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특성 변수와 기업가치 변수를 이용한 조세회피 측정의 평가

        김금미 창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세회피와 기업가치의 관계는 조세회피의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면의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기업지배구조는 조세회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조세회피 때문에 증가하는 기업위험은 기업지배구조의 중요한 관리대상이고 또한, 투자자에게도 중요한 관심사항이다. 기업지배구조는 조세회피에 대하여 부정적인 효과를 완화하고, 조세회피로 인한 기업가치 증가효과가 효과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조세회피에 관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조세회피 측정방법들이 조세회피행위를 발견하는데 유용한 정도를 비교, 검증하고자 하며 연구방법으로는 ETR(유효세율) 조세회피, Desai and Dharmapala(2006) 조세회피, BTD 조세회피 등 세 가지의 측정방법을 연구 분석하여 어떤 측정방법이 조세회피행위를 측정하는데 유용한지를 판단하는 게 목적이고, 기업가치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실증적인 증거를 제시하였다. 분석기간은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분석하였고, 비금융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세회피를 측정하기 위해 TaxAvoid_Gaap_ETR, TaxAvoid_Current_ETR, TaxAvoid_Desai_TA, TaxAvoid_Desai_DA, TaxAvoid_BTD1을 이용하였다. 조세회피 측정치를 다양하게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측정오차의 영향을 줄이고자 하였다. 기업가치의 대용치로 토빈 Q를 이용하였고, 통제변수로는 SIZE(기업규모), LEV(부채수준), CAPIN(자본집약도), NVIN(재고자산비율), RND(연구개발수준), ROA(총자산순이익율)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업의 조세회피와 기업가치는 대부분 음(-)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TR(유효세율) 조세회피의 경우에는 기업가치와 양(+)의 관계에 있고, 나머지 TaxAvoid_Desai_TA, TaxAvoid_Desai_DA, TaxAvoid_BTD1은 기업가치와 음(-)의 관계에 있다. 즉, 대리인 관점의 예상과 같이 조세회피의 비용이 상당히 클 뿐만 아니라 세금절감효과를 초과하여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현대문학자원의 정보구조설계 연구 : 김유정을 중심으로

        김금미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formation Architectur Design of Research Modern Literature Resources - with Kim You Jeong - Kim, Kum Mi Department of Global Culture and Contents Graduate School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s our society has become modernized, we unconsciously accept the convenience that industrial civilization gives. In this era, dazzling and colorful things are everywhere so that we cannot ignore them. If we use them without being aware of their problems, we may be left behind in dealing with social problems that may arise out of such a convenience. This study is to find solutions to those social problems by using web visualization systems, rather than just pursuing extremely colorful visualized things blindly. Although the right to enjoy culture has expanded, literature and culture and art have been considered as the exclusive prerogative for intelligentpeople or top class, failing to reach to every corner of society. However, cases are being reported at home and abroad in which marginalized groups can be cured by means of culture and art and inserted back into society. Searching for ways to make such cases as a literary code through web visualization,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put an order in various measures found at home and abroad in culture and art areas. The literary maps produced in early 1990s including 『Korea Literary Map』, which was made as a printed type in 1996 in its kind, show signs of striving to suggest regional features in detailed directions. Most of the maps are for exploring the sites. 『Jeonbuk Literary Map』, of which content is not found as it has been out of print, can be assumed to have been planned in the type of literary map, which was a fashion in the 1990s. Even 『Gyeonggi Literary Map』, which was made in 2000, shows its limit as its information design failedto go beyond the early forms, compared to foreign cases. In the eraof globalization, information design should be based on culture which can be revealed in the life that clearly shows n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personal or construction styles. The Internet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delivering information on each country’s regional features. Now, by using a computer or a smart phone, we can get access to information from around the world with its image. Therefore, this is the right time for web visualization and information design on literary resources can be a way to pursue to boost the regional economy. Current utilization of literary resources is only confined to their regional and historical factors. The literary maps produced later also failed to manifest any development, making no progress further than exploring the site. Therefore, efforts for developing Korean style web visualization should be made to offer better quality services to receptors. Analysis on overseas websites on William Shakespeare and Johann Wolfgang von Goethe may provide a methodological aspect. According to the data on Korean literary museums in 2010, the number of literary museums around the nation stands at 42, increasing steadily. Since literary museums have information on the region and writers from that area, they have advantages. This study compares information on a writer with overseas cases and suggests a direction for literary map design by means of web visualization. This web visualization information design can provide good quality services to domestic and overseas service users and will provide a way to share a variety of information with the marginalized group easily. In addition, information on culture and art will serve as a sufficient condition that can treat the incurable wounds. 현대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기계문명의 편안함을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어느 곳에서나 화려한 시각적인 것에 노출이 되어 무시하고 살 수 없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문제의식을 갖지 않고 사용 한다면 우리에게 편안함 뒤에 발생하는 사회적인 문제 대처에 늦어지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극단적으로 화려한 시각적인 것을 쫓기보다는 그러한 웹 시각화 시스템을 활용하여 교육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들을 해결방법들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문화향유권 신장은 문학과 문화예술들은 사회저변에 확대되지 못하고 지식층이나 사회상위계층의 것처럼 인식되어 왔었다. 