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Wettkampfpaedagogik- Paedagogik des sport ichen Leistimgshandelms im Kinder-Wettkampfsport : 김경원

        김경원 Georg-August Univ. Gottingen 1995 해외박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청소년들이 경기스포츠에서 교육적으로 중요한 경험을 쌓고 이러 한 경험이 삶을 살아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경기스포츠를 어떻게 교 육의 장으로 운영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것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이 경기스포츠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현상들의 정 확한 분석이 선행되어진다. 명제로서 청소년의 경기스포츠는 엘리트스포츠의 자기보존을 위한 수단이 아니며 자체적인 교육적 목표를 추구하는 교육의 장이 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경기스포츠를 성인 엘리트스포츠와 구분하여 고찰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교육적 관점에서 볼 때 경기스포츠를 통해 형성된 성격의 다른 행위영역으로의 학습전어의 문제 매우 중요한 의 미를 갖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논쟁의 중심은 어린 선수들의 긍정적 자기 상 및 자신감 배양이다. 어떻게 경기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들이 자 신감을 갖을 수 있는지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방법이 모색되어진다.

      • 부당해고 구제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경원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근로관계는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그의 대가 로 임금·기타 급료를 지급함을 목적으로 하는 계약에 의하여 성립하는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의 법률관계이다. 자본주의 체제에서는 사용자가 기업의 합리적인 경영을 위하여 근로자 와 근로계약을 자유롭게 체결하고 해지할 수 있는 것이 원칙이었다. 그 러나 이러한 자유를 무제한으로 인정하면 근로자와 그 가족이 직장을 잃고 생활에 위협을 받게 되어 사회불안을 조성함으로써 자본주의 체제 그 자체를 위협하게 되므로 국민의 생존권 보장 차원에서 법적 규제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근로기준법 제23조 제1항은 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를 금지하고 있고, 한편 같은 법 제24조는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도 일정한 조건하에서 해고를 제한하고 있다. 부당해고에 대한 구제는 노동위원회에 의한 행 정적구제와 법원에 의한 사법적 구제가 있다. 현실적으로 부당해고 구제제도가 근로자에게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구 제수단으로 발휘하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부당해고에 따른 근로자의 원직복직이나 해고기간 중의 임금상당액의 지급은 해고가 없었던 상태 로 근로자의 지위를 되돌린다는 점에서는 중요하지만 근로자를 부당하 게 해고한 사용자의 행위 자체를 제재하는 수단은 아니었다. 개별적 근로관계에서 발생하는 노사분쟁 가운데에서 해고를 둘러싼 분 쟁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부당해고를 가급적 사전에 방지하 고, 현실적으로 부당해고가 발생한 경우 그에 대응한 보다 다양하고 효 과적인 구제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해고와 관련한 분쟁과 그에 따른 사 회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길일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제2장에서는 우리나라의 해고의 제한과 부당해고 구 제의 절차와 내용에 관한 본질과 앞으로의 연구진행방향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제3장에서는 외국의 입법례를 체계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제4장 에서는 부당해고 구제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 로 제5장에서는 이러한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부당해고 구제제도의 내용 을 정리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도록 하였다. 우리나라 근로자와 사용자의 갈등의 가장 큰 원인은 불신에 있으며, 이에 상당한 책임은 양당사자가 서로 신뢰하지 못했던 현실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공동생존을 위하여 서로가 인식의 전환과 새로운 정 립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Relation between employer and employee is a legally established relationship by contract on which employee provides labor and employer make payment of wage in return. Under the system of capitalism, it was a principle that employer made contract freely with employee and terminate it for the purpose of rational management However, legal regulations became inevitable for the protection of the right to live as employee lose their jobs and put their living at risk and making for social instability, which leads to posing a threat to the capitalism itself if the contract was recognized overly and freely. In the 1st clause of article 23 of the Labor Standard Law states that termination of contract be banned without any justifiable reason. And in accordance with the article24, dismissal of employee even due to management is not allowed under the certain circumstances. Redemption of wrongful dismissals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administrative redemption, redemption of justice by Labor Relations Commission. What could be the bottom line here is if the system of redemption of wrongful dismissals is really working effectively and reasonably for employee. Reinstatement and payment of wage during the dismissal period following the wrongful dismissal wa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resumption of the status of the employee but couldn't be a means for punishing the employer for the wrongful behaviour. Disputes involving dismissal of employee is most cases in dispute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That taking precaution against the wrongful dismissal if possible and coming up with more diverse and effective measures in case of the dismissal wrongfully is surely a way to minimize the social cost incurred in solving the disputes. With this intent, In chapter 2, I will write about nature of legal procedure and contents regarding redemption of wrongful dismissals and limitation to dismissals and I will discuss the direction of how to research this issue. The chapter 3 will discuss law-making cases of other countries with this regard. I dealt with measures to be taken to improve the system of redemption concerning wrongful dismissals in chapter 4. Lastly, Having wrapped up the contents of the system of redemption based on what is discussed until the chapter 4, chapter 5 will come up with what is considered ideal directions to go from there Mistrust is a primary cause for conflicts between employer and employee and reality in which neither parties trusts each other is mostly main reason , furthermore, for the sake of survival together , the both parties need to try to turn to each other's cognition and must move forward to a newly-erected way.

