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청미래덩굴 잎 및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alpha}$-Glucosidase 억제 및 항염증 활성비교

        김경곤,강윤환,김대중,김태우,최면,Kim, Kyoung Kon,Kang, Yun Hwan,Kim, Dae Jung,Kim, Tae Woo,Choe, Myeon 한국영양학회 2013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6 No.4

        본 연구에서 청미래덩굴 잎과 뿌리의 물추출물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잎 추출물에서 더 많은 함량이 확인되었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환원력 측정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도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함량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잎에서 높은 활성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항당뇨 효능에 대한 최초의 시도로서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뿌리추출물에서는 효소의 억제력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잎 추출물에서는 농도 및 반응시간의 증가에 따라 억제력이 증가하여 물 추출물 상태에서 1 mg/mL 기준으로 acarbose의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능과 비교하여 71.8%의 활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당뇨와 염증의 관련성이 대두되는 최근의 연구 상황에서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의 IL-$1{\beta}$, IL-6, iNOS, COX-2의 mRNA 발현 억제작용을 확인함으로써 염증반응의 개선 가능성도 제시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의 항산화능,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능 및 항염증효능을 확인함으로써 neutraceuticals 소재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증명하였고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leaf and root water extracts of Smilax china L. (SC) by measuring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ti-oxidant activity, inhibitory effect on ${\alpha}$-glucosidase, and anti-inflammatory gene expression.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SC leaf (SCLE) and root (SCRE) water extracts were 127.93 mg GAE/g and 39.50 mg GAE/g and 41.99 mg QE/g and 1.25 mg QE/g, respectively.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CLE and SCRE were measured using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and reducing power assay. Both SCLE and SCRE scavenged radica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SCLE showed stronge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than SCRE; however, both SCLE and SCRE exhibited lower activities than ascorbic acid. Compared to the anti-diabetic drug acarbose, whic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SCLE and SCRE exhibited low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nevertheless, the activity of SCLE was 3.7 fold higher than that of SCRE. Finally, SCLE caused significantly decreased expression of the LPS-induced cytokines, iNOS, and COX-2 mRNA in RAW264.7 cells, indicat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CLE might be a potential candidate as an anti-oxidant,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agent.

      • 비만-연령별 비만 관리

        김경곤,Kim, Gyeong-Gon 한국건강관리협회 2006 건강소식 Vol.30 No.4

        비만이 질병으로 간주되는 까닭은 뚱뚱함 그 자체가 당장 육체적 건강에 악영향을 주지 않을지 몰라도, 장차 심장질환, 당뇨병, 골관절염 등 다양한 건강상의 문제의 위험도를 높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체중 감량을 해야 하는데, 체중을 얼마나 줄일지, 어떤 방법을 사용해서 줄일지 등 이를 위한 세부적인 방법은 경우마다 다르다. 특히 그 사람의 나이는 적절한 체중감량 방법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된다.

      • KCI등재후보

        운동 후 발생한 횡문근융해증의 임상정 고찰

        김경곤 ( Kyong Gon Kim ),김준형 ( Jun Hyung Kim ),김성민 ( Song Min Kim ),전규락 ( Gyu Rak Chon ),김영욱 ( Young Wook Kim ),이호학 ( Ho Hak Lee ),박상준 ( Sang Joon Park ),김윤권 ( Yun Kwon Kim ),김소연 ( So Yon Kim ),김영중 ( You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6

        목적: 저자들은 전투 경찰에서 흔히 실시되는 훈련 후 횡문근융해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투경찰 173명을 대상으로 6일간 평균 매일 8시간에 걸쳐 PT체조훈련이 시행하였고,설문조사를 통해 개인당 훈련량을 조사하였다. 결과: 검사 결과 173명 중 98명에서 횡문근융해증을 진단 할 수 있었다. 혈중 마이오글로빈은 훈련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는 소견을 보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진행 과정을 볼 때, CPK, AST, 혈중 마이오글로빈은 Background: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rhabdomyolysis in clinical settings, because 10∼30% of rhabdomyolysis patients develop acute renal failure as a complication and patients with such complication have risk of high mortality. Recently, there have bee

      • KCI등재후보

        대구경 강관을 이용한 비개착공법의 구조적 안전성에 대한 연구

        김경곤(Kyong Gon Kim),김경환(Kyeong Hwan Kim),김효진(Hyo Jin Kim),이상호(Sang Ho Lee) 한국방재안전학회 2009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2 No.4

