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화 버라이어티 KBS ‘1박2일’ 성격 분석

        김관섭(Kim, Kwan Seob)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8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이 연구는 방송콘텐츠와 인문학의 관계에 대한 논의, 방송미디어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됐다. 이 연구는 방송콘텐츠, 문화소재, 문화 버라이어티 개념의 논리적 확립과 방송콘텐츠 예능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방송소재로써의 문화소재 적용 방법론 제시를 목적으로 했다. KBS 해피선데이 ‘1박2일’은 대한민국 방방곡곡을 출연자들이 여행하면서 겪는 에피소드로 구성된다. 이 연구의 시각에서 ‘대한민국 방방곡곡’은 문화유산이 소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된다. 실제로 ‘1박2일’은 10년 동안 문화소재의 수용에 있어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이 연구에서의 항목별 분석을 통해 ‘문화 버라이어티’ 개념 설정의 근거가 된다. 그리고 ‘문화 버라이어티’ 제작 표준 설정에 기준으로 작동한다. ‘1박2일’ 10년이 이 연구의 주된 대상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연구의 목표는 ‘KBS 1박2일의 10년’의 양상과 특성을 분석해, 방송콘텐츠 예능장르에서의 ‘문화 버라이어티’의 개념 설정과 방향성을 탐구하고, ‘문화 버라이어티’의 가능성을 통한 의미와 가치를 제시해 ‘문화 버라이어티’의 표준을 정립하는 것이다. 인문학의 구체적 결과물로써, 방송콘텐츠의 내용물로써 문화소재는 적극 수용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방송미디어를 창구로 인문학은 대중과 소통해야 한다. 방송콘텐츠 홍수 속에 인문학의 역할이 대두되고 있는 시대에 어떠한 문화소재를 어떻게 방송콘텐츠에 수용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하다. 방송콘텐츠 제작방법론 정립과 더불어 인문학에서의 방송소재에 대한 연구와 비평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그 해답을 구해가는 과정이다. 맥락의 중심에 문화소재가 있고, 문화콘텐츠가 있고, 방송콘텐츠가 있다. 세 가지 개념을 통해 KBS ‘1박2일’ 10년의 양상과 특성을 분석․비평하고 ‘문화 버라이어티’로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것은 방송콘텐츠의 공공재로서의 가치실현과 소재개발의 다양성을 담보하는 것이기도 하다. 문화소재 수용 ‘문화 버라이어티’ 개념 정립과 ‘문화 버라이어티’ 제작표준 설정은 문화콘텐츠학과 방송콘텐츠 현장이 상호작용하며 양립하는 소통의 방안이다. The study began with a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casting content and humanities, and on the social function of broadcasting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broadcasting contents, culture materials, and culture variety logically and to present the method of applying cultural materials as broadcasting material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broadcasting contents entertainment program. KBS Happy Sunday ‘One night two days(1박2일)’ consists of episodes that performers experience travelling through all over the coun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is study, ‘every corner of Korea’ means that cultural heritage can work as a material. Actually, ‘One night two days’ showed the possibility of acceptance of cultural material for 10 years, and became the basis of setting up the concept of ‘culture variety’ through analysis by items. It also works as the criteria in setting up the standard of ‘culture variety’ production. This is why 10 years of ‘One night two days’ are the main target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ualization and direction of ‘culture variety’ in broadcasting contents entertainment genre by analyzing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10 years of KBS One night two days’, and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culture variety" by presenting the meaning and value through the possibility of ‘culture variety’. Cultural materials should be actively accepted as broadcasting contents and as a concrete result of humanities. In conclusion, humanities shoul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rough the window of broadcast media. It is very important how to accept what kind of cultural material in broadcasting contents in the era where the role of humanities is emerging in the flood of broadcasting contents.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research and criticize the broadcasting materials in humanities, together with establishing the method of producing broadcasting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process of seeking the answer. At the center of context, there are cultural materials, cultural contents, and broadcasting content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10 years of KBS ‘One night two days’ were analyzed and criticized through the three concepts, attempting to present the direction as ‘cultural variety’. It is also to realize the value of broadcasting contents as public goods, and to guarantee the diversity of material development.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culture variety’ that accepts cultural materials, and setting up the criteria of producing ‘culture variety’ are a measure of communication in which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broadcasting contents field are interacted and compatible.

      • KCI등재

        영상문화콘텐츠 ‘문화유산 미디어’ 연구 현황과 방향성

        김관섭(Kim, Kwan-Seob)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6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1 No.-

        본고에서는 영상문화콘텐츠, 나아가 방송콘텐츠 영역 ‘문화유산 미디어’ 의 개념을 설정하고, 그 개념을 바탕으로 매스미디어에 수용된 문화유산에 대한 연구 현황을 살피고, ‘문화유산 미디어’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 주체는 미디어학이나 커뮤니케이션학이 아닌 광의의 인문학(역사학, 민속학, 문화유산학, 문화콘텐츠학)이며, 중요한 것은 연구자의 미디어 비평인식임을 제기하고자 했다. ‘문화유산 미디어 연구의 방향성’은 방송콘텐츠를 아카이브의 한 형태로 보고, 문화유산이 원형과 전형에 적합하게 기록되고 있는지를 분석, 비평하는 학문적 주제의 확장을 뜻한다. ‘문화유산 미디어 연구’는 인문학의 존재 가치를 견고히 하려는 방향성이며, 소재로서의 문화유산과 문화콘텐츠 융합의 선결 조건이기도 하다. 동시에 영상문화콘텐츠 영역에서의 방송콘텐츠 연구의 가치판단과 방송콘텐츠 제작의 방향성 제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media in the field of visual culture content. Based on this concept,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cultural heritage embraced by the mass media and recommende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on cultural heritage media. The agent was not media studies or communication studies, but the more broadly defined humanities (history, folklore, cultural heritage studies, and cultural content studies). Here, the researcher’s awareness of media criticism played an important role. Broadcasting content was regarded as a form of archive, and this can be seen as an expansion of the academic responsibility to analyze and criticize the archiving of cultural heritage as archetypes and models. The recommendations made in this study emphasize the value of humanities and also serve as pre-conditions for the convergence of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content. At the same time, they are a value judgment of broadcasting content studies in the field of visual culture content and a useful reference for the production of such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