      • 동북아 멸종위기종 두루미류 월동지 비오톱 특성 및 보전방안 연구 -한반도 월동지를 대상으로-

        김경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to establish measures to conserve wintering habitats for Red-crowned cranes(Grus japonensis), White-naped Cranes(Grus vipio), and Hooded Cranes(Grus monacha) of which wintering habitats exist in the Korean peninsula and of which species are faced with near extinction in North-east Asia. The cranes symbolize the harmonized existence between the nature and the humans in North-east Asia, which makes them the flagship species. However, the environmental degradation in the region due to rapid economic development has placed the species and their habitats in great danger. Thus, this research has established conservation measures through wintering habitats biotope assessment in consideration of their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conserve habitats for cranes that are faced with near extinction in North-east Asia. This study placed additional focus on Cheolwon and Suncheon bay, which serve as wintering habitats for Red-crowned cranes and White-naped cranes to provide habitat conservation measures as well as propose the ecological network establishment in North-east Asia as an alternative. We approached this objective by analyz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ranes of which result was reflected in how the land is utilized in order to draw the biotope type of wintering habitats. Biotope map was created through field investigation subjecting how often the cranes appear and how the land is utilized. After that, we assessed the wintering habitats biotope for cranes and established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of biotope. The next step was to apply the comprehensive biotope assessment to designate management areas, which is to provide conservation measures. And then, we suggested the necessity of ecological network establishment to protect habitats for cranes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The top-level classification of wintering habitats biotope of Red-crowned Cranes and White-naped Cranes in Cholwon provides total of 8 top-level categories including stream, wetland, grassland, and arable land. The medium-level classification included 22 categories, and the low-level classification included 32 categories. Arable land accounted for the most area at 87,248,740㎡, which takes up 56.2% of the entire biotope. The analysis result of low-level classification revealed that land consolidated arable land was accountable for 27.9% of the entire wintering habitat biotope, and the hill-type arable land at 14.3% while the flat arable land was accountable for 9.6% The foraging land biotope of Cheolwon wintering habitat was largely categorized into 4 categories: stream, wetland, grassland and arable land. The lower-level classified biotope type of threats for cranes included 10 categories including artificially established farming facilities and town biotope type such as plastic tillage, farm road, warehouse for agricultural equipment, liquefied fertilizer storage, downtown, paved road, and military facilities. The wintering habitat biotope for Hooded Cranes in Suncheon bay included 7 top-level classification including stream, wetland, coast, grassland and arable land. The medium-level classification included 34 categories. The analysis of low-level biotope classification showed that land consolidated arable land accounted for the most area at 10,037,007㎡ taking up 32.2% of the entire biotope area. Tidal-flat was responsible for 17.1% at 5,327,594㎡. The wintering habitat for Hooded Cranes in Suncheon bay incorporated arable land and tidal-flat as its main biotope type. In the biotope type of Suncheon Bay, the biotope type categorized as the foraging land for Hooded Cranes included 5 types: tidal-flat, tidal-creek(Gatgol), upper tidal-flat, salt martsh, and land consolidated arable land. Out of this, the land consolidated arable land accounted for the most at 61.7%. Tidal-flat accounted for 32.8%, upper tidal-flat 2.1%, salt marsh 0.9%, and tidal-creek 0.6%. The biotope that Hooded Cranes use as roosting site in Suncheon bay biotopes were 2 types: upper tidal-flat and salt marsh. The threats included 5 types: plastic tillage, agricultural equipment storage, downtown, paved road, and non-paved road. The appearing trend of cranes in Cheolwon showed that crane families preferred natural arable land, and non-families preferred land consolidated arable land. The White-naped Cranes preferred land-consolidated arable land, and the number of individual crane and the appearance frequency fluctuated largely due to the stopover of White-naped Cranes travelling from Izumi, Japan to breeding sites. The appearance frequency was high in natural arable land for all; thus, it is safe to conclude that the exchanges between Red-crowned Cranes and White-naped Cranes rarely made exchanges and they primarily preferred independent habitat. Hooded Cranes of Suncheon bay appeared the most in land consolidated arable land and they frequented tidal-flat and salt marsh to rest and acquire nutrition. Due to the high number of visitors and artificial feeding, the foraging land selection did not appear as a clear preference trend, and it was observed that they wander in groups. The wintering habitat biotope assessment for Red-crowned cranes and White-naped Cranes in Cheolwon included assessment for the total of 40 sub-watersheds. The assessment items included the size and ration of foraging land, naturalness, the number of appearing