        대구경 강관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공사방법은 교통지연 및 안전사고 가능성이 높은 지하시설물 공사에 대해서 지상 교통상황에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비개착 터널공법으로 시공단계별 구조적 안전성 확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구조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이용하여 공법의 주요 부재인 대구경 강관의 관경별 구조적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위험시공단계를 선정하고 위험시공단계에서의 응력집중부위의 응력상태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관경 및 관 두께에 따른 구조물의 거동과 응력상태 변화를 확인하여 효율적인 대 구경 강관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The development and use of underground space in the city have been expanded considerably worldwide due to the growing population and traffic. Because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causes some problems including traffic jam and safety accidents, the non-open excavation construction method are commonly used. NTR (New Tubular Roof) method which is one of the non-open excavation method i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safety of underground structures by using NTR method is evaluated by ANSYS 9.0. The tubular roof according to diameters are analysed by ANSYS 9.0 at critical construction step. Finally, according the diameter and thickness of tubular roof the stress nad dispacement are analyzed and then the The efficient use of tubular roof is suggested from relationship between tubular's thickness and stress condition.

      • SCOPUSKCI등재

        잣기름 성분분석 및 비만 예방효과 연구

        김경곤(Kyoung Kon Kim),강윤환(Yun Hwan Kang),김대중(Dae Jung Kim),김태우(Tae Woo Kim),최면(Myeon Choe)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5

        본 연구에서는 성분분석을 통해 품질이 확인된 PNO의 항비만 효과를 세포수준에서 확인하고 기능성소재로서의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PNO는 기존에 알려진 바와 같이 linoleic acid, oleic acid, pinolenic acid, 및 palmitic acid가 분석되었으며 정량을 위한 표준물질인 undecanoic acid의 함량을 기준으로 확인한 결과 linoleic acid 43.4%, oleic acid 25.7%, pinolenic acid로 예측되는 11번 unknown peak 12.8%, palmitic acid 5.2% 및 다수의 미량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다. 세포독성 실험을 통해 0.2 mg/mL 농도 까지 독성이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도 PNO보다는 용매 DMSO에 의한 독성이 관찰되었다. PNO를 이용하여 항비만 효과에 대한 잠재적 기능 및 기전을 연구하기 위해 Oil Red O staining, PPARγ 및 aP2 mRNA 발현 확인 그리고 leptin의 분비량 측정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PNO는 MDI solution 처리를 통해 분화가 유도된 mature adipocyte에서 지방적(lipid droplet) 형성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PNO가 항비만 활성에 잠재적으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PPARγ와 aP2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 두 유전자가 유의한 수준으로 MDI control 대비감소하는 반면 SREBP-1c, C/EBPα, glucokinase,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및 perilipin에는 영향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data not shown). RT-PCR 결과는 PNO의 처리가 지방대사 및 축적을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조절 기전에 의해 억제할 수 있음을 제시하여 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확인한 PNO의 leptin 방출유도 실험을 통해 leptin이 PNO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방출량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Leptin은 식욕억제 효과가 있는 호르몬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는 PNO가 기존에 알려진 cholecystokinin과 glucagon like peptide-1 (GLP-1)의 분비증가를 통해 식욕을 억제할뿐만 아니라 leptin의 방출을 유도하여 추가적인 식욕억제작용을 유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PNO는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우수한 식물성유지이며 기능적으로 항비만 효능을 잠재적으로 가지는 우수한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및 소재의 개발을 위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ine nut oil (PNO) is well known to impart beneficial effects in overweight individuals, but the mechanisms underlying PNO-mediated weight loss remain unclear. To investigate how PNO promotes weight loss, its composition was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coupled with mass spectrometry (GC-MS). In addition, the effects of PNO on cytotoxicity, lipid accumulation, expression of lipid metabolism-related biomarkers, and leptin secretion were assessed in 3T3-L1 cells. GC-MS analyses revealed that PNO contains several components, including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Moreover, PNO did not have a cytotoxic effect on 3T3-L1 cells. However, it inhibited the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and adipocyte protein 2 (aP2). Finally, PNO significantly increased leptin secre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PNO is useful for weight management in overweight individuals.

      • KCI등재
      • KCI등재

        Gambogic Acid Induced Apoptosis through Activation of Caspase-dependent Pathway in Aortic Smooth Muscle Cells

        Dae-Kwang Kim(김대광),Tae-Jin Lee(이태진),Eun-Ae Kim(김은애),Ju Hwan Kang(강주환),Kyung Gon Kim(김경곤),Joo-Young Kim(김주영) 대한체질인류학회 201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6 No.3