그러나 오늘날 소외계층에게 문화예술로 상처를 치유하여 사회 속으로 편입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국내 뿐 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해결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한 사례들을 웹(web)시각화를 통하여 문학적인 코드로 제시 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문화예술 방면의 국내․외에서 제시 된 방법들을 정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1996년도 국내 문학지도 사례에서 인쇄물로 출판 된『한국문학지도』를 비롯해 초기 90년대 문학지도들은 지역적인 특색들의 세부적인 방향으로 제시 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대부분이 답사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절판 되어 내용을 알 수 없는 작가회의의『전북문학지도』도 90년대에 유행처럼 번진 문학지도의 형태로 기획 되었을 것이라는 추측만 가능하다. 2000년도에 『경기문학지도』조차도 문학지도의 형태를 가진 정보설계들은 외국사례에 비해 초기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세계화 모색에 국가를 대표하는 삶의 일부 속에 드러나는 문화를 매개로 인물, 건축 등을 제시 할 수 있는 정보의 구성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각 국의 지역들에 대한 특색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데 있어 경계선이 없어진 인터넷의 역할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컴퓨터 한 대로 혹은 스마트 폰 하나로 전 세계의 정보를 이미지와 함께 볼 수 있다. 웹의 시각화는 대한 관심이 필요한 때라고 생각하며 이 웹 시각화를 활용한 문학자원에 대한 정보설계 방향은 지방자치의 살 길에 대한 모색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지역적인 요소, 역사적 요소들로 이루어진 형식적인 형태의 문학자원을 활용이 전부이다. 이후에 이루어진 문학지도의 형태는 국내에서 발전적인 부분을 볼 수 없고 답사 형태가 전부이다. 한국적인 웹 시각화의 노력이 필요로 하며 보다 나은 양질의 서비스를 수용자에 동일하게 전달 할 수 있는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의 해외 웹사이트 분석을 통하여 방법적인 측면을 접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국의 2010년 한국문학관현황 자료에도 42개소로 문학관들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문학관은 지역적인 정보와 함께 유명인들이 가진 친근한 정보들은 충분히 지역 접근성에서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국내 문학관의 전국 1개소 이상의 문학작가 이외도 정보들이 정리되어 있어 본고에서 한 작가가 가진 정보들을 해외 사례를 비교, 대비하여 제시 될 수 있는 정보설계의 예제들을 들어 웹 시각화를 활용한 문학지도 설계 방향을 설정해 갈 수 있을 것이다. 이 웹(web)시각화 정보설계들은 국내와 해외에 좋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소외계층에게 쉽고 다양한 정보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화예술과 연결 된 정보들은 치유되지 않은 상처를 치료할 수 있는 조건제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유구 이전용 Epoxy polymer의 내후 영향성에 관한 연구

        김금미 한서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발굴은 고고학적 자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단계이나 발굴조사 종료 후 대부분은 지상에서 자취를 감추게 되어, 발굴과정에서 작성된 유구에 대한 기록, 사진, 도면 등에 한정된 기록보존의 형태로 존재할 뿐이다. 따라서 발굴 종료 후 현장 보존이 어려운 경우 그대로 복제하여 다른 곳에 옮겨 보존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방법을 '이전복원(移轉復原)'이라고 한다. 유구 이전복원에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아직 재료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하여, 시중에 다른 용도로 제작되어 판매되는 제품을 사용 목적에 따라 별다른 검증 없이 적용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안정적인 방향성을 확립하고자 유구 이전복원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Epoxy polymer의 물성조사 및 환경에 따른 내후 영향성을 비교하여 유구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재료 선택 및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시판되어 사용되고 있는 유구 이전용 Epoxy polymer 중 M-40, SP-108, PF-108, NR-51의 4종(상품명)을 선별하여 물성조사를 실시하였다. 물성조사 후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여 개발된 두 가지 타입의 Epoxy 수지 SE-101(Soft type), HE-101(Hard type)을 추가한, 총 6종을 대상으로 온ㆍ습도 변화실험 및 가속습도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 재료 물성조사 결과, 적용된 4종의 모든 재료에서 충전제 및 비반응성 희석제의 첨가에 따른 접착력, 박리도, 휨강도 등의 문제가 나타났다. 이를 보완하고자 새롭게 개발된 2종의 Epoxy 수지는 비중과 점도를 조절하되 접착 및 자체 인장강도를 증진시킴으로써 접착도나 박리도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며 표면 경도 및 내구성 또한 뛰어난 결과를 나타냈다. 온ㆍ습도 환경에 따른 유구 이전용 Epoxy 수지는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물성이 약해지는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동온(同溫)에서의 습도 의존성과 동습(同濕)에서의 온도 의존성으로 결과를 재해석하여 관찰 했을 때, 이 또한 고온과 고습에 따른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속습도실험 결과, 수치의 차이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강도가 저하되어 상기 물성조사 후 도출된 문제점과 관련하여, 경화제 함량 변화에 따른 가속실험 결과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들 실험에 적용된 6종의 모든 Epoxy 수지는 amine group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은 경화제의 함량을 조절하여 안전한 반응을 유도할 경우 항습성(抗濕性)이 부여된다. 이러한 재료의 성질을 이용하여 실험 한 결과, 경화제의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강도가 증가한 HE-101, SE-101과 강도가 감소한 M-40, SP-108, PF-108, NR-51의 두 개의 그룹으로 대별할 수 있었다. 경화제의 비율을 감소시켜 amine group을 줄임으로써 추후 나타날 수 있는 반응을 소진하여 항습성을 부여하였으나, 강도가 저하된 결과는 비반응성 희석제나 흡습성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나타난 결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물성변화의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기존의 유구 이전용 Epoxy 수지는 충전제 및 비반응성 희석제의 첨가에 따른 접착력, 박리성, 작업성, 후변성(後變性) 등의 문제로 인하여 유구 이전재로서 사용이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온ㆍ습도의 변화 및 경화제 함량에 따른 습도 영향성의 결과로 볼 때, 향후 SE-101과 HE-101을 유구 이전재로 사용 시 유구 특성에 따라 경화제의 함량을 달리 적용하여 효과적이고 안정된 처리가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된다. Excavation is a very important stage of the archaeological research, as it provides archaeological materials and a number of historic remains and relics are dug out. The growing interest in these abundant archaeological materials and remains and relics led to the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preservation, treatment, movement and restoration of them. The study aims to compare the weathering effect of epoxy polymer widely used for moving and restoring the remains in term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selection of material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mains. Among epoxy polymer products used to move historic remains on the market today, four products such as M-40, SP-108, PF-108, and NR-51 were chosen to test for their physical properties. After necessary improvement completed, two epoxy polymer products - SE-101(Soft type) and HE-101(Hard type) ? were developed, temperature-humidity change test and accelerated humidity test were carried out on six products in total. As fillers and non-reactive diluents are added to all the four types, high viscosity filler, bending