cranes, and threatening factors. In the watershed foraging land size assessment, Cheolwon arable land received high level, and it was categorized as the main foraging land biotope for cranes. In the naturalness assessment, hill type natural arable land near Daemari and natural flat arable land received high grade. In the foraging land size and ration assessment, land consolidated arable land near Sapseulbong received high grade. The result of appearing cranes and the preferred biotope analysis by the appearance frequency revealed that crane families are more prone to territoriality and prefer natural arable land. White-naped cranes preferred more open natural arable land than Red-crowned Cranes. In terms of threats, they were more sensitive to human interference than facilities built for cranes in Cheolwon. The proposal for management area was made based on the current comprehensive assessment diagram for wintering habitats biotope level for Red-crowned Cranes and White-naped Cranes and the management area diagram. For wintering habitat for cranes in Cheolwon, the core zones suggested were natural arable land near Daemari, large-sized consolidated arable land near Sapseulbong, and some areas near Hantan river. In order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for wintering habitats for cranes, areas with high number of visitors due to road construction and plastic tillage were selected as buffer zones. The wintering area for Hooded Cranes in Suncheon bay was divided into 7 regions for wintering habitat biotope assessment. The foraging land size analysis showed that all 6 areas except for downtown in Daedae-dong are level Ⅰ. The naturalness assessment showed that Nongjuri tidal-flat, Haksanri tidal-flat and Daedae tidal-flat were graded highly and artificial arable land were given relatively low grade. The assessment of appearing Hooded Cranes showed that Nongjuri tidal-flat, Haksanri tidal-flat and Daedae field were given Grade Ⅰ. In the assessment of preferred area of Hooded Cranes in the mid-winter, it was revealed that they highly preferred Daede field, and they preferred Haksanri tidal-flat in the late winter. The threatening factors assessment for Hooded Cranes’ wintering habitat showed that all tidal-flat areas were given high grades, but arable land such as Daedae field were given low grade due to threats from disturbances. The management area for Hooded Cranes in Suncheon bay were proposed based on the comprehensive biotope assessment diagram and the management area assessment diagram. As a result of selection, tidal-flat area which is public waters, part of the arable land in Daedae field, part of the arable land in Usanri region were proposed as the core zones, and the arable land in Haeryong field and the arable land in Daedae field as well as the arable land in Usanri field were suggested as buffer zones. The establishment of North-east Asian ecological network through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crane habitats in North-east Asia was suggested in order to conserve the North-east Asian cranes. The wintering habitats for main cranes species in North-east Asia are Yancheng nature conservation area in the east coast of China, Kusiro wetland in Hokkaido, Japan, and Cheolwon basin nearby the DMZ area of Korea. By connecting these wintering habitats, the network to manage the habitats for cranes will become more readily available. The wintering habitats for Red-crowned Cranes and White-naped Cranes in Cholwon are located in DMZ ecological axis, which is one of the 3 ecological axes of Korea. Connecting point between breeding sites for Red-crowned Cranes and White-naped Cranes in China and Russia with their wintering habitats in Korea and Japan is Cholwon wintering habitat for cranes. Thus, in order to conserve Northeastern Asian cranes and their habitats, North-east Asian ecological network connecting to ecological axis of the Korean peninsula has to be established. Hooded cranes are wintering in Chongmingdongtan near the estuary of the Yangtze river in China, Izumi in Japan and Suncheon bay in Korea, but their natural wintering habitat is disappearing due to development. The nature conservation programme of the North-east Asian Sub-regional Programme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NEASPEC) designated the 3 endangered birds including White-naped Cranes and Hooded Cranes as flagship species which are important for North-east Asian environmental cooperation. Thus, the wintering habitat for Hooded Cranes in Suncheon bay can serve as a cooperative area for the environmental cooperation of North-east Asia. The cooperation among the 6 countries in North-east Asia to conserve habitats for Hooded Cranes can be developed into North-east Asian environmental cooperation and habitat network. Cranes are ecologically meaningful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indicative species to conserve and restore ecosystem. They have evolutionary traits, which adapted to their specific ecosystem; thus, by conserving their habitat, they can serve as the targeted species to solve environment issues. Conserving wintering habitats for Red-crowned Cranes, White-naped Cranes, and Hooded Cranes, which live harmoniously with the North-east Asian environment is the starting point for building North-east Asian ecological network. Cheolwon and Suncheon bay are the stopover sites and wintering habitats for endangered birds in North-east Asia, Red-crowned Cranes, White-naped Cranes, and Hooded Cranes; thus, these two areas are gaining international recognition. In order to conserve endangered cranes, it is urged that the protected areas be expanded and conservation/management policy be established in a more active manner. To do such, it is recognized that research and cooperation at North-east Asian level is necessary in order to designate and utilize management areas by analyzing the wintering habitat biotope for cranes in Cheolwon and Suncheon bay. In addition, biotope assessment in consideration of ecological traits of cranes and development of management area selection are largely necessary to establish North-east Asian ecological network. 