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차별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균희,공수연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factors influence non-multicultural youth’s experience of discriminatory harmful acts on a minority of multicultural youth. For this, the study analyzed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requency of middle/high school students’ discriminatory acts on multicultural youth, through multinomial logit analysis by using The Survey on Rights of the Children and Youths(2015)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youth’s discriminatory victim experience appeared as the primary factor increasing the frequency of youth’s discriminatory acts on multicultural youth. Next, peer and schoo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such as youth’s personal characteristics like gender and human right awareness, violence victim experience by parents, parents’ characteristics like negligence, and violence victim experience in cyber environment appeared as factors influencing discriminatory acts on multicultural you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iscriminatory culture of society as a whole should be reduced first to resolve discrimination on multicultural youth. In addition, reducing discrimination and violence on youth in family, school and cyber environment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preventing discrimination on multicultural youth.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차별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5년 한국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자료를 통하여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차별가해행동 빈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다항로짓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청소년들의차별피해경험은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차별가해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가장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성별, 인권에 대한 의식 등 청소년 개인 특성, 부모로부터의 폭력피해경험, 방임 등 부모특성, 사이버환경에서의폭력피해경험 등 또래 및 학교환경 특성이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차별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차별 해소를 위해서 사회전반적인 차별문화 개선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가정 및 학교, 사이버환경에서 경험하는 차별, 폭력피해를 줄이려는 노력이 다문화청소년들에대한 차별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Recurrent Syncope Episodes and Exercise Intolerance in Hypertrophic Cardiomyopathy Combined with Atrioventricular Conduction Disturbance

        김균희,양동헌,김장연,김남균,최원석,배명환,이장훈,박헌식,조용근,채성철 한국심초음파학회 2013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J Cardiovasc Im Vol.21 No.3

        A 30-year-old female patient with known hypertrophic cardiomyopathy (HCMP) was admitted for recurrent syncope episodes. Electrocardiogram (ECG) showed 2 : 1 atrioventricular (AV) block. Stress echocardiography with bicycle showed high grade AV block at high stage of the exercise associated with exercise intolerance and dyspnea. Twenty-four hour ECG monitoring also revealed high grade AV block and 1 episode of non-sustained ventricular tachycardia. 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pacemaker (ICD-P) was inserted. After implantation of ICD-P, conduction disturbance and exercise intolerance were improved. AV block is a rare complication HCMP. There are just a few case reports that present symptoms caused by conduction disturbance in HCMP. This case describes repeated syncope episodes and exercise intolerance caused by conduction disturbance during exercise in HCMP patient. For evaluating the cause of syncope in HCMP, stress echocardiography can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probable mechanism of syncope.

      • KCI등재

        어린이집 활동시간에 나타나는 또래갈등상황 분석

        김균희,이완정 한국아동권리학회 2006 아동과 권리 Vol.10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 in young children's peer conflicts, (2) to investigate conflict component, such as issues, strategies, outcomes, emotion expression according to child care center's daily schedules. Subjects were ninety-four 3-, 4- and 5-year-olds recruited from eleven child care centers in Seoul, Kyonggi and Incheon province. Interaction between these young children were recorded by a video camera, and the scenes were transcribed for analysis of peer conflict situations which occurred between two children.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ies,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s, Chi-square.The major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conflict components according to child care center's daily schedules. In free play time, "acquisition with object and territory" and "rejecting suggestions" were frequently observed, but in time which teacher leading and in eating and transition time, conflicts occurred when young children disturbed activities of the other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used positive strategies such as "reasons" and "suggestion" in free play time. Conflicts resulted with comparative ease in free play time and were not solved mostly in time which teacher leads. Young children displayed negative emotion during teacher-led time.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의 활동시간과 유아의 언어 및 행동, 유아 간 상호작용이 관련성이 많다고 보고, 어린이집의 활동시간에 따라 유아 간 발생하는 갈등상황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인천 지역에서 규모가 비슷한 11개 어린이집을 임의로 선정한 후, 해당 어린이집에서 94명의 유아를 무작위 표집 하였다. 분석대상은 이들 유아가 자유놀이, 교사주도활동, 간식 및 전이시간에 일으킨 571개의 갈등상황으로 하였다. 비디오로 녹화된 자료는 두 유아 간에 발생한 갈등상황만을 전사한 후 분석하였으며, 전사 자료는 SPSS 12.0프로그램의 2검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분석 결과, 활동시간에 따라 갈등쟁점, 갈등해결전략, 갈등상황에서의 정서표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놀이시간에는 사물·영역에 대한 소유분쟁 및 제안·도움거부, 교사주도활동과 간식 및 전이시간에는 활동방해로 인한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유아는 자유놀이시간에 이유 설명하기, 제안·부탁하기 등의 타협적이고 긍정적인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고, 울기·노려보기 같은 부정적인 전략 사용은 적게 사용하였다. 갈등이 평등하게 해결되는 비율은 자유놀이에서 비교적 높았으며, 교사주도활