strength by the content of Hydroxy magnesium aluminum silicate, layer separation of low viscosity NR-51 over time, and post deformation of SP-108, PF-108, NR-51 by the use of non-reactive diluents were considered in relation. The temperature-humidity change test showed that physical properties of epoxy polymer products being used to move historic remains were degraded, as temperature and humidity increased. Also, the observation based on a re-interpretation into humidity dependence at the sam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dependence at the same humidity level revealed that physical properties of epoxy polymer products being used to move historic remains were degraded, as temperature and humidity increased. The effect of humidity by the change of content of hardener is discussed, being divided into HE-101 and SE-101 of which strength increase by the reduced hardener content M-40, SP-108, PF-108, and NR-51 of which strength de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major effect of the amine group of epoxy hardeners; reduction of the content of the amine group exhausted all subsequent possible reactions and thereby raised constant humidity. Besides, the decreased strength of other test materials can be said to have resulted from decreased constant humidity by the addition of non-reactive diluents and hygroscopic additives. Given these results from various physical properties measurements, it was considered hard to use existing epoxy polymer products to move historic remains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filler, adhesiveness by the addition of a non-reactive diluents, expoliation, workability, and post change, Therefore, from the findings of the investigation on effect of humidity by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e content of hardener, it is expected that SE-101 and HE-101 will ensure effective and stable processing, if applied with an appropriated level of hardene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 remains.

      • 『십이야』에 나타난 허구적 요소와 희극적 효과

        김금미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셰익스피어 희극에서는 낭만적 요소 뿐 아니라 축제적 요소도 드러난다. 낭만적 요소들은 흔히 남녀간의 사랑, 행복한 결말, 그리고 비현실적이고 있을 법하지 않은 요소들을 등장시킨다. 그래서 우리를 현실세계와는 다른 가상의 세계로 끌어들여 현실에서 이루어지기 힘든 사랑의 결합을 통해 신분이나 계급과 같은 기존 질서에 대한 도전을 반영하고 비현실적인 요소의 개입은 그것을 은폐하는 수단이 된다. 또한 축제적 요소는 일상생활의 억압이나 규제에서 벗어나 일상의 권위가 전도된 해방 상태로 이끌어서 일탈을 통한 즐거움을 선사한다. 그래서 현실 세계에서의 억눌림이나 분노 등을 풀어보고 더 나아가 비현실적인 세계에서 경험한 정화를 바탕으로 삶에 대한 깊은 인식을 해보고 더 낳은 삶에 대한 희망을 가져보는 것이다. 『십이야』는 이러한 낭만적 요소와 축제적 요소의 특징을 동시에 보여주는 셰익스피어의 마지막 희극이다. 이 두 요소가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인습 타파 적이고 개혁적인 성향은 허구적이고 비현실인 요소를 통해 드러난다. 이렇게 다양한 허구적인 요소들은 이 작품의 희극적 결말을 유도하고 관객들에게 즐거움과 해방감을 불러일으키는 희극적 효과를 유발시킨다. 자기도취적사랑으로 매우 비현실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올시노, 올리비아, 맬볼리오는 과도한 감정분출로 인한 비현실적인 행동으로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상황을 경험케 함으로써 관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또한 이성과 의지, 겸허한 태도를 겸비한 바이올라는 변장이란 허구적인 요소를 통해 올리비아와 올시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변장은 바이올라와 올시노, 바이올라와 올리비아의 이상적인 화합을 가능하게 해주고 이들의 사랑의 관계는 허구적 요소를 통해 낭만의 본질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하지만 맬볼리오의 비현실적인 모습은 현실의 권위를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낭만적 요소는 결여되어 본질적인 의미를 가지지 못하고 끝까지 조롱당한다. 또한 축제 분위기를 주도하는 토비일행에게서도 허구적인 요소를 찾을 수 있다. 토비와 앤드류는 귀족이면서 체면이나 권위의 틀을 벗어나 자유로운 삶을 추구한다. 이러한 이들의 허구적인 특성은 체면이나 권위를 따지는 위선적인 행동을 하고 헛된 망상에 빠져있는 맬볼리오와의 대립을 통해 잘 드러난다. 다른 인물들이 낭만적인 사랑이나 축제적 경험을 통해 현실에서의 새로운 삶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하는 것과는 반대로 그는 다시 기존의 현실로 되돌아간다. 따라서『십이야』에 나타난 허구적 요소는 기존의 사회질서를 뛰어넘은 낭만적인 연인들과 인간 본연의 유희를 추구하는 축제 분위기를 주도하는 인물들은 통해 이상적인 사회를 경험하게 해주고, 그 경험의 결과가 현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상적인 화합과 인간의 자유로운 삶에 대한 의지를 보여줌으로써 관객들에게 즐거움과 해방감을 느끼게 해주고 동시에 앞으로 다가올 더 나은 사회를 꿈꾸게 하는 희극적 효과를 이끌어낸다. <Abstract> Shakespeare's comedies have romantic elements as well as festive elements. Romantic elements such as love, happy ending, improbable events take the audience to a fictitious world and make them feel proxy satisfaction through an improbable marriage in reality. However, the other side of them represents innovative and ideal willingness to change the established order and conventions. Also, festive elements enables them to release themselves from the restrictions of everyday. Through the process of clarification, they can have a deeper awareness of life and hope of better world. These elements represented in Twelfth Night have fictitious and unrealistic elements in common. These fictitious elements contain the possibility of social changes by mocking the irrational and foolish existing society through the innovative marriage and the ridiculing the hypocritical character and bring about comic effect. We can see self-indulgent Orsino and Olivia in this play. They pursue their desire in illusion. Viola's positive energy has an effect on their unrealistic actions and brings about their changes. Viola's disguise, one of fictitious elements, enables them to get to concord and their relationship to obtain actual meaning. We can find these fictitious elements in Toby's group. Toby and Andrew are noblemen, but they don't think that their social positions and prestige are important. They only pursue their festive life. The festive spirit of Sir Toby conflicts with the Puritan-like qualities of Malvolio. The revellers gull Malvolio completely and he becomes a scapegoat of their festivity. As the result of the festive life, we expect that Toby and Maria's marriage will give Toby a moderation of attitude in his life. In conclusion, these fictitious elements represented in Twelfth Night enable the audience to imagine an ideal world and to release them from the rules and social positions of everyday. Also, they lead to comic effect by containing an actual hope toward a better world.

