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들의 이해와 활용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중심으로

        김경양 ( Kyung Yang Kim ),구민관 ( Minkowan Go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현장에서 특수교사들의 AAC 이해와 활용에 대한 실태와 AAC 이해와 활용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특수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118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후 빈도분석과 일원배치분산, 상관관계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1) AAC에 대한 특수교사의 이해, (2) AAC에 대한 특수 교사의 활용, (3) 배경 변인에 따른 AAC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이해 및 활용에 대한 차이, (4) 특수교사들의 AAC 이해와 활용 간의 관계로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결론에서 교육적 측면과 제도적 측면으로 AAC 지원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적 측면에서는 첫째, 학교와 학급에서 AAC의 보편적 활용 및 학업성과 검증이 필요하고, 둘째, 학교에서 다양한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AAC 적용이 필요하며, 셋째, 학생의 필요에 따라 AAC를 적용해야한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첫째, 특수교사양성과정에서 AAC 관련 수업 확대가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체계적 AAC 진단 서비스 개발과 셋째, AAC 서비스 모형 구축이 필요하고, 넷째, AAC 연수 기회 확대되어야 하며 다섯째, 한국형 AAC 상징의 개발이 필요 하다. 마지막으로 추후 연구를 제언 및 연구의 제한점을 밝혔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ing and use of AAC and correlation between the understanding and use of AAC.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in Busan were asked for surveys, and 118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collecting survey questionnaire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and also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of the study consisted of four parts: (a) the teacher understands of AAC, (b) the teacher use of AAC, (c) the gap of between understanding and use of AAC according to the background factors, (d) the correlation between understanding and use of AAC.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eight suggestions for two main issues. At first, the three educational suggestions were as follow: (a) universally using in classrooms, (b) expanding of AAC users, (c) meeting the individualized needs of students by using AAC with multiple-model. At second, the five political suggestions were as follows: (a) it is needed to provid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with more courses about using AAC, (b) developing systematic AAC diagnostic service, (c) developing the foundation of AAC services delivery model, (d) using the teacher annual re-education programs and online-education for AAC training, (e) developing Korean-style AAC symbols. Finally the limitation and future recommend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AAC 중심으로 특화된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경양(Kim Kyung Yang),김성현(Kim Seong Hyeon) 한국자폐학회 2020 자폐성 장애연구 Vol.20 No.1

        Background and Purpose: Despite the need for life-long communication suppor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ystematic communication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spa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AC focused comprehensive communication program tailored for a day care center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The intervention included the following components: 1) modification of the environment and daily structure of the day care center to facilitate participants communication, 2) evaluation of participant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3) provision of an AAC intervention customized to each participant’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and needs and 4) staff education and training to enhance their ability to support participants communic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communication function and frequency of the participants increased significantly. Participants also showed improved use of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Finally, staff reported increased use of communication strategies in communication with participants. Discussion and conclusion: Suggestions for future use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배경 및 목적: 발달장애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전 생애에 걸쳐 의사소통 지원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발달장애 성인에 대한 체계적인 중재가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성인을 위한 주간보호센터에서 비구어 발달장애인을 위한 AAC 중심의 특화된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단일 집단 사전-사후 분석으로 진행하였고, AAC 중심의 특화된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위해 다음 단계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첫째, 성인 서비스 기관의 의사소통 환경 구조화 지원. 둘째, 의사소통 진단 및 평가를 통한 그룹 구조화. 셋째, 맞춤형 AAC 중재 서비스. 넷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서비스 기관 종사자 의사소통 상대방 교육 및 훈련.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첫째, 발달장애 성인의 의사소통 기능 및 횟수가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의사소통 형태가 다양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서비스 제공인력의 의사소통 사용 전략이 다양해지고 특히 기다리기 전략 사용이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성과를 토대로 향후 활용 방안 및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SCOPUS

        스크립트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가 중도장애 아동의 의사소통기능 습득에 미치는 효과

        김경양(Kyung-Yang Kim),박은혜(EunHye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6 No.2