본 연구는 동북아 멸종위기조류이며 한반도에서 월동하는 두루미, 재두루미, 흑두루미의 월동지 보전방안 수립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두루미류는 동북아에서 자연과 인간의 상생을 상징하는 종으로서 환경보전의 깃대종이다. 그러나 동북아 국가들의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환경파괴는 이 지역 고유종인 두루미, 재두루미, 흑두루미와 그 서식지를 심각한 위기에 놓이게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동북아 멸종위기조류인 두루미류 서식지를 보전하기 위해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월동지 비오톱 평가를 통한 보전방안을 수립하였다. 특히 두루미 및 재두루미 월동지인 철원과 흑두루미 월동지인 순천만을 대상으로 서식지 보전방안과 대안으로서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두루미류 월동지 보전방안 수립을 위한 접근체계는, 먼저 두루미류의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지이용에 반영하여 월동지 비오톱 유형을 도출하였다. 비오톱 지도는 두루미류 출현 현황 및 토지이용현황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작성하였다. 이후 두루미류 월동지 비오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비오톱 종합 평가도를 작성하였다. 다음 단계로 보전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종합 평가도를 적용하여 관리지역 설정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동북아 차원에서 두루미류 서식지 보전을 위한 생태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철원 두루미 및 재두루미 월동지 비오톱 대분류 유형은 하천, 호소 및 습지, 초지, 경작지 등 8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중분류 유형은 22개 유형이었고 소분류 유형은 32개로 분류되었다. 비오톱 대분류 유형 중 경작지가 87,248,740㎡로 가장 넓었으며 전체 비오톱의 56.2%를 차지하였다. 비오톱 소분류 유형을 분석한 결과 경지정리형 논경작지가 전체 월동지 비오톱 면적의 27.9%이었으며 구릉 자연형 논경작지는 14.3%이었고 평지 자연형 논경작지는 9.6%이었다. 철원 월동지 주요 취식지 비오톱은 하천, 호소 및 습지, 초지, 경작지 4개 유형으로 대분류 되었다. 두루미류 위협요인 소분류 비오톱 유형에는 시설경작지, 농로, 농기계창고, 액비저장고, 시가지, 포장도로, 군사시설 등 인위적으로 조성된 경작시설과 시가지 비오톱 10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순천만 흑두루미 월동지 비오톱은 하천, 호소 및 습지, 해안, 초지, 경작지 등 7개 대분류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중분류는 21개 유형, 소분류는 34개 유형이 구분되었다. 비오톱 소분류를 분석한 결과 경지정리형 논경작지가 10,037,007㎡로 전체 비오톱 면적의 32.2%였으며 갯벌은 5,327,594㎡로 17.1%이었다. 순천만 흑두루미 월동지는 경작지와 갯벌이 주요한 비오톱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순천만 비오톱 유형 중 흑두루미 취식지로 분류된 비오톱 유형은 갯벌, 갯골, 갯벌상부, 염생식물, 경지정리형 논경작지 등 5개 유형이었다. 취식지 비오톱 유형 중 경지정리형 논경작지가 는 취식지 비오톱의 61.7%로 가장 높았다. 갯벌유형은 32.8%이었으며 갯벌상부 유형이 2.1%, 염생식물 0.9%, 갯골 0.6% 순으로 분포하였다. 순천만 비오톱 유형 중 흑두루미가 잠자리로 이용하는 비오톱은 갯벌상부와 염생식물지역 등 2가지 유형이었다. 비오톱유형 중 흑두루미 서식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위협요인 비오톱은 시설경작지, 농기계창고, 시가지, 포장도로, 비포장도로 등 5개 유형이었다. 철원에서 관찰된 두루미 출현 현황은 두루미 가족은 자연형 경작지를 선호하였으며 비가족군은 경지정리형 경작지를 선호하였다. 재두루미 출현 현황은 경지정리형 경작지를 선호하였으며 이동시기 이즈미에서 번식지로 북상하던 재두루미의 중간기착으로 인해 개체수와 출현 밀도의 변화가 많았다. 그러나 출현 밀도는 모두 자연형 경작지에서 높게 나타나 두루미와 재두루미가 교란이 적고 독립적인 서식지를 우선적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순천만 흑두루미의 출현 현황은 경지정리형 논경작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교란으로 인한 피난처나 휴식을 취하고 부족한 먹이를 먹기위해 갯벌과 염습지를 이용하였다. 최근 방문객 출입 증가와 인위적인 먹이 공급으로 인해 취식지 선택이 뚜렷한 선호 경향으로 나타나지 않고 무리를 지어 배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철원 두루미 및 재두루미 월동지 비오톱 평가는 총40개 소유역권별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항목은 취식지 면적과 비율, 자연성, 두루미류 출현 개체수, 위협요인으로 설정하였다. 유역권별 취식지 면적 평가에서 철원 경작지는 대부분 높은 평가 등급을 받았으며 두루미류의 주요 취식지 비오톱으로 분류되었다. 자연성평가부문은 대마리 일대 구릉 자연형 경작지와 평지 자연형 경작지가 높았다. 취식지 면적과 비율에 의한 평가는 삽슬봉 일대 경지정리형 경작지가 높게 평가되었다. 두루미류 출현개체와 빈도에 의한 선호 비오톱 평가 결과 두루미 가족군은 자연형 경작지를 선호하며 영역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두루미는 두루미에 비해 넓게 개방된 자연형 경작지를 더 선호하였다. 위협요인에 대한 반응은 철원 두루미류 시설물 유무보다는 인간 간섭에 의한 위협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관리지역 설정은 철원 두루미 및 재두루미 월동 비오톱 등급 종합평가현황도와 관리지역 설정도를 적용하여 제안하였다. 철원 두루미류 월동지 중 대마리 일대의 자연형 경작지와 삽슬봉 일대의 대규모 경지정리형 경작지, 한탕강 지역 일부가 핵심지역으로 제안되었다. 두루미류 월동지의 지속적 관리를 위해 도로에 의한 방문객 출입이 증가하거나 시설경작지가 많이 분포한 지역을 대상으로 완충지역을 설정하였다. 순천만 흑두루미 월동지역은 7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월동지 비오톱을 평가한 결과, 취식지 면적에 의한 평가는 대대동 시가화 지역을 제외한 6개 권역 모두 등급 Ⅰ로 평가되었다. 자연성은 갯벌지역인 농주리갯벌권역과 학산리갯벌권역 그리고 대대갯벌권역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인공적인 경작지 지역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흑두루미 출현 개체에 의한 평가는 농주리갯벌권역, 학산리갯벌권역, 대대들판권역이 등급 Ⅰ로 평가되었다. 해룡들판권역과 대대갯벌권역은 잦은 교란에 의해 흑두루미의 출현 개체수 빈도가 낮았다. 한겨울 흑두루미 선호권역 평가에서는 대대들판 선호도가 높았으며 늦겨울 선호도는 학산리 갯벌권역이 높게 평가되었다. 흑두루미 월동지 위협요인에 의한 평가에서는 갯벌지역은 모두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대대들판 등 경작지 지역은 교란에 의한 위협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순천만 흑두루미 관리구역은 흑두루미 월동지 비오톱 종합평가도와 관리지역평가도 작성을 토대로 제안하였다. 설정결과 공유수면인 갯벌 지역과 대대들판권역 경작지 일부, 우산리권역의 경작지 일부를 핵심지역으로 제안하였으며 해룡들판권역 경작지와 대대들판권역 경작지, 우산리들판권역 경작지는 완충지역으로 제안하였다. 동북아시아 두루미류 공동 보전을 위한 국제협력방안으로 동북아 두루미류 서식지 보전과 관리를 통한 동북아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제안하였다. 동북아 지역 주요한 두루미 월동지는 중국 동해안 옌청(Yancheng, 盐城)자연보호구, 일본 홋카이도 쿠시로 습지 그리고 한국 DMZ 인근 철원평야 지역이다. 이들 월동지간 지역 연계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두루미 서식지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철원 두루미 및 재두루미 월동지역은 한반도 3대 생태축인 DMZ 생태축에 위치하고 있다. 러시아와 중국의 두루미·재두루미 번식지와 한국·일본의 월동지를 연결하는 동북아 두루미 네트워크사이트 축과 한반도 DMZ 생태축이 만나는 지점이 바로 철원 두루미 월동지이다. 동북아 두루미류와 그 서식지 보전을 위해서는 한반도 생태축과 연계하여 두루미 서식지 보전을 통한 동북아 생태네트워크를 구축하여야 한다. 