      • 현대 문화산업 내에서 미술품 컬렉션의 역할과 의미에 관한 연구

        김금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IMF외환위기 이후 장기 불황을 겪고 있는 한국미술시장에서 미술품 컬렉션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해결책으로, 미술품과 컬렉션행위를 문화산업적 관점에서 봐야 한다는 견해에서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문화예술진흥법 제2조2항은 ‘문화예술의 창작물 또는 문화예술용품을 산업의 수단에 의해 제작, 공연, 전시, 판매를 하는 업으로 영위하는 것’으로 문화산업을 정의하고, 문화산업진흥기본법은 제2조1항에서 ‘문화상품의 개발, 제작, 생산, 유통, 소비등과 관련된 서비스를 행하는 산업’으로 문화산업을 정의하고 있다. 또한 제2조2항에서는 ‘문화적 요소가 체화되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유무형의 재화와 서비스 및 이들의 복합체’로 문화상품을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세계적 동향이라고 볼 수 있는데 미국은 엔터테인먼트산업이라는 이름으로 문화콘텐츠산업을 대신하고 영국은 크리에이티브 인더스트리, 즉 창조산업이라는 명칭으로 문화콘텐츠산업을 대신하고 있다. 후기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모든 미술품 컬렉션활동은 엔터테인먼트 산업 내에서 재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미술품을 산업 내에서 해석하고 있다는 근거는 1990년 7월 『아트 인 아메리카(Art in America)』지에 ‘컬렉션 판매하기(Selling the Collection)`란 글에서 볼 수 있다. 이 글은 이제 관장뿐 아니라 수탁자들도 미술관에 보관된 미술품들을 냉정하게 ‘재산’이라고 부르게 되면서 사람들의 태도와 미술관이라는 장소에서 일어나는 큰 변화를 기술한 것이다. 컬렉션을 문화적인 세습 재산, 또는 특별하고 대치할 수 없는 문화적 지식의 구현체로 보던 것에서 자본, 즉 순수한 교환가치에 근거하며 주식이나 재산으로 보는 전환이 일어난 것이다. 즉 벤야민(Walter Benjamin)이 예술이 제의적 가치에서 전시적 가치로 전환될 때 상품화가 발생한다고 보았던 것과 같이 미술품이 사용가치로서의 일차적이고 전통적인 상황, 미적 경험으로서의 대상이라는 의미에서 시장과의 관계에 의해서 가치가 결정되는 구조적인 과정으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연예, 스포츠 산업에서 나타나는 스타시스템이 문화, 예술에서 자본의 축적과 확대재생산의 구조적 장치이자 권력화의 핵심으로 자리 잡은 것처럼 문화와 예술이 상품화되고 물신화되는 과정을 넘어 상품으로서의 미술작품과 시장으로서의 유통구조 자체가 시스템화 되어가고 있다. 예술가의 초월적, 천재적 위치는 시스템의 구조적, 권력적, 자기중심적, 독점적 지위에 종속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현대사회에서 미술품과 컬렉션시장은 영화, TV, 광고 등과 같이 엔터테인먼트 산업 내에서 연구하고 분석의 기반으로 시작해야 한다고 본다. 최근 해외 미술관들이 전시나 컬렉션, 기타 대내외적인 활동을 통해 너무 상업적 성격을 띠는 것은 많은 논란과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데 이것은 지나치게 마케팅의 의미만이 강조되었기 때문이다. 개인이나 기업 또는 사립미술관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사적컬렉션이 교환가치나 마케팅적 상품의 가치로만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현대사회에서 공공컬렉션은 다른 상업매체와 구분되는 미술품 고유한 미적가치를 밝히고 보존하는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 또한 현대 미술계에서 이루어지는 학술적 논의가 새로이 시도하는 예술행위와 상업화되는 시장변화를 따라잡기가 힘들기 때문에 공공컬렉션에서 미술품과 컬렉션에 대한 논의와 담론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현대미술사회에서 공공컬렉션의 역할과 의미는 더욱 중요시되고 강화되어야 한다. 공공컬렉션은 사적컬렉션이 여타매체와 미술을 혼동하며 마케팅적 의미만을 강조하는 이 시점에서 원칙과 방향을 다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 단순 추가 수단의 특성에 따른 선택결과의 차이

        김금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Urminsky and Kivetz (2011)의 단순 추가물 효과(mere token effect)에 관심을 가지면서 시작하였다. Urminsky and Kivetz (2011)의 논문에서 시간 차이 선택과 위험도 차이 선택이라는 두 가지 선택상황을 제시한다. 시간 차이 선택 상황에서 먼 미래의 액수가 큰 대안과 가까운 미래의 액수가 작은 대안 중 하나를 선택 하는 것과 위험도 차이 선택 상황에서 위험도가 높고 액수가 큰 대안과 위험도가 낮고 액수가 작은 대안을 받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하는 대립되는 상황이 나타난다. 두 선택 상황에서는 ‘선택갈등’이 발생하는데 단순 추가물(mere token)이 가지는 정당성이 선택변화를 가져온다고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Urminsky와 Kivetz(2011)논문에서 제안한 내용을 바탕으로 선택갈등이 있는 선택 상황에 포함되는 가까운 미래의 액수가 작은 단순 추가물의 성격이 정반대(먼 미래의 액수가 큰 단순 추가물 혹은 위험도가 높고 액수가 큰 단순 추가물)라면, 선택 결과가 가까운 미래의 액수가 작은 대안 혹은 위험도가 낮고 액수가 작은 대안의 선택이 더 높게 나올 것이라고 예측을 했고 제품의 영역까지 확장하여 살펴보았다. <실험1>에서는 먼 미래의 액수가 큰 단순 추가물 혹은 위험도가 높고 액수가 큰 단순 추가물을 포함해서 반대되는 효과를 확인해 보았다. 시간차이 선택과 위험도 차이 선택 모두 단순 추가물이 포함됨에 따라 가까운 미래의 액수가 작은 대안 혹은 위험도가 낮고 액수가 작은 대안의 선택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일부 선택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부분적으로 가설1을 지지하였다. 더불어 단순 추가물의 값에 변화를 주어 단순 추가물 액수 크기가 선택에 영향을 주는지 관찰하였는데 시간차이 선택 상황에서는 모든 금액에서 단순 추가물의 액수 크기가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위험도 차이 선택에서 한 개의 금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단순 추가물의 액수 크기가 영향을 주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가설2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실험2>에서는 제품 간 선택에 있어서도 성격이 다른(이질적) 제품이 단순 추가물로 제시될 때, 제시된 단순 추가물이 대립되는 목표를 만족시키는 이유로 이질적 속성으로 엮인 제품 조합의 선택이 증가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전조사와 본 조사 표본의 차이와 여러 한계점으로 인해 모든 제품 선택에서 미미한 방향성이 보였고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을 관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Urminsky and Kivetz (2011)의 이론을 바탕으로 반대 성격의 단순 추가물이 포함 되었을 때의 선택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위 이론의 재확인하였다. 