      • KCI등재

        발달위험군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종단연구

        김균희,김현정,이완정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6

        본 연구는 만 3세 이전 발달위험군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변화궤적을 살펴보고,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지속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실시한 한국아동패널 2008년부터 2011년도까지의 총 4차년도 데이터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만 3세 이전에 발달위험 증상을 보인 아동 476명의 어머니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위험군 영아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는 출산 후 4년 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개인별로 증가폭도 차이가 있었으나, 우울의 경우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발달위험군 영아 어머니들은 자녀를 출산한 해의 양육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당해의 우울 수준이 높고, 출산 직후 4년간 양육스트레스의 증가폭이 클수록 우울의 증가폭도 커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만 3세 이전 영아기에 발달위험 증상을 보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를 줄이는 노력을 통하여 우울 수준도 감소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 간 발생하는 또래갈등과정 분석

        김균희 한국보육지원학회 2006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2 No.2

        본 연구는 유아 간 갈등의 과정을 갈등요소(갈등쟁점, 갈등해결전략, 갈등결과, 갈등상황에서의 정서표현)간의 관계를 통해 살펴하고, 갈등관계에 있는 두 유아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서울ㆍ경기ㆍ인천 지역에서 규모가 비슷한 11개 어린이집을 임의로 선정한 후, 해당 어린이집에서 94명의 유아를 무작위 표집하였다. 분석대상은 이들 유아가 일으킨 571개의 갈등상황으로 하였다. 비디오로 녹화된 자료는 두 유아 간에 발생한 갈등상황만을 전사한 후 분석하였으며, 전사 자료는 SPSS 12.0프로그램의 상관관계와 χ2검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분석 결과, 갈등요소 간에는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갈등쟁점에 따라 갈등해결전략은 차이가 있었고, 갈등해결전략에 따라 갈등결과에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갈등결과에 따른 갈등상황에서의 정서표현의 관계는 차이가 있었으며, 갈등에 참여한 두 유아는 서로 같은 전략을 사용하고 같은 전략을 표출하는 경향이 있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놀이환경이 유아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정 및 육아지원기관을 중심으로