흑두루미는 중국 양쯔강 하류 총밍동탄(Chongmingdongtan, 崇明東灘), 일본 이즈미(Izumi, 出水), 한국 순천만 등에서 월동하고 있으나 이들 월동지역은 개발로 인해 자연서식지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동북아환경협력프로그램(North-east Asia Sub-regional Programme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NEASPEC)의 자연보전프로그램은 재두루미, 흑두루미를 포함한 3종의 멸종위기조류를 동북아시아 환경협력의 중요한 깃대종(Flagship Species)으로 삼고 있으므로 순천만 흑두루미 월동지는 동북아 환경협력을 위한 주요 대상종과 협력지역이 될 수 있다. 흑두루미 서식지 보전을 위한 동북아 6개국 협력을 통해 동북아 환경협력과 서식지 네트워크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두루미는 생태계를 보전하고 복원하는 지표종으로 그 생태적 의미가 있으며, 특정한 고유 생태계에 적응한 진화 특성상 두루미류 서식지 보전을 통한 지구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목표종이 될 수 있다. 동북아 자연에 깃들어 살아가는 두루미, 재두루미 그리고 흑두루미 월동지를 보전하는 활동이 바로 동북아 생태네트워크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동북아 멸종위기조류인 두루미, 재두루미, 흑두루미 월동지이자 중간기착지인 철원과 순천만은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멸종위기조류인 두루미류를 보전하기 위해 보호지역을 확대하거나 적극적인 보전관리 정책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철원과 순천만 두루미류 월동지 비오톱 평가를 통한 관리구역 설정과 활용을 위한 동북아 차원의 연구와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동북아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두루미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비오톱 평가 및 관리구역 설정 모형 개발은 반드시 필요한 연구라고 판단한다.

      • K-VMI(시각-운동 통합검사)를 활용한 지적장애 등급 판별

        김경원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사용중인 지능검사에서 산출되는 지능지수만으로는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보건복지부령 제 174호, 2013)에서 제시한 지적장애의 1급 또는 2급의 판별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비언어적인 지능검사로도 활용되는 VMI나 BGT에서 산출한 발달지수를 지능지수로 대체하여 사용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사용되어온 VMI(Beery, 1982)는 미국에서 표준화 한 것으로, 국내에서는 아직 별도의 표준화 작업을 거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VMI의 최신판(Beery VMI-6; Beery & Beery, 2010)으로 국내에서 표준화 작업을 완료한 K-VMI(황순택 등, 출판예정)의 임상적 타당도 검증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판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지적장애자들의 장애등급을 K-VMI가 변별할 수 있는지, 그리고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바인랜드 적응행동 검사에 비해 변별력이 더 뛰어난지 검토하여 K-VMI의 임상적 변별력과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degree intellectual disability with IQ tested by the K-WAIS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regulations (provision 174. Welfare of Disabled Persons Act Enforcement Regulations). In this case, developmental quotients of indⅣiduals are estimated by non-verbal intelligence tests, such as VMI or BGT, to confirm the degree of their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VMI has been recently standardized to Korean population by Hwang and his colleague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clinical validity of K-VMI. At the same time, in this study, the discriminant accuracies of K-WAIS, Vineland adaptⅣe behavior scale, and the K-VMI were estimated with mentally disabled people, and made a comparison between them. Finally the meaningful results of this study, the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놀이치료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 관계 변인

        김경원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놀이치료의 경우 내담자가 아동이기 때문에 대부분 어머니가 놀이치료를 의뢰하며 어머니의 결정에 의해 놀이치료를 시작하거나 종결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어머니는 아동과 함께 내담자로 이해하여 놀이치료가 진행되어야 한다. 어머니는 아동과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 생활하면서 가장 직접적으로, 민감하게 아동의 변화를 알 수 있으므로 놀이치료 효과도 잘 알 수 있다. 어머니가 자녀에 대한 놀이치료가 효과 있다고 판단할 때 치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것이며, 따라서 어머니의 놀이치료에 대한 만족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치료의 효과를 측정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그 중에서도 내담아동 및 그 어머니와 관련된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아동관련 변인, 부모관련 변인과 놀이치료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는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다. 둘째, 아동관련 변인 및 어머니관련 변인이 놀이치료에 대한 어머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본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및 부산 지역에 거주하고, 현재 자녀가 3회기 이상 놀이치료를 받으면서, 부모상담이 이루어지고 있는 어머니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 및 어머니 변인에 관한 질문지는 전문가의 안면타당도를 구한 후 사용하였고, 내담아동 어머니가 지각하는 치료적 동맹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강혜영(1995)이 번안한 질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놀이치료 만족도 질문지는 부모상담 만족도와 상담만족도 내용을 토대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stepwiser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관련 변인 중 놀이치료에 대한 기대감, 치료적 동맹이 놀이치료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 및 어머니 관련 변인 중 치료적 동맹이 놀이치료 만족도를 설명하고, 예측 할 수 있는 가장 영향력 있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치료적 동맹의 하위 요인 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과제동의로 나타났다. In the play therapy's case, the most of clients' mothers are people who entrust the play therapy. They have the right to decide whether their children keep getting the therapy or not. This means we need to treat a mother as an another client. A mother is a person who spends lots of time with clients and perceives the clients' behavior changing directly and sensitively. When a mother thinks the play therapy is effective, the satisfaction of the play therapy could be increased. We also can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ure through the satisfaction of play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mother's satisfaction, which is the factors related to the client and his or her mother. The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s. First, this study is to find out any relation between the mothers' satisfaction about the play therapy and the factors of the children and mothers. Second, this study is to find out factors