또한 제품 영역으로 확장하여 살펴보았다는 시도에가 있다는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I proceed this research because of remarkable results from Urminsky and Kivetz (2011)’s research. In the Urminsky and Kivetz (2011)’s research, there are two choice situation. One is the inter-temporal choice and the other is risky choice. They describe that sooner-smaller option and later-larger option in the inter-temporal choice and safer-smaller option and riskier-larger option in the risky choice. Choosing between two option involve the intrapersonal conflict. They proposed that the intrapersonal conflict can be resolved through scope-insensitive justifications. This research suggest that adding a large amount token (later-larger token or riskier-larger token) to both option increases choices of the sooner-smaller option in inter-temporal choice and of the safer-smaller option in risky choice. And this research is extended its area to product choice. Through the result of experiment 1, this research partly found the large amount token effect in both domains. According to adding a large amount token to both option, all of the sooner-smaller option in inter-temporal choice and of the safer-smaller option in risky choice is increased. But some parts of choice ar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addition, this result of experiment 1 demonstrates insensitivity to the scope of the large amount token.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periment 2, this research wants to find the product token effect in product choice. However when adding heterogeneous product token, heterogeneous base product option increase a little bit in all of the product choice than homogeneous toke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all of the product choice. There are some implications. This research examined the larger amount token effect. And using this theory, this research extends to product choice. Through these experiments, this research reconfirmed the theory of Urminsky and Kivetz (2011) and examines the product choice domain.

      • 백남준의 해체론적 읽기 : '사이-공간'으로서의 예술

        김금미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is an attempt to read the art of Nam June Paik through ‘In-Between Space’. The ‘In-Between Space’, an irreducible place to the proper sphere, is the site of events where the singularité of Nam June Paik’s art is revealed. Signifiers of Nam June Paik traverse across various areas from the father of video art to action musician, performance artist, (satellite) broadcast program planner, and writer. The ‘In-Between Space’, on the threshold unable to be delimited as the boundaries of the signifiers, reveals his singularité. This dissertation names it the ‘In-Between Space’ as Jam. The ‘In-Between Space’ as Jam is a space of intermedia, of TV screens distorted by jamming, and of tele-technology. The space, which is spatially ambiguous and temporally out of joint, makes a dent to the conventional disciplinary system partitioned based on the order, ideas, pureness or logic. It is a space of différance suspending and deferring meanings. Reminiscent of “We are in Open Circuits” as declared by Nam June Paik, the ‘In-Between Space’ operates as the possibilities of opening up a closed system in the structure. It is to remain as the rest, that can not belong to the history of meaning completely, so makes alternative reading possible and take place. Nam June Paik nullifies the boundaries between art genres in the ‘In-Between Space’ of intermedia with supplément of music and the fine arts. To make the inference of the argument, cases of <Sinfonie for 20 Rooms> and <Beuys Vox> will be analyzed. Derrida's concept, supplément, which reveals the lack of the wholeness presumed to be so when something is added to the wholeness, becomes Nam June Paik's ‘In-Between Space’ making the intrinsic properties of Genre impossible. In the course of discussion, his early activities as an action musician will be naturally studied focusing on his association with Fluxus, John Cage, and Joseph Beuys. By way of delving into TV technology, Nam June Paik exposes the ‘In-Between Space’ between art and technology while bringing out (Entbergung) the physical nature of TV as a medium. It is analyzed through the questioning of technics by Martin Heidegger. Furthermore, Marcel Duchamp’s readymade is used to shed light on his TV experiment as ‘electron-readymade’. His experimental TV works were presented as electron-readymade by capturing the indeterministic and variable attributes of electrons. The ‘In-Between Space’ generated by the electron-readymade of his