        김균희,송요현 한국아동권리학회 2017 아동과 권리 Vol.21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1,203 children in the 7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e explore the influence of play environments of home and childcare institutions on play behavior (i.e., play interactions, play disruption, play disconne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play environment of the childcare institutions influenced the play behavior of children more than the play environment of the home.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teacher on the play behavior of children was the greatest. Second, play interaction was also influenced by teacher to child interaction, gender, outdoor play time at home, and household income. Third, the play disruption of children was influenced by gender, teacher to child interaction, physical environment at home, and the number of private tutoring. Fourth, the play disconnection of children was influenced by teacher to child interaction, the responsiveness of caregivers, and the appropriateness of classroom size. The study suggests that healthy play behaviors appear when the children’s play rights are guaranteed and play environments suitable for development are provided. We expect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constructing a healthy play environment for the guarantee of children’s play rights. 본 연구는 가정과 육아지원기관의 놀이환경이 유아의 놀이행동(놀이상호작용, 놀이방해, 놀이단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1,20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가정 및 육아지원기관의 놀이환경 모두 유아의 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유아의 놀이상호작용에는 교사-유아상호작용, 성별, 가정에서의 실외놀이시간, 가구소득이, 놀이방해에는 성별, 교사-유아상호작용, 가정에서의 실내놀이시간, 가정 내 물리적 환경, 사교육 이용횟수가, 놀이단절에는 교사-유아상호작용, 교실규모의 적절성, 양육자의 반응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정과 육아지원기관에서 유아의 놀이권 보장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 즉 유아에게 놀이시간과 놀이공간을 충분히 제공하고, 자유로운 놀이활동을 보장하며, 부모 및 교사가 유아와 원활한 상호작용을 유지하는 것이 유아의 놀이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평일 및 주말 미디어 이용유형과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 :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을 중심으로

        김균희,공수연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4 교육문화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의 평일 및 주말의 미디어 이용유형을 분류하고, 이에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는것, 그리고 평일 및 주말 미디어 이용유형이 스마트폰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20년에 실시한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및 대상별 정책대응방안 연구 Ⅰ」의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 다항로짓분석, 이항로짓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청소년의 평일 미디어 이용유형은 ‘전반적 저이용형(71.5%)’, ‘게임 및 오락용 유튜브 이용형(11.6%)’, ‘틱톡 이용형(9.2%)’, ‘학습용 유튜브 이용형(7.7%)’, 주말 미디어 이용유형은 ‘TV 이용형(72.1%)’, ‘게임및 오락용 유튜브 이용형(20.5%)’, ‘틱톡 이용형(7.4%)’으로 구분되어, 초기 청소년의 평일과 주말의 미디어 이용유형이달랐다. 둘째, 평일 및 주말 미디어 이용유형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각각 ‘전반적 저이용형’, ‘TV이용형’을 준거집단으로하여 분석한 결과, 삶의 만족도가 낮고, 통제수준이 낮으며, 휴식시간이 많고,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시간이 긴경우, 평일 및 주말에 주로 게임 및 오락용 유튜브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청소년 및 부모의 스마트폰이용시간이 길수록 틱톡을 이용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자기긍정이 낮고, 스마트폰 이용시간이 긴 경우 평일에 학습용유튜브를 더 많이 이용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평일 및 주말 미디어 이용유형은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영향을미쳤다. 구체적으로 게임 및 오락용 유튜브를 주로 이용하거나 틱톡을 이용하는 집단일수록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explored early adolescents’ media usage types during weekdays and weekends, identified influencing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assessed their impact on smartphone addiction. Utilizing 2020 data from a study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latent profile, multinomial logistic, binary logistic, and multi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early adolescents’ media usage types on weekdays were classified as “general low usage”(71.5%), “game and entertainment YouTube usage”(11.6%), “TikTok usage”(9.2%), and “educational YouTube usage”(7.7%). For weekends, the types were identified as “TV usage”(72.1%), “game and entertainment YouTube usage”(20.5%), and “TikTok usage”(7.4%), which indicates different media usage patterns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for early adolescents. Second,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media usage types, using “general low usage” and “TV usage” as the reference groups, low life satisfaction, low level of parent’s media use control, ample leisure time, and long smartphone usage time by adolescents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likelihood of using game and entertainment YouTube usage during both weekdays and weekends. Additionally, longer smartphone usage time by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using TikTok, and low self-affirmation and lengthy smartphone usage were linked to a higher probability of using educational YouTube content on weekdays. Third, the media usage types during weekdays and weekends influenced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Specifically, groups predominantly using game and entertainment YouTube or TikTok had higher levels of smartphone ad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