related to children and mothers which affect on the mother's satisfaction about the play therapy. The target people of study is the mothers who are the residents in Seoul, Gyeonggi, and Busan. Their children got the play therapy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and they got the parents counselling. Studying the factors exploratory about the satisfaction of the client's mother, we used questionnaire survey that the researcher made, and the form is based on the advise from the play therapy supervisor. Researching the therapeutic alliance of clients' mother, we revised the questionnaire survey which Kang Hyeyoung(1995) translat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Collected data comput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 We used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stepwiser way. Here is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research. Fisrt, there are relations between expectation about the play therapy, the therapeutic allianc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lients' mothers. Second, the therapeutic alliance is the effective and meaningful factors can report the satisfaction of play therapy. The factors which effect to the satisfaction from the subordinate elements of therapeutic alliance are task agreement.

      • 기독교 학교에서의 열린 예배 연구

        김경원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 예배는 수 십년동안 교회처럼 전통적인 예배형식을 취하고 있어 학생들이 원하는 예배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기독교 학교의 예배에 참여하는 회중은 불신자가 훨씬 많음에도 불구하고 불신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였고 신자 중심으로만 되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여 학교의 예배가 학생들이 참여하며, 하나님을 만나는 축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연구자는 기독교 학교에 대한 논문과 자료, 학교 예배에 대한 기독교교육적인 연구자료, 그리고 열린 예배에 대한 최근의 자료들과 논문들을 연구하면서 미국의 열린 예배는 문헌을 통하여 이해하고, 서울 시내 교회에서 하는 열린 예배는 직접 참여하여 보았다. 그리하여 현장에서 본 느낌과 자료들을 수집하고 정의여고를 대상으로 열린 예배를 준비하여 시도해 보았다. 이 논문의 연구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ll장에서는 기독교 학교의 개념과 종교교육 목표 및 종교교육 내용을 포괄적인 개념부터 구체적인 개념까지 나누어서 다루었다. 제Ⅲ장에서는 기독교 교육에서 예배의 역할을 살펴보고 학교 예배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기독교 교육적인 측면에서 학교 예배의 원리와 예배 순서 진행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열린 예배 이론과 예배 프로그램 기획에 관한 자료를 기초로 기독교 학교에서의 열린 예배를 기획하여 실시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학교에서의 열린 예배는 형식만 바꾼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예배의 대상자에 대한 깊은 이해와 회중들이 필요로 하는 메시지를 다양한 문화와 시청각 기재를 이용하여 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모든 프로그램이 예배 주제와 일치하도록 통일성을 가져야 효과가 있음도 알게 되었다. 예배 기획가는 예배의 흐름이 빈틈 없이 진행되게 계획해야 하고 또 학생들이 지루하지 않게 프로그램의 시간 안배를 골고루 해야 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한 가지 요소내에도 다양한 변화를 주어 학생들이 늘 기대감을 갖도록 해야 한다. 예배의 전체 분위기는 학생들이 축제적인 분위기와 따뜻함을 느낄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리고 열린 예배는 계속적으로 평가하고 변화를 주어 예배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전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학교 예배는 의무적이지만 공동체성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학급별로 또는 특별활동 부서별로 학생들이 예배 프로그램에 참여 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또 그 내용이 기독교적인 성격을 갖도록 잘 지도하면 학교 전체 분위기가 기독교적인 분위기로 정착되어 학원복음화에 크게 이바지 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Traditionally, Worship in a Christian school was performed as church worship type. It was not accepted by many students, because the congregation of chapel are more non-Christian than Christian in spite of a Christian school. Even more, The content of worship was centered only for Christian student. Therefore, The aim of this thesis is that non-Christian students participate chapel intensively and that become a festival God-encountering. This thesis studied Christian school, chapel, and Open Worship through many thesis, journals, and studies. The Seeker's Service in U. S. A was understood through books, and Open Worship of churches in Seoul was participated. On the bases, Open Worship in Jeong Eui girl's high school was planned and performed. The conten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 Chapter 2 deals with the concept of Christian school, the purpose of religious education and the content of religious education from comprehensive concept to concrete concept. Chapter 3 inspects a role of worship in Christian education and a character of worship. And In view of Christian education, It studies concretely principles and process of worship. Chapter 4, Open Worship in Christian school was planned and performed on the base of the theories of Seeker's Service and principles of worship-planning.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 Open Worship is not to change form, With deep understanding about congregation, worship has to give the message available for them through diversity genre and multimedia tools. And every part of the program has to be correspondence with worship thema. Worship planner must allot the time of programs properly. The worship leader must proceed, lest the stream of the worship should be cut. The worship planner must give the diversity to the programs, so that the students always have expectation. The worship leader must make the worship have festival mood and let the congregation feel the warmth. Chaplain evaluate and vary the open worship continuously to improve the levels .of the worship. Chapel is a duty, but contain community. So It is cared student to participate worship and helped worship content have to be Christian character, School mood will settled in Christian mood. It will be contribution to school mission.