experimental TV works can be said the technological supplément revealing ‘the optical unconscious’ of technology. In order to explain this, the operative way of the ‘In-Between Space’ will be examined focusing on his first solo exhibition, 《Exposition of Music-Electronic Television》. Lastly, Nam June Paik’s playful revelation of the ‘In-Between Space’ of tele-technology by actively engaging in the closed circuit system of broadcasting network through his broadcasting activities and satellite broadcasting works will be analyzed and examined with his broadcasting works of the videotapes and satellite broadcasting works that were aired. The technical spectrality, which is operating in a real time effect that is commonly believed, is analyzed as the ‘In-Between Space’ by looking into the case studies of <Global Groove> and <Good Morning Mr. Orwell>. This dissertation also deals with the (Im)possibility of two-way communications using the technology allowing simultaneous access from another location with the real time virtual effect even though you are not ‘there’ but ‘here’ in another location ‘now’, which was Paik's constant dream. Accepting the hantologie of Derrida that communications involving ‘tele-‘ cannot break away from the logic of différance from the outset, the ‘In-Between Space’ and its double binding operating in the tele-technology is examined, and it is inferred that Nam June Paik pursued communications as partage and openness of beings by revealing the ‘In-Between Space’ of tele-technology. Nam June Paik’s art as the ‘In-Between Space’ deconstructs the distinct art genres, boundaries between art and technology, and art and media, paving the way for the possibilities of transdisciplinary work and practically presenting its need. In that respect, the singularité of his art is revealed. The ‘In-Between Space’, overlooked in the western metaphysics, has not been written in terms of its meaning, refuses to read the signifier, Nam June Paik in defined limits of meaning, and contributes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art of Nam June Paik, as it always occurs in the gaps of meanings and works as possibilities of different reading. This leads to the thinking of his works, which are out of joint, colliding, and creating gaps in the linear time, as the art to come. 본 논문은 ‘사이-공간’을 통해 백남준 예술을 읽어보려는 시도이다. 영역의 고유성으로 환원될 수 없는 ‘사이-공간’이 백남준 예술의 독특성을 드러내는 사건의 자리이다. 백남준이라는 기표는 ‘비디오아트의 아버지’이자 행위음악가, 퍼포먼스 아티스트, 방송과 위성방송 기획자이자 진행자, 작가 등 다양한 영역을 가로지르는데, 기표들의 경계로 확정될 수 없는 ‘문턱’, 사이-공간에서 그의 독특성이 드러난다. 본 논문은 이를 잼으로서의 ‘사이-공간’이라 명명한다. 잼으로서의 ‘사이-공간’은 인터미디어의 공간이자 전파방해로 일그러진 TV 화면의 공간이요, 원격 기술의 공간이다. 공간적으로 구획불가능하고 시간적으로 탈구되어 있는 이 공간은 질서나 이데아, 순수성이나 논리에 입각한 기존의 분과 체계에 흠을 내며, 의미를 중지하고 연기하는 차연의 공간이다. “우리는 개방회로 안에 있다”고 한 백남준의 말대로, ‘사이-공간’은 체계 안에서 닫힌 체계를 여는 가능성으로 작동한다. 그것은 의미의 역사 속에 완전히 종속될 수 없는 나머지로 남아 다른 읽기의 가능성을 열고 발생시킨다. 백남준은 인터미디어의 ‘사이-공간’에서 음악과 미술의 대리보충으로 예술 장르 간의 경계를 무화시키는데, <20개의 방을 위한 교향곡>과 <보이스 복스>의 사례분석을 통해 이러한 대리보충의 작동과정을 살펴본다. 온전한 것에 더해져 온전한 것이라 가정되는 것의 결핍을 드러내는 데리다의 대리보충은 장르의 고유성을 불가능하게 하는 백남준의 사이-공간이 된다. 논의의 과정에서 행위음악가로서의 그의 초기 활동이 어떻게 플럭서스와 존 케이지, 요셉 보이스와 연루되어 있는지를 고찰한다. 백남준은 TV 기술에의 천착을 통해, 예술과 기술 간의 ‘사이-공간’을 드러내고 TV 매체의 물질적 본성을 탈은폐시킨다. 이를 하이데거의 기술에 대한 사유를 통해 분석하고 뒤샹의 레디메이드에 빗대어 그의 TV 실험을 ‘전자 레디메이드’로 조명한다. 그의 실험TV 작업은 전자의 비결정적이고 가변적인 속성을 포착해 전자 레디메이드로 제시한 것인데, 실험TV 작품의 전자 레디메이드가 발생시키는 ‘사이-공간’은 기술의 ‘광학적 무의식’을 보여주는 기술의 대리보충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그의 첫 개인전 《음악의 전시-전자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이 ‘사이-공간’의 작동 방식을 추적해본다. 마지막으로, 백남준이 방송 활동과 위성방송 작품을 통해 방송망이라는 폐쇄회로 체계에 적극 개입함으로써 원격 기술의 ‘사이-공간’을 유희적으로 드러내어 보여주고 있음을 그의 방송 작품들과 방송된 비디오테이프 작품들 및 위성방송 작품을 통해 분석 고찰한다. <글로벌 그루브>와 <굿모닝 미스터 오웰>을 사례연구로 분석함으로써 우리가 실시간 효과라고 믿고 있는 것에 작동하는 기술의 유령성을 ‘사이-공간’으로서 분석한다. ‘거기’ 있지 않고 ‘지금’ 다른 장소 ‘여기’에 있지만, 실시간의 가상 효과로 인해 다른 장소와 동시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을 통해 그가 줄곧 꿈꿔온 쌍방향 소통의 (불)가능성에 대해 고찰한다. 애초에 ‘텔레-’를 내포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이 차연의 논리를 벗어날 수 없다는 데리다의 유령론을 수용하여 원격 기술에 작동하는 ‘사이-공간’과 이중구속을 살펴보고 백남준이 원격 기술의 ‘사이-공간’을 통해 분유로서의 소통, 존재의 열림을 지향하고 있음을 살펴본다. ‘사이-공간’으로서 백남준 예술은 예술 장르의 구분을 해체하고 예술과 기술, 예술과 미디어의 경계를 해체하여 초학제적인 작업의 가능성을 열고 그 필요성을 실천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서양 형이상학에서 간과해온 이 ‘사이-공간’은 의미로 기입되어 있지 않아, 백남준이라는 기표를 의미화의 규정적인 한계 속에서 읽기를 거부하며 오히려 의미의 틈에서 늘 발생하며 다르게 읽을 수 있는 가능성으로 작동함으로써 백남준 예술의 재구축에 기여한다. 이는 ‘사이-공간’에서 어긋나고 충돌하며 선형적인 시간에 틈을 내는 그의 작업을 도래하는 예술로 사유하도록 이끈다.