        본 연구는 스크립트활동을 구어사용에 제한을 받는 중도장애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AAC) 중재방법으로 사용하였을 때 중도장애아동들이 의사소통기능들(사물요구하기, 행위요구하기, 정보요구하기, 대답하기, 거부하기, 사회성기능)을 습득 및 일반화하고 유지하는지 살펴보고 더불어 중도장애아동이 사용하는 다양한 의사소통방식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도장애 세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로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단계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중도장애아동들은 여섯 가지 의사소통기능을 습득 및 유지, 일반화하였고 둘째, 각각의 여섯 가지 의사소통기능에 있어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셋째, 세 아동이 각각 사용한 의사소통방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교육적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고 앞으로의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rely 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experience difficulties in communicative interaction because they have limited communication functions and opportun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cript activities which were a grocery shopping, a birthday party, and a making snack were used for AAC training. Six communication functions were observed: request objects, request actions, request information, protest, answer , and social function.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ddressed: ⑴ the acquisi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effect s of script activities for AAC training on the acquisition of six communication functions for 3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⑵ the differential acquisition effect of script activities for AAC training according to communication functions, ⑶ the variety of communication modes used during AAC training.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⑴ all 3 student s acquired six communication functions and acquired communication functions were generalized to other situations and they were shown to maintain the functions 3 weeks after the training, ⑵ there were a few differences in acquisition according to six communication functions, ⑶ Student s used various communication mod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학부모의 경험 및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김경양(Kim, Kyung Yang),표윤희(Pyo, Yun-Hui),이희연(Lee, Heeyeo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반학교 중도·중복장애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부모의 교육 경험을 분석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교육을 위한 지원 및 요구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8명의 학부모였고, 자료 수집은 반구조화된 방식의 개별 심층 면담 및 포커스그룹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면담은 회기 당 약 1시간에서 1시 30분 정도 소요되었다. 면담자료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지속적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6개의 대주제와 20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1) 중도·중복장애 자녀와 관련된 인식, 2) 중도·중복장애 특수학급 선택배경, 3)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어려움, 4) 중도·중복장애 특수학급의 혜택 또는 만족, 5) 중도․중복 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요구 및 지원, 6)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을 위해 사회에 바라는 점. 결론: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학부모의 경험 및 요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a inclusive school.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8 parents and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three sessions of in-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terview data were verified and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six themes follows: recognition related to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ackground of selection, difficulties in the education, benefits or satisfaction, demand and support, and others needs for society.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통합교육 실태 문헌 분석: 법적 정책요소를 중심으로

        김경양 ( Kyung Yang Kim ),박은혜 ( Eun Hye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통합교육 실태를 살펴본 선행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지금까지의 통합교육 실태와 향후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정기준에 맞는 33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첫째, ``장애인 등의 특수교육법``이 제정된 시기에는 통합교육 실태에 대해 보고한 연구들이 다른 해에 비하여 많았으나, 이후에는 연평균 2편 정도의 실태 연구만 보고되고 있었다. 둘째, 실태 연구의 대부분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중등 또는 고등학교의 실태 조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셋째, 법령에 명시된 정책 요소가 구현되는지 6가지 분석틀에 근거하여 살펴본 결과, 특정 장애 유형의 쏠림 현상, 교원의 자질 및 교육 부족, 개별화 교육의 구현의 형식성, 특수교육 교원와 일반교육 교원의 생각의 차이, 교육 목적의 차이, 수정의 현실적 제약과 어려움, 학교장의 인식의 중요성, 보조인력의 역할의 모호함,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통합교육 준비 부족, 교사 간 협력과 자문 부족, 시설 및 교재의 부족 등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향후 통합교육의 향상을 위해 고려해야하는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lusion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inclusive education policy by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 on inclusive education. Thirty three studi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e studies regarding inclusive education status has been reduced steadily after first a few years around the law enactment. Second, most of the research was targeted at elementary school, lacking studies focusing on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inclusion. Third, analysis based on the inclusion policy components, revealed too much focus on intellectual disability, lack of teacher preparation, perfunctory use of IEP, difference between general educators and special educators` perception and educational goal, practical barriers and difficulties of instructional adaptation, lack of preparation for regular students, lack of collaboration and consultation between teachers, ambiguity of paraprofessionals` role, lack of facilitie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findings and discussions regarding implications for the future inclusive education were provided.

      • KCI등재후보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문헌연구

        김경양(Kim Kyung-Yang),남보람(Nam Bo-Ram),김영란(Kim Young-Ran),박지연(Park Ji-Yeo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0 특수교육 Vol.9 No.3

        본 연구는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 보편적 지원을 실행한 국외 실험 연구를 분석한 문헌 연구로,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출판된 보편적 지원의 실행을 다룬 13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과정에서는 실행된 보편적 지원의 실행 충실도를 ‘Benchmarks of Quality(BoQ)’ 질적 지표에 근거하여 검토하고, 이러한 보편적 지원 노력이 어떠한 성과를 가져왔는지에 중점을 두었다. 질적 지표에 의해 실행 충실도를 평가한 결과, ‘교실체계’ 영역의 지표가 가장 저조한 실행 정도를 보였고, ‘기대와 규칙 개발’영역의 지표가 가장 잘 실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편적 지원의 성과는 훈육실 의뢰 수를 중심으로 평가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학교 분위기 변화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 조사, 학업 성취도 평가 등을 통해 문제 행동의 감소 외에 교육 환경의 변화와 학업 증진이라는 성과가 함께 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논의에서는 분석을 통해 확인된 연구의 동향과 함께 보편적 지원을 우리나라에서 적용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 대상 논문에 제시된 내용만으로 실행 충실도를 평가하였고 분석 논문들이 북미 연구 위주였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내에서 이루어질 보편적 지원의 계획과 평가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conducted to analyze empirical studies on universal support of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this purpose, 13 articles on universal support,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10, were selected. The analyses especially focused on implementation fidelity and outcomes of universal support. The evaluation of implementation fidelity using Benchmarks of Quality showed that ‘class-wide system’ was the least implemented aspect while ‘expectation and regulation development’ was the best implemented area. The outcomes of universal support were judged typically by office discipline referral data, but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tried to include other outcome variables including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climate. Finally, issues and trends in universal support studi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in Korea were presented. Though the review has limitations in that it evaluated implementation fidelity based mainly on what has been written in the articles and most articles reviewed were published in the U.S.A., the results of this review are expected to provide insights and suggestions for the researchers who are going to implement universal support in Korea.