      • 가치사슬 DEA를 이용한 산업핵심기술개발 사업의 효율성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경원 숭실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plored and described factors involved in the achievements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core industrial R&D project sponsored by the Korean government. Until the-mid 2000s, the absolute volume of R&D investment was relatively small compare to other developed countries so that the government’s support in terms of R&D investment was concentrated in quantitative expansion. Therefore, people have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government-sponsored R&D’s effectiveness.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China as well as advanced countries are chasing with state-of-the-art technologies. To ride out challenges concerning rapidly changing technologies and keep ceaseless economic development, the national R&D project investment should go beyond the quantitative expansion frame and the efficiency of investment should be went through the elaborate examination. In addition to this, the well-equipped R&D policy to keep up with the new technological trend should be reestablished. With the recognition of the situation and background, this study presented the purpose as follow. First, to analyze the efficiency in regard to the industrial core R&D project which accounts for the largest portion among the technology innovation projects l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o be specific, 64 detailed R&D projects under the six industrial areas such as robot, bio & medical devices and transportation system were chosen, and all of the selected projects had gone through the final evaluations in 2011 or 2012. Secondly, to investigate the limitations raised by the existing researches through the analysis of efficiency with the basic DEA model(CCR, BCC), Super Efficiency and Weight Restriction Model. Thirdly, to analyze life cyclical & sequential characteristic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existing fragmentary efficiency analysis using the Value Chain Model Lastly, to propose the policy to boost the efficiency of the national R&D projects based on the efficiency analysis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of the efficiency analysis allowed to identify the limitations to apply the existing DEA models used in the preceeding analysis. The strong point of the basic DEA model is that the target and slack can be analyzed. However, the weight applied to input and output factors was concentrated on some particular factors. In the case of Super Efficiency Model, it was applied to the rank analysis of efficient DMU, and it exposed the limitation due to infeasibility. The Weight Restriction Mode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olving the abnormal weight of the basic DEA model. However it also cannot apply life cyclical characteristics of R&D projects. To overcome the problems, the Value Chain DEA Model was primarily applied to the efficiency analysis of the sequential input and output processes. The efficient analysis results were described as follow. First, the average of the Process Efficiency of 64 detailed projects was 0.681 points and 30 detailed projects, accounting for 47% of the total 64 projects, were efficient. However, the average of the Goal Efficiency was just 0.301 points so that 14 detailed projects were selected as efficient projects. This result meant that the Process Efficiency and the Goal Efficiency were disproportionate. Secondl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scale of leading agencies and the R&D efficiency. Both of the Process Efficiency and the Goal Efficiency of small-sized enterprises were relatively high compare to conglomerates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 leading agency of each project had dissimilar characteristics so that the differences gave an impact on efficiency. The remarkabl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can be singled out as below. First,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is study is that the rea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and long term R&D were reflected to the efficiency analysis by using Value Chain Model so that the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of the analysis were enhanced. Secondly,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EA model and various models were organized systematically based on the preceeding papers such as Cook & Seiford (2009). Grasping of the flow of DEA models will allow researchers to secure the comprehensive sights on the DEA analysis. Lastly, technology experts participated in the AHP survey, which was applied to produce the weight of input & output factors. The weight was used to models to strengthen the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of this research. With the efficiency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policies were proposed to boost the efficiency of industrial core R&D project. The first propose was the plan to improve the detailed project selection as well as the project operation. Especially, this study suggested partly adoption of a new system that when joint R&D between enterprise and institutes or universities is initiated by enterprise,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the supports by matching funds under the condition of satisfying the requirements. In