      • 판소리 <수궁가>와 <심청가>의 <범피중류>에 관한 연구

        김금미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are two different melody part of <Beompeejoonryu> in 5 Batang of Pansori. One is <Beompeejoonryu> in《Soogoong-Ga》, the other one is <Beompeejoonryu> in 《Shimcheong-Ga》. This study designed to compare those that designed to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lso have well passed down 2 melodies of <Beompeejoonryu>; <Beompeejoonryu> in 《Soogoong-Ga》that was sung by master Nam, Hae-sung(1935.9.2.〜 ) and Kim, Young-ja (1951.4.5.〜 ) and <Beompeejoonryu> of 《Shimcheong-Ga》that sung by master Kim, So-hee(1917〜1995), Sung, Chang-soon (1934〜 ) and Han, Ae-Soon(1924〜2014). As looked up these transmission history of 《Soogoong-Ga》and《Shimcheong-Ga》, master of Dongpyunsori Yoo, Sung-joon (1874∼1949) can be found in 《Soogoong-Ga》.《Soogoong-Ga》 of Master Yoo, Sung-joon had been passed down to master Jung, Gwang-soo (1909〜2003), then passed down master Park, Cho-wol(1913∼1983) then completed in Park, Cho-wol’s Badee 《Soogoong-Ga》. In this respect, the study objects- <Beompeejoonryu>in《Soogoong-Ga》 of master Nam, Hae-sung is master Park, Cho-wol’s Badee, <Beompeejoonryu> in《Soogoong-Ga》of master Kim, Young-ja is master Jung,Gwang-soo‘s Badee. Moreover, main stream of SeoPyunJae and KangSanJae were objected to《Shimcheong-Ga》. 《Shimcheong-Ga》of Kim,So-hee, Han, Ae-soon(1924∼2014) were passed down from master of SeoPyunSori- Park, Dong-sil(1897〜1968). In other words, Kim, So-hee, and master Han, Ae-soon learned《Shimcheong-Ga》from master Park, Dong-sil. Later, master Kim, So-hee complete her own 《Shimcheong-Ga》 Badee by combined with beginning part of《Shimcheong-Ga》which she learned form master Park, Dong-sil and KangSanJae Jung,Woong-min(1894∼1961)’s ending part so called 보성소리. Master Park, Dong-sil passed down his 《Shimcheong-Ga》Badee to Han, Ae-soon. Further more, KangSanJae Jung, Woong-min’s《Shimcheong-Ga》Badee strictly transmissed to master Sung, Chang-soon. Therefore, <Beompeejoonryu> in 《Shimcheong-Ga》 of master Kim,So-hee and Han, Ae-soon is rooted in Badee of SeoPyunJae Park, Dong-sil, concurrently 《Shimcheong-Ga》 of master Kim,So-hee have close relation to Badee of KangSanJae Jung,Woong-min and have unique characteristics of Sorijae from master Han, Ae-soon‘s <Beompeejoonryu> in 《Shimcheong-Ga》. Also master Kim,So-hee’s <Beompeejoonryu> in 《Shimcheong-Ga》 is very different from <Beompeejoonryu> in 《Shimcheong-Ga》 of master Sung,Chang-soon which shows musical characteristics of Badee of KangSanJae Jung,Woong-min so it became significant compare objects. Thus, in the transmission hitory of <Beompeejoonryu> in 《Soogoong-Ga》 and 《Shimcheong-Ga》 in these days, 《Soogoong-Ga》 and 《Shimcheong-Ga》 of DongPyunJae master Song, Man-gap(1865〜1939) failed on transmission, and so did 《Soogoong-Ga》 and 《Shimcheong-Ga》 of JungGoJae. On the other hands, <Beompeejoonryu> in 《Soogoong-Ga》 of Dongpyunsori master Yoo,Sung-joon, <Beompeejoonryu> in 《Shimcheong-Ga》 of SeoPyunJae master Park, Dong-sil, <Beompeejoonryu> in 《Shimcheong-Ga》 of KangSanJae master Jung,Woong-min have preserved and passed down to master Jung,Gwang-soo, Park, Cho-wol, Kim,So-hee, Han, Ae-soon, Sung,Chang-soon. Master Chung, Gwang-soon, Park, Cho-wol rooted in master Yoo,Sung-joon, master Han, Ae-soon so did in Park, Dong-sil, master Kim,So-hee so did in master Park, Dong-sil and Jung,Woong-min, master Sung, Chang-soon so did in 《Shimcheong-Ga》 of master Jung, Woong-min which set good examples yet have unique