        Gambogic acid (GA)는 강력한 항암효과를 가진다. 민무늬근육세포의 증식과 이동은 죽상동맥경화증의 발병기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GA가 대동맥 민무늬근육세포에 대하여 세포사멸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였고, simvastatin에 비해 GA의 효과가 얼마나 유용한지를 연구하였다. 대동맥 민무늬근육세포는 4-6주 된 Sprague-Dawley 흰쥐에서 분리하였다. 이들 세포는 민무늬근육의 α-액틴 항체로 면역형광염색법으로 확인하였다. MTT 방법으로 GA와 simvastatin의 IC50을 결정하였다. 약제 각각의 IC50으로 24시간 처리한 후, 살아있는 세포영상 분석, 형광물질이 표지된 annexin V와 propium iodide로 이중염색하여 세포사멸 정도 분석을 각각 시행하였다. 또한, western blot으로 민무늬근육세포에서 PARP 및 procaspase-3의 감소와 PARP 및 procaspase-3의 분할을 보고, 세포사멸임을 검증하였다. GA의 IC50인 1 μM은 simvastatin의 IC50인 30 μM보다 낮았는데, 이는 IC50만으로 보았을 때 GA가 simvastatin 보다 더 강력한 약제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세포영상에서 약제종류와는 상관없이 약제처리 24시간 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세포의 수가 상당이 감소되었다. GA 처리군 (26.4±2.37%)에서 simvastatin 처리군 (8.3±1.54%)에 비해 세포사멸된 세포들이 더 높은 백분율을 나타냈다 (P?0.05, n=3). 또한 GA를 처리하면 PARP, procapase-3, 그리고 Mcl-1의 발현을 감소시켰지만, simvastatin을 처리 한 경우에는 없었다. z-VAD-fmk로 전처리 후, PARP와 procaspase-3의 분할 뿐만 아니라 GA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멸이 감쇄되었다. GA에 의해 유발된 Mcl-1 단백질 발현의 감소는 z-VAD-fmk에 의해 복구되었다. 이들 결과는 GA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멸이 caspase 의존성 경로를 통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Gambogic acid (GA) has powerful apoptotic actions. The authors investigated whether GA has apoptotic effects on aortic smooth muscle cells, and compared its potency with that of simvastatin. Smooth muscle cells were isolated from the aortas of Sprague-Dawley rats (4-6 week). Cell purities were confirmed by IF staining using α-smooth muscle actin antibody. The IC50 values for cell death by GA and simvastatin were determined using a MTT assay, and the apoptotic effects of 1 μM GA or 30 μM simvastatin (concentrations correspond to IC50 values) were determined after 24 h of treatment using live cell images and by FITC annexin-V and propidium iodide double-staining. In addition, western blotting was used to evaluate apoptosis by quantifying reductions in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PARP and procaspase-3 as well as cleavages of PARP and procaspase-3 after treatment with 1 μM GA or 30 μM simvastatin. The IC50 of GA (1 μM) was lower than that of simvastatin (30 μM). Cell numbers were markedly reduced by both drugs in live cell images. GA (1 μM) produced a higher level of apoptosis than 30 μM simvastatin (26.4±2.37% vs. 8.3±1.54%, respectively; P?0.05, n=3) by FITC annexin-V & PI double-staining. In addition, 1 μM GA reduced the expressions of PARP, procaspase-3, and Mcl-1 in cells, whereas 30 μM simvastatin did not. Pretreatment with z-VAD-fmk attenuated GA-induced apoptosis and the cleavages of PARP and procaspase-3. The decreased level of Mcl-1 protein induced by GA treatment was recovered by z-VAD-fmk.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A-induced apoptosis was mediated by a caspase-dependent pathway.

      • KCI등재

        추출용매에 따른 레몬밤 추출물의 중성지방 조절 효능 검증

        김지연(Ji Youn Kim),김경곤(Kyoung Kon Kim),이혜림(Hye Rim Lee),김대중(Dae Jung Kim),김태우(Tae Woo Kim)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5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lemon balm (Melissa officinalis) extract on improving blood triglycerides according to the extraction solvent using 3T3-L1 cells. Lemon balm was extracted with water (MOW100), 70% ethanol (MOE70), 50% ethanol (MOE50), and 30% ethanol (MOE30). To verify its efficacy on improving blood triglycerides, cell viability, lipid accumulation, triglyceride (TG) content, and expressions of protein kinase A (PKA), adipose triglyceride lipase (ATGL), hormone-sensitive lipase (HSL), perilipin, and CGI-58 proteins were evaluated. Cytotoxicity was not evident up to an extract concentration of 1 ㎎/mL. Lipid accumulation and TG content were de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compared to their levels in the control group. When the MOW100 extract was applied at a concentration of 0.2 ㎎/mL, an inhibitory effect was evident, with lipid accumulation inhibited by 21.3% and TG content reduced by 32.7%. PKA phosphorylation and ATGL HSL and CGI-58 levels were increased. The data indicate that lemon balm extract obtained using water is more efficacious than extracted with ethanol. The aqueous extract shows potential in triglyceride control through lipolysis and lowering triglyceride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