addition, the R&D funds should be expanded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While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gradually decrease R&D fund assistance for conglomerates, the indirect supports such as deregulation should be enlarged to promote the commercialization successes. Secondly, the evaluation of project achievement and management system should be revised. To improve the achievement of the qualitative researches, the qualitative evaluation reflec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es should be pursued as soon as possible. The systems embracing honorable failures should be settled down as soon as possible to increase more innovative and creative projects and challenges. Lastly, the commercialization of project achievements should be promoted. There are the technological gap between R&D results from institutes and universities and demands from industries, and the immaturity in the R&D results. Therefore, the institutional framework including the technological consultation and the supplement of R&D follow-up systems should be strengthened for SMEs to lead commercialization successes.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선진국들에 비해 기술개발투자의 절대 규모자체가 작다는 점을 이유로 정부투자지원의 양적확대 필요 논리에 치우쳐,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의 효율성에 대한 관심이나 성과에 대한 구체적인 실증 분석은 미흡하였다. 중국은 물론 무섭게 추격해오는 개도국과 선진국들과의 치열한 경쟁과 빠른 기술변화의 속도를 극복하고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이루어 내려면, 지금까지의 국가연구개발투자의 양적 확대 프레임에서 벗어나 투자의 효율성에 대한 정밀한 점검과 국제적인 기술 및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기술개발지원정책의 재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인식과 배경 하에서 본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산업발전, 경제성장에 기여한 대표적인 연구개발 사업인 산업통상자원부의 기술혁신사업 중에서 가장 비중이 큰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에 대한 효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2011년 및 2012년에 종료평가를 받은 로봇산업, 바이오·의료기기산업, 수송시스템산업 핵심기술개발 등 6개 세부사업의 64개 과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먼저 DEA 기본모델(CCR, BCC) 분석과 더불어 초효율성(Super Efficiency)모델, 가중치 제약모델(Weight Restriction Model) 등 지금까지 활용되어온 다양한 DEA 모델로 효율성을 분석하여 기존 연구에서 제기된 모델의 문제점을 검토하는 것이다. 셋째, 기존의 단편적인 효율성분석을 통해서는 설명하지 못하는 전주기적 순차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가치사슬모델(Value Chain Model)을 사용하여 Process Efficiency와 Goal Efficiency의 2단계 분석을 적용함으로써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적합한 효율성 분석모델을 제시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효율성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논문을 통한 효율성 분석결과, 기존 연구에서 주로 활용된 효율성 분석기법을 중장기 기술개발 과제의 분석에 그대로 적용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우선, DEA 기본 모델은 Target과 Slack을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투입 및 산출요소에 적용되는 가중치가 특정 요소에 비정상적으로 할당되는 문제점이 나타났으며, 효율적인 DMU의 순위 분석에 활용되는 초효율성의 경우는 Infeasibility의 발생으로 순위 분석의 적용에 한계를 보였다. 또한, 가중치 제약모델은 DEA 기본 모델의 비정상적인 가중치 할당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으나 기술개발 사업의 전주기적(Life-cyclical)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가치사슬 DEA 모델을 적용한 효율성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64개 과제의 과정효율성은 평균 0.861로 47%에 해당하는 30개과제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목표효율성은 평균 0.301에 불과하고 효율적인 과제도 절반정도인 14개로 나타나 과정효율성 수준과 경제적 성과를 나타내는 목표효율성 수준에 심한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 둘째, 연구주관기관의 규모와 연구효율성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으며, 중소기업의 과정효율성과 목표효율성 모두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보다 높게 나타났다. 과제 주관기관별로 과제수행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면서 결과적으로 효율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의 차별적 기여를 든다면 무엇보다도 먼저, 가치사슬모델을 사용하여 2단계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나타난 기술개발과제의 특성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개발관리격자모델(R&D Managerial Grid Model)을 제시한 점이다. 효율성 분석에 있어 현실적인 특성을 반영하게 됨으로써 분석의 신뢰도와 활용도를 높여 향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데 본 논문의 가장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둘째, 본 논문에서는 Cook & Seiford(2009)의 연구논문을 바탕으로 Charnes et al.(1978)의 CCR모델 이래 DEA모델의 발전과정과 다양한 모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는 점이다.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연구자들에게 DEA 연구의 통합적 시야를 가질 수 있게 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생각 된다. 마지막으로, 산업기술개발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AHP설문 조사를 통해 직접 도출한 투입 및 산출요소의 가중치를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연구의 신뢰도와 활용도를 높인 것도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세 가지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과제선정과 사업운용의 개선이다. 기술개발자금의 일정 부분은 민간이 공공연구기관 또는 대학과 민간수탁형식으로 기술 개발을 추진 할 경우 정부가 매칭방식으로 지원토록 하는 방식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중소 및 중견기업에 대한 R&D 지원을 확대하고, 대기업에 대해서는 R&D 자금지원은 줄여 나가되 규제완화 등 사업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간접지원을 늘이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성과평가 및 관리시스템의 개선이다. 질적 연구 성과의 제고를 위해 특허나 논문의 수 등 정량적 지표위주 평가에서 벗어나 질적 평가, 정성적 평가의 실제적인 도입이 시급하다.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과제에 도전이 가능하도록 ‘성실 실패’를 용인하는 제도의 조속한 정착과 동시에 ‘중간 탈락’제도의 엄격한 운용을 통해 경쟁을 촉진시켜 나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성과활용의 촉진이다. 연구소와 대학이 창출한 연구 성과와 산업계 수요 간에는 기술적 수준에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완성도가 낮은 만큼, 주요 수요자인 중소기업의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는 애로 타개를 위한 기술 컨설팅 및 후속 상용화 R&D 등 제도적 기반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