      • KCI등재

        음성산출 의사소통 콘텐츠 및 시스템 개발 기초연구: AAC 관련전문가의 경험 및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김정연 ( Jung Yeon Kim ),박은혜 ( Eun Hye Park ),김경양 ( Kyung Ya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4

        본 연구는 음성산출 의사소통 콘텐츠 및 시스템 개발 초기 단계에서 AAC에 대한 경험을 가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아이디어를 도출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현장에서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AAC 서비스 지원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도출해내고, 향후 콘텐츠 및 구현 가능한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충남 지역의 특수교사 및 AAC 관련 전문가 1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AAC 포커스 그룹 면담 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한 결과, AAC 경험과 AAC 요구사항의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7가지 소주제와 19개의 하위분류들이 도출되었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형 음성산출 의사소통 콘텐츠 및 시스템 개발의 방향과 개발에 반영되어야 할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field-based opinions and ideas for developing Korean voice output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ents. Participants were 14 professionals who had experiences of AAC application for their students/clients, including 7 special education teachers, 2 professors, 1 parent, 2 speech therapists and 2 researcher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wo sessions with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AAC experiences and AAC contents/system requirement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two axis of AAC experience and AAC needs. Seven 7 themes(e.g., barriers, outcome, vocabulary, symbol) and 19 sub-themes were derived. Overall, AAC contents and system which can incorporate various user characteristics were emphasized as well as needs for symbols and vocabulary which can represent Korean language-specific features. The procedural efforts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ata analysis were follow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들의 AAC 기기 인지와 활용지도 및 AAC 기기 확보와 활용에 관한 학교 및 교육청의 지원 실태에 관한 인식 연구: 부산지역 중심

        구민관 ( Goo Min Kowan ),김경양 ( Kim Kyung Ya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교사들의 AAC 기기 인지와 활용지도 및 AAC 기기 확보와 활용에 관한 학교 및 교육청의 지원 실태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향후 AAC 관련 연구 및 학교현장에서의 활용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지적장애, 지체장애 및 지적 및 지체 장애학교의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 후 총 111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있어서는 설문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먼저 실시 후 빈도분석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2가지 요인, 즉 특수학교 교사들의 AAC 인지와 활용지도 및 AAC 기기 확보와 활용에 관한 학교 및 교육청의 지원실태에 대한 인식 정도와 배경 변인에 따른 요인별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로는 특수학교교사들이 AAC 기기 관련 지식이 부족하고 활용지도에 자신감이 없으며 또한 학교 및 교육청의 AAC 기기 확보와 활용 관련 지원이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instructing AAC devices and schools/school district support for AAC.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special schools. The total number of 111 survey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 analysis,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es were conducted and then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special schools do not have sufficient skills about both traditional and latest AAC devices and also do not have confidence in teaching using both AAC devices. In addi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do not perceive their schools and school districts provide sufficient supports for students to gain and use AAC devic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에 대한 일반학교 관리자의 인식 및 관리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희연(Lee, Heeyeon),표윤희(Pyo, Yun-Hui),김경양(Kim, Kyung Ya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 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특수학급이 시범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인천광역시 학교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인식과 경험 및 지원요구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중도 중복장애학생 통합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학교 관리자 총 10명으로 교육청의 추천을 받아 목적표집을 통해 선정되었다. 연구방법: 학교 관리자의 중도 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실태, 지원요구 등을 조사하기 위해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면담이 실행되었으며, 각 면담시간은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되었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학교 관리자들은 중도 중복 장애학생을 처음 접했을 때 놀라움, 당황함, 두려움 등을 느꼈으나 일부 관리자는 본인의 선입견과는 달리 밝고 희망적인 인상을 받았다. 현재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운영 및 통합교육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만족도는 학교 급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초등학교 관리자들은 대부분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운영 및 통합교육에 만족하였으나 중학교의 경우에는 만족도가 낮았다.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운영의 어려움으로 학교 관리자들은 물리적 환경, 시설, 교재 및 교구의 미비함, 통합학급에서의 문제행동, 인적 재정적 행정적 지원 미비, 학부모들의 과다한 요구 등을 제시하였다. 학교차원의 교육계획 시 중도 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활동들은 학교 관리자 차원보다는 특수교사의 주도하에 학교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일반학교 관리자의 경험과 인식 및 지원요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 졌으며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chool administrators’ experiences in a special education classroo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way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A total of 1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dministrators who had a special classroo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through purposive sampling. Results: The results presented the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about th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urrent practices, and requirements to facilitat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to facilitat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