이 글에서 검토된 2권의 번역서와 5권의 국내학자들의 저서들은 약간의 편차를 보이기는 하지만, 대부분 미국식 임상사회사업중심(social work-oriented). 응용윤리성격의 규범윤리학 중심 (normative ethics-oriented). 근대적-전통적 윤리지향(modernist ethics-oriented)이라는 특정을 공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개별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실천과는 구별되는 국가 및 지방정부의 사회정책 및 사회복지 서비스와 관련된 윤리적 쟁점과 논의들은 다소 소홀하게 다루어 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응용윤리 중심의 규범윤리학에 상대적으로 많은 논의가 할당되어, 한국 사회복지 실천과 관련된 윤리적 실태에 대한 기술윤리학적 논의 및 사회복지 윤리학자체에 대한 의미와 그 정당성에 대한 논의를 제공할 수 있는 메타 윤리학은 거의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과서들이 칸트식 의무론과 공리주의 중심의 목적론으로 대별되는 근대 윤리학에만 한정되어 논의를 소개하고 있어 최근 사회복지에 대한 대안윤리로 제시되고 있는 페미니즘 윤리학(feminist ethics), 포스트모던 윤리학(postmodern ethics). 다양한 비판 윤리이론(radical-critical ethics) 등은 거의 소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한국적 사회복지의 실정에 부합하는 사회복지윤리 및 철학의 모색은 이와 같은 현행 교과서들의 한계를 적극적으로 극복하는 방향과 내용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ext books for course work of social work ethics and philosophy in Korean universities. After identifying the evidence of their common inclinations toward social work practice ethics developed along with American social work, the potential problems and limitation of this American social work-oriented ethics are explored. First, because most of text book are focusing on the ethical issues derived from the direct professional practice between individual social workers and clients, they are not offering necessary informations and guidelines for practice which are compatible with another ethical values and principles such as social justice, oppression, discrimination and social exclusion, which are more relevant to social policy and social service within European welfare state paradigm than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in America. Second, ethical theories considered as a theoretical resources for social work practice by text books are mainly normative or substantive ethical theories, which examines real practical ethical choices and reasoning that lie behind them. Such exclusive concerns about applied ethics make unable them to cover sufficiently both descriptive ethics and meta ethics, both of which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Korean social work practice ethics,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ethical decision-making models designed to solve ethical dilemmas and deadlock. Third, the text books has focused on only modernist professional ethics which is characterised in terms of a debate between Kantian and Utilitarian approaches. Thus, the alternative approaches recently developed in social work ethics such as feminist ethics, poststructural ethics, postmodern and critical ethics are totally neglec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적 역량 비판 담론에 관한 사회철학적 분석

        김기덕(Kim Gi-Du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사회복지학 Vol.6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사회복지 이론을 이론적 도구로 하여 문화적 역량 개념에 대한 비판담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부연하자면 다문화사회의 사회복지사라면 당연히 갖추어야 할 것으로 간주되어 왔던 다문화 역량 개념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주장하는 내용을 명확히 하고 그 타당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역량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급진적 비판 사회복지이론, 특히 푸코와 데리다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은 포스트모던 계열의 비판사회복지이론에 지적 기초를 두고 있음을 밝힌다. 비판담론들은 인식론적 측면에서 문화적 역량의 지식적 토대의 근거와 정당성을 문제시하는 동시에, 윤리적 측면에서는 문화적 사회복지실천이 가진 억압과 통제를 지적한다. 그 결과 문화적 역량이 별도의 실체로서 간주될 수 있는 것으로 보기 보다는 일반사회복지의 한 가지 태도로 간주하려 한다. 그러나 문화적 역량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포스트모더니즘에 근거하고 있는 이상 이들이 가진 사회철학적 한계 역시 분명하다. 이들 담론들은 사실과 규범에 대한 인식적 구별을 하지 않으며, 전문직 관계의 억압을 과도하게 철폐하는 과정에서 도덕적 상대주의나 급진적 자유주의로 흐를 수 있고,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와의 권력적 제휴나 연합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등의 실천적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It is very interesting phenomenon that despite a broad consensus on the need for social worker to take cultural aspects into professional practice, thus to be a culturally competent, a number of materials criticising the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e have emerged in these days simultaneously.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such phenomenon, which means that this article is trying to analyze the contents of such critical discourse on cultural competence and the validity of those contents. The result of the study finds out that most of the argument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aspects: epistemological, ethical, ontological, and that most of the main ideas of the critical discourses have been borrowed from a branch of critical social work theories, especially highly influenced from Foucault and Derrida. This article argues that critical discourses have some significant problems which make a conflict with traditional values and tenets in social work as a human service profession. First, epistemologically, the critical discourse fails to differentiate the matter of discovery from that of justification, which brings the cultural competence to the brink of agnosticism. Second, ethically, insisting that there should be no foundational criteria for cultural hierarchy in term of rightness or goodness, the critical discourses reveal their intrinsic limitations in solving ethical dilemmas and conflict in real world,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kind of evasion of responsibility in disguise of cultural relativism. Third, in practical vein, critical discourses are largely in effective in specifying the concrete model to realize their own ideas, and furthermore they unintentionally promote context-blind perspectives that eclipses the significance of structural and systematical impacts on the cultural identity.

      • KCI우수등재

        대안적 비판이론으로서 인정 패러다임의 사회복지적 함의

        김기덕(Kim, Gi-Du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4

        후기 현대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려는 대안적 비판이론인 인정 패러다임은 이론과 실천 측면에서 사회 복지에 많은 함의를 주고 있다. 인정이론의 주요 이론가인 Honneth와 Fraser의 논의를 중심으로 사 회복지적 함의를 살펴보면 무엇보다 기존 비판이론이 가진 보편성을 개별 인간의 자기의식과 진정성으 로 극복하고자 하는 Honneth의 이론은 사회복지의 본질적인 소명과 대상에 대한 매우 선명한 비전을 제시한다. 이와 달리 Fraser의 이원론적 정의론은 기존의 경제적 분배 위주의 정의관을 사회문화적 측면의 존중을 강조하는 인정개념을 통해 확장함으로써 현대사회의 부정의 창출구조에 대해 매우 다양 하고 복합적인 대응전략을 제시한다. 하지만 사회복지에 대한 이러한 다양한 함의에도 불구하고 인정 패러다임은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진정으로 인정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지, 사회복지의 인정 대상은 과연 누구인지, 그리고 사회복지는 도대체 사회로부터 무엇을 인정받아야 하는지와 관련된 질문을 여 전히 남기고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Recognition Paradigm for domains of social work, especially focusing on the arguments exchanged between Axel Honneth and Nancy Fraser, two eminent scholars in this field. The Recognition paradigm, which is an alternative perspective in practical philosophy developed to cope with the changing socio-political situations in the late modern society, is providing the domain of social work with a lot of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In particular, Honneth's recognition theory which considers the recognition as a basic prototype in human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society is able to clarify the fundamental mission and territory the social work profession is to pursue. But for the meanwhile, Fraser's dual perspective of justice, which is an extended version of redistributive justice introducing the recognition component in it, can suggest diverse practical strategies to confront complex injustice-making structures effectively in the later modern society. In spite of these abundant implications in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reas, the recognition paradigm still save several fundamental considerations for social work, such as the real meaning of the recognition in social work, the exact population from whom social work seek to get recognition, and the adequate strategy, so-called "recognition struggle" which social work is to employ to acquire the recogn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