that they have differnce in musical stream and organization. In this study, <Beompeejoonryu> in 《Soogoong-Ga》 and 《Shimcheong-Ga》 which sung by 5 masters used as the object to analyze, looked up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orijae by comparison of Saseol, practical use of rhythm, SiGimSae, appeared note, vocal sound and use of throat, melodic progression. As a result, Saseol in <Beompeejoonryu> of 《Soogoong-Ga》 of master Nam, Hae-sung, Kim, Young-ja shows little difference on contents, yet does not show any difference in organization of Saseol and musical stream. However, those two master’s melody sound shows significant different so does scale composition. Saseol of <Beompeejoonryu> in 《Shimcheong-Ga》 of master Kim, So-hee, Sung, Chang-soon, Han, Ae-soon shows coterminous on appearnce note and melodic structure throughout rhythm 1 to 42, master Han, Ae-soon and Sung, Chang-soon‘s Saseol shows little difference between each other but shows most similarity in structure and contents of Saseol yet, scale organization and SiGimSa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each other. 판소리 5바탕 중에는 <범피중류> 선율이 두 부분 있다. 하나는《수궁가》의 <범피중류>이고, 다른 하나는 《심청가》의 <범피중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전승이 잘 되고 있는 남해성(1935.9.2〜 )과 김영자(1951.4.5.〜 ) 명창이 부른《수궁가》의 <범피중류> 선율과 김소희(1917〜1995), 성창순(1934〜 ), 한애순(1924〜2014) 명창이 부른《심청가》의 <범피중류> 선율을 비교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러한 《수궁가》와《심청가》의 전승 계맥을 보면, 《수궁가》의 경우는 동편소리의 대가 유성준(1874∼1949) 명창을 들 수 있다. 곧, 유성준 명창의《수궁가》는 정광수(1909〜2003) 명창에게 전승되고, 이어서 박초월(1913∼1983) 명창이 전승받아 박초월 바디《수궁가》로 완성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는 남해성 명창의《수궁가》〈범피중류〉는 박초월 명창의 바디이고, 김영자 명창의《수궁가》〈범피중류〉는 정광수 명창의 바디로 구분된다. 나아가《심청가》의 경우는 서편제와 강산제의 큰 줄기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곧, 김소희, 한애순(1924∼2014) 명창의《심청가》는 서편소리의 대가 박동실(1897〜1968) 명창에게서 전승되었다. 다시 말해서 김소희, 한애순 명창은 박동실 명창에게《심청가》를 배웠는데, 이후 김소희 명창은 박동실 명창에게 배운《심청가》앞부분과 보성소리라고 부르는 강산제 정응민(1894∼1961) 바디 뒷부분을 이어 김소희 바디《심청가》를 완성하였으며, 한애순 명창은 박동실 바디의《심청가》를 전승하였다. 나아가 성창순 명창은 강산제 정응민 바디《심청가》을 올곧게 전승하고 있다. 그러므로 김소희, 한애순 명창의《심청가》〈범피중류〉는 서편제 박동실 바디에 뿌리를 두고 있으면서도 김소희 명창의《심청가》는 강산제 정응민 바디와 유기적인 관계성을 맺고 있으며, 한애순 명창이 부른《심청가》〈범피중류〉와도 또 다른 소리제의 특징을 형성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김소희 명창의 《심청가》〈범피중류〉는 강산제 정응민 바디의 음악적 특징을 도드라지게 잇고 있는 성창순 명창의《심청가》〈범피중류〉와도 구분되어 좋은 비교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전승되고 있는《수궁가》와《심청가》〈범피중류〉의 전승 줄기로 보면, 이미 동편제 송만갑(1865〜1939) 명창 계열의《수궁가》와《심청가》는 전승이 끊기고, 중고제의《수궁가》와《심청가》또한 그 전승 계맥이 단절되었으며, 동편소리 유성준 명창의 《수궁가》〈범피중류〉와 서편제 박동실 명창의 《심청가》〈범피중류〉, 강산제 정응민 명창의《심청가》〈범피중류〉가 정광수, 박초월, 김소희, 한애순, 성창순 명창에 의해 전승 보존되고 있다. 곧, 정광수, 박초월 명창은 유성준 명창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한애순 명창은 박동실에, 김소희 명창은 박동실과 정응민 명창에, 성창순 명창은 정응민 명창의《심청가》의 전승 계맥을 잇고 있어서 좋은 본보기가 되고 있지만, 그 음악적 흐름과 짜임에 있어서는 서로 다르다는 점에서는 주목을 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수궁가》와《심청가》〈범피중류〉에 따른 5분의 명창 소리를 분석대상으로 삼고, 사설 비교를 비롯해 그 ⓛ 장단활용, ② 시김새, ③ 출현음, ④ 성음과 목의 활용, ⑤ 선율진행 등을 비교 분석하여 서로 다른 소리제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남해성, 김영자 명창의《수궁가》 <범피중류> 사설은 내용이 다소 차이가 보이지만, 사설의 구조와 음악적 흐름에 있어서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두 명창의 소리선율은 확연하게 달랐으며, 구성음계 또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김소희, 성창순, 한애순 명창의《심청가》 <범피중류> 사설은 1장단부터 42장단까지 출현음이나 선율구조가 유사하였고, 성창순과 한애순 명창의 사설은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전체적인 사설의 구조와 내용에 있어서는 별 차이가 없었으며, 구성음계와 시김새의 표현에 있어서는 상당히 다른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